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77334A1 -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 Google Patents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77334A1
WO2023277334A1 PCT/KR2022/006596 KR2022006596W WO2023277334A1 WO 2023277334 A1 WO2023277334 A1 WO 2023277334A1 KR 2022006596 W KR2022006596 W KR 2022006596W WO 2023277334 A1 WO2023277334 A1 WO 20232773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fine dust
air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5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Publication of WO20232773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773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6Devices for cleaning flower-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garden that purifies fine dust and provides fragrance using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that can improv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esthetic and advertising effects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devices that can control plant air purification, fine dust reduction, direction, sterilization, and continuous plant growth. It relates to a vertical garden that purifies fine dust and provides fragrance.
  •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stalled and used for indoor ventil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high-rise office buildings.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 dust, PM 10 , CO 2 , HCHO, total floating bacteria, CO, NO 2 , VOCs and ozone present in the air in underground station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irport terminals, waiting rooms and large buildings are removed through a dust filter, ozone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purify underground air by quickly and efficiently decomposing and removing harmful gases and germs in the underground air using a filter with a built-in generator, contact area increasing catalyst and ozone decomposition catalyst, but it is mainly used as an ozone generator.
  • ozone is used for decomposition and removal by generat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ozone used to decompose the gas and bacteria, a large amount of ozone remains, which causes secondary contamination by ozone harmful to the human body, so it is not used.
  • Conventional technologies include underground and indoor air purification that purifies air by decomposing and filtering various sizes of dust, various types of harmful gases and bacteria present in the air in underground station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irport terminals, waiting rooms and large building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8125 configures plants that have their own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be planted, and detects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independently of the purification effect of plants to effectively reduce fine dust.
  • a plant vertical garden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n additional device is installed to keep the indoor air pleasant. It is difficult to manage for continuous plant growth, washing, or fine dust removal,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realizing advertising effects and limitations in that plants cannot be continuously exposed outdoors due to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Korea, which has four distinct season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6213 discloses a body unit capable of driving to at least a desired place and providing a cultivation space of a set size; a hydroponic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in multiple layers and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the roots of plants; a control unit mounted to the body unit to be concealed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ydroponic unit according to a signal; Auxiliary units mounted on the main body unit and the hydroponic unit, respectively, to block clogging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assage through which artificial photosynthetic action of plants and nutrient solution are circulated;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control modul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main body unit and guiding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hydroponic unit according to the light intensity of the room and the window by voice so that the patient voluntarily participates in cultivation to enhance cognitive ability.
  • hydroponic cultivation can be implemented only indoors,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for continuous plant growth, washing, or fine dust removal. There is a limit to the implementation of
  • a triangular prism rotation advertising device arranges and installs a plurality of triangular prisms on which advertisements are printed on an advertisement frame, and rotates the advertisements printed on each side of the triangle to be displayed while being switched.
  • a triangular column rotation advertising device is disclosed, but a configuration implementing air purification, fine dust removal, and directional effects through a vertical garden in which plants are planted has not been disclos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85830 relates to a rotational plant cultivation system, which reduces facility installation costs and production costs, and increases cultivation output per unit area with a rotational plant cultivation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self-generation. It is difficult to manage for continuous plant growth, washing or fine dust removal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the purpose, and due to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Korea, which has four distinct seasons, there is a limitation that plants cannot be continuously exposed outdoors and the implementation of advertising effects is limited. there is
  • Patent Document 000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8125
  • Patent Document 0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6213
  • Patent Document 0003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99526
  • Patent Document 0004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85830
  • Patent Document 0005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3268229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lant plants having air purification and / or direction functions by itself, and install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ir purification, fine dust reduction, direction, sterilization, and continuous plant growth of pla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ical garden that purifies fine dust and provides fragrance using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that can improv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esthetic and advertising effects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100 in which a chamber frame 120 including a planting chamber 110 for planting plants rotates;
  • the second frame 200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210 that supplies water to the plants according to the rotation conditions of the first frame combined with the first frame and a fine dust removal unit 220 that removes fine dust.
  • a third frame 300 including an air purifying unit 310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 a fourth frame 400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410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420 combined with the first to third frames.
  • a chamber fram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vertically reduced inside the first frame; and a rotating shaft 130 perpendicularly penetrating the central axis of the chamber frame and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 the fine dust removal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2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to spray mist for removing fine dust attached to the plant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222 formed in the second frame to spray mist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ing chamber.
  • One end of the third fram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rame and includes an inlet 320 through which the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is removed is introduced.
  • a second outlet 330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and the air purifying unit includes a UV-B light source 311 and a photocatalyst filter 312 for purifying the air. ,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carbon filter 313 and a HEPA filter 314.
  • the fourth frame may include a pump 4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 remote management with IoT technology is possible,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lant maintenance and air quality by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 FIG. 1 shows a preview view in which a bench is combined with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a top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chamber and a rotating chamber fram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actual implementation diagram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shows a preview view in which a bench is combined with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100 in which a chamber frame 120 including a planting chamber 110 for planting plants rotates;
  • the second frame 200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210 that supplies water to the plants according to the rotation conditions of the first frame combined with the first frame and a fine dust removal unit 220 that removes fine dust.
  • a third frame 300 including an air purifying unit 310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 a fourth frame 400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410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420 combined with the first to third frames.
  • a chamber fram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vertically reduced inside the first frame; and a rotating shaft 130 perpendicularly penetrating the central axis of the chamber frame and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 the cross section of the chamber frame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quadrangular, pentagonal or hexagonal shape. It may preferably have a triangular or quadrangular shape.
  • the planting chamb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iangle, and promotional materials such as advertisements may be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 promotional materials such as advertisements can be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side on which the planting chamber is formed, and the other two sides are rotated to the second frame through rotation. It can act as a surplus side.
  • FIGS. 2 and 5 An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FIGS. 2 and 5 .
  • a driving motor 14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chamber fram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may be included.
  • the fine dust removal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2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to spray mist for removing fine dust attached to the plant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222 formed in the second frame to spray mist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ing chamber.
  • the injection means for injecting any one or more of water and plant nutrients through the first nozzle and / or the second nozzle may be injected in a droplet state of 0.1 mm to 2 mm or less.
  • a first fan 240 for forming a flow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frame.
  • a first filter 250 for collecting fine dust removed from the plant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frame.
  • the first outlet, the first fan, and the first filter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locations, such as an upper end, a lower end,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 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or a first vertical pipe 260 formed with the first nozzle may be formed.
  • a first guide 270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outlet.
  • One end of the third fram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rame and includes an inlet 320 through which the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is removed is introduced.
  • Figure 3 shows a top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actual implementation diagram of a vertical garden that provides fragrance and purifies fine dust using a rotation technology that maintains continuous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 outlet 330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and the air purifying unit includes a UV-B light source 311 and a photocatalyst filter 312 for purifying the air. ,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carbon filter 313 and a HEPA filter 314.
  • the physical filter un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pre-filter 310, a catalyst filter 320, and a HEPA filter 330.
  • the UV sterilization unit may include a filter coated with at least one of TiO 2 and silver ions, and a UV lamp emitting at least one wavelength of UV-A for activating a photocatalyst and UV-C for sterilization. .
  • the physical filter unit may include any one of a pre-filter, which is a silver ion-impregnated filter impregnated with 1% to 30% silver ions, and a catalyst filter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 silver ions,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 a pre-filter which is a silver ion-impregnated filter impregnated with 1% to 30% silver ions
  • a catalyst filter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 silver ions,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 the UV sterilization unit may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made of silver nano mesh and honeycomb.
  • An air freshener unit 350 for giving fragrance to air discharged from the third frame through the second outlet may be further included inside the third frame.
  • the plant may be a fragrant plant.
  • a second fan 340 for forming a flow may be formed inside the third frame.
  • a second guide 360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outlet.
  • the chamber frame is a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rotating inside the second frame to remove fine dust attached to the plant and rotating to place the plant outside to treat carbon dioxide in the air through the plant ( 500) may be included.
  • the vertical garden may include an air quality measuring sensor in the device, or may be operated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air quality measuring sensor not installed in the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fine dust.
  • the vertical garde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display unit capable of confirming an operation state.
  • the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rtical garden, and control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enable control of the device by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 unit.
  • the fourth frame may include a pump 4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공기정화 및/또는 방향 기능을 갖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식물의 공기정화, 미세먼지저감, 방향, 살균 및 지속적인 식물 생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향상, 심미적 및 광고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본 발명은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체적으로 공기정화 및/또는 방향 기능을 갖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식물의 공기정화, 미세먼지저감, 방향, 살균 및 지속적인 식물 생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향상, 심미적 및 광고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고층건물 등에는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공조시스템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건물 바깥으로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공항터미널, 대합실 및 대형건물 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PM10, CO2, HCHO, 총부유세균, CO, NO2, VOCs 및 오존 등을 먼지 제거용 필터, 오존발생기, 접촉면적증대촉매 및 오존분해촉매를 내장한 필터를 이용하여 지하공기 중의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세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해 제거하여 지하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주로 오존발생기로 오존을 발생시켜 분해 제거하기 때문에 오존의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상기의 가스 및 세균을 분해하기 위하여 사용한 오존이 다량 잔존함으로 인체 유해한 오존에 의한 이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기술로는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공항터미널, 대합실 및 대형건물 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 다양한 종류의 인체 유해한 가스 및 세균을 분해 및 여과 처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지하 및 실내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및 세균을 장치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팬과, 상기 흡입 팬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필터와, 상기 흡입 팬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인체 유해한 가스들을 오존과 접촉 반응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장치 내부로 분사시켜 주입하는 수단과, 상기 주입된 오존과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인체 유해한 가스들과 최대한 많은 접촉을 유도하고 접촉시간을 늘여 신속한 분해를 유도하는 접촉면적증대촉매를 내장한 필터와, 상기 접촉면적증대촉매를 내장한 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존을 분해 제거하기 위한 오존분해촉매를 내장한 필터와, 지하 및 실내공기를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정화하기 위하여 시설물 내에 설치된 공조시스템과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연동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지하 및 실내수직정원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98125호에서는 자체적으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식물의 정화효과와 별개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더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물수직 정원이 개시되어 있으나. 지속적인 식물의 생장, 세척 또는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관리가 어려우며,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기후특성상 실외에서 식물을 지속적으로 노출할 수 없는 한계 및 광고효과 구현의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6213호에서는 적어도 원하는 장소로 주행이 가능하고, 설정 크기의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다층으로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로 양액을 공급하는 수경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은폐되게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절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수경유닛에 각각 장착되고, 식물의 인공적인 광합성작용과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의 이물질을 탈리시켜 막힘을 차단하는 보조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시켜 인지능력을 강화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실내용 수경재배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실내에서만 수경재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지속적인 식물의 생장, 세척 또는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관리가 어려우며,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기후특성상 실외에서 식물을 지속적으로 노출할 수 없는 한계 및 광고효과 구현의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9526호에서는 삼각기둥 회전 광고 장치는 광고물이 인쇄된 삼각기둥을 복수로 광고틀에 배열 설치하여 회전에 의해 삼각형의 각 면에 인쇄된 광고물이 전환되면서 게재되어 광고를 실시하는 삼각기둥 회전 광고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식물이 식재된 수직정원을 통한 공기정화, 미세먼지 제거 및 방향효과를 구현한 구성은 개시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5830호에서는 회전식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설비 설치 비용 및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고, 자체 발전을 통해 소요되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회전식 식물 재배 시스템으로 단위면적당 재배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구성으로 본원 발명의 지속적인 식물의 생장, 세척 또는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관리가 어려우며,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기후특성상 실외에서 식물을 지속적으로 노출할 수 없는 한계 및 광고효과 구현의 한계가 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268229호에서는 배기풍이 유입하는 유입구 및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 내에 배설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한 배기풍을 보내면서 이 배기풍 중 유지를 포착해 분리 제거하고 이 유지의 분리 제거된 배기풍을 상기 배기구에서 유출시키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와 이 필터 중 적어도 일부를 세정액으로 세척하는 세정 수단과 상기 필터를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단의 세정액에 의한 상기 필터 세척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배기 정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식물이 식재된 수직정원을 통한 공기정화, 미세먼지 제거 및 방향효과를 구현한 구성은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수직정원 형태의 식물 식재형 수직정원이 다수 공지 되어있으나, 단순히 수직정원형태로 식물의 정화 기능을 겸비한 기술구성으로, 본원 발명의 지속적인 식물의 생장, 세척 또는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Trivision을 적용한 회전기술을 적용하여 한국의 4계절이 뚜렷한 계절적 특성에서도 실외에서 식물을 지속적으로 공개하여 공기정화, 미세먼지제거, 방향, 광고 및 심미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수직정원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98125호
(특허문헌 00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6213호
(특허문헌 00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9526호
(특허문헌 00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5830호
(특허문헌 0005)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268229호
본 발명은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공기정화 및/또는 방향 기능을 갖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식물의 공기정화, 미세먼지저감, 방향, 살균 및 지속적인 식물 생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향상, 심미적 및 광고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팅챔버(110)를 포함하는 챔버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조건에 따라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210)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220)을 포함한 제2프레임(200);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된 공기정화유닛(310)을 포함하는 제3프레임(300); 및 상기 제1프레임 내지 제3프레임과 결합된 전력공급유닛(410) 및 공기조화유닛(420)을 포함하는 제4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수직정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으로 축설된 단면이 다각형인 챔버프레임; 및 상기 챔버프레임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어 형성된 회전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1노즐(221)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 및 상기 제2프레임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팅챔버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2노즐(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연통되어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UV-B광원(311), 광촉매필터(312), 카본필터(313) 및 헤파필터(3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프레임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회전하여 외부로 식물을 위치하여 식물을 통한 공기중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프레임에는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프레임의 다면 중 일면에 식물이 식재되며 타면에는 광고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이용시설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IoT기술이 적용된 원격관리가 가능하여 온도, 습도 광도 측정으로 식물의 유지관리 및 공기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공간을 통한 식물 향기 포집 및 지정 시간 향기 분사의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 식물을 적용하여 향기, 집중력 향상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정원 회전시 차폐공간이 형성되므로 사계절 식물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를 통한 구매단가, 유지관리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공기정화 뿐 아니라 공기의 살균을 통해 공기중에 퍼져있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벤치가 결합된 시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식물이 식재되는 플랜팅챔버 및 회전하는 챔버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실제 구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벤치가 결합된 시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팅챔버(110)를 포함하는 챔버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조건에 따라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210)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220)을 포함한 제2프레임(200);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된 공기정화유닛(310)을 포함하는 제3프레임(300); 및 상기 제1프레임 내지 제3프레임과 결합된 전력공급유닛(410) 및 공기조화유닛(420)을 포함하는 제4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수직정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으로 축설된 단면이 다각형인 챔버프레임; 및 상기 챔버프레임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어 형성된 회전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프레임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단면이 삼각형일 때는 상기 플랜팅챔버가 삼각형 중 한면에 형성되며 나머지 2면이 광고 등의 홍보물이 형성될 수 있다. 단면이 사각형일 때는 플랜팅챔버가 사각형 중 한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팅챔버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는 면에 광고 등의 홍보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두면은 회전을 통한 상기 제2프레임으로 회전하기 위한 잉여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단면 구성의 실시예는 도2 및 도5를 통해 구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챔버프레임의 단면은 다각형이면서 상기 플랜팅챔버와 상기 광고등의 홍보물을 구현하면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제2프레임 내부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면 그 단면형상이 제한되지 않음을 자명하다.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챔버프레임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1노즐(221)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 및 상기 제2프레임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팅챔버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2노즐(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즐 및/또는 제2노즐을 통해 물 및 식물영양제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은 0.1mm 내지 2mm 이하의 액적상태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식물에서 제거된 미세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는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1팬(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식물에서 제거된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제1필터(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구, 제1팬, 제1필터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 하단, 측면 등에 1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2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1노즐이 형성된 제1수직관(2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구의 후단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1가이드(2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연통되어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일 실시예로 식물이 식재되는 플랜팅챔버 및 회전하는 챔버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의 실제 구현도이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UV-B광원(311), 광촉매필터(312), 카본필터(313) 및 헤파필터(3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필터부는 프리필터(310), 촉매필터(320) 및 헤파필터(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살균부는 TiO2 및 은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코팅되는 필터와 광촉매를 활성화하는 UV-A 및 살균을 수행하는 UV-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을 방사하는 UV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필터부는 은이온이 1% 내지 30% 첨착된 은이온첨착필터인 프리필터 및 상기 은이온,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촉매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살균부는 은나노메쉬 및 허니컴형태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3프레임에서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내기위한 방향제유닛(3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에 향기를 내기 위하여 상기 식물은 향기식물일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의 내부에는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2팬(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구의 후단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가이드(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프레임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회전하여 외부로 식물을 위치하여 식물을 통한 공기중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정원은 공기질 측정센서를 장치내에 포함하거나,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공기질측정센서와의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한 연동을 통해 운전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측정센서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정원은 장치의 운전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케이스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직정원의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제어 버튼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프레임에는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프레임의 다면 중 일면에 식물이 식재되며 타면에는 광고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식물을 통한 공기정화 및/또는 광고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식물을 지속적인 생장을 관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제1프레임
110: 플랜팅챔버
120: 챔버프레임
130: 회전축
140: 구동모터
150: 광고면
200: 제2프레임
210: 수분공급유닛
220: 미세먼지제거유닛
221: 제1노즐
230: 제1배출구
240: 제1팬
250: 제1필터
260: 제1수직관
270: 제1가이드
300: 제3프레임
310: 공기정화유닛
311: UV-B광원
312: 광촉매필터
313: 카본필터
314: 헤파필터
320: 유입구
330: 제2배출구
340: 제2팬
350: 방향제유닛
360: 제2가이드
400: 제4프레임
410: 전력공급유닛
420: 공기조화유닛
430: 펌프

Claims (8)

  1.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팅챔버(110)를 포함하는 챔버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조건에 따라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210)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220)을 포함한 제2프레임(200);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된 공기정화유닛(310)을 포함하는 제3프레임(300); 및
    상기 제1프레임 내지 제3프레임과 결합된 전력공급유닛(410) 및 공기조화유닛(420)을 포함하는 제4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수직정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으로 축설된 단면이 다각형인 챔버프레임; 및 상기 챔버프레임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어 형성된 회전축(130);을 포함하는 수직정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1노즐(221)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 및
    상기 제2프레임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팅챔버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를 분사하는 제2노즐(222)를 포함하는 수직정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연통되어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0);를 포함하는 수직정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UV-B광원(311), 광촉매필터(312), 카본필터(313) 및 헤파필터(3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직정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프레임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식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회전하여 외부로 식물을 위치하여 식물을 통한 공기중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유닛(500)을 포함하는 식물정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프레임에는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430)을 포함하는 식물정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프레임의 다면 중 일면에 식물이 식재되며 타면에는 광고면(150)가 구현되는 식물정원.
PCT/KR2022/006596 2021-06-30 2022-05-09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WO20232773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76A KR102492431B1 (ko) 2021-06-30 2021-06-30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10-2021-0085676 2021-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334A1 true WO2023277334A1 (ko) 2023-01-05

Family

ID=8469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596 WO2023277334A1 (ko) 2021-06-30 2022-05-09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2431B1 (ko)
WO (1) WO202327733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743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60148170A (ko) * 2015-06-16 2016-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20180007503A (ko) * 2016-07-13 2018-01-23 플러스파운틴(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102069737B1 (ko)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KR102114591B1 (ko)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229B2 (ja) 1996-06-01 2002-03-25 株式会社トーテクジャパン 排気浄化装置
KR101699526B1 (ko) 2016-04-05 2017-02-13 김성근 삼각기둥 회전 광고 장치
KR102185830B1 (ko) 2018-11-30 2021-01-27 주식회사 이너그린 회전식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299188B1 (ko) 2019-11-28 2021-09-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갑부가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KR102198125B1 (ko) 2020-09-07 2021-01-04 주식회사엠오그린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바이오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743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60148170A (ko) * 2015-06-16 2016-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20180007503A (ko) * 2016-07-13 2018-01-23 플러스파운틴(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102069737B1 (ko)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KR102114591B1 (ko)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431B1 (ko) 2023-01-30
KR20230003971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729B2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WO2016200047A1 (ko)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WO2018169254A1 (ko) 식물재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020073330A (ko) 건물 또는 폐쇄 공간 내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및 장치
WO2022119213A1 (ko) 방역형 공기정화기
KR102272253B1 (ko)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WO2015053433A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 및 냉방시스템, 플랙시블 튜브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WO2023277334A1 (ko)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CN104613551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0821511B1 (ko) 다기능 출입구용 신발털이장치
CN108534281A (zh) 一种免日常维护绿窗供水通风系统及方法
CN208108394U (zh) 一种免日常维护绿窗供水通风系统
WO2022131456A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ITTO20070696A1 (it) Dispositivo per pulire l aria di citta
CN217817304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装置
WO2023121366A1 (ko)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CN1566817A (zh) 一种改善室内居住生态环境的方法
KR10202983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공조유닛
CN2621050Y (zh) 空气杀菌净化器
CN2623228Y (zh) 净化消毒装置
CN103912920B (zh) 室外空气净化装置
CN209672534U (zh) 一种新风系统
CN207279852U (zh) 一种环境净化杀菌装置
KR102634256B1 (ko) 폭포수 방식을 적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CN2654125Y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333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