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871B1 -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871B1
KR101611871B1 KR1020140094520A KR20140094520A KR101611871B1 KR 101611871 B1 KR101611871 B1 KR 101611871B1 KR 1020140094520 A KR1020140094520 A KR 1020140094520A KR 20140094520 A KR20140094520 A KR 20140094520A KR 101611871 B1 KR101611871 B1 KR 10161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lass
unit
wat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653A (ko
Inventor
이태구
한영해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영해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8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를 투영하는 유리;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에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유닛; 상기 유리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식물이 노출되며, 기저부는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식물 화단부; 상기 식물 화단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 화단부에서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고, 상기 식물이 배출하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토출하는 하부모듈; 일단은 상기 하부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된 물을 상기 식물에 분사 공급하는 물 분사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공급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using plate air purification}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이 점차 심해지면서, 인구가 밀집하고 있는 도심지에서의 미세먼지 증가와 매연과 같은 각종 유해 물질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들의 증가는 각종 질병과 아토피, 천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므로 최근에는 많은 가정 및 직장에서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여 이러한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사용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는 물리 필터를 이용하므로, 주기적인 필터 청소 및 교체를 수반해야 하므로 메인터넌스 시기를 놓칠 경우,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보다 악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물리 필터 대신 전기 집진 등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으며, 전기 집진으로 포집된 오염물질이 역류하여 공기를 오염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에어컨디셔너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성할 경우,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만, 디자인 적으로는 심미감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인테리어적인 부분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52617호 (2012.05.29.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128824호 (2012.03.14.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0861821호 (2008.09.29.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398613호 (2014.05.16.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301470호 (2013.08.23. 등록)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로서, 식물의 이산화탄소 흡수 및 산소배출의 기능과 증발산 기능을 이용하고, 식물과 토양 내 바이러스에 의한 공기 청정 효과를 이용하여 실내의 미세먼지 및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를 투영하는 유리;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에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유닛; 상기 유리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식물이 노출되며, 기저부는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식물 화단부; 상기 식물 화단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 화단부에서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고, 상기 식물이 배출하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토출하는 하부모듈; 일단은 상기 하부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된 물을 상기 식물에 분사 공급하는 물 분사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공급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닛은 상기 유리가 결합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유닛이 설치되며, 바깥쪽에는 흡기포트와 제 1 필터부재가 개재된 상부 패널이 결합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모듈이 설치되며, 바깥쪽에는 하부 패널이 결합하는 제 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유닛은 상기 유리로 형성된 식물 식생을 위한 내부 공간부와 구획을 설정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공급하는 제 2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화단부는 둘레면이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망사형 버킷; 상기 망사형 버킷 내부에 담지 되는 토양부; 및 상기 망사형 버킷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양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배수관을 가지는 물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물받이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식물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유닛은 상기 식물 식생이 이루어지는 유리로 구획된 공간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식물 상측에서 분사하는 노즐부; 일단은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배관부; 및 상기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상기 배관부를 통해 노즐부로 이송하는 펌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기 유리로 형성된 공간부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유닛은 전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포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흡기포트는 복수 개의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은 바닥면 및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포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과 토양의 자연적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하면서, 필터에 의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1차 정화하고, 물 분사에 의해 공기 중 미세먼지를 2차로 정화하므로,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습도 조절 기능까지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ED 조명을 이용하여 식물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식물의 식생을 통해 3차 정화가 가능하며, 식물에서 뿜어지는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실내 공간에 제공되므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처리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공기 청정기는 프레임 유닛(10), 유리(20), 흡기유닛(30), 식물 화단부(40), 하부모듈(50), 물 분사유닛(60) 및 조명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0)은 제 1 프레임(11), 제 2 프레임(12), 제 3 프레임(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은 상기 유리(20)가 결합되는 것으로, 가장 큰 넓이 및 용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이 식물 식생을 위한 공간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에서 식물의 증발산 작용 및 공기 청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의 상측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프레임(12)의 내부 공간에 후술할 흡기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2)의 크기는 설치되는 흡기유닛(3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가급적 콤팩트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12)에는 필요에 따라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작동 조절을 위한 조절기(1)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2)에는 상부 패널이 둘레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패널(2)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방부에는 복수 개의 흡기포트(2a)가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흡기유닛(30)에 공기를 전달 할 수 있다. 흡기포트(2a)는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다르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포트(2a)의 후단에는 제 1 필터부재(2b)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제 1 필터부재(2b)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입자들을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 3 프레임(13)은 상기 제 1 프레임(11)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내부 공간부에 하부모듈(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임(13)의 크기 역시 하부모듈(50)의 크기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프레임(12) 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프레임(13)에는 사면에 하부 패널(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패널(3)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 배기포트(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제 2 배기포트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유리(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에 결합되어, 내부에 밀폐된 식물 식생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리(20)는 필요에 따라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컬러유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조명장치(70)의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아울러, 조명효과를 부각하기 위해 도광판 형태의 형태로 조명장치(70)의 빛을 전달하여 면광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리(20)는 사면이 모두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설치되는 전방 및 측방만 투명하고 후방은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흡기유닛(30)은 상기 프레임 유닛(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20)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에 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흡기유닛(30)은 제 1 플레이트(31), 제 2 플레이트(32), 흡기덕트(33) 및 제 2 필터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1)와 제 2 플레이트(32)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31)(32)의 사이 공간부에는 흡기덕트(33)가 설치될 수 있다.
흡기덕트(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흡기포트(2a)를 통해 흡입되며, 제 1 필터유닛(2b)에 의해 1차로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유리(20)에 의해 형성된 식물 식생 공간부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필터부재(34)는 상기 유리(20)에 의해 형성된 식물 식생 공간부 측으로 공기를 전달함에 있어 다시 한 번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가급적 착탈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필터부재(34)는 상기한 제 1 필터부재(2b)와 함께 교체 또는 세척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식물 화단부(40)는 상기 유리(20)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20)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식물(P)이 노출되며, 기저부는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식물 화단부(40)는 망사형 버킷(41), 토양부(42), 물받이(43)를 포함할 수 있다.
망사형 버킷(41)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및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망사형 버킷(41)은 섬유형 매트로 구성하여, 상기 토양부(42)의 흙 입자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양부(42)는 상기 망사형 버킷(41)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며, 식물(P)이 식생할 수 있는 토양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부(42)에 식생되는 식물(P)은 공기정화식물로 이루어진 식물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식물(P)은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조명장치(70)에 의해 발생되는 인공광원에 의한 광합성을 통해 유리(20) 내부의 공간부에 유입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2차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식물(P)은 산세베리아, 안스리움, 인도고무나무, 홍콩야자나무, 싱고니움, 행문목 등 공기정화 기능이 탁월한 식물을 혼합하여 식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양부(42)는 상기한 식물(P)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하부에 위치한 배기유닛(52)의 배기부하에 의하여 인공토양을 통과하여 식물뿌리와 접촉함으로써 3차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물받이(43)는 상기 토양부(42)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며,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관(4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43a)은
하부모듈(50)은 상기 식물 화단부(4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 화단부(40)에서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고, 상기 식물이 배출하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토출할 수 있다. 하부모듈(50)은 상기 물받이(43)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51)와, 상기 식물(P)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51)는 내부 공간부에 후술할 펌프유닛(6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43)에서 배수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조(51)의 물은 t아기 토양부(42)를 통과한 물이다.
배기유닛(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51)의 전면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팬들은 상측으로부터 공기를 공급 받아, 바닥면 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이 작동하면, 상기 유리(20)로 형성된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토양부(42)를 통해 공기를 3차로 정화하면서 흡입된 공기를 바닥면 측에 형성된 제1 및 제 2 배기포트(3a)(3b)를 통해 실내 공간부로 배출할 수 있다.
물 분사유닛(60)은 일단은 상기 하부모듈(5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20)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된 물을 상기 식물(P)에 분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유닛(60)은 상기 식물(P) 식생이 이루어지는 유리(20)로 구획된 공간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식물 상측에서 분사하는 노즐부(61)와, 일단은 상기 노즐부(6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조(51)와 연결되는 배관부(62) 및 상기 저수조(51)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상기 배관부(62)를 통해 노즐부(61)로 이송하는 펌프유닛(63)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으로 분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미세한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물은 미세액적으로 유리(20)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분무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들과 결합하여 이들을 상기 토양부(42)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배관부(62)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노즐부(61)는 상기 배관부(62)로부터 분기되어 구성될 수 있다.
펌프유닛(63)은 통상의 워터 펌프로서, 흡입단은 상기 저수조(5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배출단은 상기 배관부(62)와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노즐부(61)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조명유닛(70)은 상기 프레임 유닛(10)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20)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공급한다. 조명유닛(70)은 다양한 광원으로 구성되어 인공조명을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LED 를 이용한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LED 광원의 색상은 인테리어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다른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 청정기를 작동하면, 상기 배기유닛(52)은 조절기(1)의 작동 명령에 따라 항상 작동하여, 유리(20)로 형성된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실내 공간부 측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배기유닛(52)을 계속해서 작동하면, 상기 공간부 측의 공기에는 부압이 걸리면서, 배출되는 공기만큼 상기 흡기유닛(30)을 통해 공간부 내측으로 실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1차적으로 제 1 및 제 2 필터유닛(2b)(34)에 의해 물리적으로 1차 필터링되고, 식물(P)의 광합성 및 호흡, 증발산 작용 등에 의해 2차 필터링될 수 있다. 또한, 토양부(42)를 통해서도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이 토양부(42)에서 3차 필터링되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식물(P)의 식생을 위해 필요한 수분은 저수조(51)에 저장된 물을 펌프유닛(63)을 통해 지속적으로 분무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노즐부(61)에 의해 분무되는 물은 식물(P)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유닛(2b)(34)을 통과하면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질들과 결합하면서, 이 오염물질들을 토양부(42) 측에 전달할 수 있다. 토양부(42)로 전달된 오염물질은 토양의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거나, 토양에 흡착되어 흡입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자연적 공기정화 기능이용하면서, 필터에 의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1차 정화하고, 물 분사에 의해 공기 중 미세먼지를 2차로 정화하므로,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습도 조절 기능까지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ED 조명을 이용하여 식물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식물의 식생을 통해 3차 정화가 가능하며, 식물에서 뿜어지는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실내 공간에 제공되므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조절기 2; 상부 패널
2a; 흡기포트 2b; 제 1 필터부재
3; 하부 패널 3a; 제 1 배기포트
3b; 제 2 배기포트 10; 프레임 유닛
11; 메인 프레임 12; 상부 프레임
13; 하부 프레임 20; 유리
30; 흡기유닛 31; 제 1 플레이트
32; 제 2 플레이트 33; 흡기덕트
34; 제 2 필터부재 40; 식물 화단부
41; 망사형 버킷 42; 토양부
43; 물받이 43a; 배수관
50; 하부모듈 51; 저수조
52; 배기유닛 60; 물 분사유닛
61; 노즐부 62; 배관부
63; 펌프유닛 70; 조명유닛

Claims (10)

  1.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를 투영하는 유리;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에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유닛;
    상기 유리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식물이 노출되며, 기저부는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식물 화단부;
    상기 식물 화단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 화단부에서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고, 상기 식물이 배출하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토출하는 하부모듈;
    일단은 상기 하부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된 물을 상기 식물에 분사 공급하는 물 분사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을 공급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화단부는,
    둘레면이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망사형 버킷;
    상기 망사형 버킷 내부에 담지 되는 토양부; 및
    상기 망사형 버킷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양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배수관을 가지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유닛은,
    상기 유리가 결합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유닛이 설치되며, 바깥쪽에는 흡기포트와 제 1 필터부재가 개재된 상부 패널이 결합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모듈이 설치되며, 바깥쪽에는 하부 패널이 결합하는 제 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기가 설치된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상기 유리로 형성된 식물 식생을 위한 내부 공간부와 구획을 설정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유리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공급하는 제 2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물받이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식물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유닛은,
    상기 식물 식생이 이루어지는 유리로 구획된 공간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식물 상측에서 분사하는 노즐부;
    일단은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배관부; 및
    상기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상기 배관부를 통해 노즐부로 이송하는 펌프유닛;을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로 형성된 공간부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전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포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흡기포트는 복수 개의 슬릿 형태로 마련된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바닥면 및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포트를 더 구비하는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0140094520A 2014-07-25 2014-07-25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161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20A KR101611871B1 (ko) 2014-07-25 2014-07-25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20A KR101611871B1 (ko) 2014-07-25 2014-07-25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53A KR20160012653A (ko) 2016-02-03
KR101611871B1 true KR101611871B1 (ko) 2016-04-12

Family

ID=5535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20A KR101611871B1 (ko) 2014-07-25 2014-07-25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8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068B1 (ko) * 2018-03-13 2018-10-04 이윤성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10020587A (ko)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스마트아그로 잔디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장치
KR102641890B1 (ko) * 2023-09-04 2024-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내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액티브 토양필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미세먼지 정화방법
KR102661326B1 (ko) 2022-12-06 2024-04-30 배범석 제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 테라리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82B1 (ko) 2017-11-07 2019-07-03 김보경 관상식물 재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977563B1 (ko) 2018-03-27 2019-08-28 정광준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CN111256236A (zh) * 2020-01-22 2020-06-09 杭州汉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病原微生物治理的植物净化空气系统
KR20230173396A (ko) 2022-06-17 2023-12-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변세포-특이적 프로모터 및 항시적 기공 열림을 유도할 수 있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684B2 (ja) 2007-04-26 2011-11-09 株式会社 欧倫ホーム 空気清浄機
KR100861821B1 (ko) 2008-03-19 2008-10-07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용 파이토 플랜터
KR101128824B1 (ko) 2011-07-01 2012-03-23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KR101301470B1 (ko) 2011-07-11 2013-08-29 (주)모이라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152617B1 (ko) 2012-03-05 2012-06-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복합 공기 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068B1 (ko) * 2018-03-13 2018-10-04 이윤성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10020587A (ko)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스마트아그로 잔디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장치
KR102661326B1 (ko) 2022-12-06 2024-04-30 배범석 제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 테라리움
KR102641890B1 (ko) * 2023-09-04 2024-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내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액티브 토양필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미세먼지 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5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871B1 (ko)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JP2022126794A (ja) 空気清浄機
WO2017008628A1 (zh) 空气净化器
KR101152787B1 (ko) 공기정화기의 유해물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48170A (ko)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WO2010033423A1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KR101873989B1 (ko) 야외용 먼지 털이 장치
KR102050586B1 (ko) 멀티형 공기 청정기 및 그 멀티형 공기 청정기 운전 제어방법
KR100899785B1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CN104296258A (zh) 室内空气净化器及基于该净化器的室内空气净化方法
KR101281110B1 (ko)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KR20190064175A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820578B1 (ko) 생태환경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정화 가습장치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KR102399438B1 (ko) 이끼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KR20200110840A (ko) 외벽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0868751B1 (ko) 공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101658191B1 (ko)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KR102042830B1 (ko) 습식 공기정화기
KR20220142159A (ko) 포그를 이용한 식물재배식 공기정화장치
KR100544028B1 (ko) 공기정화 및 방향용 조화화분
KR101977563B1 (ko)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KR200178342Y1 (ko)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테이블
KR20200002647U (ko)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KR102640806B1 (ko) 식물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