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935A -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935A
KR20200066935A KR1020180153687A KR20180153687A KR20200066935A KR 20200066935 A KR20200066935 A KR 20200066935A KR 1020180153687 A KR1020180153687 A KR 1020180153687A KR 20180153687 A KR20180153687 A KR 20180153687A KR 20200066935 A KR20200066935 A KR 2020006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supply
air
exhaus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996B1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15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996B1/ko
Priority to CN201922143863.5U priority patent/CN212081616U/zh
Publication of KR2020006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14
    • F24F2003/163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청정 기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청소와 교체의 편의성 및 실내 공기청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용 필터박스는, 제1급기구와 제2급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 상기 급기실의 반대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와 제2배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급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급기실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1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급기실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2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Filter box for ventilator and ventil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청소 및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난방장치에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보일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환기장치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환기장치에 구비된 필터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 및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프리필터는 1개월 내지 2개월 사이에 1회 이상 필터의 청소를 필요로 하고,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헤파필터는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필터를 교체해야만 정상적인 필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의 청소 및 교체를 위한 점검 시기가 필터의 종류 마다 상이하므로, 최소한 2개월에 1회 이상 청소 또는 교체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필터를 제때에 청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필터의 수명이 짧아져 필터의 교체 비용이 가중되고, 필터를 수동으로 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 작업을 하는 동안 환기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기장치가 천장의 덕트에 연결되고, 필터가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경우, 필터의 교체 시 작업자가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로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변 장치들을 분해해야만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환기장치의 필터 청소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35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36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의 청소와 교체의 편의성 및 실내 공기청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용 필터박스는, 제1급기구와 제2급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 상기 급기실의 반대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와 제2배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급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급기실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1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급기실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2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필터는 재생 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재생 불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프리필터, 전기집진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헤파필터,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급기구와 제1배기구는 일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급기구는 환기장치 본체의 실외공기 유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제1배기구는 환기장치 본체의 실내공기 배출구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 상기 제1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 상기 제1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급기댐퍼를 포함하는 본체; 제1급기구와 제2급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 상기 급기실의 반대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와 제2배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급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급기실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1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급기실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2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필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실외공기 유입구는 상기 필터박스의 제2급기구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실내공기 배출구는 상기 필터박스의 제1배기구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재생 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재생 불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기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와 제2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닫히고 상기 제2배기구는 개방되도록 동작되며, 배기용 송풍기와 급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배기구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댐퍼는 닫히고, 배기용 송풍기와 급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본체의 제1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제2배기실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박스의 배기실과 연통구와 급기실 및 제2필터를 경유한 후, 상기 본체의 제1급기실과 전열교환기 및 제2급기실을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청소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배기구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댐퍼는 개방되고, 배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 모드 시, 상기 본체의 제1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제2배기실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박스의 배기실과 연통구와 급기실 및 제1필터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의하면, 환기장치의 본체에 필터박스가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의 청소 및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청소 모드 시, 실내공기가 재생 가능한 제1필터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되도록 공기의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제1필터의 역세정에 의해 제1필터의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제1필터를 수동으로 청소하는 주기를 제2필터의 교체 주기에 맞출 수 있어 제1필터를 청소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1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청소 모드 시, 실내공기가 정압손실이 높은 재생 불가능한 제2필터는 통과하지 않도록 공기의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소비동력을 줄이고 풍량 및 정압을 늘릴 수 있어 제1필터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 모드 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제2필터만을 통과하고 제1필터는 통과하지 않도록 순환되는 실내공기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순환되는 실내공기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실내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함에 따라 공기청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환기모드 시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공기청정모드 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필터청소모드 시 동작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필터박스를 포함하는 환기장치(1)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조립되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200), 및 상기 본체(100)와 필터박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와 필터박스(200)는,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110), 상기 제1배기실(11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120),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30), 상기 제1급기실(13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140), 및 상기 제1배기실(110)에서 제2배기실(120)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30)에서 제2급기실(140)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배기실(110)의 실내측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1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배기실(120)의 실외측에는 실내공기가 실외측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실(120)에는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강제흡인하는 배기용 송풍기(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급기실(130)의 실외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131)가 구비되고, 실외공기 유입구(131)의 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급기댐퍼(132)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급기실(140)의 실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실외공기 배출구(1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급기실(140)에는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강제흡인하는 급기용 송풍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기(50)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박스(200)는, 제1급기구(211)와 제2급기구(212)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210)과, 상기 급기실(210)의 반대측에 격벽(20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221)와 제2배기구(222)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220)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201)에는 급기실(210)과 배기실(220)에 연통되는 연통구(202)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실(220)에는 상기 연통구(202)와 제2배기구(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2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급기구(211)의 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213)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실(210)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202)와 상기 제1급기구(211) 사이에는 제1필터(23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실(210)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202)와 상기 제2급기구(212) 사이에는 제2필터(2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필터(230)는 연통구(202)의 일측으로 제1급기구(211)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240)는 연통구(202)의 타측으로 제2급기구(212)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필터(230)와 제2필터(240) 사이에는 연통구(202)에 연통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1필터(230)는 재생 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필터(230)는 프리필터, 전기집진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재생 가능한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입자를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로서, 일정 주기 단위로 필터를 청소할 경우 재사용이 가능한 필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1필터(230)는 1~2개월에 1회 이상의 청소를 요한다.
상기 제2필터(240)는 재생 불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2필터(240)는 헤파필터,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재생 불가능한 필터는 미세 크기(PM2.5 이하)의 먼지입자를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로서, 필터를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없으며, 일정 시간 동안의 사용한 후에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의미한다.
상기 필터박스(200)는 본체(100)에 조립된다. 상기 필터박스(200)의 제2급기구(212)는 본체(100)의 실외공기 유입구(131)에 조립되고, 상기 필터박스(200)의 제1배기구(221)는 본체(100)의 실내공기 배출구(121)에 조립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2급기구(212)와 실외공기 유입구(131)는 제1연결덕트(310)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제1배기구(221)와 실내공기 배출구(121)는 제2연결덕트(32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연결덕트(310)와 제2연결덕트(320)의 구성을 생략하고, 상기 제2급기구(212)와 실외공기 유입구(131)가 직접 조립되고, 상기 제1배기구(221)와 실내공기 배출구(121)가 직접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환기 모드, 공기정청 모드 및 필터청소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기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132)와 제2댐퍼(213)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223)는 상기 연통구(202)가 닫히고 상기 제2배기구(222)는 개방되도록 동작되며, 배기용 송풍기(122)와 급기용 송풍기(142)가 가동된다.
환기 모드 시,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공기는 본체(100)의 실내공기 유입구(111), 제1배기실(110), 전열교환기(150), 제2배기실(120) 및 실내공기 배출구(121)를 통과한 후, 제2연결덕트(320)를 통하여 필터박스(200)의 제1배기구(221), 배기실(220) 및 제2배기구(222)를 통과하여 실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실외공기는 필터박스(200)의 제1급기구(211), 제1필터(230), 급기실(210), 제2필터(240) 및 제2급기구(212)를 통과하며 여과된 후, 제1연결덕트(310)를 통하여 본체(100)의 실외공기 유입구(131), 제1급기실(130), 전열교환기(150), 제2급기실(140) 및 실외공기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환기 모드 시, 실외공기는 제1필터(23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이물질이 여과되고, 제1필터(230)에서 여과되지 않은 미세 크기의 이물질은 제2필터(24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정화된 실외공기가 실내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전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외공기는 실내공기의 열을 전달받아 승온된 상태로 실내측에 공급되므로,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 모드 시, 급기댐퍼(132)는 개방되고, 제1댐퍼(223)는 연통구(202)가 개방되고 제2배기구(222)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제2댐퍼(213)는 닫히고, 배기용 송풍기(122)와 급기용 송풍기(142)가 가동된다.
공기청정 모드 시, 도 4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의 실내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제1배기실(11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150)와 제2배기실(120) 및 실내공기 배출구(121)을 통과한 후, 제2연결덕트(320)를 통하여 필터박스(200)의 제1배기구(221), 배기실(220), 연통구(202), 급기실(210), 제2필터(240) 및 제2급기구(212)를 경유한 후, 제1연결덕트(212)를 통하여 본체(100)의 실외공기 유입구(131), 제1급기실(130), 전열교환기(150), 제2급기실(140) 및 실외공기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 모드 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제2필터(240)만을 통과하고 제1필터(230)는 통과하지 않도록 순환되는 실내공기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순환되는 실내공기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실내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함에 따라 공기청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청소 모드 시, 급기댐퍼(132)는 닫히고, 제1댐퍼(223)는 연통구(202)가 개방되고 제2배기구(222)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제2댐퍼(213)는 개방되고, 배기용 송풍기(122)가 가동된다.
필터청소 모드 시,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의 실내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제1배기실(11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150)와 제2배기실(120) 및 실내공기 배출구(121)을 통과한 후, 제2연결덕트(320)를 통하여 필터박스(200)의 제1배기구(221), 배기실(220), 연통구(202), 급기실(210), 제1필터(230) 및 제1급기구(211)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터청소 모드 시, 실내공기가 재생 가능한 제1필터(230)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되도록 공기의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제1필터(230)에 포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공기의 유동력에 의해 제1필터(230)로부터 분리시켜 실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역세정에 의해 제1필터(230)의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필터(230)를 수동으로 청소하는 주기를 제2필터(240)의 교체 주기에 맞출 수 있어 제1필터(230)를 청소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1필터(2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청소 모드 시, 실내공기가 정압손실이 높은 재생 불가능한 제2필터(240)는 통과하지 않도록 공기의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배기용 송풍기(122)의 소비동력을 줄이고 풍량 및 정압을 늘릴 수 있어 제1필터(230)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환기장치 100 : 본체
110 : 제1배기실 111 : 실내공기 유입구
120 : 제2배기실 121 : 실내공기 배출구
122 : 배기용 송풍기 130 : 제1급기실
131 : 실외공기 유입구 132 : 급기댐퍼
140 : 제2급기실 141 : 실외공기 배출구
142 : 급기용 송풍기 150 : 전열교환기
200 : 필터박스 201 : 격벽
202 : 연통구 210 : 급기실
211 : 제1급기구 212 : 제2급기구
213 : 제2댐퍼 220 : 배기실
221 : 제1배기구 222 : 제2배기구
223 : 제1댐퍼 230 : 제1필터
240 : 제2필터 300 : 연결덕트
310 : 제1연결덕트 320 : 제2연결덕트

Claims (12)

  1. 제1급기구와 제2급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
    상기 급기실의 반대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와 제2배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급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급기실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1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급기실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2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필터;
    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재생 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재생 불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프리필터, 전기집진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헤파필터,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기구와 제1배기구는 일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급기구는 환기장치 본체의 실외공기 유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제1배기구는 환기장치 본체의 실내공기 배출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5.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 상기 제1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 상기 제1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급기댐퍼를 포함하는 본체;
    제1급기구와 제2급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급기실, 상기 급기실의 반대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배기구와 제2배기구가 양측에 형성된 배기실, 상기 급기실과 배기실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급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급기실 내부의 일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1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필터, 및 상기 급기실 내부의 타측으로 상기 연통구와 상기 제2급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필터박스;
    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실외공기 유입구는 상기 필터박스의 제2급기구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실내공기 배출구는 상기 필터박스의 제1배기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재생 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는 재생 불가능한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환기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와 제2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닫히고 상기 제2배기구는 개방되도록 동작되며, 배기용 송풍기와 급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배기구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댐퍼는 닫히고, 배기용 송풍기와 급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본체의 제1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제2배기실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박스의 배기실과 연통구와 급기실 및 제2필터를 경유한 후, 상기 본체의 제1급기실과 전열교환기 및 제2급기실을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필터청소 모드 시,
    상기 급기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연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배기구는 닫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댐퍼는 개방되고, 배기용 송풍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 모드 시,
    상기 본체의 제1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제2배기실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박스의 배기실과 연통구와 급기실 및 제1필터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180153687A 2018-12-03 2018-12-03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55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87A KR102554996B1 (ko) 2018-12-03 2018-12-03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CN201922143863.5U CN212081616U (zh) 2018-12-03 2019-12-03 换气装置用过滤盒及包括该过滤盒的换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87A KR102554996B1 (ko) 2018-12-03 2018-12-03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35A true KR20200066935A (ko) 2020-06-11
KR102554996B1 KR102554996B1 (ko) 2023-07-18

Family

ID=7107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687A KR102554996B1 (ko) 2018-12-03 2018-12-03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4996B1 (ko)
CN (1) CN21208161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649B1 (ko) * 2020-12-31 2021-07-28 김병호 음압 공조 장치
KR20230136267A (ko) 2022-03-18 2023-09-26 윤용철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102644235B1 (ko) * 2023-08-11 2024-03-06 유한책임회사 센도리 두 개의 경로를 구비하는 송풍기를 활용한 공기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5972A4 (en) * 2020-12-24 2024-02-14 Huawei Digital Power Tech Co Ltd DEVICE FOR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AND COO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614A (ko) * 2006-03-23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20180058180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1880631B1 (ko) * 2017-07-27 2018-07-20 은성화학(주) 실내 공기질의 관리가 가능한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614A (ko) * 2006-03-23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20180058180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1880631B1 (ko) * 2017-07-27 2018-07-20 은성화학(주) 실내 공기질의 관리가 가능한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649B1 (ko) * 2020-12-31 2021-07-28 김병호 음압 공조 장치
KR20230136267A (ko) 2022-03-18 2023-09-26 윤용철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102644235B1 (ko) * 2023-08-11 2024-03-06 유한책임회사 센도리 두 개의 경로를 구비하는 송풍기를 활용한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996B1 (ko) 2023-07-18
CN212081616U (zh)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13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2554996B1 (ko)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433949B1 (ko) 환기장치
KR101841954B1 (ko)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967279B1 (ko) 실내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CN107023895B (zh) 一种多居室室内空气调节机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20220028346A (ko)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제거와 세균 증식 방지 기능을 구비한 공기순환기
CN110887121A (zh) 一种新风空调室内机
JP3892387B2 (ja) 換気装置
KR101904041B1 (ko) 주방급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202170B1 (ko)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한 공기순환기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CN207179859U (zh) 一种用于中央空调回风口的空气净化装置
KR20000056578A (ko) 공기 조화기
KR102383783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에너지절감형 공기청정 클린 환기시스템
KR20180003341U (ko) 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344398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에어컨
KR100587314B1 (ko) 환기시스템
CN212511643U (zh) 一种进风可调式新风机
CN108844167A (zh) 新风换气机
CN212961940U (zh) 新风除湿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