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649B1 - 음압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압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649B1
KR102282649B1 KR1020200189467A KR20200189467A KR102282649B1 KR 102282649 B1 KR102282649 B1 KR 102282649B1 KR 1020200189467 A KR1020200189467 A KR 1020200189467A KR 20200189467 A KR20200189467 A KR 20200189467A KR 102282649 B1 KR102282649 B1 KR 10228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air supply
negative pressure
hospit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102020018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개시되는 음압 공조 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면 측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유닛;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외기(外氣)를 유입할 수 있게 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 유닛에 의해 배기되는 내기(內氣) 및 급기 유닛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안내하되, 선택적으로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열 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 및 배기 유닛과 급기 유닛을 제어하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압 공조 장치{NEGATIVE PRESSURE 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일반 병실에 설치되어 병실 내 공기를 정화 및 환기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시 일반 병실을 신속하게 음압 병실 및 양압 병실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음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음압 격리 병실이란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함에 있어 병실 내의 기압을 대기압 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및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 시설이다.
일례로, 음압 격리 병실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HI), 신종인플루엔지, 에볼라 출열혈 등과 같은 신종 감염병의 확산 감염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통상적인 건물의 내부에 음압 격리 병실은 그 설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과 같이 감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217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45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21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9600호.
본 발명(Disclosure)은, 일반 병실에 설치되어 병실 내 공기를 정화 및 환기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시 일반 병실을 신속하게 음압 병실 및 양압 병실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음압 공조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면 측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유닛;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외기(外氣)를 유입할 수 있게 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 유닛에 의해 배기되는 내기(內氣) 및 급기 유닛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안내하되, 선택적으로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열 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 및 배기 유닛과 급기 유닛을 제어하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케이스의 내부는 수직한 제 1 및 제 2 수직격벽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챔버로 구획되고, 제 2 및 제 3 챔버는 수평한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다시 구획되되, 제 2 챔버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1 급기섹션 및 제 1 배기섹션으로 구획되고, 제 3 챔버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2 배기섹션 및 제 2 급기섹션으로 구획되며, 제 1 챔버와 마주하는 케이스의 상부 측에는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제 3 챔버의 상기 제 2 급기섹션과 마주하는 케이스의 하부 측에는 외기(外氣) 및 배기 유닛의 배기필터링부를 거친 정화된 공기를 병실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제 1 수직격벽의 하부 측에는 제 1 챔버와 제 2 챔버의 제 1 배기섹션은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현열교환기는, 제 1 배기섹션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를 제 2 배기섹션 측으로 안내하는 배기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기 배관모듈; 및 제 1 급기섹션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를 제 2 급기섹션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급기 배관모듈;을 포함하되, 배기 배관모듈들을 구성하는 배기 배관들 및 급기 배관모듈을 구성하는 급기 배관들은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배기 배관모듈들과 급기 배관모듈들은 배기 배관들을 통해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급기 배관들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外氣) 사이에 열 교환 작용이 일어나도록 서로 교번으로 밀착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배기 배관들의 내부 및 급기 배관들의 내부에는 열을 방출 및 흡열하는 방열/흡열핀들이 배기 배관 및 급기 배관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형성되되, 방열/흡열핀들은 배기 배관 및 급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배기 유닛은, 연결통로에 인접하도록 제 1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필터링부;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현열교환기의 배기 배관모듈에 인접하도록 제 1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용 댐퍼; 및 제 2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용 송풍팬;을 포함하되, 제 2 배기섹션에는 배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내기(內氣)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배기구에는 배기용 덕트가 장착되고, 배기용 덕트의 연장단은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되며, 배기필터링부는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급기 유닛은, 제 1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필터링부;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현열교환기의 급기 배관모듈에 인접하도록 제 1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용 댐퍼; 및 제 2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용 송풍팬;을 포함하되, 제 1 급기섹션에는 급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외기(外氣)가 유입되도록 급기구가 형성되며, 급기구에는 급기용 덕트가 장착되고, 급기용 덕트의 연장단은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되며, 급기필터링부는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배기필터링부의 프리필터와 급기필터링부의 프리필터는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급기 유닛은 급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해 배기필터링부를 거치게 하면서 배기필터링부를 거친 정화된 내기(內氣)를 병실로 공급되게 하는 정화용 댐퍼;를 더 포함하며, 정화용 댐퍼는 제 1 배기섹션과 제 2 급기섹션을 구획하는 제 2 수직격벽에 설치되되, 정화용 댐퍼는 배기필터링부와 배기용 댐퍼 사이 배치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급기용 송풍팬의 상부 측에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제어부는, 음압 공조 장치가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운전되도록 배기 유닛 및 급기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 병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해 이를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환기모드가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되게 하는 CO2센서; 병실 내부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해 이를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공기 청정모드가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되게 하는 미세먼지센서; 병실 내부 및 병실 외부의 기압차를 감지해 이를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병실 내 음압 및 양압이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기설정된 설정값을 유지되게 하는 차압센서;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 상태 및 CO2센서, 미세먼지센서,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병실 내부의 조건을 표시하며,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을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운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에서, 운전반은,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의 기압 차이를 표시하는 기압표시부, 운전 중인 운전모드의 풍량 세기를 표시하는 풍량표시부 및 병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표시하는 병실 환경 표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을 ON/OFF시킴과 동시에 운전상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운전전환 버튼키와,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모드를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 및 상기 공기 청정모드, 상기 환기모드, 상기 음압모드 및 상기 양압모드 운전 시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풍량 조절 버튼키가 형성된 조작영역;으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는, 일반 병실에 설치되어 병실 내 공기를 정화 및 환기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시 일반 병실을 신속하게 음압병실 및 양압병실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가 현열교환기(130)를 통해 배기 및 유입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기(內氣)의 온도와 차이가 없는 외기(外氣)가 병실 내로 유입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필터링부의 프리필터와 급기필터링부의 프리필터에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되기 때문에 배기된 내기(內氣) 및 유입되는 외기(外氣)에 포함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열교환기를 회전시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운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음압모드 운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양압모드 운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공기 청정모드 운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환기모드 운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기 유닛의 배기필터링부 및 급기 유닛의 급기필터링부의 프리필터를 살균 성능을 분석한 성적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일반 병실의 내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일반 병실 내 설치되어 평상 시 병실 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정화 및 환기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시 일반 병실 내부의 기압을 조절해 음압 병실 및 양압 병실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케이스(110), 현열교환기(130), 배기 유닛(140), 급기 유닛(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열교환기(130), 배기 유닛(140), 급기 유닛(150) 및 제어부(17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110)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케이스(110)의 전면 측은 내부에 설치되는 현열교환기(130), 배기 유닛(140), 급기 유닛(150) 및 제어부(170)의 유지보수를 위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110)의 전면 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케이스(110)의 내부는 수직한 제 1 및 제 2 수직격벽(112a, 112b)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챔버(114, 116, 118)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챔버(116, 118)는 수평한 수평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다시 구획되는데, 제 2 챔버(116)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1 급기섹션(124a) 및 제 1 배기섹션(122a)으로 구획되고, 제 3 챔버(118)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2 배기섹션(122b) 및 제 2 급기섹션(124b)으로 구획된다.
이때, 제 1 챔버(114)와 마주하는 케이스(110)의 상부 측에는 병실 내 공기(내기; 內氣)를 흡입하는 흡입구(126)가 형성되고, 제 3 챔버(118)의 제 2 급기섹션(124b)과 마주하는 케이스(110)의 하부 측에는 외부 공기(외기; 外氣) 및 정화된 공기를 병실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구(128)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토출구(128)와 대면하는 제 2 급기섹션(124b) 내부에는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광원이 설치될 수 있는데, 광촉매 필터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철망 등을 제공될 수 있으며, 광원은 제어부(170)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통상의 UV 엘이디 모듈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토출구(128)와 대면하는 제 2 급기섹션(124b) 내부에는 액상의 소독액이 내장된 탱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소독액은 탱크와 연결된 펌프 및 분사 노즐을 통해 토출구(128)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데, 펌프는 제어부(170)의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소독액은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킬 수 있는 통상의 의료용 에탄올(ethanol)일 수 있다.
또한, 제 1 수직격벽(112a)의 하부 측에는 제 1 챔버(114)와 제 2 챔버(116)의 제 1 배기섹션(122a)은 연결하는 연결통로(129)가 형성된다.
즉, 병실 내 내기(內氣)는 배기 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26)를 통해 흡입되어 제 1 챔버(114), 연결통로(129), 제 1 배기섹션(122a), 현열교환기(130) 및 제 2 배기섹션(122b)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며, 외기(外氣)는 급기 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제 1 급기섹션(124a), 현열교환기(130), 제 2 급기섹션(124b) 및 토출구(128)를 거쳐 병실 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흡입구(126)를 종래의 공조기 또는 종래 음압 장치들과 달리 케이스(110)의 상부 측에 형성하는 것은 병실 내 공기 중에 부유하여 떠다니는 바이러스, 세균 및 유해물질 등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함이다.
현열교환기(130)는 제 1 배기섹션(122a)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를 제 2 배기섹션(122b) 측으로 안내하고, 제 1 급기섹션(124a)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를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안내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되, 현열교환기(130)는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유입되는 외기(外氣) 사이에 열 교환 작용이 일어나게 한다.
이를 위해서, 현열교환기(130)는 제 1 배기섹션(122a)과 제 2 배기섹션(122b)을 연결하는 다수의 배기 배관(134)들로 이루어진 배기 배관모듈(132)들과, 제 1 급기섹션(124a)과 제 2 급기섹션(124b)을 연결하는 다수의 급기 배관(138)들로 이루어진 급기 배관모듈(136)들을 포함한다.
이때, 배기 배관모듈(132)들을 구성하는 배기 배관(13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층(layer)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마찬가지로 급기 배관모듈(136)을 구성하는 급기 배관(138)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층(layer)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 배관모듈(132)들과 급기 배관모듈(136)들은 배기 배관(134)들을 통해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급기 배관(138)들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外氣) 사이에 열 교환 작용이 일어나도록 서로 교번으로 밀착 배치되게 설치된다.
즉, 배기 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제 1 배기섹션(122a)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 배관모듈(132)들을 통해 제 2 배기섹션(122b) 측으로 배기되고, 급기 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제 1 급기섹션(124a)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는 급기 배관모듈(136)들을 통해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내기(內氣)와 외기(外氣)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기 및 유입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내기(內氣)의 온도와 차이가 없는 외기(外氣)가 병실 내로 유입되게 한다.
일례로, 겨울철 차가운 외기(外氣)는 따뜻한 내기(內氣)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병실 내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 배관모듈(132)들을 구성하는 배기 배관(134)들 내부 및 급기 배관모듈(136)들을 구성하는 급기 배관(138)들 내부에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 및 흡열하는 방열/흡열핀(도시되지 않음)들이 배기 배관(134) 및 급기 배관(138)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형성되면서 배기 배관(134) 및 급기 배관(13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닛(140)은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할 수 있게 하며, 급기 유닛(150)은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외기(外氣)를 유입할 수 있게 한다.
배기 유닛(140)은 배기필터링부(142)와, 배기용 댐퍼(144) 및 배기용 송풍팬(146)을 포함한다.
배기필터링부(142) 및 배기용 댐퍼(144)는 제 1 배기섹션(122a) 내에 설치되되, 배기필터링부(142) 및 배기용 댐퍼(144)는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즉, 배기필터링부(142)는 연결통로(129)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배기용 댐퍼(144)는 현열교환기(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배기필터링부(142)는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및 헤파필터(hepa filter)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는 당업계에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기필터링부(142)는 유지보수를 위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기용 송풍팬(1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배기섹션(122b)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용 송풍팬(146)이 설치된 제 2 배기섹션(122b)에는 배기용 송풍팬(146)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내기(內氣)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48)가 형성된다.
이때, 배기구(148)에는 배기용 덕트(E)가 장착되는데, 배기용 덕트(E)의 연장단은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된다.
즉, 병실 내 내기(內氣)는 배기용 송풍팬(146)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26)를 통해 흡입되어 제 1 챔버(114), 연결통로(129)를 거쳐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되며,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필터링부(142), 배기용 댐퍼(144) 및 현열교환기(130)의 배기 배관모듈(132)을 거쳐 제 2 배기섹션(122b) 내로 흡입되고, 제 2 배기섹션(122b) 측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용 송풍팬(146) 및 배기구(148)를 거쳐 배기용 덕트(E)를 통해 병실 외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배기용 댐퍼(144) 및 배기용 송풍팬(146)의 구성 및 작용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기 유닛(150)은 급기필터링부(152)와, 급기용 댐퍼(154) 및 급기용 송풍팬(156)을 포함한다.
급기용 송풍팬(1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급기섹션(124b)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급기필터링부(152) 및 급기용 댐퍼(154)는 제 1 급기섹션(124a) 내에 설치된다.
이때, 급기필터링부(152) 및 급기용 댐퍼(154)는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즉, 급기필터링부(152)는 제 1 급기섹션(124a)에 형성되는 급기구(158)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급기용 댐퍼(154)는 현열교환기(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급기구(158)에는 급기용 덕트(S)가 장착되는데, 급기용 덕트(S)의 연장단은 배기용 덕트(E)와 마찬가지로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급기필터링부(152)는 외기(內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및 헤파필터(hepa filter)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는 당업계에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기필터링부(142)는 유지보수를 위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외기(外氣)는 급기용 송풍팬(156)의 작동에 의해 급기구(158)를 통해 유입되어 제 1 급기섹션(124a) 내로 유입되고, 제 1 급기섹션(124a) 내로 유입된 외기(外氣)는 급기필터링부(152), 급기용 댐퍼(154) 및 현열교환기(130)의 급기 배관모듈(136)을 거쳐 제 2 급기섹션(124b) 내로 유입되며,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는 급기용 송풍팬(156) 및 토출구(128)를 통해 병실로 공급된다.
여기서, 급기용 댐퍼(154) 및 급기용 송풍팬(156)의 구성 및 작용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필터링부(142)의 프리필터 및 급기필터링부(152)의 프리필터에는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통상의 방법으로 코팅되는데, 이렇게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된 배기필터링부(142)의 프리필터 및 급기필터링부(152)의 프리필터는 배기되는 내기(內氣) 및 유입되는 외기(外氣)에 포함된 바이러스, 세균 등을 살균시킨다.
도 9는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된 배기필터링부(142)의 프리필터 및 급기필터링부(152)의 프리필터를 2020년 06월 15일 자로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항균(살균) 성능을 분석한 것으로, 시험균이 99.9%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급기 유닛(150)은 급기용 송풍팬(156)의 작동에 의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해 배기필터링부(142)를 거치게 하면서 내기(內氣)를 다시 병실로 공급되게 하는 정화용 댐퍼(16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정화용 댐퍼(160)는 제 1 배기섹션(122a)과 제 2 급기섹션(124)을 구획하는 제 2 수직격벽(112b)에 설치되되, 정화용 댐퍼(160)는 배기필터링부(142)와 배기용 댐퍼(144) 사이 배치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급기용 송풍팬(156)의 상부 측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즉, 배기용 댐퍼(144) 및 급기용 댐퍼(154)를 폐쇄시키고 정화용 댐퍼(160)를 개방시킨 상태 하에서 급기용 송풍팬(156)을 작동시키면, 병실 내 내기(內氣)는 흡입구(126)를 통해 흡입되어 제 1 챔버(114), 연결통로(129)를 거쳐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되며, 이렇게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필터링부(142)를 거쳐지면 정화되면서 정화용 댐퍼(160)를 거쳐 제 2 급기섹션(124b) 내로 흡입되고,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흡입된 정화된 내기(內氣)는 급기용 송풍팬(156) 및 토출구(128)를 거쳐 병실로 공급된다.
물론, 배기 유닛(140) 및 급기 유닛(150)의 작동에 의한 내기(內氣) 배기 및 외기(外氣) 유입 시 정화용 댐퍼(160)는 폐쇄된다.
여기서, 정화용 댐퍼(160)의 구성 및 작용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가 운전자의 조작(수작업 또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운전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병실 내부 및 병실 외부의 조건 변화를 감지해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가 자동으로 적절한 운전모드로 운전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70)는 배기 유닛(140)의 배기용 댐퍼(144) 및 배기용 송풍팬(146)과, 급기 유닛(150)의 급기용 댐퍼(154), 급기용 송풍팬(156) 및 정화용 댐퍼(16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와, 병실 내부 및 병실 외부의 조건 변화를 감지해 이를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CO2센서(172), 미세먼지센서(174), 차압센서(176)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 상태 및 CO2센서(172), 미세먼지센서(174), 차압센서(176)에 의해 감지된 병실 내부의 조건을 표시하며, 동시에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운전반(178)을 더 포함한다.
이때, 운전반(1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80)과, 조작 영역(182)으로 분할되어 제공되는데, 디스플레이 영역(180)에는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의 기압 차이를 표시하는 기압표시부(184), 운전 중인 운전모드의 풍량 세기를 표시하는 풍량표시부(186) 및 병실 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표시하는 병실 환경 표시부(188)가 제공된다.
여기서,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의 기압 차이는 차압센서(176)에 의해 감지되어 표시되고, 병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는 미세먼지센서(174)에 의해 감지되어 표시되며. 병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CO2센서(172)에 감지되어 표시되는데, 차압센서(176), 미세먼지센서(174) 및 CO2센서(172)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조작영역(18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을 ON/OFF시킴과 동시에 운전상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운전전환 버튼키(190)와,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 및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풍량 조절 버튼키(194)가 형성된다.
여기서,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는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등일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일레로, 일반 병실을 음압 병실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음압 공조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 하에서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 중 음압모드 버튼키를 선택한다.
음압모드 버튼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70)의 컨트롤러는 정화용 댐퍼(160) 및 급기용 댐퍼(154)를 폐쇄시키고, 배기용 댐퍼(144)를 개방시킨 상태 하에서 배기용 송풍팬(146)를 작동시킨다.
이때, 병실 내 내기(內氣)는 배기용 송풍팬(146)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26)를 통해 흡입되어 제 1 챔버(114), 연결통로(129)를 거쳐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되며,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필터링부(142), 배기용 댐퍼(144) 및 현열교환기(130)의 배기 배관모듈(132)을 거쳐 제 2 배기섹션(122b) 내로 흡입되고, 제 2 배기섹션(122b) 측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용 송풍팬(146) 및 배기구(148)를 거쳐 배기용 덕트(E)를 통해 병실 외부로 배기된다(도 5 참조).
이렇게 병실 내 내기(內氣)가 배기됨에 따라 병실은 음압상태로 전환되고, 병실이 음압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70)는 차압센서(176)에 감지되는 병실 내 기압 및 실외 기압차를 기초하여 병실 내 음압이 기설정된 설정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배기용 송풍팬(146)의 회전속도를 가감시켜 병실 내 음압상태를 설정값 범위로 유지시킨다.
다른 일례로, 일반 병실 및 음압 병실을 양압 병실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 중 양압모드 버튼키를 선택한다.
양압모드 버튼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70)의 컨트롤러는 정화용 댐퍼(160) 및 배기용 댐퍼(144)를 폐쇄시키고, 급기용 댐퍼(154)를 개방시킨 상태 하에서 급기용 송풍팬(156)를 작동시킨다.
이때, 외기(外氣)는 급기용 송풍팬(156)의 작동에 의해 급기구(158)를 통해 유입되어 제 1 급기섹션(124a) 내로 유입되고, 제 1 급기섹션(124a) 내로 유입된 외기(外氣)는 급기필터링부(152), 급기용 댐퍼(154) 및 현열교환기(130)의 급기 배관모듈(136)을 거쳐 제 2 급기섹션(124b) 내로 유입되는데,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는 급기용 송풍팬(156) 및 토출구(128)를 통해 병실로 공급된다(도 6 참조).
이렇게 외기(外氣)가 병실로 공급됨에 따라 병실은 양압상태로 전환되고, 병실이 양압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70)는 차압센서(176)에 감지되는 병실 내 기압 및 실외 기압차를 기초하여 병실 내 양압이 기설정된 설정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급기용 송풍팬(176)의 회전속도를 가감시켜 병실 내 양압상태를 설정값 범위로 유지시킨다.
또 다른 일례로,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 중 공기 청정모드 버튼키를 선택한다.
공기 청정모드 버튼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70)의 컨트롤러는 배기용 댐퍼(144) 및 급기용 댐퍼(154)를 폐쇄시키고, 정화용 댐퍼(160)를 개방시킨 상태 하에서 급기용 송풍팬(156)를 작동시킨다.
이때, 병실 내 내기(內氣)는 흡입구(126)를 통해 흡입되어 제 1 챔버(114), 연결통로(129)를 거쳐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되며, 이렇게 제 1 배기섹션(122a) 내로 흡입된 내기(內氣)는 배기필터링부(142)를 거쳐지면 정화되면서 정화용 댐퍼(160)를 거쳐 제 2 급기섹션(124b) 내로 흡입되는데, 제 2 급기섹션(124b) 측으로 흡입된 정화된 공기는 급기용 송풍팬(156) 및 토출구(128)를 거쳐 병실로 공급된다(도 7 참조).
이러한 공기 청정모드 운전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거 미세먼지센서(174)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미세먼지센서(174)는 이를 감지해 제어부(170)로 신호로 송출하고, 제어부(170)는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을 공기 청정모드로 전환시켜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시킨다.
반대로,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미세먼지센서(174)는 이를 감지해 제어부(170)로 신호로 송출하고, 제어부(170)는 공기 청정모드 운전을 중지시키고 이전의 운전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음압 공조 장치(1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 다른 일례로,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내기(內氣)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192) 중 환기모드 버튼키를 선택한다.
환기모드 버튼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70)의 컨트롤러는 정화용 댐퍼(160)를 폐쇄시키고, 배기용 댐퍼(144) 및 급기용 댐퍼(154)를 개방시킨 상태 하에서 배기용 송풍팬(146) 및 급기용 송풍팬(156)을 동시 작동시켜 병실 내 내기(內氣)는 배기시키고 외기(外氣)를 유입시킨다(도 8 참조).
이러한 환기모드 운전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거 CO2센서(172)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CO2센서(172)는 이를 감지해 제어부(170)로 신호로 송출하고, 제어부(170)는 음압 공조 장치(100)의 운전을 환기모드로 전환시켜 병실을 환기시킨다.
반대로, 일반 병실 또는 음압 병실 또는 양압 병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CO2센서(172)는 이를 감지해 제어부(170)로 신호로 송출하고, 제어부(170)는 환기모드 운전을 중지시키고 이전의 운전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음압 공조 장치(1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환기모드 운전 상태에서 배기용 송풍팬(146) 및 급기용 송풍팬(156)의 회전속도를 최대로 올리면, 병실 내 내기(內氣)를 빠른 시간 내에 강제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일반 병실에 설치되어 병실 내 공기를 정화, 환기 및 강제 배기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시 일반 병실을 신속하게 음압병실 및 양압병실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가 현열교환기(130)를 통해 배기 및 유입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기(內氣) 온도와 차이가 없는 외기(外氣)가 병실 내로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공조 장치(100)는 배기필터링부(142)의 프리필터와, 급기필터링부(152)의 프리필터에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되기 때문에 배기된 내기(內氣) 및 유입되는 외기(外氣)에 포함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고, 전면 측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되 내부는 수직한 제 1 및 제 2 수직격벽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챔버는 수평한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되 상기 제 2 챔버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1 급기섹션 및 제 1 배기섹션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3 챔버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 2 배기섹션 및 제 2 급기섹션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수직격벽의 하부 측에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상기 제 1 배기섹션은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케이스;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유닛;
    병실 내 내기(內氣)를 정화 및 환기시키거나 병실 내 기압 조절을 위해 외기(外氣)를 유입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유닛에 의해 배기되는 내기(內氣) 및 상기 급기 유닛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안내하되, 선택적으로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유입되는 외기(外氣)를 열 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 및
    상기 배기 유닛과 상기 급기 유닛을 제어하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연결통로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필터링부와,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필터링부와 이격되게 상기 현열교환기의 배기 배관모듈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용 댐퍼 및 상기 제 2 배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배기용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 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필터링부와,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필터링부에 이격되게 상기 현열교환기의 급기 배관모듈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용 댐퍼 및 상기 제 2 급기섹션 내에 설치되는 급기용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급기 유닛은 상기 급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해 상기 배기필터링부를 거치게 하면서 상기 배기필터링부를 거친 정화된 내기(內氣)를 병실로 공급되게 하는 정화용 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화용 댐퍼는 상기 제 1 배기섹션과 상기 제 2 급기섹션을 구획하는 제 2 수직격벽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용 댐퍼는 상기 배기필터링부와 상기 배기용 댐퍼 사이 배치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급기용 송풍팬의 상부 측에 배치되게 설치되는 음압 공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측에는 병실 내 내기(內氣)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챔버의 상기 제 2 급기섹션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 측에는 외기(外氣) 및 상기 배기필터링부를 거친 정화된 공기를 병실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구가 형성되 음압 공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상기 제 1 배기섹션으로 흡입된 내기(內氣)를 상기 제 2 배기섹션 측으로 안내하는 배기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상기 배기 배관모듈; 및
    상기 제 1 급기섹션으로 유입된 외기(外氣)를 상기 제 2 급기섹션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상기 급기 배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 배관모듈들을 구성하는 상기 배기 배관들 및 상기 급기 배관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급기 배관들은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상기 배기 배관모듈들과 상기 급기 배관모듈들은 상기 배기 배관들을 통해 배기되는 내기(內氣)와 상기 급기 배관들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外氣) 사이에 열 교환 작용이 일어나도록 서로 교번으로 밀착 배치되게 설치되는 음압 공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 배관들의 내부 및 상기 급기 배관들의 내부에는 열을 방출 및 흡열하는 방열/흡열핀들이 상기 배기 배관 및 상기 급기 배관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형성되되, 상기 방열/흡열핀들은 상기 배기 배관 및 상기 급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음압 공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기섹션에는 상기 배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내기(內氣)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배기용 덕트가 장착되고, 상기 배기용 덕트의 연장단은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배기필터링부는 내기(內氣)가 배기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음압 공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기섹션에는 상기 급기용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외기(外氣)가 유입되도록 급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구에는 급기용 덕트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용 덕트의 연장단은 병실의 창문 또는 벽면을 관통해 병실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급기필터링부는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프리필터, 미디움 필터 및 헤파필터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음압 공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링부의 상기 프리필터와 상기 급기필터링부의 상기 프리필터는 나노크기의 은(Ag) 입자가 코팅되어 제공되는 음압 공조 장치.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압 공조 장치가 공기 청정모드, 환기모드, 음압모드 및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운전되도록 상기 배기 유닛 및 상기 급기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
    병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해 이를 상기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상기 환기모드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되게 하는 CO2센서;
    병실 내부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해 이를 상기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상기 공기 청정모드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되게 하는 미세먼지센서;
    병실 내부 및 병실 외부의 기압차를 감지해 이를 상기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로 출력해 병실 내 음압 및 양압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기설정된 설정값을 유지되게 하는 차압센서;
    상기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 상태 및 상기 CO2센서, 상기 미세먼지센서, 상기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병실 내부의 조건을 표시하며, 상기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을 상기 공기 청정모드, 상기 환기모드, 상기 음압모드 및 상기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운전반;을 포함하는 음압 공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전반은,
    병실 내 내기(內氣)와 외기(外氣)의 기압 차이를 표시하는 기압표시부, 운전 중인 운전모드의 풍량 세기를 표시하는 풍량표시부 및 병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표시하는 병실 환경 표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을 ON/OFF시킴과 동시에 운전상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운전전환 버튼키와, 상기 음압 공조 장치의 운전모드를 상기 공기 청정모드, 상기 환기모드, 상기 음압모드 및 상기 양압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운전모드 전환 버튼키 및 상기 공기 청정모드, 상기 환기모드, 상기 음압모드 및 상기 양압모드 운전 시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풍량 조절 버튼키가 형성된 조작영역;으로 분할되어 제공되는 음압 공조 장치.
KR1020200189467A 2020-12-31 2020-12-31 음압 공조 장치 KR102282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67A KR102282649B1 (ko) 2020-12-31 2020-12-31 음압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67A KR102282649B1 (ko) 2020-12-31 2020-12-31 음압 공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649B1 true KR102282649B1 (ko) 2021-07-28

Family

ID=7712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467A KR102282649B1 (ko) 2020-12-31 2020-12-31 음압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6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9758A (zh) * 2022-04-29 2022-08-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除菌和VOCs的智能化空气净化装置、方法及空气净化器
KR102528432B1 (ko) * 2022-03-29 2023-05-04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모듈형 음압장비를 이용한 음압구급차
KR102563857B1 (ko) 2023-03-08 2023-08-10 하민호 음압 배기장치
KR102658848B1 (ko) * 2022-07-20 2024-04-19 주식회사 웃샘 공기 청정 음압기능과 살균장치를 구비한 자가격리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656A (ja) * 2000-03-29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換気扇
KR20090025725A (ko) * 2007-09-07 2009-03-11 한라공조주식회사 복합 열교환기
KR20100029789A (ko) * 2010-01-12 2010-03-17 주식회사 흥찬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027011B1 (ko) * 2008-06-12 2011-04-11 (주)이에스 열회수 환기장치가 결합된 가변형 히트펌프 냉난방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49600B1 (ko)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80058180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20190002452A (ko) 2016-03-17 2019-01-08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지환기 도입 비선형 광학 활성 코폴리머
KR101943629B1 (ko) * 2017-08-24 2019-01-30 오충록 컨버전스 전열교환기의 환기시스템
KR101931726B1 (ko) * 2017-08-24 2019-03-13 오충록 컨버전스 전열교환기의 환기시스템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KR20200012175A (ko) 2018-07-26 2020-02-05 김동기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KR20200066935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656A (ja) * 2000-03-29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換気扇
KR20090025725A (ko) * 2007-09-07 2009-03-11 한라공조주식회사 복합 열교환기
KR101027011B1 (ko) * 2008-06-12 2011-04-11 (주)이에스 열회수 환기장치가 결합된 가변형 히트펌프 냉난방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29789A (ko) * 2010-01-12 2010-03-17 주식회사 흥찬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649600B1 (ko)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90002452A (ko) 2016-03-17 2019-01-08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지환기 도입 비선형 광학 활성 코폴리머
KR20180058180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1943629B1 (ko) * 2017-08-24 2019-01-30 오충록 컨버전스 전열교환기의 환기시스템
KR101931726B1 (ko) * 2017-08-24 2019-03-13 오충록 컨버전스 전열교환기의 환기시스템
KR20200012175A (ko) 2018-07-26 2020-02-05 김동기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KR20200066935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432B1 (ko) * 2022-03-29 2023-05-04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모듈형 음압장비를 이용한 음압구급차
CN114909758A (zh) * 2022-04-29 2022-08-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除菌和VOCs的智能化空气净化装置、方法及空气净化器
KR102658848B1 (ko) * 2022-07-20 2024-04-19 주식회사 웃샘 공기 청정 음압기능과 살균장치를 구비한 자가격리시스템
KR102563857B1 (ko) 2023-03-08 2023-08-10 하민호 음압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649B1 (ko) 음압 공조 장치
KR102151091B1 (ko)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US7591720B2 (en) Ventilating system
FI115320B (fi) Sisäkattoon asennettu ilmastointijärjestelmälaitteisto
KR100899473B1 (ko) 공기 조절 장치
KR20200107336A (ko) 다기능성의 공기 청정기
US20060035579A1 (en) Ventilating system
KR102297559B1 (ko) 방역형 공기정화기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20190134152A (ko) 인체 감지형 공기 제균 시스템
CN209197050U (zh) 一种手术室空调系统
KR102537504B1 (ko) 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공조 설비
KR102420838B1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JP7289338B2 (ja) カプセルベッド及びカプセルベッド結合体
KR20190134151A (ko)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KR102369733B1 (ko) 열회수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연동 운전을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CN215863901U (zh) 电梯净化设备
JP3103406U (ja) 病院用空気浄化設備
JP3886490B2 (ja) 感染対策用空気清浄陰圧化装置
KR102538582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테이블
KR102460287B1 (ko) 소형환기장치
KR20220058727A (ko) 자외선(uv-c) 공기정화기
KR102573698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