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63B1 -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7563B1 KR101977563B1 KR1020180096855A KR20180096855A KR101977563B1 KR 101977563 B1 KR101977563 B1 KR 101977563B1 KR 1020180096855 A KR1020180096855 A KR 1020180096855A KR 20180096855 A KR20180096855 A KR 20180096855A KR 101977563 B1 KR101977563 B1 KR 101977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water
- air
- housing
- friend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4F3/1603—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24F2003/1617—
-
- F24F2003/165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식물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고, 에어 포켓 구멍(교차 유로)으로 공기와 물을 교차하게 통과시켜 에어 포켓을 생성하여 공기 중에 있는 먼지를 씻어 내는 한편, 이끼와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제거, 피톤치드 생성, 산소 발생 등의 효과들을 제공하여 기존의 3개의 필터(프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의 효과를 대신해 비용 절감, 뛰어난 미감, 실내 공기의 질 개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블럭이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언제든지 사용자가 욕구에 따라 여러 가지의 블럭을 손쉽게 가감할 수 있어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각종 유해물질들을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 친화적이고 공기 정화에 탁월한 식물과 물을 이용한 복수의 블럭들을 다단으로 적층 배치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산업의 발달과 급속한 인구 증가로 인해 실생활이나 생산 소비의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중국발 미세먼지나 황사(유해물질)의 국내 유입에 따른 대기오염과, 그리고, 국내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각종 생활 쓰레기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공장이나 자동차에서 내뿜는 매연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은 아토피와 같은 피부 질환,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 각종 심혈관계 질환 등을 유발시켜 현대인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전세계적으로 대기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대내외적으로 이루어어지고 있으나, 복잡한 산업 구조로 인해 현실적으로 대기오염의 감소는 어렵기 때문에 각 개개인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 세균 등을 여과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청정하는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필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는 보통 인공적인 화학재료를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프리 필터, 탈취 필터 및 헤파 필터로 분류된다.
프리 필터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청정기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큰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리필터는 세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고, 향균 소재로 곰팡이나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탈취 필터는 냄새와 유해가스를 제거한다. 헤파 필터는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여과하는 필터로서, 0.3㎛상의 분진을 99.5%이상 제거할 수 있고, 담배연기, 바이러스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프리 필터는 공기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유기성 유해물질들이 들러붙기 때문에 대략 2~4주마다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고, 헤파 필터 또한 안정적인 여과를 위해서는 6개월마다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청정기는 물리 필터를 이용하므로 주기적인 필터 청소와 교체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교체 비용의 증가로 인한 관리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물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105호(등록일: 2010.01.07.)호에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105호에서는 관목이나 화초가 식재되는 식재용기와, 상기 식재용기 아래에 결합되고 활성탄이 장착되는 공기 정화체와, 상기 공기 정화체를 지지하고 공기를 흡입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아래에 위치되고 식재용기에서 배출된 여분의 물을 수용하는 수반을 포함하여 관목이나 화초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식물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숯 등의 활성탄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에 배출하는 화분 일체형 공기 청정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105호에서는 관목이나 화초는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관상용으로, 정서적 풍요로움이나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공기 질의 개선 효과는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공기 청정기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깨끗하게 청정하기 위해 물리 필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필터 청소와 교체가 여전히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7569호(등록일: 2003.03.1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8993호(등록일: 2008.09.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0411호(등록일: 2014.09.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2653호(공개일: 2016.02.03.) 등을 포함하여 선행문헌들에서는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공기정화기술이 제안되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105호와 마찬가지로 정서적 풍요로움이나 심미적 효과만을 제공할 뿐, 공기의 질을 개선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에 인공적인 화학재료를 기반으로 제작된 물리 필터(프리 필터, 탈취 필터 및 헤파 필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대비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면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이고 공기 정화에 탁월한 식물(이끼, 편백나무 등)과 물(살수, 안개 등)을 이용한 블럭을 다단으로 적층 배치하여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다단 설치된 복수 개의 블럭들을 설치 장소의 크기, 공기의 오염도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감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체 구조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구현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안개를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안개를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과 흡착시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의 입자 크기를 증가시켜 제거하는 안개블럭; 상기 안개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개블럭으로 물을 살수하는 제1 살수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물과 상기 제1 살수블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에어 포켓 구멍을 통해 상호 교차시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씻어내는 물필터블럭; 상기 물필터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식재된 이끼를 통해 피톤치드를 생성하고, 이끼 사이로 상기 물필터블럭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이끼블럭; 상기 이끼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끼블럭으로 물을 살수하는 제2 살수블럭; 상기 제2 살수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개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 상기 물필터블럭, 상기 이끼블럭 및 상기 제2 살수블럭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팬블럭; 상기 제1 팬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비된 편백나무칩을 통해 피톤치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팬블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편백나무블럭; 상기 편백나무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편백나무블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팬블럭; 상기 안개블럭의 일측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살수블럭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블럭; 및 상기 안개블럭의 일측부와 상기 물탱크블럭의 타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개블럭에서 배출되는 물을 세척하여 상기 물탱크블럭으로 공급하는 세척필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개블럭은 일측부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개 발생용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를 생성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키는 안개 발생기; 및 다수의 구멍에 각각 형성된 얇은 막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안개와의 흡착으로 인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여과하는 망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살수블럭은 상기 안개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살수펌프; 상기 살수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살수구멍을 통해 상기 안개블럭으로 살수하는 살수판; 및 물을 저장하여 상기 살수펌프로 공급하는 살수 펌프용 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필터블럭은 상기 제1 살수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와 물을 상호 교차로 통과시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포켓부; 및 상기 에어 포켓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필터블럭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포켓부는 공기와 물을 상호 교차시켜 통과시키는 복수 개의 교차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차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한 에어 포켓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위 조절체는 입수구멍을 통해 내부로 물이 입수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수위 조절체에 채워진 물을 출수구멍으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위 조절체의 물 높이는 상기 교차 유로의 물 높이보다 높게 하여 상기 수위 조절체의 출수구멍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입수구멍은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출수구멍은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차 유로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고여 있고, 상기 교차 유로의 입수구의 위치는 상기 교차 유로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교차 유로의 출수구의 위치는 교차 유로의 수위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끼블럭은 상기 물필터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공기와 물이 통과하는 공기 및 물 통과구멍이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된 바닥판, 이격판 및 이끼판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판은 상기 이끼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이끼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끼판에는 후면부에 망사를 통해 이끼가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살수블럭은 상기 이끼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수구멍을 통해 상기 이끼블럭으로 살수하는 살수판; 물을 저장하여 상기 살수판으로 공급하는 살수용 물통; 및 상기 살수판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백나무블럭은 상기 제1 팬블럭의 하우징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생하는 피톤치드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톤치드 발생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측에 설치된 망사와, 상기 망사에 설치된 편백나무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탱크블럭은 상기 안개블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세척필터블럭을 통해 세척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순환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박스는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대기 중에 있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팬블럭에 구비된 팬을 구동시켜 상기 안개블럭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블럭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개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 상기 물필터블럭, 상기 이끼블럭, 상기 제2 살수블럭, 상기 제1 팬블럭, 상기 편백나무블럭 및 상기 제2 팬블럭은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가감하여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에 인공적인 화학재료를 기반으로 제작된 물리 필터(프리 필터, 탈취 필터 및 헤파 필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대비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면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이고 공기 정화에 탁월한 식물(이끼, 편백나무 등)과 물(살수, 안개 등)을 이용한 블럭을 다단으로 적층 배치하여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하는 한편, 피톤치드 생성, 산소 발생 등의 효과들을 제공하고, 비용 절감, 뛰어난 미감, 실내 공기의 질 개선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다단 설치된 복수 개의 블럭들을 설치 장소의 크기, 공기의 오염도 또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가감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체 구조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와 수위 조절체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4는 도 1에 도시된 물탱크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블럭들 간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와 수위 조절체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4는 도 1에 도시된 물탱크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블럭들 간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1)는 자연 친화적이고 공기 정화에 탁월한 식물과 물을 이용한 복수의 블럭들을 다단으로 적층 배치하여 실내 오염된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하여 정화한다.
이러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1)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다단 적층된 안개블럭(11), 제1 살수블럭(12), 물필터블럭(13), 이끼블럭(14), 제2 살수블럭(15), 제1 팬블럭(16), 편백나무블럭(17), 제2 팬블럭(18)을 포함하고, 공기 정화와 이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블럭(19)과 세척필터블럭(20)을 더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개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개블럭(11)은 일측부에 공기 유입구(111a)가 마련된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개 발생용 물통(112a)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f)를 발생하고 발생된 안개(f)와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키는 안개 발생기(112)와, 다수의 구멍(113a)에 각각 형성된 얇은 막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안개(f)와의 흡착으로 인해 입자의 크기(부피)가 증가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여과하는 망사(113)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안개 발생기(112)와 망사(113)가 수용 설치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111)의 타측부(공기 유입구(111a)의 반대 측부)에는 제1 살수블럭(12)의 하우징(121)이 삽입 결합된다.
안개 발생기(112)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안개 발생용 물통(112a)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f)를 생성하여 하우징(111)의 내부로 토출한다.
도 2와 같이, 안개 발생기(112)로부터 토출되는 안개(f)는 하우징(111)의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은 안개(f)의 흡착으로 인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된 상태로 망사(113)로 유입된다.
망사(113)는 하우징(111)을 공기의 흐름방향과 수직하도록 설치되어 하우징(111)을 이분할 구획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구멍(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망사(113)의 구멍(113a)에는 안개 발생기(112)에서 발생된 안개(f)나 물방울 등이 낙하하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얇은 막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개(f)의 흡착으로 인해 크기(부피)가 증가된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이 망사(113)의 구멍(113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들러붙어 여과된다.
한편, 도 3에서 미설명된 '111b'는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살수블럭(12)은 안개블럭(11)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안개블럭(11)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살수블럭(12)은 안개블럭(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개블럭(11)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제1 살수블럭(12)은 안개블럭(11)의 하우징(111)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121a)가 마련된 하우징(121)과,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살수펌프(122)와, 살수펌프(122)로부터 공급된 물을 살수구멍(123a)을 통해 안개블럭(11)으로 살수하는 살수판(123)과, 물을 저장하는 살수 펌프용 물통(124)을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내부에 살수펌프(122), 살수판(123) 및 살수 펌프용 물통(124)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21a)가 형성된 측부)에는 안개블럭(11)의 하우징(11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살수펌프(122)는 외부에서 물(w)을 공급받아 유로를 통해 살수판(123)으로 공급한다. 물론, 살수펌프(12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w)이 저장되는 살수 펌프용 물통(124)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강한 압력으로 살수판(123)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살수판(123)은 살수펌프(122)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살수구멍(1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살수판(123)의 내부에는 살수펌프(122)에서 공급되는 물(w)을 각 살수구멍(123a)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기유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살수펌프(122)는 외부에서 물(w)이 공급되면 소정의 압력으로 살수판(123)으로 공급한다. 살수판(123)으로 공급된 물은 각 살수구멍(123a)을 통해 전방으로 살수된다.
도 1과 같이, 살수판(123)의 살수구멍(123a)을 통해 살수되는 물은 제1 살수블럭(12)의 전방에 결합된 안개블럭(11)의 망사(113)로 살수된다. 이때, 살수펌프(122)는 연속적으로 물을 살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교번적으로 물을 살수할 수 있다. 이는, 망사(113)에 얇은 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살수판(123)을 통해 망사(113)로 물을 살수하면, 살수되는 물에 의해 망사(113)에 형성된 얇은 막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망사(113)에 얇은 막이 형성되기 전에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이 그대로 망사(113)에 마련된 구멍(113a)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물을 망사(113)로 살수한 후 안개 발생기(112)에서 안개(f)가 발생되면, 살수 동작을 정지하여 망사(113)의 구멍(113a)에 표면장력에 의해 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여과한다.
도 2와 같이, 살수판(123)의 살수구멍(123a)을 통해 망사(113)로 살수된 물은 망사(113)를 통해 안개블럭(1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살수 펌프용 물통(124)에서 넘치는 물은 공기 통과 구멍(121b)을 통해 안개블럭(11)으로 떨어진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물필터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물필터블럭(13)은 제1 살수블럭(12)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제1 살수블럭(12)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물필터블럭(13)은 제1 살수블럭(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살수블럭(12)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물필터블럭(13)은 도 6과 같이, 제1 살수블럭(12)의 하우징(121)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131a)가 마련된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air)와 물(w)를 상호 교차로 통과시켜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에어 포켓부(132)와, 복수 개의 에어 포켓부(132) 사이에 설치되어 물필터블럭(13)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체(133)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내부에 복수 개의 에어 포켓부(132)와 수위 조절체(133)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도 1과 같이,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31a)가 형성된 측부)에는 제1 살수블럭(12)의 하우징(12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도 7과 같이, 복수 개의 에어 포켓부(132)는 일례로 상하좌우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앙에는 수위 조절체(13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에어 포켓부와 수위 조절체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8 및 도 9와 같이, 에어 포켓부(132)는 공기(air)와 물(w)을 상호 교차로 통과시켜 에어포켓(A)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물(w)이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도록 하여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각각의 에어 포켓부(132)에는 공기(air)와 물(w)을 상호 교차시켜 통과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교차 유로(132a)가 형성되어 있다. 교차 유로(132a)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한 에어 포켓 구멍으로서, 공기(air)와 물(w)을 교차시켜 통과시킨다.
도 6 및 도 8과 같이, 물(w)은 물필터블럭(13)의 후방, 즉 이끼블럭(14)으로부터 입수구(w_in)를 통해 교차 유로(132a)로 유입된 후 교차 유로(132a)의 출수구(w_out)를 통해 배출되고, 공기(air)는 물필터블럭(13)의 전방, 즉 제1 살수블럭(12)으로부터 교차 유로(132a)의 출수구(w_out)를 통해 유입된 후 교차 유로(132a)의 입수구(w_in)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물(w)과 공기(air)는 교차 유로(132a)의 내부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 즉, 반대방향으로 흐르고, 이러한 교차 과정에서 물(w)이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도 6 및 도 9와 같이, 수위 조절체(133)는 물필터블럭(13)의 수위를 조절한다.
이러한 수위 조절체(133)는 입수구멍(133a)을 통해 내부로 물(w)이 입수되어 내부에 물(w)이 채워지고, 수위 조절체(133)의 내부에 채워진 물(w)이 수위 조절체(133)의 수위(wl1)보다 높아지는 경우, 수위 조절체(133)에 채워진 물(w)을 출수구멍(133b)으로 배출하여 물필터블럭(13)의 내부에 채워진 물(w)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수위 조절체(133)의 물 높이(h1)는 교차 유로(132a)의 물 높이(h2)보다 높게(길게) 하여 수위 조절체(133)의 출수구멍(133b)으로는 공기(air)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기(air)는 에어 포켓부(132)의 교차 유로(132a)로 유입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수위 조절체(133)와 마찬가지로, 교차 유로(132a)의 내부에도 물(w)이 채워져 고여있다. 이때, 교차 유로(132a)의 입수구(w_in)의 위치는 교차 유로(132a)의 수위(wl2)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교차 유로(132a)의 출수구(w_out)의 위치는 교차 유로(132a)의 수위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수위 조절체(133)의 입수구멍(133a)은 수위 조절체(133)의 수위(wl1)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수위 조절체(133)의 출수구멍(133b)은 수위 조절체(133)의 수위(wl1)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끼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끼블럭(14)은 공정화 필터로 기능하는 블럭으로서, 인공적인 화학재료로 구성된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대체하는 필터로 기능한다.
이러한 이끼블럭(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필터블럭(13)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물필터블럭(13)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끼블럭(14)은 물필터블럭(13)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필터블럭(13)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도 10과 같이, 이끼블럭(14)은 물필터블럭(13)의 하우징(131)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141a)가 마련된 하우징(141)과, 하우징(141)의 내부에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순차 적층)되고 각각 공기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기 및 물 통과구멍(142a, 143a, 144a)이 공기 유입구(141a)와 상호 연통하도록 각각 형성된 바닥판(142), 이격판(143) 및 이끼판(144)을 포함한다.
하우징(141)은 내부에 바닥판(142), 이격판(143) 및 이끼판(144)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도 1과 같이,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41a)가 형성된 측부)에는 물필터블럭(13)의 하우징(13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바닥판(142)은 도 10과 같이, 이끼블럭(14)의 전방측으로 최외측에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141a)와 연통하도록 중앙에 공기 및 물 통과구멍(1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판(143)은 이끼판(144)과 바닥판(142)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이끼판(144)과 바닥판(14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142)과 마찬가지로, 공기 유입구(141a)와 연통하도록 공기 및 물 통과구멍(1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끼판(144)은 이격판(143)에 의해 바닥판(142)과 이격되어 그 후방측에 설치되고, 그 후면부에는 이끼(144a)가 식재되어 있다. 이끼(144a)는 이끼판(144)의 후면부에 망사(미도시)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이끼(144a)를 올려놓는 방법으로 식재한다.
이끼판(144)의 전방측에는 이끼(144a)의 성장을 위해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LED 조명(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끼판(144)에 식재된 이끼(144a)는 도 1과 같이, 이끼블럭(14)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제2 살수블럭(15)으로부터 물(w)을 공급받고, 상기 LED 조명을 통해 성장에 필요한 빛을 공급받아 성장하게 된다.
상기 LED 조명은 이끼판(144)의 전방측이 아닌 이끼블럭(14)의 후방측에 조립되는 제2 살수블럭(1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끼블럭(14)을 이용한 공기 정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물필터블럭(13)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ir)는 바닥판(142), 이격판(143) 및 이끼판(144)의 공기 및 물 통과구멍(142a)을 통해 이끼(144a)로 유입되고, 이끼(144A)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이끼(144a)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발생시키고, 이 과정에서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이끼의 효과는 하기 [표 1]로 정리할 수 있다.
효과 | 내용 |
피톤치드 (편백정유) 발생 |
1. 스트레스 완화 : 피톤치드를 흡입할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농도가 50%까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충북대 '동물 의학연구소) |
2. 항균효과 : 현재 사용중인 60여종의 항생제 중 편백정유의 항균효과는 10위 안에 들 정도로 강력함(충북대 '동물 의학연구소) |
|
3. 탈취효과 : 숲에서는 동물 사체의 악취가 심하게 나지 않는데, 그 이유가 피톤치드가 냄새의 원인 요소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기 때문임 |
|
4. 진정작용 ; 수면시간 연장, 혈압조절 가능 |
|
5.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 항균효과로 인한 '집먼지진드기'의 제거 |
|
미량금속 흡착능력 |
미량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자루(bag)에 토탄이끼와 터키이끼를 넣어 이끼의 미량원소오염정도를 측정한 결과 4개월 후 이끼의 미량원소농도가 두 배 이상 높아진 반면 자루의 농도는 낮아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탄소고정화 |
일반 식물과 다르게 단백질 및 탄수화물 등의 영양분이 거의 없는 이끼는 탄소 순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끼의 탄소 고정량은 일반 식물의 10배 이상으로 측정되고 있음. |
상기 [표 1]과 같이, 이끼는 피톤치드 발생으로 인해 스트레스 완화, 항균 및 탈취 효과, 진정 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등이 가능하고, 미량 금속 흡착능력이 우수하며, 탄소 고정량과 탄소 발생 능력이 일반 식물의 10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 살수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살수블럭(15)은 이끼블럭(14)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이끼블럭(14)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살수블럭(15)은 이끼블럭(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끼블럭(14)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제2 살수블럭(15)은 도 12와 같이, 이끼블럭(14)의 하우징(141)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151a)가 마련된 하우징(151)과, 하우징(151)의 내부에 설치되고 급수관(21)을 통해 살수구멍(152a)을 통해 이끼블럭(14)으로 살수하는 살수판(152)과, 물을 저장하는 살수용 물통(153)과, 살수판(15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154)를 포함한다.
하우징(151)은 내부에 살수판(152) 및 살수 펌프용 물통(153)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도 1과 같이,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51a)가 형성된 측부)에는 이끼블럭(14)의 하우징(14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살수판(152)은 도 12와 같이, 복수 개의 살수구멍(152a)이 형성되고, 급수관(21)을 통해 물(w)을 공급받아 복수 개의 살수구멍(152a)을 통해 이끼블럭(14)으로 물(w)을 살수한다. 바람직하게, 이끼판(144)의 후방측에 식재된 이끼(144a)로 살수된다. 이때, 살수판(152)의 내부에는 급수관(21)을 통해 공급되는 물(w)을 각 살수구멍(152a)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기유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살수판(152)의 전방측에는 살수용 물통(153)이 설치되고, 그 후방측에는 LED 조명(154)이 설치된다.
LED 조명(154)은 방수 처리가 되어 있고, 살수판(152)의 후방측에 상하로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살수판(152)을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LED 조명(154)에서 발산된 빛은 살수판(152)의 살수구멍(152a)을 통해 전방측에 결합된 이끼블럭(14)으로 조사된다.
즉, LED 조명(154)에서 발산된 빛은 살수판(152)의 살수구멍(152a)을 통해 이끼판(144)의 후방측에 식재된 이끼(144a)의 성장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빛을 제공한다.
한편, 살수판(152)은 기본적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LED 조명(154)에서 발산된 빛이 이끼블럭(14)으로 투과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151b'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구멍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팬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팬블럭(16)은 실내의 공기(air)를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살수블럭(15)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제2 살수블럭(15)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팬블럭(16)은 제2 살수블럭(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살수블럭(15)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제1 팬블럭(16)은 제2 살수블럭(15)의 하우징(151)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161a)가 마련된 하우징(161)과, 하우징(16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162)을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161)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61a)가 형성된 측부)에는 제2 살수블럭(15)의 하우징(15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도 1 및 도 14와 같이, 팬(162)이 구동하면, 제1 팬블럭(16)과 연통 결합된 제2 살수블럭(15), 이끼블럭(14), 물필터블럭(13), 제1 살수블럭(12) 및 안개블럭(11)을 통해 공기(air)가 흡입된 후 후방측에 결합된 편백나무블럭(17)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161b'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구멍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편백나무블럭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편백나무블럭(17)은 피톤치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안개블럭(11), 제1 살수블럭(12), 물필터블럭(13), 이끼블럭(14) 및 제2 살수블럭(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에 피톤치드를 제공하여 항균 및 살균한다.
이러한 편백나무블럭(17)은 공기 유입구(171a)가 마련된 하우징(171)과, 하우징(171)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생하는 피톤치드 발생부(172)를 포함한다.
하우징(171)은 제1 팬블럭(16)의 하우징(161)과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71a)가 형성된 측부)에는 제1 팬블럭(16)의 하우징(16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피톤치드 발생부(172)는 공기(air)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71)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172a)과, 바닥판(172a)의 후방측에 설치된 망사(172b)와, 망사(172b)에 설치된 편백나무칩(172c)을 포함한다.
편백나무칩(172c)은 편백나무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칩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이탈되지 않도록 망사(172b) 내부에 설치하거나 혹은 망사(172b)로 덮어 설치한다.
이러한 피톤치드 발생부(172)는 피톤치드를 생성하여 인공적인 화학재료로 구성된 탈취필터를 대체할 수 있다. 피톤치드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작용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 냄새를 제거한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2 팬블럭을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팬블럭(18)은 편백나무블럭(17)을 통해 배출된 공기(air)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편백나무블럭(17)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편백나무블럭(17)의 타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팬블럭(18)은 편백나무블럭(17)에 결합된 상태에서 편백나무블럭(17)과 상호 연통하게 된다.
제2 팬블럭(18)은 편백나무블럭(17)의 하우징(171)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181a)가 마련된 하우징(181)과, 하우징(18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입구(181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 배출구(181b)를 통해 배출하는 팬(182)을 포함한다.
하우징(181)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블럭 단위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블럭들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공기 유입구(181a)가 형성된 측부)에는 편백나무블럭(17)의 하우징(17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물탱크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물탱크블럭(19)은 제2 살수블럭(15), 이끼블럭(14), 물필터블럭(13), 제1 살수블럭(12) 및 안개블럭(11)에서 공기(air) 정화를 위해 사용된 물을 순환시켜 급수관(21)을 통해 다시 제2 살수블럭(15)으로 재공급한다.
물탱크블럭(19)은 도 20과 같이, 안개블럭(11)으로부터 배출되어 세척필터블럭(20)을 통해 세척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191a)가 마련된 하우징(191)과, 하우징(191)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w)을 급수관(21)으로 공급하는 순환펌프(192)와, 하우징(191)에서 순환펌프(192)로 공급되는 물(w)을 여과하는 여과기(193)와, 하우징(191)에 설치되어 하우징(191)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94)와, 수위센서(194)에서 감지된 수위를 토대로 순환펌프(192)를 제어하는 제어박스(195)를 포함한다.
제어박스(195)는 물탱크블럭(19)의 구성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하우징(191)의 외측, 즉 물탱크블럭(19)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195)는 먼지센서(195a)를 구비하여 대기 중에 있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감지한다. 제어박스(195)는 먼지센서(195a)를 통해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이 감지되면, 제1 및 제2 팬블럭(16, 18)의 팬(162, 182)을 구동시켜 안개블럭(11)의 공기 흡입구(111a)를 통해 블럭 내로 공기(air)를 흡입한다.
제어박스(195)는 수위센서(194)를 통해 물탱크블럭(19)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보다 높아지면, 순환펌프(192)를 가동시켜 여과기(193)로 물을 흡수한다. 그리고 여과된 물을 급수관(21)을 통해 제2 살수블럭(15)의 살수용 물통(153)으로 공급한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세척필터블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세척필터블럭(20)은 안개블럭(11)에서 배출되는 물(w)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201a)가 마련된 하우징(201)과, 하우징(20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물 유입구(201a)를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세척하는 세척필터(202)와, 세척필터(20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물(w)을 살균하는 살균 UV 램프(203)를 포함한다.
하우징(201)은 물탱크블럭(19)의 하우징(191)과 연통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도 1과 같이, 물탱크블럭(19)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부(전방측)가 물탱크블럭(19)의 하우징(191)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세척필터(202)는 안개블럭(11)을 통해 물 유입구(201a)로 유입되는 물(w)을 세척한다.
살균 UV 램프(203)는 도 22와 같이, 방수를 위해 세척필터(202)의 전방측에 마련된 수납부(201b)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러한 살균 UV 램프(203)는 상하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필터(202)로 UV를 조사하여 세척필터(202)를 통과하는 물(w)을 살균한다. 이때, 일례로, 살균 UV 램프(203)는 UV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물탱크블럭(19)와 세척필터블럭(20)은 하나의 물탱크 프레임(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탱크 프레임(22)의 일례가 도 24에 도시되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블럭들 간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안개블럭(11), 제1 살수블럭(12), 물필터블럭(13), 이끼블럭(14), 제2 살수블럭(15), 제1 팬블럭(16), 편백나무블럭(17), 제2 팬블럭(18)과 같은 블럭(이하, B1, B2로 표시함)들은 인접한 것끼리 억지 끼움방식으로 상호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블럭들(B1, B2)을 설치 장소의 크기, 공기의 오염도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블럭들의 개수를 가감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체 구조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방수처리를 위해 각 블럭(11~18)을 상호 조립한 후 이들 사이의 조립 부위에는 오링(o-ring)과 같은 패킹부재(1a)를 이용하여 밀폐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1)에서 오염된 공기(air)를 다단으로 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w)의 순환(흐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물탱크블럭(19)의 순환펌프(192)를 통해 급수관(21)으로 공급되는 물은 제2 살수블럭(15)의 살수용 물통(153)으로 공급되어 살수판(152)을 통해 이끼블럭(14)의 이끼판(144)에 식재된 이끼(144a)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끼블럭(14)으로 공급된 물은 다시 물필터블럭(13)의 에어 포켓부(132)를 통해 제1 살수블럭(12)으로 공급된 후 제1 살수블럭(12)의 살수판(123)을 통해 안개블럭(1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세척필터블럭(20)을 통해 세척 및 살균된 후 물탱크블럭(19)으로 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1)에서 공기(air)의 흐름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실내의 공기(air)는 제1 및 제2 팬블럭(16, 18)의 팬(162, 182)의 구동으로 인해 안개블럭(11)을 통해 흡입된 후 안개블럭(11), 제1 살수블럭(12), 물필터블럭(13), 이끼블럭(14), 제2 살수블럭(15), 제1 팬블럭(16), 편백나무블럭(17) 및 제2 팬블럭(18)을 통해 진환경 적층식 공기 정청기(1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1a : 패킹부재
air : 공기 w : 물
11 : 안개블럭 12 : 제1 살수블럭
13 : 물필터블럭 14 : 이끼블럭
15 : 제2 살수블럭 16 : 제1 팬블럭
17 : 편백나무블럭 18 : 제2 팬블럭
19 : 물탱크블럭 20 : 세척필터블럭
21 : 급수관 22 : 물탱크 프레임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 하우징
111a, 121a, 131a, 141a, 151a, 161a, 171a, 181a : 공기 유입구
111b :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
112 : 안개 발생기 112a : 안개 발생용 물통113 : 망사
113a : 구멍(망사) f : 안개
121b, 151b, 161b : 공기 통과 구멍 122 : 살수펌프
123, 152 : 살수판 123a, 152a : 살수구멍
124 : 살수 펌프용 물통 132 : 에어 포켓부
132a : 교차 유로(에어 포켓 구멍) 133 : 수위 조절체
133a : 입수구멍 133b : 출수구멍
A : 에어포켓 142 : 바닥판
143 : 이격판 144 : 이끼판
142a, 143a, 144a : 공기 및 물 통과구멍
153 : 살수용 물통 154 : LED 조명
162, 182 : 팬 172 : 피톤치드 발생부
172a : 바닥판 172b : 망사
172c : 편백나무칩 181b : 공기 배출구
191a, 201a : 물 유입구 192 : 순환펌프
193 : 여과기 194 : 수위센서
195 : 제어박스 195a : 먼지센서
202 : 세척필터 203 : 살균 UV 램프
201b : 수납부
air : 공기 w : 물
11 : 안개블럭 12 : 제1 살수블럭
13 : 물필터블럭 14 : 이끼블럭
15 : 제2 살수블럭 16 : 제1 팬블럭
17 : 편백나무블럭 18 : 제2 팬블럭
19 : 물탱크블럭 20 : 세척필터블럭
21 : 급수관 22 : 물탱크 프레임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 하우징
111a, 121a, 131a, 141a, 151a, 161a, 171a, 181a : 공기 유입구
111b :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
112 : 안개 발생기 112a : 안개 발생용 물통113 : 망사
113a : 구멍(망사) f : 안개
121b, 151b, 161b : 공기 통과 구멍 122 : 살수펌프
123, 152 : 살수판 123a, 152a : 살수구멍
124 : 살수 펌프용 물통 132 : 에어 포켓부
132a : 교차 유로(에어 포켓 구멍) 133 : 수위 조절체
133a : 입수구멍 133b : 출수구멍
A : 에어포켓 142 : 바닥판
143 : 이격판 144 : 이끼판
142a, 143a, 144a : 공기 및 물 통과구멍
153 : 살수용 물통 154 : LED 조명
162, 182 : 팬 172 : 피톤치드 발생부
172a : 바닥판 172b : 망사
172c : 편백나무칩 181b : 공기 배출구
191a, 201a : 물 유입구 192 : 순환펌프
193 : 여과기 194 : 수위센서
195 : 제어박스 195a : 먼지센서
202 : 세척필터 203 : 살균 UV 램프
201b : 수납부
Claims (14)
- 안개를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안개를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과 흡착시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의 입자 크기를 증가시켜 제거하는 안개블럭;
상기 안개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개블럭으로 물을 살수하는 제1 살수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물과 상기 제1 살수블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에어 포켓 구멍을 통해 상호 교차시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씻어내는 것으로, 상기 제1 살수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와 물을 상호 교차로 통과시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포켓부 및 상기 에어 포켓부 사이에 설치되어 물필터블럭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체로 구성되는 물필터블럭;
상기 물필터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식재된 이끼를 통해 피톤치드를 생성하고, 이끼 사이로 상기 물필터블럭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이끼블럭;
상기 이끼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끼블럭으로 물을 살수하는 제2 살수블럭;
상기 제2 살수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개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 상기 물필터블럭, 상기 이끼블럭 및 상기 제2 살수블럭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팬블럭;
상기 제1 팬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비된 편백나무칩을 통해 피톤치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팬블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편백나무블럭;
상기 편백나무블럭의 타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편백나무블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팬블럭;
상기 안개블럭의 일측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살수블럭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블럭; 및
상기 안개블럭의 일측부와 상기 물탱크블럭의 타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개블럭에서 배출되는 물을 세척하여 상기 물탱크블럭으로 공급하는 세척필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블럭은,
일측부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개 발생용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를 생성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키는 안개 발생기; 및
다수의 구멍에 각각 형성된 얇은 막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안개와의 흡착으로 인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여과하는 망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수블럭은,
상기 안개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살수펌프;
상기 살수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살수구멍을 통해 상기 안개블럭으로 살수하는 살수판; 및
물을 저장하여 상기 살수펌프로 공급하는 살수 펌프용 물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포켓부는 공기와 물을 상호 교차시켜 통과시키는 복수 개의 교차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차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한 에어 포켓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체는 입수구멍을 통해 내부로 물이 입수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수위 조절체에 채워진 물을 출수구멍으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체의 물 높이는 상기 교차 유로의 물 높이보다 높게 하여 상기 수위 조절체의 출수구멍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입수구멍은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수위 조절체의 출수구멍은 상기 수위 조절체의 수위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유로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고여 있고, 상기 교차 유로의 입수구의 위치는 상기 교차 유로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교차 유로의 출수구의 위치는 교차 유로의 수위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블럭은,
상기 물필터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전방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공기와 물이 통과하는 공기 및 물 통과구멍이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된 바닥판, 이격판 및 이끼판; 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판은 상기 이끼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이끼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끼판에는 후면부에 망사를 통해 이끼가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수블럭은,
상기 이끼블럭의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수구멍을 통해 상기 이끼블럭으로 살수하는 살수판;
물을 저장하여 상기 살수판으로 공급하는 살수용 물통; 및
상기 살수판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블럭은,
상기 제1 팬블럭의 하우징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톤치드를 발생하는 피톤치드 발생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톤치드 발생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측에 설치된 망사와, 상기 망사에 설치된 편백나무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블럭은,
상기 안개블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세척필터블럭을 통해 세척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순환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대기 중에 있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팬블럭에 구비된 팬을 구동시켜 상기 안개블럭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블럭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블럭, 상기 제1 살수블럭, 상기 물필터블럭, 상기 이끼블럭, 상기 제2 살수블럭, 상기 제1 팬블럭, 상기 편백나무블럭 및 상기 제2 팬블럭은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가감하여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887 | 2018-03-27 | ||
KR20180034887 | 2018-03-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7563B1 true KR101977563B1 (ko) | 2019-08-28 |
Family
ID=6777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6855A KR101977563B1 (ko) | 2018-03-27 | 2018-08-20 |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75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5229A1 (ko) * | 2020-09-10 | 2022-03-17 | 강현진 | 선태식물 필터유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필터유닛 |
KR102673547B1 (ko) * | 2023-03-22 | 2024-07-05 |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 직렬연결구조의 스마트팜 수경 재배 시스템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130U (ja) * | 1993-08-06 | 1995-03-07 | 東リ株式会社 | 植物水耕栽培装置 |
KR100377569B1 (ko) | 2000-12-20 | 2003-03-26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
JP3814063B2 (ja) * | 1996-11-01 | 2006-08-23 | クリニ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 空気清浄装置 |
KR100858993B1 (ko) | 2007-04-27 | 2008-09-1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
KR100937105B1 (ko) | 2008-10-30 | 2010-01-15 | 손치호 | 화분 일체형 공기청정기 |
KR101440411B1 (ko) | 2014-05-16 | 2014-09-17 | 주식회사 에코빅 | 공기정화기 |
KR20160012653A (ko) | 2014-07-25 | 2016-02-03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KR20160118614A (ko) * | 2015-04-02 | 2016-10-12 | 주식회사 유창실크 | 편백나무를 이용한 천연 공기 정화기 |
-
2018
- 2018-08-20 KR KR1020180096855A patent/KR101977563B1/ko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130U (ja) * | 1993-08-06 | 1995-03-07 | 東リ株式会社 | 植物水耕栽培装置 |
JP3814063B2 (ja) * | 1996-11-01 | 2006-08-23 | クリニ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 空気清浄装置 |
KR100377569B1 (ko) | 2000-12-20 | 2003-03-26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
KR100858993B1 (ko) | 2007-04-27 | 2008-09-1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
KR100937105B1 (ko) | 2008-10-30 | 2010-01-15 | 손치호 | 화분 일체형 공기청정기 |
KR101440411B1 (ko) | 2014-05-16 | 2014-09-17 | 주식회사 에코빅 | 공기정화기 |
KR20160012653A (ko) | 2014-07-25 | 2016-02-03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KR20160118614A (ko) * | 2015-04-02 | 2016-10-12 | 주식회사 유창실크 | 편백나무를 이용한 천연 공기 정화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5229A1 (ko) * | 2020-09-10 | 2022-03-17 | 강현진 | 선태식물 필터유닛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필터유닛 |
KR102673547B1 (ko) * | 2023-03-22 | 2024-07-05 |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 직렬연결구조의 스마트팜 수경 재배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07619B2 (en) | Biological air filter | |
CN104964348B (zh) | 一种空气净化器 | |
KR101791677B1 (ko) | 습식 공기세척기 | |
CN102934588B (zh) | 多功能室内除污植物墙 | |
KR101429678B1 (ko) |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 |
US7722708B2 (en) |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11871B1 (ko) |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
CN204682200U (zh) | 一种具有生态空气净化功能的植物鱼缸 | |
KR101977563B1 (ko) | 자연 친화적인 공기 정화 매개체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식 공기 청정기 | |
CN108837624B (zh) | 一种室内用空气净化设备 | |
CN201195077Y (zh) | 一种复合式室内空气净化交换系统 | |
KR20190119861A (ko) |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
CN104019499B (zh) | 具有增湿和杀菌性能的空气净化器 | |
CN107754529B (zh) | 一种基于水旋装置的循环式空气净化设备 | |
KR100868751B1 (ko) | 공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 |
CN101571306A (zh) | 空气净化器 | |
KR102091526B1 (ko) | 공기 집진기 | |
KR100810996B1 (ko) |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 |
KR100209822B1 (ko)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 |
KR200178342Y1 (ko) |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테이블 | |
KR200172475Y1 (ko) | 화분받침대와 관엽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
KR200394637Y1 (ko) | 가습형 공기 청정기 | |
JPH0515885A (ja) |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 |
KR20060133636A (ko) | 가습형 공기청정기 | |
TWM611977U (zh) | 空氣換氣裝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