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253B1 -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 Google Patents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253B1
KR102272253B1 KR1020200110120A KR20200110120A KR102272253B1 KR 102272253 B1 KR102272253 B1 KR 102272253B1 KR 1020200110120 A KR1020200110120 A KR 1020200110120A KR 20200110120 A KR20200110120 A KR 20200110120A KR 102272253 B1 KR102272253 B1 KR 10227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damper
filter uni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20011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 또는 살균하여 공급하는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통기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을 정화 또는 살균하는 필터부,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 또는 실내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다중경로부, 및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다중경로부를 지나 실내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부로 구성되어, 몸체부를 실내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하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가 양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환자나 거주자에게 정화되고 살균된 공기를 제공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An Air Sterilizer}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 또는 살균하여 공급하는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통기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을 정화 또는 살균하는 필터부,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 또는 실내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다중경로부, 및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다중경로부를 지나 실내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부로 구성되어, 몸체부를 실내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하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가 양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환자나 거주자에게 정화되고 살균된 공기를 제공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은 크게 실외 오염원과 실내 오염원으로 나눌 수 있다. 실외 오염원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실외 공기에 포함되는 각종 미세먼지, 분진, 대기 오염물질, 건강에 치면적인 바이러스 등이 있으며, 실내 오염원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악취, 세균, 새집 증후군과 같이 내장재나 옷 등으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해물질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오염원에 의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환기를 통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미세 먼지 증가, 대기 오염, 냉방, 난방 등의 이유로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실내를 밀폐하는 생활이 잦아지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가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공기오염이 점차 심화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 정화기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기라 함은 공기가 공기 투과성이 좋은 부직포나 섬유로 이루어진 필터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거르는 형태가 대부분이며, 또 다른 형태로는 대부분의 분진이 전하를 띠는 점을 이용하여 전기를 이용한 흡착에 의하여 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내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기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의 섬유 조밀도에 따라 먼지를 거르는 성능이 달라지기는 하나, 아무리 섬유의 조직이 조밀하다 하더라도 인체에 치명적인 미세 먼지나 바이러스의 출입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기 정화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필터의 오염이 발생하면, 그 이후로는 공기 정화기로서의 정화능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염원의 역할을 하는 역기능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환자가 있는 병실은 미세먼지는 물론 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병실 내외로 출입하는 것을 공기 정화기로 차단하여 정화 및 살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KR 20-0365706 (등록번호) 2004.10.13. KR 20-0309268 (등록번호) 2003.03.19. KR 10-0786977 (등록번호) 2007.12.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부를 실내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하고 실내공기를 필터부를 통해 정화하여 다중경로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실내가 음압과 외부공기를 필터부를 통해 정화하여 다중경로부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가 양압이 하나의 장치에서 형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부를 실내공기나 외부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노즐을 통해 살균제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실내로의 유입이나 외부로의 배출을 차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팬의 구동으로 양압과 음압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정화를 위한 요구 공간이 작아지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나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며 한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 또는 외부로 유동되도록 절환되는 다중경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공간부(111a)와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면공간부(111b)가 서로 연통되면서 상기 다중경로부(140)를 통해 정화된 외기를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유입 가이드하고 상기 상면공간부(111b)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내기유동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의 상부면과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바닥면 사이에는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기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120)는 그 상부에 외벽면부의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뎀퍼(D1)와, 그 하부에 상기 다중경로부(140)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3뎀퍼(D3)를 구비된 제2통로(14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며, 상기 다중경로부(140)는 상기 팬(13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로(141)와, 상기 다중경로부(140)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를 구비된 제3통로(143)가 구비되되, 상기 제3통로(143)는 상기 제1통로(141)를 중심으로 제2통로(142)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팬(130)을 통하여 제1통로(141)로 유입된 공기는 제3뎀퍼(D3)와 제4뎀퍼(D4)의 개폐에 의하여 실내와 외부로의 이동이 결정되며; 실내공기(RA)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모드와,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실외공기(OA)를 공급하여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용되되, 제3뎀퍼(D3)를 통하여 실외로 공기가 배출될때에 음압모드가 되고, 제4뎀퍼(D4)를 통하여 실내로 공기가 배출될때에 양압모드가 되고; 상기 팬(130)에 의하여 양압모드와 음압모드의 공기 이동력을 제공하며, 음압모드와 양압모드시에 공기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되, 상기 제1뎀퍼(D1) 또는 제2뎀퍼(D2)로 유입된 공기는 이동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필터부(120)의 측면에는 살균제를 노즐을 통해 상기 필터부(120)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약품분사부(150)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동되면서 실내로 토출 공급되도록 다수의 타공(113) 또는 공기공급구(114)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필터부(120)는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또는 헤파필터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메인필터부(121)와 상기 메인필터부(121)에 연이어 광촉매 도포, 자외선 살균, 플라즈마, 약품 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살균필터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10)의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에는 외벽면부의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뎀퍼(D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며, 상기 다중경로부(140)는 상기 팬(13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로(141)와, 상기 제1통로(141)의 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통로(142), 및 상기 제1통로(141)의 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통로(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로(142)에는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3뎀퍼(D3)가 구비되며, 상기 제3통로(143)에는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음압모드는, 상기 팬(130)과 상기 제2,3뎀퍼(D2,D3)는 ON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내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2통로(142)로 유동되어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압모드는. 상기 팬(130)은 ON되고, 상기 제2,3뎀퍼(D2,D3)는 OFF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N되면서, 외부공기(OA)가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외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3통로(143)로 유동되어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의 상기 측면공간부(111a)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들어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중경로부(140)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보조팬(160)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에는 실내로 연장된 공기유동관(170)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동관(170)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기출입공(17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는 몸체부를 실내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하고 실내공기를 필터부를 통해 정화하여 다중경로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실내가 음압과 외부공기를 필터부를 통해 정화하여 다중경로부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가 양압이 하나의 장치에서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를 실내공기나 외부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노즐을 통해 살균제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실내로의 유입이나 외부로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팬의 구동으로 양압과 음압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정화를 위한 요구 공간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의 요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를 통해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배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를 통해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 유입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가 커튼으로 분할된 분할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커튼 하단부를 통해 실내로 분출 공급되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가 실내 천장매립덕트형, 실내천장매립카세트형, 실내벽부착형으로 각각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10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면과 좌우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나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며 한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 또는 외부로 유동되도록 절환되는 다중경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공간부(111a)와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면공간부(111b)가 서로 연통되면서 상기 다중경로부(140)를 통해 정화된 외기를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유입 가이드하고 상기 상면공간부(111b)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내기유동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의 상부면과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바닥면 사이에는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기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의 측면에는 살균제를 노즐(미도시)을 통해 상기 필터부(120)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약품분사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100)는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외기를 정화 살균하면서 공급하여 실내가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陽壓)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실내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병실에 입원하는 환자 등의 건강과 회복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는 밀폐된 실내공간의 내부공기를 정화 살균하면서 배출하여 실내가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陰壓)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부터 외부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배출을 차단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병실에 입원하는 환자 등의 건강과 회복에 기여하는 동시에 외부로 세균 등이 퍼지는 것을 막아 건강한 주변 환경을 구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살균기는 주로 병실이나 요양보호실과 같이 병약자가 머무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사용하면서 실내공간을 외부와 밀폐 차단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기구이다.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에는 외부와 접하는 외벽면부의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뎀퍼(D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뎀퍼(D1)가 개방되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뎀퍼는 한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체크밸브 등 역류방지장치로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팬(130)으로 양압모드와 음압모드시에 공기에 이동력을 제공하며, 양압모드와 음압모드시에 동일한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팬은 한 방향으로만 공기를 이동시키면서 양압모드와 음압모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뎀퍼(D2)가 개방되면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중경로부(140)는 상기 팬(13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동되는 제1통로(141)와, 상기 제1통로(141)의 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통로(142), 및 상기 제1통로(141)의 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통로(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로(142)에는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3뎀퍼(D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통로(143)에는 상기 제1통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경로부(140)는 직접적으로 3방향밸브를 포함할뿐 아니라, 서로 다른 뎀퍼를 제1통로(141), 제2통로(142), 및 제3통로(143)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상기 제3뎀퍼(D3)가 개방되면 상기 팬(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통로(142)를 통해 외부로 가이드되어 배출된다. 상기 제2통로(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정화 살균 처리된 것으로 외부에 깨끗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어 외부 공기를 오염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음압모드와 실내로 공기가 제공되는 양압모드시에 동일한 필터부(120)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4뎀퍼(D4)와 제2뎀퍼(D2) 사이에는 긴 공기유동공간부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제4뎀퍼(D4)가 개방되면 상기 팬(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3통로(143)를 통해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면서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이동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동되면서 실내로 토출 공급되도록 다수의 타공(113) 또는 공기공급구(11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타공(113) 또는 상기 공기공급구(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상부면에는 상기 타공(113) 또는 상기 공기공급구(114)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다중경로부(140)에는 상기 팬(130)이 고장난 경우 대체할 수 있는 보조팬(16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살균기가 병실 등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팬(130)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병실에 입원한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하는 상기 보조팬(160)이 설치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팬(160)은 상기 팬(1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통로(141)에 연통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보조팬(16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통로(141)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2통로(142) 또는 상기 제3통로(143)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보조팬(160)이 설치될 경우, 팬(130)과 보조팬(160)의 구동시 다른 팬으로의 공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제5뎀퍼(D5)와 제6뎀퍼(D6)를 더 구비한다. 제5뎀퍼(D5)는 팬(130)과 연결된 다중경로부(140)에, 제6뎀퍼(D6)는 보조팬(160)과 연결된 다중경로부(140)에 각각 설치되어 팬(130)이 구동할 경우 이동되는 공기가 보조팬(16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팬(160)이 구동할 경우 이동되는 공기가 팬(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부(120)는 공기중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걸러 주는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헤파필터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다층으로 구비되는 메인필터부(121)와 상기 메인필터부(121)와 일정 간격 하부측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도록 광촉매 도포, 자외선 살균, 플라즈마, 약품 분사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살균필터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필터부(122)는 상기 메인필터부(121)의 하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지 않고 연이어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약품분사부(150)는 살균 약품이 분사되는 노즐(151)을 상기 메인필터부(121)와 상기 살균필터부(122) 상부에 각각 연결하여 이들 모두에 약품이 분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필터부(122)만 약품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약품은 팬(130) 또는 보조팬(160)의 구동으로 필터부 속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51)은 상기 메인필터부(121) 또는 상기 살균필터부(122) 상부로 설치하며, 약품분사부(150)는 몸체부(1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설치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약품이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부를 커튼(C)을 설치하여 다수의 밀폐룸(R)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밀폐룸(R)에 공기살균기(100)를 설치하여 운용될 수가 있다.
밀폐룸(R)을 구획하는 상기 커튼(C)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와 연통되는 덕트인 공기유동관(170)이 실내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관(170)은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공급구(114)와 연통되어 정화된 외부 공기를 받아들이며, 정화된 외부 공기를 실내의 여러 공간으로 배출한다. 상기 공기유동관(170)은 그 상부측에 일정간격으로 공기가 상기 커튼(C)의 벽면부를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출입공(171)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유동관(170)을 환자 주변을 둘러쌓도록 설치하면 에어 커튼의 역할을 하여 환자 주변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상면공간부(111b)에 타공(1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야 공기 배출을 공기유동관(170) 전체에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130)이 구동되면서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와 상기 필터부(120), 상기 다중경로부(140), 상기 제4뎀퍼(D4), 및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공기유동관(170)으로 공급되면서 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출입공(171)을 통해 정화 살균된 외기가 상기 커튼(C)의 벽면을 향해 분출 밀폐룸(R)으로 공급된다. 또한 밀폐룸(R)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팬(130)이 구동되면서 상기 공기출입공(171)을 통해 밀폐룸(R)의 오염된 공기(내기)가 상기 공기유동관(170)으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로 들어가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와 상기 필터부(120), 상기 다중경로부(140), 및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정화 살균된 내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공기살균기에 구비되는 상기 팬(130)과 상기 보조팬(160)은 급기 배기 겸용팬으로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기는 실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 운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가 실내 천장매립덕트형, 실내천장매립카세트형, 실내벽부착형으로 각각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가 실내 천장매립덕트형으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110)가 실내의 천장에 매립 설치되어 천장에 구비되는 덕트(200)에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가 연통되는 구성으로 상기 덕트(200)에는 다수의 실내공간으로 분지되어 공기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분지관(21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뎀퍼(D1)와 상기 제3뎀퍼(D3)에는 각각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관(220)과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배출관(230)이 연통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로 외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130)의 구동으로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관(220)을 통해 상기 제1뎀퍼(D1)를 거쳐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에서 정화 및 살균된 후 상기 제3통로(143) 및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덕트(200)로 공급되면서 이에 구비된 상기 분지관(210)을 통해 해당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130)의 구동으로 내기가 상기 분지관(210)관을 통해 상기 덕트(200)로 유입된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에서 정화 및 살균된 후 상기 제2통로(142) 및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또한 도 7(b)에는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가 실내천장매립카세트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7(c)에는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가 실내벽부착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는 실내공기(내기,RA)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모드와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실외공기(외기,OA)를 공급하여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이러한 양압모드와 음압모드의 동작은 실내의 공기질을 센싱하는 센서를 통하여 자동으로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모드별 실내외 공기의 흐름도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압모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낮도록 하여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팬(130)은 ON되고, 상기 제2,3뎀퍼(D2,D3)는 ON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내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2통로(142)로 유동되어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외부로 배출(EA)되면서 음압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양압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다소 높도록 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실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팬(130)은 ON되고, 상기 제2,3뎀퍼(D2,D3)는 OFF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N되면서,
외부공기(OA)가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외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3통로(143)로 유동되어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의 상기 측면공간부(111a)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들어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실내로 공급(SA)되면서 양압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는 실내를 음압으로 형성하여 미세먼지는 물론 내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외부로 배출하여 퍼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 실내를 양압으로 형성하여 외부에 유포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는 외부 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통기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을 정화 또는 살균하는 필터부,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 또는 실내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다중경로부, 및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다중경로부를 지나 실내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부로 구성되어, 몸체부를 실내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하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가 양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실내의 환자나 거주자에게 정화되고 살균된 공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100: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110:몸체부
111:내기유동공간부 111a:측면공간부 111b:상면공간부
112:공기유입공간부 113:타공 114:공기공급구
120:필터부 121:메인필터부 122:살균필터부
130:팬
140:다중경로부
141:제1통로 142:제2통로 143:제3통로
150:약품분사부 151:노즐
160:보조팬 170:공기유동관 171:공기출입공
D1:제1뎀퍼 D2:제1뎀퍼 D3:제3뎀퍼 D4:제4뎀퍼
D5:제5뎀퍼 D6:제6뎀퍼
C:커튼 R:밀폐룸
200:덕트 210:분지관 220:외기유입관 230:내기배출관

Claims (9)

  1. 내부가 중공인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나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며 한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 또는 외부로 유동되도록 절환되는 다중경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공간부(111a)와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면공간부(111b)가 서로 연통되면서 상기 다중경로부(140)를 통해 정화된 외기를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유입 가이드하고 상기 상면공간부(111b)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내기유동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의 상부면과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바닥면 사이에는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기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120)는 그 상부에 외벽면부의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뎀퍼(D1)와, 그 하부에 상기 다중경로부(140)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3뎀퍼(D3)를 구비된 제2통로(14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며,
    상기 다중경로부(140)는 상기 팬(13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로(141)와, 상기 다중경로부(140)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를 구비된 제3통로(143)가 구비되되, 상기 제3통로(143)는 상기 제1통로(141)를 중심으로 제2통로(142)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팬(130)을 통하여 제1통로(141)로 유입된 공기는 제3뎀퍼(D3)와 제4뎀퍼(D4)의 개폐에 의하여 실내와 외부로의 이동이 결정되며;
    실내공기(RA)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모드와,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실외공기(OA)를 공급하여 밀폐된 실내공간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용되되, 제3뎀퍼(D3)를 통하여 실외로 공기가 배출될때에 음압모드가 되고, 제4뎀퍼(D4)를 통하여 실내로 공기가 배출될때에 양압모드가 되고;
    상기 팬(130)에 의하여 양압모드와 음압모드의 공기 이동력을 제공하며, 음압모드와 양압모드시에 공기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되, 상기 제1뎀퍼(D1) 또는 제2뎀퍼(D2)로 유입된 공기는 이동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0)의 측면에는 살균제를 노즐을 통해 상기 필터부(120)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약품분사부(150)가 설치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공간부(111b)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공간부(111a)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동되면서 실내로 토출 공급되도록 다수의 타공(113) 또는 공기공급구(114)가 더 구비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0)는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또는 헤파필터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메인필터부(121)와 상기 메인필터부(121)에 연이어 광촉매 도포, 자외선 살균, 플라즈마, 약품 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살균필터부(122)로 구성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모드는, 상기 팬(130)과 상기 제2,3뎀퍼(D2,D3)는 ON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내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2통로(142)로 유동되어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7. 제3항에 있어서,
    양압모드는. 상기 팬(130)은 ON되고, 상기 제2,3뎀퍼(D2,D3)는 OFF되며, 상기 제1,4뎀퍼(D1,D4)는 ON되면서,
    외부공기(OA)가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부(112)로 들어가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외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 살균하고 상기 제1통로(141)와 상기 제3통로(143)로 유동되어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의 상기 측면공간부(111a)와 상기 상면공간부(111b)로 들어가 상기 타공(113)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경로부(140)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보조팬(160)이 더 구비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동공간부(111)에는 실내로 연장된 공기유동관(170)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동관(170)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기출입공(171)이 형성되는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KR1020200110120A 2020-08-31 2020-08-31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KR10227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20A KR102272253B1 (ko) 2020-08-31 2020-08-31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20A KR102272253B1 (ko) 2020-08-31 2020-08-31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253B1 true KR102272253B1 (ko) 2021-07-02

Family

ID=7689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20A KR102272253B1 (ko) 2020-08-31 2020-08-31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788A (zh) * 2022-05-05 2022-06-03 迈迪威(深圳)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通道的空气灭菌幕帘
CN116182308A (zh) * 2023-02-15 2023-05-30 甘肃宏天亚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消杀功能的空气净化装置及反馈方法
KR20230131423A (ko) * 2022-03-04 2023-09-13 주식회사 웃샘 청정과 음압기능을 갖는 주거용 환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68Y1 (ko) 2002-12-06 2003-03-31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KR200365706Y1 (ko) 2004-08-10 2004-10-25 신석균 선풍 겸 물선풍 공기정화기
KR100786977B1 (ko) 2006-01-14 2007-12-17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1693494B1 (ko) * 2015-07-20 2017-01-06 주식회사 웃샘 이동형 음압기
KR101921206B1 (ko) * 2018-06-18 2019-02-13 최성철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KR20200044741A (ko) * 2020-04-09 2020-04-29 정봉영 다기능 공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68Y1 (ko) 2002-12-06 2003-03-31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KR200365706Y1 (ko) 2004-08-10 2004-10-25 신석균 선풍 겸 물선풍 공기정화기
KR100786977B1 (ko) 2006-01-14 2007-12-17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1693494B1 (ko) * 2015-07-20 2017-01-06 주식회사 웃샘 이동형 음압기
KR101921206B1 (ko) * 2018-06-18 2019-02-13 최성철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KR20200044741A (ko) * 2020-04-09 2020-04-29 정봉영 다기능 공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423A (ko) * 2022-03-04 2023-09-13 주식회사 웃샘 청정과 음압기능을 갖는 주거용 환기장치
KR102658840B1 (ko) 2022-03-04 2024-04-19 주식회사 웃샘 청정과 음압기능을 갖는 주거용 환기장치
CN114576788A (zh) * 2022-05-05 2022-06-03 迈迪威(深圳)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通道的空气灭菌幕帘
CN116182308A (zh) * 2023-02-15 2023-05-30 甘肃宏天亚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消杀功能的空气净化装置及反馈方法
CN116182308B (zh) * 2023-02-15 2023-09-26 甘肃宏天亚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消杀功能的空气净化装置及反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53B1 (ko)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KR102151091B1 (ko)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KR20180007206A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CN210508531U (zh) 一种集装箱式负压隔离病房
KR102097554B1 (ko)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102163690B1 (ko) 공조장치부를 포함하는 밀폐부스
KR102282649B1 (ko) 음압 공조 장치
KR102159293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진 환기장치
KR102537999B1 (ko)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228079B1 (ko) 세이프티 크린룸의 배기형 모듈 구조체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US7118474B2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irflow for example in clean rooms
KR102268886B1 (ko) 기체 정화 장치
CN211876275U (zh) 一种防疫专用空气幕
KR200367963Y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KR102039116B1 (ko) 팬구동부와 열교환부가 분리된 환기장치
KR100976169B1 (ko) 공기정화 살균시스템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102369733B1 (ko) 열회수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연동 운전을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KR102235746B1 (ko)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