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696A - 식물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식물 공기정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4696A KR20230144696A KR1020220043552A KR20220043552A KR20230144696A KR 20230144696 A KR20230144696 A KR 20230144696A KR 1020220043552 A KR1020220043552 A KR 1020220043552A KR 20220043552 A KR20220043552 A KR 20220043552A KR 20230144696 A KR20230144696 A KR 202301446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lant
- panel
- air purifier
- main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6—Devices for generating heat, smoke or fog in gardens, orchards or forests, e.g. to prevent damage by fros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안착부가 제공되고,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부 및 필터부가 구비된 메인하우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식물에 의해 정화 또는, 가습되도록 제공되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이로써 이끼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원활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워서 사용하거나 혹은, 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고,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의 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각종 이물질(먼지, 냄새, 위해균 등)을 걸러내고, 이렇게 정화된 공기는 실내로 재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정화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정화함과 더불어 실내 습도의 조절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2114591호, 등록특허 제10-2123794호, 공개특허 제10-2021-0132451호, 등록특허 제10-2292339호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로 이루어진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이끼에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실내 공기가 이끼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은 상기 이끼에 각종 이물질이 포집되기 때문에 이끼가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다.
즉, 실내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 등이 이끼에 포집됨으로써 이끼가 더러워지고, 지속적인 공기 통과로 인해 쉽게 말라버리는 등 수명이 단축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공기가 이끼를 원활히 통과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끼의 밀집도를 고려하여 송풍력을 충분히 크게 제공하여야만 하고 이로써, 이끼의 손상(예컨대, 찢김, 뜯김, 들뜸 등)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써, 종래 기술은 이끼를 자주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 및 유지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식물을 이용하는 공기정화기의 경우 실내 디자인을 고려하지 않고 제공되었던 단점이 있다. 즉, 이끼를 이용한 시각적인 효과를 최대한 제공하지 못하고 단순히 이끼를 필터의 역할만 수행하도록 제공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가 최적의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끼에 의한 최대한의 공기 정화성능 및 가습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를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이끼를 통과하기 전에 이물질이 우선적으로 걸러져 일차적으로 정화되고, 상기 정화된 공기가 이끼를 지나면서 이끼에 의해 재차적으로 정화되거나 또는, 이끼 주변의 존재하는 정화된 공기와 합쳐져서 신선한 공기가 되도록 하여 이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더욱 신선한 공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식물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전면에 안착부가 제공되고,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부 및 필터부가 구비된 메인하우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식물에 의해 정화 또는, 가습되도록 제공되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패널 조립체는 둘레프레임과, 상기 둘레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둘레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전면에는 식물이 식생되는 식물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널은 식물패널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식물패널에 식생되는 식물은 매트형으로 제공되는 이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는 공기의 유동 및 상기 송풍부 및 상기 필터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하우징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메인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송풍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패널 조립체로 공급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토출부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폭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안내파이프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패널 조립체로 분산하여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홀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패널 조립체에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전면패널과 식물패널 사이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가이드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장착하우징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로 지속적 혹은,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끼가 최적의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이끼의 표면을 지나도록 공기 유동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ㄱ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이끼에 공기가 제공되기 전에 필터부에 의해 먼지가 일차적으로 걸러짐에 따라 이끼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식물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체가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식물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하우징과 패널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전방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과 물통 및 워터펌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측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과 물통 및 워터펌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의 절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B”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방의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방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하우징과 패널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전방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메인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과 물통 및 워터펌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측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과 물통 및 워터펌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장착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의 절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B”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방의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방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 중 패널 조립체를 전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측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하우징과 패널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전방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는 실내 공기가 이끼(221)를 관통하지 않고 이끼 표면을 지나도록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이끼(221)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이끼가 제공하는 공기 청정의 효과 및 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식물 공기정화기가 실내 환경으로부터는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 디자인에 따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는 메인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식물 공기정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및 각종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유동 공간)과 각종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설치 공간)은 서로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설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거나 혹은, 상기 유동 공간에 각종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여타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하우징(100)이 상면과 저면 및 좌우 측면을 가지는 사각형의 내부가 빈 블럭체(통체)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좌우 폭 혹은, 상하 높이 보다 전후 두께가 얇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하우징(100)은 액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메인하우징(100)은 후면에 스탠드(110)를 제공하여 세워서 사용(첨부된 도 2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벽면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스탠드(110)가 설치되거나 혹은, 벽걸이브라켓(120)(첨부된 도 3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는 메인하우징(10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도 15 및 도 16에도 상기 메인하우징(100)이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안착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전면 중 일부를 여타 부위보다 요입되도록 단턱지게 형성한 부위이다. 즉, 실시예로 제공되는 도면상 메인하우징(110)의 하단측에는 장착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1)는 상기 장착부(102)의 상측으로부터 해당 메인하우징(100)의 상면에 이르기까지 요입(또는, 단턱)되게 형성(혹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안착부보다 더욱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02)의 상면은 후술될 패널 조립체(200)가 얹혀 장착되는 얹힘 영역으로 제공된다.
상기 안착부(101)의 하단 혹은, 상기 장착부(102)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안착부(101)에 안착되는 패널 조립체(200)를 향해 토출하기 위한 개구(10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는 패널 조립체(200)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긴 형태의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103)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홀(10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104)은 작은 홀(예컨대, 좌우 혹은, 상하 폭이 10mm 이하의 홀)들이 다수로 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널 조립체(200)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가 어느 한 측으로 집중되지 않고 패널 조립체(200)의 양 측에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토출홀(104)들은 메인하우징(100)의 안착부(101)를 전면에서 봤을 때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토출홀(104)은 실시예보다 더 큰 홀(예컨대, 좌우 혹은, 상하 폭이 10mm보다 큰 홀)로 복수가 제공되거나 혹은, 단일의 긴 슬롯(좌우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의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송풍부(130) 및 상기 필터부(14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송풍부(130) 및 필터부(140)는 상기 장착하우징(150) 내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 장착하우징(150)과 그에 관련한 구성요소의 관계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130)는 공기 송풍을 위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풍부(130)는 팬모터를 가지는 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하우징(150)은 상기 송풍부(140)의 송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팬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하우징(150)의 외면 중 어느 한 부위(예컨대, 상면 일측)에는 메인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5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151)는 장착하우징(150) 내외를 연통하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입부(151)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140)는 상기 장착하우징(150)의 내부 중 상기 흡입부(151) 내의 공기 출구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흡입부(151)를 통해 장착하우징(15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40)에 의해 메인하우징(100) 내부를 따라 유동된 후 패널 조립체(200)로 제공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하우징(150)의 외면 중 다른 한 부위(예컨대, 상면 타측)에는 장착하우징(150) 내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1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152)는 상기 장착하우징(100) 내외를 연통하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130)는 상기 토출부(152)의 공기 입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52)의 공기 출구측 외부(장착하우징의 외부이면서 메인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152)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메인하우징(100)에 형성된 각 토출홀(104)을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15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파이프(153)는 상기 각 토출홀(104)이 형성된 방향(메인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52)는 상기 안내파이프(153)의 어느 한 측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하우징(150)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154)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저장부(154)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1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160)가 구비된다. 즉, 상기한 미스트 발생기(160)의 제공에 의해 상기 장착하우징(150)을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에는 미세한 수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식물로 상기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발생기(160)는 예컨대, 초음파를 이용하는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발생기(160)는 필요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주기마다 동작되도록 제어되거나, 송풍부(130)가 동작될 경우 함께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송풍부가 동작될 경우 미스트 발생기는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의 발생을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예컨대, 장착부 내)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통(170)은 물의 보충을 위해 장착부(102)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혹은, 메인하우징(100)에 상기 물통(170)에의 물 보충을 위한 보충홀(105)을 형성하여 상기 보충홀(105)을 통해 물통(170) 내에 물이 보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장착부(102) 내에는 상기 물통(17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워터펌프(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펌프(180)에 의해 펌핑된 물은 장착하우징(150) 내의 저장부(154)에 제공되어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는 패널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 조립체(200)는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를 통과한 공기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공기를 식물로써 정화 또는, 가습하도록 제공되는 조립 구조물이다.
첨부된 도 17 내지 도 19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고 있다. 이때,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도 15 및 도 16에도 상기 패널 조립체(200)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200)는 상기 메인하우징(100) 전면의 안착부(101)에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저면은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장착부(102) 상면에 얹히고,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배면은 상기 안착부(101)의 전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패널 조립체(200)는 둘레프레임(210)과, 식물패널(220) 및 전면패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패널 조립체(200)의 외관 중 둘레 부위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좌우 폭 및 상하 높이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안착부(101)가 이루는 좌우 폭 및 상하 높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210a)과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의 하단에는 구획판(214)이 상하를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획판(214)이 사실상 둘레프레임(210) 내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판(214)의 선단은 후술될 전면패널(230)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판(214)의 전면이 전방측 둘레프레임(210a)의 전면에는 이르지 않도록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판(214)의 전면과 전방측 둘레프레임(210a)의 전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 내의 하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가이드(211)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211)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각 토출홀(104)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211)에 의해 후술될 식물패널(220)과 전면패널(23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안내된다.
특히, 상기 유동가이드(211)는 해당 패널 조립체(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를 향해 공기 유동이 안내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메인하우징(100)의 각 토출홀(104)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식물패널(220)의 전면에 식재된 식물의 표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가이드(211)에 의해 공기가 안내되는 유로의 공기 토출측에는 이끼(221)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도시는 생략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의 경우 이끼(221)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됨을 고려할 때 이끼(221)의 일부가 상기 유동가이드(211)의 공기 토출측으로 낙하하여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 토출측에 걸름망을 설치하고, 상기 걸름망은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또는, 청소)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끼에 의한 유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상단에는 실내로의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홀(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홀(212)은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둘레프레임(210) 중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의 상단이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렇게 경사진 부위에 상기 배출홀(2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의 상단 배면에 배출홀(2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둘레프레임(210) 내의 하단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승 이동되는 도중 후술될 식물패널(220)의 전면(표면)을 충분히 지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홀(212)로 배출되는 공기는 그 후방에 위치되는 안착부(101)의 상단에 부딪혀 상부로 유동되면서 실내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전후로 개방된 액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공기가 지나는 어느 한 부위에는 UV LED(2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UV LED(240)에 의한 살균 작용으로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UV LED(240)는 둘레프레임(210)의 각 배출홀(212)이 형성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배출홀(212)이 형성되는 부위는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도중에서 수분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어서 미생물의 성장이 우려될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UV LED(240)는 상기 장착하우징(15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장착하우징(150) 내에서 생성되는 미스트를 상기 UV LED(240)에 의해 조사되는 UV로 살균하거나 혹은, 장착하우징(150) 내의 저장부(154)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끼에 미생물이 성장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UV LED(240)는 상기 장착하우징(150) 내의 전 공간에 UV를 조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저장부(154) 내부에 UV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UV LED(240)는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로는 파이프 혹은, 덕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패널(220)은 식물(221)이 식재되는 패널이다. 이러한 식물패널(220)은 평판이나, 격자판 혹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패널(220)은 펼쳐진 상태로 세웠을 때 부분적인 처짐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패널(220)에 식재되는 식물(221)은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면(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제공된다. 물론, 상기 식물패널(220)의 후면에도 식물이 추가로 식재될 수도 있다.
상기 식물(221)은 이끼임을 제시한다. 즉,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의 정화 및 실내 습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상기 식물이라는 용어 대신 이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끼(221)는 생토를 포함하는 매트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끼(221)의 수분 유지뿐 아니라 곰팡이나 기타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있는 특수코팅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식생하도록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물패널(220)은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패널(220)은 전면에 제공되는 이끼(221)가 둘레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유동가이드(211)가 향하는 방향측에 위치되거나 혹은, 유동가이드(211)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식물패널(220)의 상하 높이는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 내의 상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식물패널(220)의 상면과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 내의 상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식물패널(220)의 저면은 후방측 둘레프레임(210b) 내의 구획판(214)에 얹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의 구획판 전방에 형성되는 틈새(개구)를 통해 메인하우징(10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식물패널(220)과 전면패널(230) 사이로 유입될 수 있고, 식물패널(220)의 상면과 둘레프레임(210) 내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면을 지난 공기가 둘레프레임(210)의 배출홀(212)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전방을 향해 유입된 공기는 상승 후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승 유동 도중 상기 이끼(221)의 표면을 지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230)은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전면패널(230)은 둘레프레임(210)의 선단(예컨대, 전면)에 설치되면서 식물패널(220)의 전방으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면에 위치되는 이끼(221)의 표면을 지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패널(230)은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면에 위치되는 이끼(221)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230)과 식물패널(220)은 서로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끼(221)가 자랄경우 전면패널(230)에 접촉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라 하더라도 이끼(221)와 전면패널(230) 사이에는 부분적인 틈새가 존재하고, 이로써 공기는 상기 틈새를 통해 이끼(221)의 표면을 원활히 지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230)은 상기 식물패널(220)의 이끼(221)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전면패널(230)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끼(221)가 제공하는 시각적인 느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패널 조립체(200) 내에는 이끼(221)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장치(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식물패널(220)의 전면에 존재하는 이끼의 전 부위에 고르게 빛이 제공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조명장치는 전면패널(230)의 배면 중 상단이나 양 측 둘레에 위치될 수도 있고, 둘레프레임(210)의 양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에 의한 실내 공기의 정화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식물 공기정화기는 스탠드(110)를 이용하여 실내에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거나 혹은, 벽걸이브라켓(120)에 의해 벽면에 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식물 공기정화기의 패널 조립체(200)는 메인하우징(100)의 안착부(101)에 안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패널 조립체(200)를 이루는 식물패널(220)의 이끼(또는, 이끼의 색상)(221)를 시각적으로 보면서 마음의 안정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공기정화기는 지속적이거나 주기적 혹은, 선택적으로 송풍부(130)가 동작될 수 있다.
즉, 계속적으로 송풍부(130)가 동작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송풍부(130)가 동작되거나 설정 주기 또는, 오염 물질의 감지나 공기질이 저하되면 송풍부(130)가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부(13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공기 송풍력으로 메인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장착하우징(150)의 흡입부(151)를 통해 장착하우징(15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흡입부(151)를 통과하여 장착하우징(150) 내로 유입되는 도중 해당 부위에 제공되는 필터부(140)를 지나면서 각종 이물질(예컨대, 먼지 등)이 걸러진다.
계속해서, 상기 필터부(140)를 지난 공기는 상기 장착하우징(150) 내의 송풍부(130)를 통과하여 토출부(152)를 통해 안내파이프(153)로 제공된 후 각 토출홀(104)을 통과하여 패널 조립체(200)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각 토출홀(104)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각 토출홀(104)을 통과하여 패널 조립체(200)를 이루는 둘레프레임(210)의 하단에 형성된 유동가이드(211)로 제공되며, 상기 유동가이드(211)의 안내에 따라 패널 조립체(200) 중 식물패널(220)의 전방으로 유입된다.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식물패널(220)과 전면패널(230) 사이를 따라 상승 이동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냄새 성분 혹은, 오염 물질 등은 상기 식물패널(220)의 전면에 배치된 이끼(221)의 표면에 걸러짐과 더불어 산소와 피톤치드 등이 생성되며, 이후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둘레프레임(210) 상단에 형성된 각 배출홀(212)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둘레프레임(210)에 형성된 배출홀(212)은 해당 둘레프레임(210)의 상단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둘레프레임(210)의 하단(구획판과 전면패널 사이의 틈새)을 통해 식물패널(220)과 전면패널(230) 사이로 유입되어 상승되는 공기는 상기 식물패널(220)의 이끼(221) 표면을 지나게 되고, 이로써 공기의 정화는 원활히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0은 상기한 공기 유동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미스트 발생기(160)가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발생기(16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동작될 수도 있고, 주기적 혹은, 수분 필요시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정화를 위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상기 미스트 발생기(160)가 동작될 때에는 송풍부(130)가 함께 동작된다.
상기와 같이 미스트 발생기(160)가 동작될 경우 장착하우징(150)의 저장부(154)에 저장된 물이 미스트화되고, 이러한 미스트는 상기 필터부(14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에 편승되면서 상기 공기와 함께 송풍부(130)를 통과하여 토출부(152)로 토출된다.
이로써,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스트는 공기 유동에 따라 이끼(221)를 지나는 도중 상기 이끼(221)에 제공되면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로써 이끼(221)는 원활히 생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미스트는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실내로 제공되면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또한, 식물 공기정화기에 제공되는 UV LED(240) 및 조명장치는 선택적(주기적 혹은, 사용자의 조작 등)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UV LED(240) 및 조명장치의 동작으로 곰팡이 발생이 방지되고, 이끼(221)는 안정적으로 생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내 습도가 설정 습도를 이루거나 식물에 수분을 제공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미스트 발생기(160)도 종료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기정화기에 의해 정화 및 청정화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221)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221)로 지속적 혹은,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끼가 최적의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221)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이끼의 표면을 지나도록 공기 유동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끼(2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끼(221)에 공기가 제공되기 전에 필터부에 의해 먼지가 일차적으로 걸러짐에 따라 이끼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식물패널(220)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체(200)가 메인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식물(221)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로 수분을 제공하는 구조가 전술된 미스트의 공급 외에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식물패널(220)과 그 전면의 식물(이끼)(221) 사이에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흡습판(도시는 생략됨)을 구비하고, 상기 흡습판의 일부는 메인하우징(100) 내에 구비된 물통(170)으로부터 수분을 전달받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물로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메인하우징(100)을 세로 방향으로 세운 상태로만 사용되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하우징(100)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서 사용할 수도 있고, 테이블과 같이 특정 장소에 얹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식물 공기정화기는 다양한 변형 및 사용이 가능하다.
100. 메인하우징
101. 안착부
102. 장착부 103. 개구
104. 토출홀 105. 보충홀
110. 스탠드 120. 벽걸이브라켓
130. 송풍부 140. 필터부
150. 장착하우징 151. 흡입부
152. 토출부 153. 안내파이프
154. 저장부 160. 미스트 발생기
170. 물통 180. 워터펌프
200. 패널 조립체 210. 둘레프레임
211. 유동가이드 212. 배출홀
213. 안착턱 214. 구획판
220. 식물패널 230. 전면패널
240. UV LED
102. 장착부 103. 개구
104. 토출홀 105. 보충홀
110. 스탠드 120. 벽걸이브라켓
130. 송풍부 140. 필터부
150. 장착하우징 151. 흡입부
152. 토출부 153. 안내파이프
154. 저장부 160. 미스트 발생기
170. 물통 180. 워터펌프
200. 패널 조립체 210. 둘레프레임
211. 유동가이드 212. 배출홀
213. 안착턱 214. 구획판
220. 식물패널 230. 전면패널
240. UV LED
Claims (9)
- 전면에는 안착부가 제공되고,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송풍부 및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전면의 안착부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식물에 의해 정화 또는, 가습되도록 제공되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는
둘레프레임과,
상기 둘레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둘레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전면에는 식물이 식생되는 식물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식물패널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패널에 식생되는 식물은 매트형으로 제공되는 이끼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는 공기의 유동 및 상기 송풍부 및 상기 필터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하우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메인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송풍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패널 조립체로 공급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토출부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폭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안내파이프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패널 조립체로 분산하여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에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전면패널과 식물패널 사이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가이드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우징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 내의 공기가 지나는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살균 작용으로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UV LED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기정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552A KR102640806B1 (ko) | 2022-04-07 | 2022-04-07 | 식물 공기정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552A KR102640806B1 (ko) | 2022-04-07 | 2022-04-07 | 식물 공기정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4696A true KR20230144696A (ko) | 2023-10-17 |
KR102640806B1 KR102640806B1 (ko) | 2024-02-28 |
Family
ID=8855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3552A KR102640806B1 (ko) | 2022-04-07 | 2022-04-07 | 식물 공기정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0806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8342Y1 (ko) * | 1999-11-22 | 2000-04-15 | 윤영중 |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테이블 |
KR101904068B1 (ko) * | 2018-03-13 | 2018-10-04 | 이윤성 |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KR102114591B1 (ko) | 2019-11-13 | 2020-05-22 | 함승원 |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KR102123794B1 (ko) | 2020-03-26 | 2020-06-17 | 김소율 | 이끼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KR20210038071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 공기 정화 장치 |
KR102292339B1 (ko) | 2020-11-16 | 2021-08-24 | (주)미래인더스트리 | 이끼필터를 구비한 친환경 3중 필터 공기청정기 |
KR20210132451A (ko)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이세이빙 | 이끼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
KR102342650B1 (ko) * | 2021-11-03 | 2021-12-23 | 이무남 |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KR20210157822A (ko) * | 2020-06-22 | 2021-12-2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
-
2022
- 2022-04-07 KR KR1020220043552A patent/KR1026408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8342Y1 (ko) * | 1999-11-22 | 2000-04-15 | 윤영중 |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테이블 |
KR101904068B1 (ko) * | 2018-03-13 | 2018-10-04 | 이윤성 |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KR20210038071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 공기 정화 장치 |
KR102114591B1 (ko) | 2019-11-13 | 2020-05-22 | 함승원 |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KR102123794B1 (ko) | 2020-03-26 | 2020-06-17 | 김소율 | 이끼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KR20210132451A (ko)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이세이빙 | 이끼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
KR20210157822A (ko) * | 2020-06-22 | 2021-12-2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
KR102292339B1 (ko) | 2020-11-16 | 2021-08-24 | (주)미래인더스트리 | 이끼필터를 구비한 친환경 3중 필터 공기청정기 |
KR102342650B1 (ko) * | 2021-11-03 | 2021-12-23 | 이무남 |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0806B1 (ko) | 2024-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9678B1 (ko) |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 |
US20070181000A1 (en) | Air quality device | |
KR101807192B1 (ko) | 공기 소독 청정기 | |
KR101611871B1 (ko) |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
KR102340390B1 (ko) | 휘발성유기화합물제거 기능을 가진 친환경 공기청정시스템 | |
KR101281110B1 (ko) |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 |
JP7442279B2 (ja) | 空気清浄機 | |
KR20190064175A (ko) |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
KR101658191B1 (ko) |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 |
KR20080104482A (ko) | 물 세척 공기청정기 | |
KR102640806B1 (ko) | 식물 공기정화기 | |
JPH03296410A (ja) | 空気浄化装置 | |
KR102635725B1 (ko) |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 |
KR102110122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30003329A (ko) | 에어커텐을 구비한 냄새차단 개별환기 실험동물 사육장치 | |
KR100209822B1 (ko)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 |
CN213713357U (zh) | 加湿装置、空气处理装置和空调器 | |
KR100937577B1 (ko) | 공기정화장치 | |
KR20220142159A (ko) | 포그를 이용한 식물재배식 공기정화장치 | |
KR200262744Y1 (ko) | 공기 청정기 | |
KR100998519B1 (ko) |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 |
KR100625329B1 (ko) |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 |
KR20230172064A (ko) | 가습 공기 살균청정기 | |
KR100878009B1 (ko) | 액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 |
KR102458899B1 (ko) | 가습기능이 구비된 자연식 공기 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