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84B1 -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84B1
KR102419684B1 KR1020210133058A KR20210133058A KR102419684B1 KR 102419684 B1 KR102419684 B1 KR 102419684B1 KR 1020210133058 A KR1020210133058 A KR 1020210133058A KR 20210133058 A KR20210133058 A KR 20210133058A KR 102419684 B1 KR102419684 B1 KR 10241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partition wall
water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21013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태류(이끼식물)가 식재된 녹화 모듈(200)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탱크(130)의 수중펌프(140)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70)를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로 분무시켜 아래로 배수되고, 상기 이끼식물(10)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녹화 모듈(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후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탱크(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구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수중펌프(140)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양쪽 측면에 설치된 지주판(120)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18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구(183)가 형성된 사각형의 트레이 고정판(180);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 사이에 양쪽 측면이 체결 설치되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상부에 격벽(216,224)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2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224)의 상부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녹화 모듈(200); 상기 녹화 모듈(200)의 배관 삽입구(211)에 각각 배치되고,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관수용 배관(170); 및 상기 지주판(120) 사이에 제일 아래에 설치된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녹화 모듈(200)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필터로 정화시킨 후 수중펌프(140)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복수의 녹화 모듈(200) 각각에 설치된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Planting Module for Reducing Fine Dust and Module Type Planter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저감시키고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탁월한 선태류(이끼식물) 등 식물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고 차량의 운행이 증가하면서 배기가스와 같은 기존의 대기오염 물질에 더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새로운 유해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중국에서 유입되는 황사 이외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환경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이하인 입자상 물질로서 미세먼지(PM10), 극미세먼지(PM2.5), 초극미세먼지(PM1) 등으로 분류되고, 이는 각각 입자의 지름이 대략 10㎛, 2.5㎛, 1㎛ 이상인 입자상 물질을 의미한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여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인체에 침투하여 폐에서 걸러지지 않고 축적됨으로써 호흡기 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단순한 먼지가 아니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성분 및 카드뮴이나 납과 같은 중금속이 섞여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도시의 경우 고층건물로 인해 미세먼지가 도시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도시 안에 갇히는 정체 현상이 발생되어 도시의 환경오염을 더욱 심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도시주변지역에 비해 여러가지 현상으로 도심의 온도가 높아지는 도시열섬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으로 여러가지 환경적지표가 나빠져서 도시의 공기오염, 에너지과다소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감축하기 위해 도시숲을 조성하고 있으나 녹지 공간 마련과 예산 등의 이유로 추가조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로 이끼식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일부 실시된 바 있다.
그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858993호(등록일자: 2008.09.10)의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과, 국내 등록특허 제10-2114591호(등록일자: 2020.05.18.)의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함)와, 국내 등록특허 제10-2227576호(등록일자: 2021.03.08.)의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내용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함)과,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61794호(공개일자: 2021.05.28.)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함)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9-0135717호(공개일자: 2019.12.09.)의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와 이의 제어방법(이하, '선행기술문헌 5'라 함) 등이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5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용 전압(전기)으로 모터나 펌프를 작동시켜 공기를 강제로 흡배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비용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선형 및 높이 등으로 확장가능성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면적과 설치장소 등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않고 녹지가 부족한 곳에 녹화시설물을 설치하여 오염원을 줄이고,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8993호(등록일자: 2008.09.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591호(등록일자: 2020.05.1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태류(이하, '이끼식물'이라고도 함) 등의 식물을 활용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산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식물에 흡착하여 물로 씻겨 배수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녹화 모듈의 측단면을 곡선 모양으로 형성하여 측면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켜 상하로 설치된 녹화 모듈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이끼식물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주고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이끼식물에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식물을 다단으로 식재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의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이끼식물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아래로 배수시키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물에서 배수된 물을 트레이 하단의 물 저장공간에 저장시키고 다시 식물에게 공급하는 물 순환 방식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의 상부에 타공판, 부직포, 이끼식물, 보호망을 배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의 물 저장공간에서 배수관을 통해 배수된 물을 물 저장탱크에 모아서 저장하고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의 관수용 배관으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내 또는 실외 환경요소들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해 이끼의 생육에 최적화된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발생시켜 녹화장치 주변의 공기질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의 센서에서 측정된 빅데이터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양쪽 측면에 설치된 지주판(120)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18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구(183)가 형성된 사각형의 트레이 고정판(180);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 사이에 양쪽 측면이 체결 설치되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상부에 격벽(216,224)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2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224)의 상부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녹화 모듈(200); 상기 녹화 모듈(200)의 배관 삽입구(211)에 각각 배치되고,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관수용 배관(170); 및 상기 지주판(120) 사이에 제일 아래에 설치된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녹화 모듈(200)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필터로 정화시킨 후 수중펌프(140)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복수의 녹화 모듈(200) 각각에 설치된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130);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녹화 모듈(20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일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 상부몸체(210); 및 상기 상부몸체(210)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타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 하부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의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222)에 각각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햇빛 가람막(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상기 지주판(120) 사이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110);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330);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340);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물 저장탱크(13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60);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의 측정값과 현재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60); 상기 태양전지판(110)과 상기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끼식물(10)로 단일 또는 복수의 색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70); 및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수위센서(16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끼식물(10)의 생장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년/월/일/시 별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40)의 강약을 조절하여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0)과 상기 발광소자(3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일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 상부몸체(210); 및 상기 상부몸체(210)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타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 하부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예를 들어, 이끼식물 등)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산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저감, 탄소중립, 빗물활용 제품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의 저감으로 보행자 및 보행로 주변 생활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보행로의 쾌적성으로 도시미감 향상과 상권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끼 및 관련 제품의 활성화로 인한 경제적 효과가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비의 저감으로 가격경쟁력이 있으며 경제적 녹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끼 및 관련 제품의 활성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으며, 관련제품의 기술수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심지의 가로변, 도로변,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 대규모 녹지의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내부 및 외부, 지하철, 공항, 철도역, 고속버스 터미널, 버스정류장 등에 설치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이고 산소를 공급하며 녹시율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과 도시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녹화를 통해 대기오염(미세먼지 등) 및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이고 산소를 공급하며 녹시율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물의 순환 과정이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트레이 고정판(180)에 설치된 녹화 모듈(200)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녹화 모듈(200)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블록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은 사시도이고,
도 9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을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의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물의 순환 과정이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트레이 고정판(180)에 설치된 녹화 모듈(200)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녹화 모듈(200)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110), 지주판(120), 물 저장탱크(130), 수중펌프(140), 녹화 모듈(200), 타공판(230), 부직포(240), 보호망(250), 이끼식물(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110)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태양전지판(11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도 7의 310)에 저장되어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태양전지판(110)은 상기 지주판(12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의 양쪽 측면에 설치된 상기 지주판(120)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110)이 제일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물 저장탱크(130)가 제일 아랫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110)과 상기 물 저장탱크(130) 사이의 공간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녹화 모듈(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판(120)은 가볍고 녹이 슬지않으며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 또는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판(110)을 이용하여 1차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태양전지판(110)의 배터리(310)의 전원이 부족할 경우 한전의 상용전압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100)의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된 물과 우수(빗물)를 모을 수 있는 물 저장탱크(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물 저장탱크(130)는 다단으로 구성된 녹화 모듈(200)의 최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1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펌프(140)는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을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서는 필터로 정화시킨 물을 상기 수중펌프(140)를 통해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140)는 예를 들어, 12V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은 상기 지주판(120)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18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구(1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에는 상기 녹화 모듈(200)의 측면이 체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판(120) 사이에 수직으로 소정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하나의 몸체를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220)는, 상기 상부몸체(210)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의 격벽(216,224) 상부에는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망(250)은 고정용 매트(240)나 메쉬(mesh)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망(250) 대신에 와이어 또는 피아노선을 설치하여 상기 이끼식물(1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가볍고 녹이 슬지않으며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몸체의 단면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의 통과 및 접촉 면적을 늘리고 아랫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가이드하고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배관 삽입구(211)에 관수용 배관(1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는 물을 분무하기 위한 핀홀(미도시) 또는 스프레이(spray)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수용 배관(170)은 상기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아래에 설치된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세척하여 아랫쪽에 있는 물 저장공간(217,225)으로 흘러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녹화 모듈(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제일 아랫쪽에 있는 상기 물 저장탱크(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게 된다.
한편, 본 장치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흡착, 흡수 기능이 타 식물류보다 탁월한 이끼식물을 활용할 수 있다.
이끼식물(bryophytes)'은 이끼류(-類) 또는 선류(蘚類)에 속하는 작고 부드러운 식물을 의미한다. 선류(蘚類)·태류(苔類)를 포함하여 약 2만 3000종으로 이루어진 최초로 육상생활에 적응한 식물군으로 흔히 이끼식물이라고 한다. 이끼식물은 관다발 조직이 없고, 배우체가 광합성을 수행하면서 살아가는 선태식물이다. 줄기, 잎, 헛뿌리를 갖고 있으며 포자를 통해 번식한다. 이끼류는 육상에서 자라며 습한 땅, 바위 위, 썩은 나무, 나무줄기 등에 산다.
이끼식물은 전체 표면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며, 공기 중의 영양분 흡수를 위해 이온교환방식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표면에 흡착되고 흡착된 미세먼지는 비산되지 않는다.
이끼는 공기질 개선 효과가 탁월한 천연 공기 청정기로서, 일반적인 공기정화 식물과 비교했을 때 단위면적당 산소배출량이 800~1,000배에 이를 정도로 뛰어나며, 오염물질 제거 능력도 우수하고, 수분 저장 능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가습, 여름철에는 제습 기능을 발휘한다.
식물 종류별 톨루엔 제거효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허브류(19.48), 관엽류(9.41), 자생식물(16.16), 선인장(12.00), 다육식물(27.61), 이끼류(74.38)로 단연 이끼가 제거효율 면에서 월등하다.
또한, 음이온 발생량(개/mL)으로도 평균적으로 허브류(478.1), 관엽류(423.3), 양치류(311.5), 다육식물(91.6), 난류(311.5), 선인장(91.6), 자생식물(273.7), 이끼류(555.6)로 원예식물 종류별에서도 음이온 발생량에서 이끼가 탁월하다.
상대습도(%) 증가량에서도 허브류(25.3), 관엽류(16.2), 자생식물(19.6), 양치류(14.8), 선인장(1.73), 다육식물(4.51), 난류(15.46), 이끼류(34.5)로 이끼가 제습 역할로도 뛰어나다.
이끼식물은 상록수의 잎보다 3∼51배 많은 중금속을 축적할 수 있으며, 생산의 용이성, 공급의 용이성, 가격의 경쟁력이 있고, 건조에 강하고 온도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끼식물(1.0㎡)은 수목 15그루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있음이 연구결과 보고되었다(도 12 참조).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중펌프(140), 수위센서(160), 제어부(300), 배터리(310), 전원 스위치(320), 온습도 센서(330), 이산화탄소 센서(340), 미세먼지 센서(350), 디스플레이 패널(360), 발광소자(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중펌프(140)는 상기 물 저장탱크(13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7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중펌프(140)는 상기 물 저장탱크(130)의 물을 필터를 통해 정화시킨 다음 상기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위센서(160)는 상기 물 저장탱크(130)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위센서(16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센서(160)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물이 부족하거나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310)는 상기 태양전지판(110)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의 센서, 수중펌프(140), 디스플레이 패널(360), 발광소자(370) 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상기 배터리(310)에 과부하가 걸리면 배터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미도시)와, 상기 배터리(310)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전압안정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320)는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수중펌프(140), 상기 수위센서(160),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0), 상기 발광소자(370)의 작동을 온(ON)/오프(OFF) 스위치이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판(110)에서 생산한 상기 배터리(310)의 전원을 1차로 사용하고, 상기 배터리(310)의 전원이 부족할 경우 한전에서 공급하는 상용 전압을 2차 전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온습도 센서(330)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는 대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는 대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며,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
이처럼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의 측정값과 현재 기상정보, 날짜정보 등을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LED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수위센서(16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끼식물(10)의 생장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년/월/일/시 별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40)의 강약을 조절하여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온습도 센서(330)의 온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거나 습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강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온습도 센서(330)의 온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거나 습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약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의 이산화탄소 측정값과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의 미세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강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의 이산화탄소 측정값과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의 미세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약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수중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다양한 각도, 크기, 간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제품의 형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침강 및 재비산을 방지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공간이 협소한 띠녹지, 녹지조성이 어려운 보행로, 담장 등에 이끼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상기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상기 이끼식물(10)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370)는 LED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70)는 단일의 색을 발광하거나 여러가지 색을 한번에 연출하여 발광하거나 복수의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선태류(이끼식물)가 식재된 녹화 모듈(200)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탱크(130)의 수중펌프(140)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70)를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로 분무시켜 아래로 배수되고, 상기 이끼식물(10)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녹화 모듈(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후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탱크(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구를 통해 미세먼지와 공해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수중펌프(140)에 의해 물이 다시 순환되면서 상기 이끼식물(10)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물로 씻겨 배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의 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은 사시도이고, 도 9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은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하나의 몸체를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212,219)은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배관 삽입구(211)에는 상기 관수용 배관(17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 삽입구(213)에는 상기 보호망(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을 보호한다.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 타공판, 부직포, 이끼식물 및 보호망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광고판이나 LED 광고판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부에는 격벽(2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16)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220)는, 상기 상부몸체(210)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223,228)은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보호망 삽입구(221)에는 상기 보호망(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을 보호한다.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격벽(2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24)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216,224)의 상부에는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수용 배관(170)의 핀홀에서 분무된 물이 상기 이끼식물(10)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물로 씻겨 아래로 배수하여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이 자랄 수 있도록 수분을 공급하고,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탱크(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구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수중펌프(140)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켜 상기 녹화 모듈(200)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이끼식물(10)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줌으로써,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이끼식물(10)에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녹화 모듈(200)의 물 저장공간(217,225)는 우수(빗물)나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이 상기 이끼식물(10)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는 축적된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이끼식물(1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끼식물(10) 상부에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으로 된 보호망(250) 또는 와이어 또는 피아노선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은 부식방지와 내구성이 확보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가볍고 녹이 슬지않으며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222)에 햇빛 가람막(26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때, 상기 햇빛 가림막(260)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햇빛 가림막(260)은 아래에 설치된 이끼식물(10)에 햇빛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햇빛 가림막(260)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이 곡선을 갖는 형태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용 예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200)을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다양한 각도, 크기, 간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제품의 형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침강 및 재비산을 방지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100)는 공간이 협소한 띠녹지 및 도로중앙띠녹지, 녹지조성이 어려운 보행로, 도로변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선형설치, 도로변의 옹벽, 담장, 통학로 주변, 옥상녹화, 인공지반녹화시설물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로형, 벽면녹화형, 단면형, 양면형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선태류(이끼식물)가 식재된 녹화 모듈(200)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탱크(130)의 수중펌프(140)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70)를 통해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로 분무시켜 아래로 배수되고, 상기 이끼식물(10)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녹화 모듈(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후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탱크(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구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수중펌프(140)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도시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식물과 해당 식물을 고정하는 금속 장치, 장치를 측정하는 센서 등 다양한 재료와 부품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식물 생산 분야, 금속 제조 분야, 센서 개발 및 제조 분야, 센서 활용 분야, 조경 시설물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이끼 등 선태류의 활용가치는 점차 증대하고 있으나 생산량이 극히 적은 실정이므로 본 발명으로 인해 선태류 생산분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10 : 선태류 또는 이끼식물 20 : 물(H2O)
100 : 모듈형 플랜터 장치
110 : 태양전지판 120 : 지주판
130 : 물 저장탱크 140 : 수중펌프
150 : 물 공급관 160 : 수위센서
170 : 관수용 배관 180 : 트레이 고정판
181 : 몸체 182 : 체결구멍
183 : 배관 삽입구
200 :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 또는 녹화 모듈
210 : 상부몸체 211 : 배관 삽입구
212 : 체결구멍 213 : 보호망 삽입구
214 : 후면 설치부 215 : 햇빛 가림막 설치구
216 : 격벽 217 : 물 저장공간
219 : 체결구멍
220 : 하부몸체 221 : 보호망 삽입구
222 : 햇빛 가림막 설치구 223 : 체결구멍
224 : 격벽 225 : 물 저장공간
230 : 타공판 240 : 부직포
250 : 보호망 또는 고정용 매트 260 : 햇빛 가림막
300 : 제어부 310 : 배터리
320 : 전원 스위치 330 : 온습도 센서
340 : 이산화탄소 센서 350 : 미세먼지 센서
360 : 디스플레이 패널 370 : 발광소자

Claims (5)

  1. 양쪽 측면에 설치된 지주판(120)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18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구(183)가 형성된 사각형의 트레이 고정판(180); 상기 트레이 고정판(180) 사이에 양쪽 측면이 체결 설치되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상부에 격벽(216,224)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2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224)의 상부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 및 보호망(2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녹화 모듈(200); 상기 녹화 모듈(200)의 배관 삽입구(211)에 각각 배치되고,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상기 녹화 모듈(200)의 이끼식물(10)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관수용 배관(170); 및 상기 지주판(120) 사이에 제일 아래에 설치된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녹화 모듈(200)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필터로 정화시킨 후 수중펌프(140)로 물 공급관(150)을 통해 상기 복수의 녹화 모듈(200) 각각에 설치된 상기 관수용 배관(17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130);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녹화 모듈(20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일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수직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 상부몸체(210); 및
    상기 상부몸체(210)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단면이 위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타측 수직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 하부몸체(220);
    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랜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화 모듈(200)은,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의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222)에 각각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햇빛 가람막(260);
    을 포함하는 모듈형 플랜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는,
    상기 지주판(120) 사이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형 플랜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110);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330);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340);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물 저장탱크(13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60);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의 측정값과 현재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60);
    상기 태양전지판(110)과 상기 녹화 모듈(20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끼식물(10)로 단일 또는 복수의 색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70); 및
    상기 온습도 센서(330),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340), 상기 미세먼지 센서(350), 상기 수위센서(16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끼식물(10)의 생장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년/월/일/시 별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40)의 강약을 조절하여 상기 관수용 배관(170)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0)과 상기 발광소자(3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랜터 장치.
  5. 삭제
KR1020210133058A 2021-10-07 2021-10-07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1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58A KR102419684B1 (ko) 2021-10-07 2021-10-07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58A KR102419684B1 (ko) 2021-10-07 2021-10-07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684B1 true KR102419684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058A KR102419684B1 (ko) 2021-10-07 2021-10-07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ko)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20150123484A (ko) * 2014-04-25 2015-11-04 (주)에코피플 벽면녹화용 수경재배장치
US20180325053A1 (en) * 2014-05-27 2018-11-15 Roto-gro Inc. Growing Tray and Cap for Rotating Hydroponic Gardening
KR102114591B1 (ko)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40203B1 (ko) * 2018-08-20 2020-07-31 유르겐 피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KR102141571B1 (ko) * 2018-11-30 2020-08-05 주식회사 대산정밀 수경 재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8653B1 (ko) * 2019-10-31 2021-06-23 주식회사 한설그린 공기정화 기능을 가진 벽면녹화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ko)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20150123484A (ko) * 2014-04-25 2015-11-04 (주)에코피플 벽면녹화용 수경재배장치
US20180325053A1 (en) * 2014-05-27 2018-11-15 Roto-gro Inc. Growing Tray and Cap for Rotating Hydroponic Gardening
KR102140203B1 (ko) * 2018-08-20 2020-07-31 유르겐 피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KR102141571B1 (ko) * 2018-11-30 2020-08-05 주식회사 대산정밀 수경 재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8653B1 (ko) * 2019-10-31 2021-06-23 주식회사 한설그린 공기정화 기능을 가진 벽면녹화 구조체
KR102114591B1 (ko) 2019-11-13 2020-05-22 함승원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591B1 (ko)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370818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CN103004573B (zh) 生态集成装修单元及其使用方法
CN102692909B (zh) 空气置换环境修复装置及修复系统
KR102136364B1 (ko) 전기집진 및 식생기반의 공기정화 시스템 및 공기정화 방법
KR102466022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형 식물 녹화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식물 펜스 시스템
KR102466021B1 (ko) 도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및 와류형 식물 트레이 및 그의 스마트 플랜터 펜스 장치
CN103004574B (zh) 空调生态段及其使用方法
KR102419684B1 (ko)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19685B1 (ko)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KR102418649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650B1 (ko)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가 형성된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25074B1 (ko)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KR102418227B1 (ko) 도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IoT 스마트 기반의 모듈형 녹화 플랜터 시스템
KR102425073B1 (ko)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CN102696421B (zh) 速生根立体植物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87349B1 (ko)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KR102602932B1 (ko) 미세먼지 저감형 공기정화식물 재배 시스템
KR102602933B1 (ko) 미세먼지 저감형 입체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CN108283140B (zh) 一种立式室内甲醛水培植物生态净化系统
CN103017276B (zh) 生态建筑节能系统及其使用方法
Anyanwu et al. The role of urban forest in the protection of human environmental health in geographically-prone unpredictable hostile weather conditions
CN209801676U (zh) 一种新型城市综合治理雾霾设备
CN209234572U (zh) 一种多功能太阳能空气净化装置
CN208108394U (zh) 一种免日常维护绿窗供水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