KR102287195B1 -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95B1
KR102287195B1 KR1020200086518A KR20200086518A KR102287195B1 KR 102287195 B1 KR102287195 B1 KR 102287195B1 KR 1020200086518 A KR1020200086518 A KR 1020200086518A KR 20200086518 A KR20200086518 A KR 20200086518A KR 102287195 B1 KR102287195 B1 KR 10228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us shelter
booth
artificial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08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several liquids from different source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와, 용수를 이용해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쿨링포그 장치와,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정보 수집부, 그리고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버스 쉘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Smart bus shelter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버스 쉘터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깨끗한 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다수 승객의 수송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지정된 노선을 운행하며 버스 정류장에서 승객을 탑승 또는 하차시킨다.
이때, 버스 정류장에는 탑승할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 쉘터가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버스 쉘터에는 눈, 비, 또는 태양광으로부터 대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지붕이 설치되거나 또는 대기 승객이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좌석이 구비된다.
특히, 최근 설치되는 버스 쉘터에는 해당 정류장에 각 버스가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날씨 정보 등을 알려주는 모니터가 설치되거나, 또는 열선이 깔린 좌석 등이 구비되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버스 쉘터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게 때문에 버스 쉘터의 승객이 도로의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어 더욱 큰 문제가 된다.
때문에, 도로의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버스 쉘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버스 쉘터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286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버스에 승하차 하는 승객에게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고, 버스 쉘터에서 버스가 출발하면 출발하는 버스를 향해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겨울철 눈이 내리면 제설제가 첨가된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제설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상기 버스 쉘터 부스와 상기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 사이가 차단되도록 하여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버스 쉘터 부스로 향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차된 버스가 없을 때에 승객이 도로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버스 쉘터 부스 내부에 배치되는 좌석이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젖지 않고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을 정화처리한 용수를 이용하여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버스 쉘터 부스 벽면에서 식물을 재배하고, 버스 쉘터 부스 외부 공기가 재배되는 식물을 통과하여 정화 처리된 공기가 버스 쉘터 부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와, 용수를 이용해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쿨링포그 장치와,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정보 수집부, 그리고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주변 정보 수집부는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의 버스를 감지하는 버스 감지부를 포함하고, 분사 제어부는 버스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버스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사 제어부는, 버스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버스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의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와, 정차 상태의 버스가 존재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분사 결정부, 그리고 분사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 결정부는 정차 상태였던 버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시스템은 제설제가 첨가된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용수에 제설제를 첨가하는 제설제 첨가 장치와, 버스의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제 첨가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제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 수집부는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강설량 정보를 수집하는 강설량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강설량이 임계량을 초과하면, 제설 제어부는 제설제가 첨가되도록 제설제 첨가 장치를 구동 제어하고, 분사 제어부는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쿨링포그 장치는, 용수가 저장되는 용수 저장 탱크와, 용수를 공급받아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그리고 용수가 공급되도록 용수 저장 탱크와 분사 모듈을 연결하고 체크 밸브가 배치되는 제1 배관을 포함하고, 제설제 첨가 장치는 제1 배관의 체크 밸브 하류 구간에 제설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모듈은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를 향해 인공 안개를 분사하도록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보도블록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쿨링포그 장치는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버스 쉘터 부스와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가 차단되도록 버스 쉘터 부스와 주변 도로 사이 공간에서 인공 안개를 상향 또는 하향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 내부의 승객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버스 쉘터 부스 내부의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버스 쉘터 부스의 좌석을 향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압축 공기 분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의 지붕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쿨링포그 장치는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수집하여 정화처리한 용수를 이용해 인공 안개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의 벽면에 배치되며 버스 쉘터 부스 내부 또는 외부 공기를 정화처리 하여 버스 쉘터 부스 내부로 배출시키는 정화 경로를 형성하고, 정화 경로 상을 가로막게 배치되는 토양층과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버스 쉘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에 정차한 버스가 존재할 때에는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차된 버스에 승하차하는 승객에게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공 안개로 인한 승객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정차하였던 버스가 출발하면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출발하는 버스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신속하게 정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임계량 이상의 눈이 내리는 경우 제설제가 첨가된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하여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눈에 의한 차량 미끄러짐 사고 및 승객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안개가 버스 쉘터 부스와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 사이를 차단하게 분사하도록 배치하여,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가 버스 쉘터 부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정차된 버스가 없을 때에 승객이 도로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을 차량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버스 쉘터 부스 내부에 배치되는 좌석이 젖은 상태가 되어도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즉시 건조시키고, 버스 쉘터 부스 내의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음으로써 승객에게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을 수집하고 수집한 빗물을 정화처리한 용수를 이용해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쉘터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집함으로써 비교적 덜 오염된 빗물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 벽면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배치되어 버스 쉘터 부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버스 쉘터 부스 외부 공기가 재배되는 식물을 통과하여 정화 처리된 공기가 버스 쉘터 부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버스 쉘터 부스 내부로 정화 처리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공기에 식물 향기가 나도록 함으로써 대기 승객에게 쾌적한 공기와 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정보 수집부, 분사 제어부 및 제설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포그 장치와 제설제 첨가 장치를 보다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이하, '버스 쉘터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버스 쉘터 부스(100)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대기 승객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100)와, 부스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와,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쿨링포그 장치(300), 그리고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스 쉘터 부스(100)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부스로,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버스 쉘터 부스(100)에는 대기 승객이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좌석이 제공되며, 좌석에는 열선이 깔릴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100)에는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을 이용하여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니터에서는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를 촬영하는 CCTV 장치가 설치되어 버스 쉘터 부스(100)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때 설치되는 CCTV 장치는 버스 쉘터 부스(100)의 내부 중심부에 설치되어 360°를 대상으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CCTV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스 쉘터 부스(100)에는 탑승 예정 버스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탑승 예정 버스 입력부는 대기 승객이 탑승 예정 버스의 노선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노선 번호의 버스에 대한 탑승 예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탑승 예정 신호를 버스 쉘터 부스(100)를 향해 접근하는 해당 노선 번호의 버스에 전송하여 해당 버스의 운전기사가 다음 버스 쉘터 부스(100)에 탑승 예정 손님이 존재함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탑승 예정 버스 입력부는 대기 승객이 탑승 예정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 가능하도록 숫자 입력 패드가 구비되거나 또는 버스 노선별 탑승 예정 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쉘터 부스(100)의 지붕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빗물이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는데, 흘러내린 빗물은 우수관(130)을 통해, 후술될 용수 저장 탱크(도 5의 31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주변 정보 수집부(200)는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는 부스 주변 도로의 버스를 감지하는 버스 감지부(210)가 포함되어 버스 감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감지부(210)는 버스 쉘터 부스(100)에 도로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해당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의 수, 주변 도로의 차선 수, 버스 쉘터의 이용 승객 수 등을 고려하여 구비되는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버스 감지부(210)는 버스를 따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것은 아니고 부스 주변의 도로 구간 중 버스 쉘터 부스(100)와 가장 근접한 차선에 존재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버스 감지부(210)로는 라이더 센서, 레이져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쿨링포그 장치(300)는 버스 쉘터 부스(100) 또는 버스 쉘터 부스(100)의 주변에 설치되어 용수를 이용해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인공 안개는 기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므로 더운 여름철에는 버스 쉘터 부스(100) 또는 부스 주변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때, 쿨링포그 장치(300)에는 용수를 공급받아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350)이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분사 모듈(35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보도블록(b) 측벽에 배치되어 도로를 향해 인공 안개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를 향해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경우 도로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인공 안개를 직접 분사할 수 있어 배기가스가 확산 전에 정화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분사 모듈(350)이 보도블록(b) 측벽에 배치되는 경우 분사 모듈(350)이 승객에게 밟혀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승객의 얼굴에 인공 안개가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쿨링포그 장치(300)는 후술될 분사 제어부(도 3의 3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분사 제어부(도 3의 300)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300)를 구동 제어하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때문에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의 일측면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식물로 덮여있을 수 있다. 이때,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는 버스 쉘터 부스(100)의 일측벽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식물로 덮여있는 면이 버스 쉘터 부스(10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버스 쉘터 부스(100)를 이용하는 대기 승객이 심리적 안정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는 재배되는 식물의 자체 공기 정화 기능을 이용하여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발생시켜 공기가 식물이 재배되는 토양층 및 식물이 이루는 식물층을 통과하고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강제적인 공기 정화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정보 수집부, 분사 제어부 및 제설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포그 장치와 제설제 첨가 장치를 보다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쿨링포그 장치(300)는 분사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 제어부(400)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인공 안개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며 결정에 따라 쿨링포그 장치(300)를 구동 제어한다.
분사 제어부(400)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 중, 버스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변 정보 수집부(200)는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의 버스를 감지하는 버스 감지부(210)를 포함하고 분사 제어부(400)는, 버스 감지부(210)로부터 수신한 버스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의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410)와, 버스의 정차 상태에 따라 인공 안개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분사 결정부(430), 그리고 분사 결정부(430)의 결정에 따라 쿨링포그 장치(300)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구동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결정부(430)는 정차 상태의 버스가 존재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가 버스 쉘터 주변 도로에서 정차 상태로 존재하는 이유는 승객이 승하차 하기 위함이다. 즉, 버스가 정차 상태일 때에는 승객이 도로로 나가 버스에 탑승하거나 또는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도로상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 결정부(430)는 정차 상태의 버스가 존재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스에 승하차 하는 승객에서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결정부(430)는 정차 상태였던 버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즉, 분사 결정부(430)는 버스가 출발할 때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하고 버스가 출발하는 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버스가 출발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확산되기 전에 인공 안개에 의해 정화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사 결정부(430)는 정차 상태였던 버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예를 들면, 3~5초) 후에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버스가 출발하였다 하더라도 버스에서 하차한 승객이 아직 도로상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도로에서 이탈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분사 제어부(400)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 중,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 정보 수집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정보 수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정보 수집부(230)는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에 설치되어 직접 온도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버스 쉘터 부스(100)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를 수집할 수 있다. 온도 정보 수집부(230)에서 온도 정보가 수집되면 분사 결정부(430)는 수집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결정부(430)는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값에 비례하도록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결정부(430)에서 인공 안개의 분사를 결정하면 분사 구동부(450)는 쿨링포그 장치(300)를 구동 제어하여 쿨링포그 장치(300)로부터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분사 구동부(450)는 쿨링포그 장치(300)의 구동 펌프(370)를 구동 제어하여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한다.
잠시, 도 5를 참조하여 쿨링포그 장치(300)를 살펴보면, 쿨링포그 장치(300)는 용수가 저장되는 용수 저장 탱크(310)와, 용수 저장 탱크(310)와 분사 모듈(350)을 연결하는 제1 배관(330)과, 제1 배관(330)을 통해 용수 저장 탱크(310)의 용수가 공급되는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350), 그리고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된 용수가 제1 배관(330)을 통해 분사 모듈(350)에 공급되도록 제1 배관(330)에 배치되는 구동 펌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인공 안개 분사를 위해 사용되는 용수는 빗물을 정화처리한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쉘터 부스(100)의 지붕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버스 쉘터 부스(100) 지붕에 내린 빗물은 경사면(110)을 따라 흘러 우수관(130)을 통해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되며,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된 빗물은 용수 저장 탱크(310) 내에서 정화처리되거나 또는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되었다가 분사 모듈(350)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정화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되는 빗물은 도로 또는 인도 바닥에 고였던 빗물이 아니라 버스 쉘터 부스(100) 지붕에 고였던 빗물이므로 사람 또는 차량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상태의 빗물이며, 때문에 용수 저장 탱크(310)에 저장된 빗물은 상대적으로 간소한 정화 처리만으로도 깨끗한 용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인공 안개가 분사되면 인공 안개에 의해 도로가 빙결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결정부(430)는 주변 온도가 일정 이하로 떨어지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겨울철에는 쿨링포그 장치(300)가 사용되지 않게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는 겨울철에는 쿨링포그 장치(300)에서 제설제가 포함된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하여 버스 쉘터 부스(100)의 주변 제설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포그 장치(300)의 용수에 제설제 첨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설 제어부(600), 제설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 제어되어 쿨링포그 장치(300)의 용수에 제설제를 첨가하는 제설제 첨가 장치(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설 제어부(600)는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주변 정보 중, 강설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제 첨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변 정보 수집부(200)는 버스 쉘터 부스 주변의 강설량 정보를 수집하는 강설량 정보 수집부(250)를 포함하고, 분사 제어부(400)는, 수집된 강설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체 첨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설 결정부(610), 그리고 제설 결정부(610)의 결정에 따라 제설제 첨가 장치(700)를 구동 제어하는 제설 구동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설 결정부(610)는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강설량이 임계량을 초과하면 제설제가 첨가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분사 결정부(430) 역시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강설량이 임계량을 초과하면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때문에,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강설량이 임계량을 초과하면 제설제가 첨가된 인공 안개가 분사됨으로써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의 눈 제거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지도록 할 수 있다.
제설제 첨가 장치(700)는 쿨링포그 장치의 제1 배관(330)에 연결되어 제1 배관(330) 내부에 제설제가 첨가되도록 함으로써 분사 모듈(350)에 제설제가 첨가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설제 첨가 장치(700)는 제설제(m)가 저장되는 제설제 저장 탱크(710)와, 제설제 저장 탱크(710)와 제1 배관(330)을 연결하는 제2 배관(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관(730)에는 솔 밸브(73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설 구동부(630)는 솔 밸브(731)를 구동 제어하여 솔 밸브(731)의 개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설제가 제1 배관(330) 내부에 첨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배관(330)에는 체크 밸브(33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배관(730)은 체크 밸브(331) 하류 구간에서 제1 배관(330)에 연결됨으로써, 제설제(m)가 첨가된 용수가 용수 저장 탱크(3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를 살펴보면,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는 유입된 공기를 정화처리하여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로 배출시키기까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정화 경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510)과, 정화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정화 경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필터(530)와, 필터(530) 하류에서 정화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토양층(550), 그리고 토양층(550)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이 형성하는 식물층(5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화 경로에서의 공기 유동 흐름을 살펴보면, 팬(510)이 구동되면 정화 경로 상에 유동 흐름이 발생하여 외부의 공기가 정화 경로로 유입되고, 정화 경로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5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530)에 의해 1차 정화처리되며, 1차 정화처리된 공기는 토양층(550)과 식물층(5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 정화처리된 후 버스 쉘터 부스(100)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버스 쉘터 부스(100)로 배출되는 공기는 식물층(5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향기가 포함되하게 되어 부스 내부 승객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뿐 아니라 식물 향기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부스 내부 승객에게 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 인공 안개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분사되는 인공 안개를 통해 버스 쉘터 부스(100)와 도로 사이를 차단하여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버스 쉘터 부스(100)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 정보 수집부(200), 쿨링포그 장치(300'), 분사 제어부(400),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 대기 승객 감지 장치(800), 건조 제어부(900) 및 압축 공기 분사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과 달리 인공 안개가 도로를 향해 분사되지 않고 도로와 버스 쉘터 부스(100) 사이를 차단하도록 분사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서 쿨링포그 장치의 분사 모듈(350')은 버스 쉘터 부스(100)와 도로 사이의 바닥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쉘터 부스(100) 지붕에 배치되어 버스 쉘터 부스(100)와 도로 사이 공간을 향해 인공 안개를 상향 또는 하향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의 쿨링포그 장치(300')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의 쿨링포그 장치(30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설제가 첨가되어 사용되는 경우 제설제가 첨가된 인공 안개가 승객들에게 분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설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과는 달리 제설 제어부(600)와 제설제 첨가 장치(700)가 포함되지 않으며, 주변 정보 수집부(200)에도 강설량 정보 수집부(250)가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외에 버스 쉘터 부스(100), 주변 정보 수집부(200), 분사 제어부(400) 및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제어부의 분사 결정부(430)는 정차 상태였던 버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될 때뿐만 아니라, 정차 상태의 버스가 감지되지 않고 이동 중인 버스가 감지되는 동안 지속적으오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다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정차 상태의 버스가 존재하지 않고 버스가 정류장에 들어오고 있거나 또는 정차했던 버스가 출발 중이거나 또는 버스가 정류장을 통과할 때에는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버스 쉘터 부스(100)와 도로가 차단되도록 하여 대기 승객이 무리하게 버스에 탑승하려고 도로에 나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승객을 차량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 시스템은 인공 안개가 도로를 향하지 않고 버스 쉘터 부스(100)와 도로 사이의 공간으로 상향 또는 하향 분사되므로 바람의 방향에 따라서는 인공 안개가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소량의 인공 안개가 유입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인공 안개가 지속적으로 분사되어 많은 양의 인공 안개가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버스 쉘터 부스(100)의 좌석에 물기가 생길 수 있다. 압축 공기 분사 장치(1000) 이와 같이 좌석에 물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석을 향해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좌석에 발생한 물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좌석에 물기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건조 제어부(900)는 압축공기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건조 결정부(910)와, 압축 공기 분사 장치(1000)를 구동 제어하는 건조 구동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결정부(910)는 주기적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인공 안개가 분사된 시점 또는 인공 안개가 분사된 이후 시점에 일정 시간동안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 결정부(910)는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에 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결정하여 승객을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거나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로 인해 승객이 놀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기 승객 감지 장치(800)는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버스 쉘터 부스(100) 내부에 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건조 결정부(910)는 대기 승객 감지 장치(800)에서 감지된 대기 승객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승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버스 쉘터 부스 110: 경사면
130: 우수관 200: 주변 정보 수집부
210: 버스 감지부 230: 온도 정보 수집부
250: 강설량 정보 수집부 300: 쿨링포그 장치
310: 용수 저장 장치 330: 제1 배관
331: 체크 밸브 350: 분사 모듈
370: 구동 펌프 400: 분사 제어부
410: 정차 판단부 430: 분사 결정부
450: 분사 구동부 500: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
510: 팬 530: 필터
550: 토양층 570: 식물층
600: 제설 제어부 610: 제설 결정부
630: 제설 구동부 700: 제설제 첨가 장치
710: 제설제 저장 탱크 730: 제2 배관
731: 솔 밸브 800: 대기 승객 감지 장치
900: 건조 제어부 910: 건조 결정부
930: 건조 구동부 1000: 압축 공기 분사 장치

Claims (12)

  1.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승객이 탑승 예정 버스의 노선 번호를 입력하면 입력 노선 번호의 버스에 대한 탑승 예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탑승 예정 신호를 접근하는 상기 입력 노선 번호의 버스에 전송하는 탑승 예정 버스 입력부를 구비하는 버스 쉘터 부스;
    용수를 이용해 상기 버스 쉘터 부스 주변에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쿨링포그 장치;
    상기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정보 수집부;
    상기 버스 쉘터 부스의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
    상기 버스 쉘터 부스 내부의 승객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상기 버스 쉘터 부스의 좌석을 향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압축 공기 분사 장치; 및
    상기 압축 공기 분사 장치를 작동 제어하는 건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수집부는 상기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의 버스를 감지하는 버스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제어부는,
    상기 버스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버스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의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
    판단한 상기 버스의 정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 안개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분사 결정부; 및
    상기 분사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쿨링포그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분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쿨링포그 장치는 분사되는 인공 안개에 의해 상기 버스 쉘터 부스와 상기 버스 쉘터 부스 주변 도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버스 쉘터 부스와 상기 주변 도로 사이 공간에서 상기 인공 안개를 상향 또는 하향 분사하며,
    상기 분사 결정부는, 상기 정차 판단부에서 정차 상태의 상기 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하고 정차 상태의 상기 버스가 존재하면 상기 인공 안개가 분사되지 않도록 결정하되, 정차 상태의 상기 버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인공 안개가 분사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건조 제어부는, 상기 인공 안개가 분사된 시점 또는 상기 인공 안개가 분사된 이후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압축 공기 분사 장치를 작동 제어하되, 상기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버스 쉘터 부스 내부의 승객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만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압축 공기 분사 장치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쉘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쉘터 부스의 지붕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쿨링포그 장치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수집하여 정화처리한 용수를 이용해 상기 인공 안개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쉘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쉘터 시스템은
    상기 버스 쉘터 부스의 벽면에 배치되며 상기 버스 쉘터 부스 내부 또는 외부 공기를 정화처리 하여 상기 버스 쉘터 부스 내부로 배출시키는 정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정화 경로 상을 가로막게 배치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플랜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0200086518A 2020-07-14 2020-07-14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28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8A KR102287195B1 (ko) 2020-07-14 2020-07-14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8A KR102287195B1 (ko) 2020-07-14 2020-07-14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195B1 true KR102287195B1 (ko) 2021-08-09

Family

ID=7731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518A KR102287195B1 (ko) 2020-07-14 2020-07-14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9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3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5223A (ko) * 2011-02-18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929936B1 (ko) * 2017-12-11 2018-12-18 황민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벤치
KR102014711B1 (ko) * 2018-04-16 2019-10-21 (주)바이콕 공공거리 시설에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038911B1 (ko) * 2019-10-04 2019-10-31 김성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056286B1 (ko) 2017-06-13 2019-12-16 (주)플랜두 버스정류장 쉘터
KR102069382B1 (ko) * 2019-03-27 2020-01-23 이소영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이동식 부스
KR102073513B1 (ko) * 2019-04-26 2020-03-02 장현실 설치가 간편한 다기능 차선분리대용 살수시스템
KR102114591B1 (ko)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3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5223A (ko) * 2011-02-18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56286B1 (ko) 2017-06-13 2019-12-16 (주)플랜두 버스정류장 쉘터
KR101929936B1 (ko) * 2017-12-11 2018-12-18 황민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벤치
KR102014711B1 (ko) * 2018-04-16 2019-10-21 (주)바이콕 공공거리 시설에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069382B1 (ko) * 2019-03-27 2020-01-23 이소영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이동식 부스
KR102073513B1 (ko) * 2019-04-26 2020-03-02 장현실 설치가 간편한 다기능 차선분리대용 살수시스템
KR102038911B1 (ko) * 2019-10-04 2019-10-31 김성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114591B1 (ko)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770B1 (ko) 미세먼지 로드세이프존 모니터링시스템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KR200465196Y1 (ko) 버스 쉘터
KR101951285B1 (ko)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2069382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이동식 부스
KR200427932Y1 (ko) 지하철역의 에어커튼 장치
KR102067681B1 (ko) 스마트 버스정류장
KR102007704B1 (ko)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
KR102287195B1 (ko)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1690240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CN111806363A (zh) 用于传感器总成的湿气控制
KR20150109796A (ko) 지하철 환기 및 제연 시스템
KR102189075B1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KR20110139831A (ko) 도로용 안개 제거장치
US20210131685A1 (en) Train station, in particular a tunnel-type train station, and use of a filter unit in a train station
JP6265471B2 (ja) 噴霧システム
JP2002191922A (ja) 浮遊粒子など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設備
CN112225054A (zh) 清洁装置和自动扶梯
JP5142549B2 (ja) 煤煙除去システム
KR20220039028A (ko) 도시지역 버스를 활용한 물순환식 대기오염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저감시스템
JP2003340228A (ja) 大気汚染浄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115251A (ja) 屋外用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20210090823A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12228A (ko)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저감 대중교통 승강장 부스
RU634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людей в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м туннел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