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329B1 -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329B1
KR100625329B1 KR1020050039932A KR20050039932A KR100625329B1 KR 100625329 B1 KR100625329 B1 KR 100625329B1 KR 1020050039932 A KR1020050039932 A KR 1020050039932A KR 20050039932 A KR20050039932 A KR 20050039932A KR 100625329 B1 KR100625329 B1 KR 10062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ied
water supply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이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환 filed Critical 이병환
Priority to KR102005003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가습을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가습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물유도부로 급수되는 물이 장치의 급수구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급수되도록 하여 가습효율을 최적화하고, 공급되는 물의 오염성분 여과/살균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물 저장용기로 공급된 물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급수된 물을 흡수하는 물유도부, 물유도부를 통과한 물이 수집되고 외부의 상수/하수를 저수하는 수집용기, 수집용기에 수집되고 저수된 물을 급수부로 공급하는 펌프구동부, 물유도부에서 물이 진행되어 생성된 수분을 흡입하여 실내로 분사하는 팬이 각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케이스 내부의 물유도부 상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의 바닥면으로 형성되며, 물이 일정수위 이상 공급되면 저수구간 전체에 걸쳐 일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저수챔버의 내측으로 융기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융기된 끝단부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급수플레이트와; 상기 급수플레이트 하측의 저수챔버내부에 장착되어 급수플레이트에 의해 급수된 물을 균일하게 물유도부로 공급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가습, 흡수, 필터, 자외선살균, 은나노

Description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A Humidifier Having Function of Uniform Water Fee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급수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급수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수집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가실시예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급수부
21: 저수챔버 22: 급수플레이트
23: 융기부 25: 부직포
30: 물유도부 32: 유도체
40: 수집용기 41: 플로우트 밸브
50: 펌프구동부 60: 팬
70: 1 차 필터 71: 2 차 필터
80: 자외선 살균기 90: 은나노이온 발생장치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가습을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가습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물유도부로 급수되는 물이 장치의 급수구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급수되도록 하여 가습효율을 최적화하고, 공급되는 물의 오염성분 여과/살균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물 저장용기로 공급된 물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실내의 습도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저장된 물의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목적하는 공간에 적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소형의 장치와, 케이스의 내부에 물의 진행을 유도하는 물유도부를 구비하고 물유도부를 구성하는 유도체의 일측에서 팬을 구동하여 물의 진행에 생성되는 수분의 미립자를 실내로 분사 비산시키는 비교적 대형의 장치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가습장치는 소형의 장치일 경우, 주로 일반가정이나 소형의 공간에 가습을 수행할 때 사용되어지며, 대형의 장치는 사무실, 식당 등의 업소용으로 적용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대형의 가습장치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노즐 구성의 급수부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급수된 물을 흡수하는 물유도부를 설치하여, 급수된 물이 물유도부의 유도체에 투입 되면 그 전방의 케이스에 설치된 팬이 구동하여 유도진행되는 물에 의해 생성된 수분을 강제 흡입하여 실내 측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체는 주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를 다수회 절곡하여 물이 흡수될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팬은 실내측으로 공기를 진행시키는 흡기팬이 적용되어지며, 물유도부의 하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수/하수를 저수하고, 물유도부에 의해 유도진행된 물이 수집되는 수집용기가 설치된다.
상기된 가습장치는 급수부가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하고 물이 급수됨에 따라 분사공을 통해 유도체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노즐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물이 최초 급수되는 파이프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유도체에 충분한 량이 공급될 수 있는 반면, 그 타측으로 물이 진행될 수록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져 물의 공급량이 적어지므로써 물유도부 상에서 불균일한 물공급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물 공급의 불균일은 일측의 유도체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되어 유도체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고, 팬의 흡입력이 발생하는 구간 상에서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공간으로 분사되는 수분의 분사량이 적어 가습효율을 낮추는 결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급수되는 물은 일반 상수/하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가습시 사용되는 물은 순수한 성분에 근접할 수록 그 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쾌적한 실내공간이 구현될 수 있는 것임은 주지된 것과 같지만, 상기 상수는 수처리 과정에서 사용 되는 약품이 상당량 함유되고, 하수는 여러 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상기된 높은 가습효율 및 실내공간의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더불어,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고, 유도체를 통과하여 수집용기에 수집된 물은 수집용기에서 넘치지 않도록 사용자가 그 수위를 일정시간마다 확인하여 물의 급수를 정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써, 유도체로 공급되는 물이 급수부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급수되는 상수/하수 또는 재활용을 위해 수집용기에 수집된 물을 재 순환할 때의 오염물질을 살균, 여과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집용기의 수위를 자동감지하여 일정 수위로 물이 저수되면 물의 공급을 자동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급수된 물을 흡수하는 물유도부, 물유도부를 통과한 물이 수집되고 외부의 상수/하수를 저수하는 수집용기, 수집용기에 수집되고 저수된 물을 급수부로 공급하는 펌프구동부, 물유도부에서 물이 진행되어 생성된 수분을 흡입하여 실내로 분사하는 팬이 각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케이스 내부의 물유도부 상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의 바닥면으로 형성되며, 물이 일정수위 이상 공급되면 저수구간 전체에 걸쳐 일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저수챔버의 내측으로 융기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융기된 끝단부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급수플레이트와; 상기 급수플레이트 하측의 저수챔버내부에 장착되어 급수플레이트에 의해 급수된 물을 균일하게 물유도부로 공급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집용기로 상수/하수가 공급되는 통로에 1 차 필터가 간섭설치되고, 수집용기에서 급수부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에는 2 차 필터가 간섭설치되어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수집용기는 저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해 일측 하단에 형성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배수통로에 간섭되도록 결합되어 물의 저수된 수위에 따라 배수통로가 개방/폐쇄되도록 단속하는 플로우트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급수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급수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 중 수집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는 케이스(10), 급수부(20), 물유도부(30), 수집용기(40), 펌프구동부(50), 팬(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각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 에 도어(11)가 힌지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를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어(11)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측면에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유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20)는 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저수챔버(21)와, 저수챔버(2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급수플레이트(22) 및 급수플레이트(22)를 통해 급수된 물을 통과시키는 부직포(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챔버(21)는 케이스(10) 내부의 물유도부(30) 상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저수되는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수플레이트(22)는 물이 일정수위 이상 공급될 때까지 물이 저수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융기부(23)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23)는 저수챔버(21)의 전 구간에 걸쳐 물의 공급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상호 등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형성되며, 융기된 끝단부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통공(24)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부직포(25)는 상기 융기부(23)에 의해 동시에 공급된 물이 흡수되어 전구간에 걸쳐 균일한 분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수플레이트(22)의 하측 저수챔버(21)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물유도부(30)는 케이스(10)의 내부 급수부(20)의 하측에 프레임(31)이 대략 직육면체의 테두리를 유지하며 결합되고, 급수된 물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가는 유도라인이 형성된 유도체(32)가 프레임(31)의 내부에 충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체(32)는 그 외면을 타고 물이 흘러 내리도록 한 파형의 부재이며, 이 부재는 좌, 우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 배열되어 공급된 물이 유도체(32)의 표면장력 및 파형의 형태에 의해 진행속도가 늦춰짐으로 인해 팬에 의해 흡입되는 수분의 량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수집용기(40)는 급수부(20)에 의해 공급되어 물유도부(30)를 통과한 물이 수집되고, 외부의 상수/하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수되기 위한 용기이며, 수집용기(40)로 상수/하수를 공급하는 통로에 설치된 플로우트 밸브(41)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우트 밸브(41)는 물의 부력에 의해 플로우트(float)가 떠오르는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된 밸브이며, 이는 일반적인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 보수, 교체시의 호환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구성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면 중 부호 42는 배수관이며, 이 배수관(42)은 저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해 형성된 관체로 배수된 물을 목적하는 외부의 지점까지 이송하기 위해 호스, 연장관 등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펌프구동부(50)는 수집용기(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집용기(40)에 저수된 물을 급수부(20)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며, 급수부(20)로 물이 진행되는 배관은 급수부(20)에서 요구(설계시 설정된)되는 물 공급 지점의 개수에 대응하여 분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구동부(50)도 일반적인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 보수, 교체시의 호환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으로써 그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하며, 물이 진행되는 배관을 분기하기 위한 구성은 Y, T 형 등의 분지조인트를 이용하는 것임은 주지 된 것과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외부에서 급수된 상수/하수는 각종 약제 또는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공급되고, 물유도부(30)를 통해 수집된 물은 유도체(32)의 입자 등이 함유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수집용기(40)로 상수/하수가 공급되는 통로에 1 차 필터(70)가 간섭설치되고, 수집용기(40)에서 급수부(20)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에는 2 차 필터(71)가 간섭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로는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상기 1 차 필터(70) 및 2 차 필터(71)는 이들 호스나 파이프의 물 진행구간 일 지점에 간섭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팬(60)은 물유도부(30)의 후방측 즉, 케이스(10)의 공기유입공(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기 위한 흡입팬을 구비하며, 팬(60)은 케이스(10)의 도어(11)에 1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개 설치하여 가습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장치는 외부에서 상수/하수가 공급되어 수집용기(40)에 저수되고, 저수된 물은 펌프구동부(50)에 의해 급수부(20)로 공급되며, 공급된 물은 물유도부(30)로 공급되어 유도체(32)에 흡수된다.
여기서, 상기 물유도부(30)로 공급되는 물은 급수부(20) 급수플레이트(22)의 전구간에 걸쳐 동시에 동일량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부직포(25)를 통과하며 급수구간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공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저수챔버(21)로 유입된 물이 저수챔버(21) 내에서 급수플레이트(22)의 융기부(23) 높이 이상으로 유입될 때까지 저수된 이 후, 각 융기부(23)의 통공(24)을 통해 일시에 공급됨으로 인해 구현되며, 상기 부직포(25)의 다공질 특성에 의해 균일한 분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이 흡수된 상태에서 팬(60)이 구동하게 되면, 케이스(10)의 공기유입공(1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팬(6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며, 동시에 유도체(32)를 통해 유도진행되는 물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 미립자도 흡입되어, 팬(60)에 의해 실내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상수/하수는 1 차 필터(70)에 의해 1차여과되고, 수집용기(40)에서 물유도부(30)를 통과하여 재급수되는 물과 혼합되어 급수부(20)로 급수될 때, 펌프구동부(50)와 급수부(20)의 물 공급통로에 설치된 2 차 필터(71)에 의해 2차 여과되어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되는 상수/하수 및 재급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집용기(40)는 그 내부에 물이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플로우트 밸브(41)가 구동하여 상수/하수의 공급을 차단하므로써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 후, 상기 물이 급수부(20)로 공급되어 일정수위보다 낮아질 때 플로우트 밸브(41)가 구동하여 상수/하수의 공급을 수행하게 된다.
<추가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가실시예 개략도이다.
도 1과 더불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추가실시예의 가습장치는 팬(60)의 일측에 항균/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나노실버를 발생시키는 은나노이온 발생기(90)가 설치되며, 수집용기(40)의 내부에 저수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기(8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은나노이온 발생기(90)는 팬(60)의 구동에 의해 수분이 비산되고 흡수되어 공간으로 분사되는 구간에 나노실버가 공급되기 위한 지점의 어느 곳이라도 무방하며, 은나노이온 발생기(90)는 가습되는 대상공간의 항균/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자외선 살균기는 저수된 물을 살균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구간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급수가 구현되어 유도체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고, 균일한 물의 공급에 따른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급수되는 상수/하수 및 수집용기에 수집된 물이 살균 및 여과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되므로써, 가습효율의 향상 및 보다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수집용기에 수집된 물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집되면 자동배수되어 수집용기 내의 물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물의 넘침 방지 및 사용자가 매 시간마다 수위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급수된 물을 흡수하는 물유도부, 물유도부를 통과한 물이 수집되고 외부의 상수/하수를 저수하는 수집용기, 수집용기에 수집되고 저수된 물을 급수부로 공급하는 펌프구동부, 물유도부에서 물이 진행되어 생성된 수분을 흡입하여 실내로 분사하는 팬이 각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케이스 내부의 물유도부 상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의 바닥면으로 형성되며, 물이 일정수위 이상 공급되면 저수구간 전체에 걸쳐 일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저수챔버의 내측으로 융기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융기된 끝단부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급수플레이트와;
    상기 급수플레이트 하측의 저수챔버내부에 장착되어 급수플레이트에 의해 급수된 물을 균일하게 물유도부로 공급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2.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는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통로에 간섭되도록 결합되어 물의 저수된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상태를 단속하는 플로우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3.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로 상수/하수가 공급되는 통로에 1차 필터가 간섭설치되고, 수집용기에서 급수부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에는 2차 필터가 간섭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4.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에는 저수된 물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5.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미립자의 수분을 흡입하여 분사하는 일측에 은나노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은나노이온 발생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KR1020050039932A 2005-05-13 2005-05-13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KR10062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32A KR100625329B1 (ko) 2005-05-13 2005-05-13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32A KR100625329B1 (ko) 2005-05-13 2005-05-13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59U Division KR200396767Y1 (ko) 2005-05-13 2005-05-13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329B1 true KR100625329B1 (ko) 2006-09-15

Family

ID=3763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32A KR100625329B1 (ko) 2005-05-13 2005-05-13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473A (zh) * 2020-11-06 2021-02-09 广东国士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全方位调节的旋转加湿器
WO2023282695A1 (ko) * 2021-07-09 2023-01-12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63A (ja) * 1992-05-11 1993-11-22 Daikin Ind Ltd 自然蒸発式加湿器の給水装置
KR19990060926A (ko) 1997-12-31 1999-07-26 이정국 고분자막을 이용한 가습공기 제조장치 및 가습공기 제조 방법
JPH11270883A (ja) 1998-03-20 1999-10-05 Mikuni Adec Corp 自然蒸発式加湿器
JP2003042488A (ja) 2001-07-30 2003-02-13 Hitachi Ltd 自然蒸発式加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63A (ja) * 1992-05-11 1993-11-22 Daikin Ind Ltd 自然蒸発式加湿器の給水装置
KR19990060926A (ko) 1997-12-31 1999-07-26 이정국 고분자막을 이용한 가습공기 제조장치 및 가습공기 제조 방법
JPH11270883A (ja) 1998-03-20 1999-10-05 Mikuni Adec Corp 自然蒸発式加湿器
JP2003042488A (ja) 2001-07-30 2003-02-13 Hitachi Ltd 自然蒸発式加湿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473A (zh) * 2020-11-06 2021-02-09 广东国士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全方位调节的旋转加湿器
WO2023282695A1 (ko) * 2021-07-09 2023-01-12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KR20230009685A (ko) * 2021-07-09 2023-01-17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KR102503529B1 (ko) * 2021-07-09 2023-02-28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0981349B1 (ko)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KR100860077B1 (ko)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2191776B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807192B1 (ko) 공기 소독 청정기
KR20100013525A (ko) 공기조화기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2018002224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JP2013106739A (ja) 空気清浄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清浄方法
KR100625329B1 (ko)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KR101594742B1 (ko) 축사용 이산화탄소 포집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공급시스템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200396767Y1 (ko)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KR20060020979A (ko) 공기 정화 겸용 가습기
CN101498483B (zh) 一种冲激式室内空气净化器
KR101277757B1 (ko) 청정산소가습기
KR20040105424A (ko)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
JP3158156U (ja) フィルタの洗浄処理装置及びフィルタ
KR20110043321A (ko) 은이온세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CN210009829U (zh) 一体化生物除臭装置
CN113654144A (zh) 一种空气循环式降温除尘负压风机组及其使用方法
KR100878009B1 (ko) 액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0937577B1 (ko) 공기정화장치
KR20050115216A (ko) 농산물 저장고 가습시스템
CN110726193A (zh) 一种加湿装置及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