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591B1 -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591B1
KR102114591B1 KR1020190144953A KR20190144953A KR102114591B1 KR 102114591 B1 KR102114591 B1 KR 102114591B1 KR 1020190144953 A KR1020190144953 A KR 1020190144953A KR 20190144953 A KR20190144953 A KR 20190144953A KR 102114591 B1 KR102114591 B1 KR 10211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air
pot
wa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승원
Original Assignee
함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승원 filed Critical 함승원
Priority to KR102019014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24F2003/16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부에 배치된 물탱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끼화분을 갖는 이끼식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배출팬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로 유입되어 정화되고,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끼식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air purification)는 공기 속의 분진, 유해가스, 세균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황사 등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 하에서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특히 문제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하며, 입자의 크기가 10㎛보다 작은 미세먼지와 2.5㎛보다 작은 초미세먼지로 나뉘고, 그 성분은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다 사람의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갈 수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실내외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개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필터는 교체를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3795호와 같이 이끼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도 제시되었다. 다만, 단순히 이끼를 공기와 접촉시켜 공기정화를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서, 이끼를 공기정화를 위한 자연필터로 사용하는 한편, 이끼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자 한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3795호 (2019.03.25)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이끼식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고자 한다.
둘째, 이끼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 및 수분공급을 하고자 한다.
셋째, 공기정화장치 내부에서 물을 재활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부에 배치된 물탱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끼화분을 갖는 이끼식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배출팬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로 유입되어 정화되고,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화분은 이끼식물의 뿌리가 오염공기와 먼저 접촉되도록, 화분하측(312)이 몸체부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이끼화분은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화분은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화분은 메시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시부로 구비된 이끼화분과 상기 배출팬의 사이에는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 스크린이 구비되며, 통과하지 못한 수분은 상기 물탱크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는 인출가능한 커버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커버부는 플레인구조, 통공구조 또는 블라인드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탱크부는 격벽의 일측에 구비된 물저장부 및 격벽의 타측에 구비된 물공급부로 구분되며, 물저장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하강하는 수분이 유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축적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를 가지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격벽을 넘어서 물공급부로 이동되며, 물공급부의 물은 공급구을 통해 펌프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 거치부의 앞면부 또는 이끼화분의 사이에 배치된 거치대 및 거치대에 구비된 노즐부를 가지며, 물을 이끼화분에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끼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부로 이동되며, 스프레이부는 승강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레이부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팬은 상반회전 프로펠러로 구비되고, 일 이끼화분마다 일 상반회전 프로펠러가 직렬배치되어 이끼화분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배출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상반회전 프로펠러는 상호 병렬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거치부의 앞면부에 배치되어, 이끼화분을 향해 빛에너지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발광부는 승강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 태양광발전부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는 공기센서부가 구비되며, 센싱값을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배기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이끼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활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끼식물의 잎부분 뿐만 아니라 뿌리부분을 활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배출팬에 상반회전 프로펠러를 활용하여 정화된 공기의 직진이동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커버부를 통해 자외선을 차단하되, 공기는 통풍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프레이부에서 물과 공기를 혼합분사하여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발광부에서 빛을 조사하여, 이끼의 생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태양광발전 및 이를 통해 생성된 에너지를 충전시켜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공기오염 및 공기정화 정보를 교신하고,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로서, 몸체부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끼화분의 하측이 몸체부의 앞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이끼화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c에 따른 이끼화분과 다공 스크린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비가 올때 이끼화분 및 몸체부 내부에서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다.
도 9는 스프레이부로 이끼화분에 물을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발광부로 이끼화분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배출팬이 상반회전프로펠러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물탱크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13은 이끼화분을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이끼식물(bryophytes)'은 이끼류(-類) 또는 선류(蘚類)에 속하는 작고 부드러운 식물을 의미한다. 선류(蘚類)·태류(苔類)를 포함하여 약 2만 3000종으로 이루어진 최초로 육상생활에 적응한 식물군으로 흔히 이끼식물이라고 한다.
이끼는 공기청정기 효과로 더할 나위 없는 자연 천연 공기 청정기로서, 일반적인 공기정화식물의 무려 800~1,000배 효과가 있으며 편백나무보다 피톤치드 발생량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량의 산소와 음이온의 배출로 늘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등 공신으로 자연 공기정화 능력을 갖고 있다.
일반적인 공기정화 식물과 비교했을 때 단위면적당 산소배출량이 800~1,000배에 이를 정도로 수분을 저장하는 이끼의 특성상 겨울철에는 가습, 여름철에는 제습 기능을 해낸다.
식물 종류별 톨루엔 제거효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허브류(19.48), 관엽류(9.41), 자생식물(16.16), 선인장(12.00), 다육식물(27.61), 이끼류(74.38)로 단연 이끼가 제거효율 면에서 월등하다.
또한, 음이온 발생량(개/mL)으로도 평균적으로 허브류(478.1), 관엽류(423.3), 양치류(311.5), 다육식물(91.6), 난류(311.5), 선인장(91.6), 자생식물(273.7), 이끼류(555.6)로 원예식물 종류별에서도 음이온 발생량에서 이끼가 탁월하다.
상대습도(%) 증가량에서도 허브류(25.3), 관엽류(16.2), 자생식물(19.6), 양치류(14.8), 선인장(1.73), 다육식물(4.51), 난류(15.46), 이끼류(34.5)로 이끼가 제습 역할로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이거나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지하철, 버스정류장, 터미널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장소, 자동차 배기의 매연이 발생하는 도로 등에 이끼를 설치하여, 공기정화 기능 및 대기오염 감소, 음이온 효과로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특히 4계절을 가진 한국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생태 조성을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어떤 이끼식물을 선택하느냐도 중요하나, 더욱 중요한 것은 이끼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이끼식물을 공기정화 및 미세먼지 제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로서, 몸체부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물탱크부(200), 이끼식물 거치부(300) 및 공기팬(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는 중공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부(200)는 몸체부(10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된다. 낙하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부의 디자인 등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 거치부(3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끼화분(31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몸체부의 앞면에 배치될 것이나, 측면 등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끼화분이 복수로 구비되면, 필요한 화분만 교체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한 화분만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팬(400)은 몸체부(10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몸체부의 뒷면에 배치될 것이나, 측면, 상면 등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300)로 유입되어 정화되고, 미세먼지까지 제거된 후, 배출팬(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끼식물의 공기정화 기능뿐 아니라, 이끼식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도 제거하고자 한다. 이끼식물의 뿌리에는 잔뿌리가 많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가 잔뿌리에 흡착되도록 하여 제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끼화분(310)은 이끼식물(20)의 뿌리가 오염공기와 먼저 접촉되도록, 화분하측(312)이 몸체부(100)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화분상측(311)이 몸체부(100)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며, 이 경우,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가 이끼식물의 잎부분을 먼저 거친후 뿌리부분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이끼화분(310)은 회전가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미세먼지의 심각도에 따라 이끼화분 전부 또는 일부를 회전시켜, 화분하측(312)이 몸체부(100)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가능한 구조는 회전축과 화분을 결합시켜,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분이 회전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화분(310)은 일반적인 화분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끼식물의 잎과 뿌리를 거친 공기는 이끼화분의 배출구(313)로 이동되어 배출될 것이다. 이끼화분의 배출구(313)는 물의 배출구로 사용되는 것이다(도 4a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화분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끼화분(310)은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부(porous block)(320)로 구비될 수 있다(도 4b 참조).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식물에 의해 정화(공기정화 및 미세먼지제거 포함)된 공기는 화분 벽면을 통해서도 배출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3은 다공부로 구비된 이끼화분을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화분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끼화분(310)은 메시부(mesh)(330)로 구비될 수 있다(도 4c 참조). 메시부(330)는 부식방지와 내구성이 확보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수분함량이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대기 중의 습도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팬(400)을 부식시키는 단점 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 4c의 실시예의 경우, 메시부(330)로 구비된 이끼화분(310)과 배출팬(400)의 사이에는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 스크린(340)이 구비되며, 통과하지 못한 수분은 물탱크부(200)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끼식물은 강한 자외선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끼식물 거치부(30)0의 이끼화분(310)들에 자외선이 직접 쬐이지 않도록 커버부(1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인출가능한 커버부(110)가 추가로 구비되며, 커버부(110)는 플레인구조(111), 통공구조(112) 또는 블라인드구조(11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110)는 자외선이 강렬한 시간대에 인출되어 직사광선이 이끼식물에 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10)의 측면을 통해 오염공기는 이끼화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앞면에도 통공구조(112) 또는 블라인드 구조(113)를 구비하여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부(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된 물저장부(210) 및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된 물공급부(230)로 구분된다. 물저장부(210)는 상기 몸체부(100)에서 하강하는 수분이 유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유입구(211)와, 축적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212)를 가지며, 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이 격벽(220)을 넘어서 물공급부(230)로 이동되며, 물공급부(230)의 물은 공급구(231)을 통해 펌프(232)로 이동될 수 있다.
물저장부(211)에 저장되는 물은 이끼화분을 거친 물로서, 미세먼지 등의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격벽(220) 구조를 통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을 물공급부(230)로 이동시키고, 다시 이끼식물에 공급하는 재활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물공급부(230)에는 필요시 가열 기능을 부여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거치부(300)의 앞면부 또는 이끼화분(310)의 사이에 배치된 거치대(510) 및 상기 거치대(510)에 구비된 노즐부(520)를 가지며, 물을 이끼화분(310)에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부(500)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끼화분(3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부(500)는 고정식 구조도 가능하며 승강가능한 구조도 가능하다. 고정식 구조의 경우, 높이별로 복수의 스프레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식 구조의 경우, 적어도 1개의 스프레이를 배치하여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스프레이의 승강시에 커버부(110)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이 확보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부(500)는 물(water)과 공기(air)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이끼식물의 잎부분이나 뿌리부분에 수분을 머금고 흡착된 경우 제거가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에 물뿐만 아니라 공기를 함께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팬(400)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배출되는 방향은 몸체부의 뒷면, 측면 또는 상면 등 다양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몸체부의 뒷면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실시예이며, 도 14의 실시예는 몸체부의 앞면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실시예이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이끼화분(310)에 인접하게 배출팬(4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이끼화분(310)에 인접하게 배출팬(400)이 구비된 것외에, 배출방향으로 배출팬(400)을 추가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끼화분으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이동통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화된 공기는 보다 신속하게 보다 먼 곳으로 이동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프로펠러를 가지며, 앞 프로펠러(410a)와 뒤 프로펠러(410b)의 경사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상반회전 프로펠러(Contra Rotating Propeller)(410)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일반 프로펠러를 가진 팬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팬은 상반회전 프로펠러로 구비되고, 일 이끼화분마다 일 상반회전 프로펠러가 직렬배치되어 이끼화분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배출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상반회전 프로펠러는 상호 병렬배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1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이끼식물거치부(300)의 앞면부에 배치되어, 이끼화분(310)을 향해 빛에너지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8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800)는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일측에 태양광발전부(60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전원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술한 발광부의 작동 및 스프레이부의 승강 등의 동작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공기센서부(120)가 구비되며, 센싱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배기팬(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기팬의 작동량이 증가되면,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양도 증가되어 공기정화량도 증가될 것이다. 여러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어부는 적절한 제어를 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친환경적인 이끼와 IoT 기술의 합착으로 새로운 가치 기술로 자리매김이 가능하다.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도심에서 이끼의 효과를 받을 수 있고 IoT 기술로 각종 정보 제공을 받아 편리하고 안전한 시설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공기정화장치
20 : 이끼식물
100 : 몸체부 110 : 커버부
111 : 플레인구조 112 : 통공구조
113 : 블라인드구조 120 : 공기센서부
200 : 물탱크부 210 : 물저장부
211 : 유입구 212 : 슬러지 배출구
220 : 격벽 230 : 물공급부
231 : 공급구 232 : 펌프
300 : 이끼식물거치부 310 : 이끼화분
311 : 화분상측 312 : 화분하측
313 : 화분배출구 320 : 다공부
330 : 메시부 340 : 다공 스크린
400 : 배출팬 410 : 상반회전 프로펠러
410a : 앞 프로펠러 410b : 뒤 프로펠러
500 : 스프레이부 510 : 거치대
520 : 노즐부 600 : 태양광발전부
700 : 전원부 800 : 발광부
900 : 광고부

Claims (14)

  1. 중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부에 배치된 물탱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끼화분을 갖는 이끼식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배출팬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로 유입되어 정화되고,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이끼화분은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부로 구비되며,
    상기 이끼화분은 이끼식물의 뿌리가 오염공기와 먼저 접촉되도록, 화분하측(312)이 몸체부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반회전 프로펠러로 구비되고, 일 이끼화분마다 일 상반회전 프로펠러가 직렬배치되어 이끼화분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배출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상반회전 프로펠러는 상호 병렬배치되며,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의 앞면부 또는 이끼화분의 사이에 배치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노즐부를 가지며, 물을 이끼화분에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끼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부로 이동되며, 상기 스프레이부는 승강가능하며, 상기 스프레이부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2. 중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부에 배치된 물탱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끼화분을 갖는 이끼식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배출팬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로 유입되어 정화되고,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이끼화분은 메시부로 구비되며, 메시부로 구비된 이끼화분과 상기 배출팬의 사이에는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다공 스크린이 구비되며, 통과하지 못한 수분은 상기 물탱크부로 이동되며,
    상기 이끼화분은 이끼식물의 뿌리가 오염공기와 먼저 접촉되도록, 화분하측(312)이 몸체부의 앞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반회전 프로펠러로 구비되고, 일 이끼화분마다 일 상반회전 프로펠러가 직렬배치되어 이끼화분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배출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상반회전 프로펠러는 상호 병렬배치되며,
    상기 이끼식물 거치부의 앞면부 또는 이끼화분의 사이에 배치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노즐부를 가지며, 물을 이끼화분에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끼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부로 이동되며, 상기 스프레이부는 승강가능하며, 상기 스프레이부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이끼화분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인출가능한 커버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는 플레인구조, 통공구조 또는 블라인드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부는 격벽의 일측에 구비된 물저장부 및 격벽의 타측에 구비된 물공급부로 구분되며,
    물저장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하강하는 수분이 유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축적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를 가지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격벽을 넘어서 물공급부로 이동되며,
    물공급부의 물은 공급구을 통해 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끼식물거치부의 앞면부에 배치되어, 이끼화분을 향해 빛에너지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는 승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태양광발전부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공기센서부가 구비되며, 센싱값을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배기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190144953A 2019-11-13 2019-11-13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1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53A KR102114591B1 (ko) 2019-11-13 2019-11-13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53A KR102114591B1 (ko) 2019-11-13 2019-11-13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591B1 true KR102114591B1 (ko) 2020-05-22

Family

ID=7091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53A KR102114591B1 (ko) 2019-11-13 2019-11-13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591B1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98B1 (ko) * 2020-07-30 2021-02-08 서울주택도시공사 스마트 바이오 테크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227576B1 (ko)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내용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
KR102287195B1 (ko) *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342650B1 (ko) * 2021-11-03 2021-12-23 이무남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370818B1 (ko) 2021-10-07 2022-03-04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WO2022055229A1 (ko) * 2020-09-10 2022-03-17 강현진 선태식물 필터유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필터유닛
KR20220076855A (ko) * 2020-12-01 2022-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끼 정화 시스템
KR102418650B1 (ko)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가 형성된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649B1 (ko)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227B1 (ko) 2021-10-07 2022-07-08 김진수 도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IoT 스마트 기반의 모듈형 녹화 플랜터 시스템
KR102419684B1 (ko)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19685B1 (ko)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WO2022149683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인더텍 이끼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2425074B1 (ko) 2021-12-13 2022-07-27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KR102425073B1 (ko) 2021-12-13 2022-07-28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20220117371A (ko) * 2021-02-15 2022-08-24 윤영현 가스 검출 기반의 친환경 공기청정 장치
KR102466021B1 (ko)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도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및 와류형 식물 트레이 및 그의 스마트 플랜터 펜스 장치
KR102466022B1 (ko)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형 식물 녹화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식물 펜스 시스템
WO2023277334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102496207B1 (ko) * 2021-12-22 2023-02-07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KR102570242B1 (ko) * 2022-04-27 2023-08-29 김시웅 인공지능 원격관리 방식의 반밀폐식 적층구조의 이끼 생육시스템을 활용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흡수를 통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및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577141B1 (ko) * 2022-12-16 2023-09-11 (주)미래엔피아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KR102587349B1 (ko) * 2023-03-07 2023-10-12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KR20230144375A (ko)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타이가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KR20230144696A (ko)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타이가 식물 공기정화기
KR102602933B1 (ko) 2023-04-06 2023-11-16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형 입체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102602932B1 (ko) 2023-04-06 2023-11-16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형 공기정화식물 재배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52A (ja) * 1992-12-08 1994-06-21 Kubota Corp 育苗施設
JP2002345330A (ja) * 2001-05-29 2002-12-03 Takenaka Komuten Co Ltd 複層パネル型緑化ブラインド、及び緑化ブラインド
JP3171165U (ja) * 2011-07-22 2011-10-20 株式会社丹勝 日除け植栽装置
KR20140070132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코빅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87999A (ko) * 2016-01-21 2017-08-01 주식회사 하츠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KR101963795B1 (ko) 2018-07-18 2019-03-29 강성길 지의류 및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52A (ja) * 1992-12-08 1994-06-21 Kubota Corp 育苗施設
JP2002345330A (ja) * 2001-05-29 2002-12-03 Takenaka Komuten Co Ltd 複層パネル型緑化ブラインド、及び緑化ブラインド
JP3171165U (ja) * 2011-07-22 2011-10-20 株式会社丹勝 日除け植栽装置
KR20140070132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코빅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87999A (ko) * 2016-01-21 2017-08-01 주식회사 하츠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KR101963795B1 (ko) 2018-07-18 2019-03-29 강성길 지의류 및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95B1 (ko) *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213698B1 (ko) * 2020-07-30 2021-02-08 서울주택도시공사 스마트 바이오 테크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227576B1 (ko)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내용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
WO2022055229A1 (ko) * 2020-09-10 2022-03-17 강현진 선태식물 필터유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필터유닛
KR102535425B1 (ko) * 2020-12-01 2023-05-24 대한민국 이끼 정화 시스템
KR20220076855A (ko) * 2020-12-01 2022-06-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끼 정화 시스템
WO2022149683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인더텍 이끼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220117371A (ko) * 2021-02-15 2022-08-24 윤영현 가스 검출 기반의 친환경 공기청정 장치
KR102499075B1 (ko) * 2021-02-15 2023-02-15 윤영현 가스 검출 기반의 친환경 공기청정 장치
WO2023277334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102492431B1 (ko) * 2021-06-30 2023-01-30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20230003971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102418227B1 (ko) 2021-10-07 2022-07-08 김진수 도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IoT 스마트 기반의 모듈형 녹화 플랜터 시스템
KR102419684B1 (ko)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19685B1 (ko)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KR102418650B1 (ko)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가 형성된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370818B1 (ko) 2021-10-07 2022-03-04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649B1 (ko)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342650B1 (ko) * 2021-11-03 2021-12-23 이무남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425073B1 (ko) 2021-12-13 2022-07-28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102425074B1 (ko) 2021-12-13 2022-07-27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WO2023121366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지템퍼러처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KR102496207B1 (ko) * 2021-12-22 2023-02-07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KR20230144375A (ko)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타이가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KR20230144696A (ko)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타이가 식물 공기정화기
KR102570242B1 (ko) * 2022-04-27 2023-08-29 김시웅 인공지능 원격관리 방식의 반밀폐식 적층구조의 이끼 생육시스템을 활용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흡수를 통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및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466022B1 (ko)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형 식물 녹화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식물 펜스 시스템
KR102466021B1 (ko)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도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및 와류형 식물 트레이 및 그의 스마트 플랜터 펜스 장치
KR102577141B1 (ko) * 2022-12-16 2023-09-11 (주)미래엔피아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KR102587349B1 (ko) * 2023-03-07 2023-10-12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KR102602933B1 (ko) 2023-04-06 2023-11-16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형 입체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102602932B1 (ko) 2023-04-06 2023-11-16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형 공기정화식물 재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591B1 (ko)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WO2017008628A1 (zh) 空气净化器
US8707619B2 (en) Biological air filter
JP2004524886A (ja) 生物学的フィルタシステムおよび生物学的フィルタシステムのハウジング
EP1946011B1 (en) Biological process for purifying air in confined rooms and apparatus thereof
KR101963795B1 (ko) 지의류 및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566710A (zh) 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装置和栽培单元
CN203916303U (zh) 自主式大流量除霾空气净化系统
CN104976688B (zh) 一种植物空气净化器
CN107975866A (zh) 一种多功能叠加有氧空气优化系统
CN204786835U (zh) 生态型空气净化装置
CN202191842U (zh) 雨淋式室内空气生态净化机
CN207187420U (zh) 一种水溶式除尘除味装置
CN204710102U (zh) 一种新型高效废气处理装置
TWM459867U (zh) 空氣清淨裝置
JP2016000189A (ja) 空気浄化装置
KR102547440B1 (ko)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학교,군대,지하철,지하주차장,식물재배사,가축사육장,지렁이 사육장,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다중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친환경 공법
JP7299649B2 (ja) 空気浄化装置
CN1805683B (zh) 增加有微生物空气净化功能的水族容器
KR102323180B1 (ko) 습식공기정화부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CN209840300U (zh) 一种设置有人工雨林微生态系统的观赏型空气净化装置
CN204619746U (zh) 一种光催化室内空气净化景盆
CN204786822U (zh) 生态型空气净化器
KR200355965Y1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이 겸비된 장식용 수족관
CN204880357U (zh) 一种植物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