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519B1 -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519B1
KR100998519B1 KR1020080085787A KR20080085787A KR100998519B1 KR 100998519 B1 KR100998519 B1 KR 100998519B1 KR 1020080085787 A KR1020080085787 A KR 1020080085787A KR 20080085787 A KR20080085787 A KR 20080085787A KR 100998519 B1 KR100998519 B1 KR 10099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filter
ozone wat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684A (ko
Inventor
최금란
Original Assignee
에스앤이지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이지텍(주) filed Critical 에스앤이지텍(주)
Priority to KR102008008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5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는 내부가 빈 사각 형상의 케이스; 필터와, 모터로 구동하는 팬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의 작동으로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필터로 필터링한 후 케이스의 전면으로 배출하도록 한 필터링수단; 및 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호스와 그 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오존수를 생성하도록 한 오존발생기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존발생기가 생성한 호스로부터의 오존수를 필터가 함수할 수 있게 공급하도록 한 오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항상 최적의 실내 공기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오존수, 오존발생기, 필터, 팬, 공기정화, 살균

Description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OZONIED-WATER}
본 발명은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존수를 함수하는 필터에 의해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함으로써 최적의 실내 공기질을 확보하도록 한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말하는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로 바꾼다.
근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279743호 등 다수의 선행기술 자료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필터 측에 오존발생기를 장착하여 필터링된 공기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공기를 살균하거나 악취 등을 탈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기술은 계속 유동하는 공기에 단순히 오존을 공급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간혹 살균, 탈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공기가 실내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존수를 함수하는 필터에 의해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함으로써 최적의 실내 공기질을 확보하기 위한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사각 형상의 케이스; 필터와, 모터로 구동하는 팬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의 작동으로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필터로 필터링한 후 케이스의 전면으로 배출하도록 한 필터링수단; 및 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호스와 그 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오존수를 생성하도록 한 오존발생기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존발생기가 생성한 호스로부터의 오존수를 필터가 함수할 수 있게 공급하도록 한 오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존수공급수단은 호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호스로부터의 오존수를 저장하며 하부에 형성한 출수공들을 통해 저장한 오존수를 필터로 공급하도록 한 오존수저장통과, 필터의 하부에 위치하며 필터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존수를 집수하여 하부로부터 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상면만을 개구한 배수통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스는 좌우 측면과 전면에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통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링수단은 내부가 빈 사각형상을 이루어 케 이스의 배면에 설치되며 전면 중앙에는 케이스의 전면통공들을 향하는 다수의 제1통기공들을 배열 형성함과 아울러 전면 좌우 양측에는 제2통기공을 각각 형성한 제1공기유도부재와, 하부에 제2통기공들과 연락하는 제3통기공을 갖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을 이루어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측을 향하는 측면 상부에는 제4통기공을 형성한 제2공기유도부재를 포함하며, 팬은 제2공기유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공기유도부재의 제4통기공을 통해 케이스의 측면통공들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한 공기를 제3통기공, 제1공기유도부재의 제2 및 제1통기공들을 순차로 경유시켜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배출하고, 필터는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에 제1통기공들을 덮도록 설치되어 제1통기공들을 빠져 나와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빠져 나가는 공기를 필터링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공기유도부재의 사이에는 필터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설치대가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더 입설되고, 오존수저장통은 설치대들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수통은 설치대들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의 하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케이스의 전면통공들과 제1통기공들의 사이에 하나의 폐쇄공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제1통기공들로부터 빠져 나오는 공기가 폐쇄공간의 안내를 받아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원활하게 빠져 나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는 내부에 1개 이상의 수납칸을 갖는 필터 고정수단에 끼움 수납됨으로써 설치대들에 탈착되게 설치되고, 필터 고정수단은 전후면과 수납칸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제1통기공들과 대응하는 제5통기공들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 하면을 개구한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바이러스나 세균,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악취 등의 냄새가 효과적으로 제거, 살균 및 탈취됨으로써 항상 최적의 실내 공기질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케이스를 2개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를 제외한 도 2에서 도면부호 170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면부호 170으로부터 도면부호 130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는 내부가 빈 사각 형상의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는 하기 구성요소들의 설치 장소를 마련하는 배면(11)과 그 배면(11)을 덮어 케이스(10)의 전면과 측면들을 형성하는 덮개(도면부호 미표시)로 이루어진 구조이고, 좌우 측면과 전면에는 내외부를 연락하는 다수의 통공들(13,15)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다시 실내로 돌려 보내는 필터링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는데, 필터링수단(100)은 제1공기유도부재(110), 제2공기유도부재(120), 필터(130) 및 모터(140)로 구동되는 팬(150)을 구비하여 이를 구현하고 있다.
제1공기유도부재(110)는 내부가 빈 사각형상을 이루어 케이스(1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 중앙에 케이스(10)의 전면통공들(13)을 향하는 다수의 제1통기공들(111)을 배열 형성하고, 전면 좌우 양측에는 제2통기공(113)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제2공기유도부재(120)는 하부에 제2통기공들(113)과 연락하는 제3통기공(121)을 갖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을 이루어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측을 향하는 측면 상부에는 제4통기공(123)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팬(150)은 제2공기유도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필터(130)는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전면에 제1통기공들(111)을 덮도록 설치되어, 팬(150)이 흡입한 실내 공기를 필터(130)가 필터링해서 실내로 돌려 보내고 있다.
이때 모터(140)는 제2공기유도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팬(150)을 구동하고 있고, 팬(150)은 제4통기공(123)의 전 길이에 걸쳐 공기를 골고루 흡입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모터(140)의 작동으로 팬(150)이 회전하면, 케이스(10)의 측면통공들(15)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제4통기공(123)을 거쳐 제2공기유도부재(120)의 내부 로 유입된다. 이후 실내 공기는 서로 연락하는 제3 및 제2통기공들(121,113)에 의해서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통기공들(111)을 통해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내부로부터 빠져 나와 케이스(10)의 전면통공들(13)을 통과함으로써 실내로 돌아간다. 필터(130)는 제1통기공들(111)을 빠져 나와 전면통공들(13)로 빠져 나가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이때 필터(130)는 오존수를 함수하고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제거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함과 아울러 냄새를 탈취하고 있다. 필터(130)는 친수성 여진필터로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의 통과와 오존수의 함수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해 예컨대, 폴리우레판 폼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130)는 오존수공급수단(200)으로부터 오존수를 공급받아 통과 중인 공기로부터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함과 아울러 냄새를 탈취한다.
오존수공급수단(20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130)에 오존수를 공급한다. 오존수공급수단(200)은 케이스(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호스(201)에 수도꼭지 등을 연결하여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고 있고, 호스(201)의 중간에 오존발생기(203)를 설치해서 필터(130)에 공급되는 오존수를 생성하고 있다.
오존발생기(203)는 잘 알려진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방전방식을 채용한 오존발생기를 사용하나, 정수기, 수도꼭지, 세탁기, 샤워기 등에 장착되는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0061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929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64926호, 한국 등록실용 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68310,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7245호 등 다수의 선행자료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오존발생기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처럼 오존발생기(203)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수는 필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존수저장통(207)에 일시 저장된 후 필터(130)로 공급된다. 오존수저장통(207)은 필터(130)의 길이를 따르는 예컨대, 막대 형상의 통체로서 호스(201)와 연결되어 오존수를 공급받고, 하부에 형성한 다수의 출수공(207a)을 통해 저장한 오존수를 필터(130)로 공급한다.
필터(130)의 하부에는 상면만을 개구한 즉, 단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의 배수통(211)을 설치하여 필터(130)로부터 흘러 내리는 오존수를 집수하고 있고, 배수통(211)은 하부로부터 케이스(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구(211a)를 통해서 집수한 오존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필터(130)에 함수되어 흘러 내리는 오존수는 필터(130)에 포집되는 미세먼지를 씻어 내리기 때문에 필터(130)의 빈번한 교체나 청소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다 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함유하여 배출된다.
이처럼 실내 공기가 오존수를 함수하는 필터(130)에 의해 스크린된 상태에서 통과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며,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져, 실내 공간에는 최적의 공기질이 확보된다.
호스(201)와 배출구(211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0)의 하면에 형성 되는 구멍들을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0)의 내외부를 관통한다.
한편 제2공기유도부재(120)의 사이에는 필터(130)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설치대(311,313)가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입설되어 있다. 즉 띠 모양의 설치대들(311,313)이 제1공기유도부재(110)의 상하 길이를 따라 세워져 있는데, 이러한 설치대들(311,313)은 필터(130)의 상하부에 오존수저장통(207)과 배수통(211)을 설치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그런데 오존수저장통(207)이 설치대들(311,313)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수통(211)이 설치대들(311,313)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130)의 하부에 위치하면, 케이스(10)의 전면통공들(13)과 제1통기공들(111)의 사이에는 설치대들(311,313)과 오존수저장통(207) 및 배수통(211)이 벽면을 이루는 하나의 폐쇄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그 폐쇄공간(S)의 안내를 받아 제1통기공들(111)로부터 빠져 나오는 공기는 케이스(10)의 전면통공들(13)로 원활하게 빠져 나갈 수 있게 되므로서, 결국 설치대들(311,313)은 오존수저장통(207)과 배수통(211)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그들(207,211)과 더불어 공기의 진행을 안내할 수 있는 공간(S)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필터(130)는 설치대들(311,313)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내부에 1개 이상의 수납칸(171)을 갖는 필터 고정수단(170)에 끼움 수납됨으로써 설치대들(311,313)로부터 탈착되게 설치된다. 필터 고정수단(170)은 전면 좌우 양측에 ㄱ자 모양의 브라켓(173)을 돌출 형성하여 그 브라켓(173)을 설치대들(311,313)에 걸친 후 나사나 볼트로 조임으로써 필터(130)를 설치대들(311,313)로부터 탈착되게 설치하고 있고, 필터(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필터 고정수단(170)은 전후면과 수납칸(171)을 구획하는 구획판(174)에 제1통기공들(111)과 대응하는 제5통기공들(175)을 형성하여 제1통기공들(111)과 전면통공들(13) 사이에서 공기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고, 상하면을 개구함으로써 오존수저장통(207)과 배수통(211) 사이에서 오존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교체 등을 위한 필터(130)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오존수저장통(207)의 출수공(207a)은 필터(130)의 배열에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필터(130)가 2열로 배열되면 그에 따라 출수공(207a)도 2열로 배열됨이 바람직하고, 1열에 대한 출수공(207a)의 수는 필터(130) 크기 등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항상 최적의 실내 공기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케이스를 2개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를 제외한 도 2에서 도면부호 170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면부호 170으로부터 도면부호 130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1:배면
13:전면통공 15:측면통공
100:필터링수단 110:제1공기유도부재
111:제1통기공 113:제2통기공
120:제2공기유도부재 121:제3통기공
123:제4통기공 130:필터
140:모터 150:팬
170:필터 고정수단 171:수납칸
173:브라켓 174:구획판
175:제5통기공 200:오존수공급수단
201:호스 203:오존발생기
207:오존수저장통 207a:출수공
211:배수통 211a:배출구
311,313:설치대 S:폐쇄공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가 빈 사각 형상의 케이스;
    필터와, 모터로 구동하는 팬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의 작동으로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필터로 필터링한 후 케이스의 전면으로 배출하도록 한 필터링수단; 및
    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호스와 그 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오존수를 생성하도록 한 오존발생기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존발생기가 생성한 호스로부터의 오존수를 필터가 함수할 수 있게 공급하도록 한 오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오존수공급수단은 호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호스로부터의 오존수를 저장하며 하부에 형성한 출수공들을 통해 저장한 오존수를 필터로 공급하도록 한 오존수저장통과, 필터의 하부에 위치하며 필터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존수를 집수하여 하부로부터 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상면만을 개구한 배수통을 포함하고,
    케이스는 좌우 측면과 전면에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통공들을 형성하고,
    필터링수단은 내부가 빈 사각형상을 이루어 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되며 전면 중앙에는 케이스의 전면통공들을 향하는 다수의 제1통기공들을 배열 형성함과 아울러 전면 좌우 양측에는 제2통기공을 각각 형성한 제1공기유도부재와, 하부에 제2통기공들과 연락하는 제3통기공을 갖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을 이루어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측을 향하는 측면 상부에는 제4통기공을 형성한 제2공기유도부재를 포함하며,
    팬은 제2공기유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공기유도부재의 제4통기공을 통해 케이스의 측면통공들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한 공기를 제3통기공, 제1공기유도부재의 제2 및 제1통기공들을 순차로 경유시켜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배출하고,
    필터는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에 제1통기공들을 덮도록 설치되어 제1통기공들을 빠져 나와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빠져 나가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도부재의 사이에는 필터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설치대가 제1공기유도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더 입설되고, 오존수저장통은 설치대들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수통은 설치대들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필터의 하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케이스의 전면통공들과 제1통기공들의 사이에 하나의 폐쇄공간을 자연스럽게 형성 하여, 제1통기공들로부터 빠져 나오는 공기가 폐쇄공간의 안내를 받아 케이스의 전면통공들로 원활하게 빠져 나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내부에 1개 이상의 수납칸을 갖는 필터 고정수단에 끼움 수납됨으로써 설치대들에 탈착되게 설치되고, 필터 고정수단은 전후면과 수납칸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제1통기공들과 대응하는 제5통기공들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하면을 개구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1020080085787A 2008-09-01 2008-09-01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10099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87A KR100998519B1 (ko) 2008-09-01 2008-09-01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87A KR100998519B1 (ko) 2008-09-01 2008-09-01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84A KR20100026684A (ko) 2010-03-10
KR100998519B1 true KR100998519B1 (ko) 2010-12-07

Family

ID=4217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87A KR100998519B1 (ko) 2008-09-01 2008-09-01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5342C2 (ru) * 2012-02-02 2014-0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редных выбросов в атмосферу
ES2888173A1 (es) * 2020-06-25 2021-12-30 Sanchez Silverio Duenas Robot limpiador de superficies con sistema de desinfecció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9Y1 (ko) * 2004-10-12 2005-01-27 한월희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9Y1 (ko) * 2004-10-12 2005-01-27 한월희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84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908B1 (ko) 필터를 포함한 건조 장치
KR101010907B1 (ko) 건조 장치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1434751B1 (ko) 실내공기 정화 겸용 살균 소독기
JP7442279B2 (ja) 空気清浄機
KR100998519B1 (ko)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100995005B1 (ko) 음수공급장치
JP2007244762A (ja) 解剖台
KR102454132B1 (ko) 공기순환기
KR100983905B1 (ko) 활어수족관
JP3753602B2 (ja) 循環式エアーシヤワー装置
JP4014543B2 (ja) 医療器具用の除菌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器具用の保管庫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KR20190055869A (ko) 공기 청정기
KR100887607B1 (ko) 세라믹볼의 세척이 용이한 활수기
KR100937577B1 (ko) 공기정화장치
KR20130003329A (ko) 에어커텐을 구비한 냄새차단 개별환기 실험동물 사육장치
JP2003275129A (ja) 手乾燥装置
KR102640806B1 (ko) 식물 공기정화기
KR102635725B1 (ko)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KR101675405B1 (ko) 의류 탈취장치
KR102528231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정화시스템
KR102186418B1 (ko) 가습 공기청정기
CN210783473U (zh) 一种新型消毒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