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03B1 -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03B1
KR102140203B1 KR1020190003429A KR20190003429A KR102140203B1 KR 102140203 B1 KR102140203 B1 KR 102140203B1 KR 1020190003429 A KR1020190003429 A KR 1020190003429A KR 20190003429 A KR20190003429 A KR 20190003429A KR 102140203 B1 KR102140203 B1 KR 102140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oss
carriers
layer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838A (ko
Inventor
유르겐 피치
Original Assignee
유르겐 피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8104764.7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8104764U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20188.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20188B3/de
Application filed by 유르겐 피치 filed Critical 유르겐 피치
Publication of KR2020003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a)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평면 캐리어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캐리어 그룹이 배치된 수직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i) 상기 평면 캐리어 각각은 그 위에 이끼(moss) 층이 배치되고 대향하는 하부 표면이 배치되는 상부 캐리어 표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캐리어 표면은 수평으로 배향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최대 45 ° 기울어지며,
ii) 각각의 상기 캐리어 그룹 내에서, 평면 캐리어의 상기 이끼 층과 상부의 평면 캐리어의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자유 갭이 남도록, 인접한 상기 평면 캐리어 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ⅲ) 2개의 캐리어 그룹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 또는 2개의 캐리어 그룹의 상기 평면 캐리어(3)는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제1 캐리어 그룹과 제2 캐리어 그룹(3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채널(16)이 형성되고,
b)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로부터 분무된 물이 상기 채널(16)에서 끝나도록 배치되는 가습 장치(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DEVICE FOR AIR IMPROVEMENT IN INTERIORS}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특히 미세 먼지와 같은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실내 환경을 개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대기 오염 물질의 영향은 실외 공기의 질만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일생의 평균 80 ~ 90 %를 밀폐된 공간에서 보내므로, 실내 공기질이 많은 공기 오염 문제의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특히 오염 물질과 건조한 공기가 많은 계절에는 실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실내 오염 물질을 줄일 필요가 있다. 실내는 외부 공기로부터의 오염 물질뿐만 아니라 건축 자재 및 가구의 유기 오염 물질로 오염된다.
실내의 오염 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녹색 벽", "식물 벽" 또는 "이끼 벽"이라고도 하는 수직 녹화 시스템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KR 100858993 B1은 실내를 위한 이끼를 포함하는 녹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US 20130118070 A1은 공기 정화를 위한 식물을 갖는 모듈식 시스템을 기술한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로, 실내 공기질의 효과적인 개선은 제한적이고 상대적으로 큰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a)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평면 캐리어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캐리어 그룹이 배치된 수직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i) 상기 평면 캐리어 각각은 그 위에 이끼(moss) 층이 배치되고 대향하는 하부 표면이 배치되는 상부 캐리어 표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캐리어 표면은 수평으로 배향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최대 45 ° 기울어지며,
ii) 각각의 상기 캐리어 그룹 내에서, 평면 캐리어의 상기 이끼 층과 상부의 평면 캐리어의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자유 갭이 남도록, 인접한 상기 평면 캐리어 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ⅲ) 2개의 캐리어 그룹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 또는 2개의 캐리어 그룹의 상기 평면 캐리어(3)는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제1 캐리어 그룹과 제2 캐리어 그룹(3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채널(16)이 형성되고,
b)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로부터 분무된 물이 상기 채널(16)에서 끝나도록 배치되는 가습 장치(14)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특히 공기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개선하여, 환경기술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것은 오염 물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아픈 건물" 증후군을 예방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실내 디자인 대상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끼 경관은 공기를 가습하고 정화하는 이끼 층을 사용하여 디자인될 수 있고, 이끼 경관은 개인 취향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미세 먼지 및 기타 유기, 공기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바닥이나 카펫 접착제, 가구, 래커, 도료 및 기타 코팅과 같이 새로 적용된 재료와 같은 배출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배출원에 의해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실내에서 종종 발생한다. 오염 물질은 단열재, 해충 방제 물질 및 세제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이들은 이끼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속되고 분해된다. 미세 먼지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꽃가루와 박테리아도 이끼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특히 난방 시즌에 일반적으로 너무 건조하고 웰빙(well-being)을 감소시킨다. 공기 습도는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센서 제어를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각각의 방의 공기 순환을 유도하며, 이는 또한 웰빙의 증가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천연의 삼림과 같은 분위기가 생성될 수 있다. 순수하게 기술적인 가습기 / 공기 조화 장치와는 달리, 살아있는 이끼는 쾌적한 산림 공기와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광합성 이산화탄소 호흡으로 인한 산소 생산은 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실내 분배기 또는 벽 등으로 독립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장치는 모듈식으로 더 큰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지능형 홈"("스마트 홈")의 가능한 구성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인터페이스, 송신 및 수신 수단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치는 해당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스마트 홈" 연결성).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끼의 표면이 오염된 공기 및 빛에 대한 접근이 특히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식물 항아리(plant pot)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경사 캐리어 상에 이끼 층을 배치한다. 캐리어는 정화될 공기에 쓸릴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미세 먼지 입자는 유동으로 인해 이끼 층 상에 침착될 수 있고, 따라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정화될 공기를 이끼 층에 보다 잘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광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비교적 낮은 조명 조건에서 이끼가 번식할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광은 이끼에게 매우 중요하다. 비교적 "광 친화적" 설계로 인해, 광 공급은 추가 광원 없이도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추가 광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장치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끼 층이 식재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캐리어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그룹들은 제1 캐리어 그룹과 제2 캐리어 그룹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상기 채널은 캐리어의 전면 주위에 수직 방향으로 직선 또는 구불구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은 제1 캐리어 그룹이 제2 캐리어 그룹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채널은 2개의 캐리어 그룹의 캐리어가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은 캐리어 그룹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이한 치수의 캐리어들로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한쪽으로 오프셋 될 수 있다. 채널은 개별 캐리어에 물을 분배하는데 사용되며, 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에 의해 분무되고 채널에서 소모된다. 물의 분무는 증발 냉각을 통해 국부적인 냉각을 일으킨다. 그로 인한 온도차는 채널을 통한 공기 유동 및 미세한 물방울의 캐리어로의 분배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는 장치의 상부에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고압 펌프에 의해 분무되는 스프레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장 작은 물방울은 약 19-70μm 크기이며, 큰 방울로 형성되지 않고 공기 중으로 증발한다. 유리한 실내 환경은 이끼 위로 분배되는 분무 스프레이에 의해 생성된다.
"공기질 개선"이란 미세 먼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대기 오염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평면 캐리어"는 본질적으로 2차원에서 확장되고, 그리고 3차원에서 비교적 작은 캐리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평면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하고 고체이며 이끼 층이 배치될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것은 캐리어 또는 그 표면이 평평하지 않은 것, 예를 들어 구부러진 또는 곡선 형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부 캐리어 표면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진"이라는 표현은 캐리어가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짐을 의미하므로, 상부 이끼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오염 물질 소스의 방향 또는 오염된 공기의 예상되는 유동 방향을 가리킨다.
"인접한 캐리어들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자유 갭이 캐리어의 이끼 층과 상부 캐리어의 하부 표면 사이에 남는"이라는 표현은, 인접한 캐리어들, 즉 어느 하나의 캐리어 및 그 바로 위에 있는 캐리어는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하나의 캐리어의 이끼 층과 그 상부의 캐리어의 밑면 사이에, 자유로운 즉, 이끼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갭이 남아있어서, 상기 자유갭을 통해 공기가 밑에 있는 이끼 층 위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고, 충분한 광이 이끼 층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캐리어와 관련하여 "바로 위에"라는 용어는 캐리어들 서로 간의, 예를 들어 계단 모양의, 수평 오프셋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캐리어가 수평 오프셋없이 실질적으로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홀딩 디바이스 및 / 또는 캐리어가 물을 공급하고 물을 분배하는 장치, 예를 들어 라인 및 분무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이 방법으로 펌프 및 라인에 의해 재순환될 수 있으며, 손실된 물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끼 층 또는 실내 공기에 첨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필터가 회로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필터는 미세 먼지를 묶을 수도 있다.
각 이끼 층에는 습기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기반 네트워크(예를 들어, Internet of Things, IoT)를 통해 습기 공급 장치로 보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끼 층의 습기 공급은 각각의 상황에 적응되고 실내 환경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끼 층에 관해서는, Leucobryum 속과 같은 실내에 적합한 이끼 종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평면 캐리어는 단면이 곡선 형, 예를 들어 sigmoidal형이다. 여기에서 "sigmoidal형"은 대체로 완만한 S자 형상을 의미하며,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전방부가 오염된 공기 공급원 또는 주 유동 방향에 놓이는 골(trough)을 형성하도록 배향되고, 후방부가 위로 볼록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는, 예를 들어 대류 또는 소용돌이에 의해 자유 갭을 통해 캐리어 상으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침착시키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캐리어도 가능하다. 또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전면 및 후면에서 상승된 벽을 가지므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캐리어는 골(trough)형 또는 컵형이다.
캐리어는 최대 45° 기울어져 이끼 표면이 오염된 공기 공급원쪽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5° 이하 또는 1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수직 방향의 자유 갭은 15 내지 50cm, 바람직하게는 20-4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cm, 특히 바람직하게는 25-35cm의 평균 클리어 높이 H를 갖는다. 갭의 높이는 정화될 공기가 가장 방해받지 않고 최적으로 이끼 층에 접근하도록, 그리고 이끼 층이 인공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연 광을 충분히 공급받도록 선택될 수 있다.
채널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분무기에 의해 생성된 분무 스프레이가 모든 캐리어를 갖는 장치의 전체 높이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이 분포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채널은, 예를 들어, 5-15cm, 바람직하게는 5-10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평면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도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또는 쉽게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끼 층은 상부 캐리어 표면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끼 층은 적당한, 예를 들어 다공성의 담체 물질로 상부 캐리어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캐리어 표면과 이끼 층 사이에 기질 층 및 부직포 층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질 층은 상부 캐리어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반면, 부직포 층은 기질 층 상에 그리고 이끼 층 아래에 직접 배치된다. 부직포 층은 바람직하게는 이끼의 세포 사(rhizoid, 헛뿌리)가 그곳에 돌출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질 층이 가능한 최대의 물 보유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질 층은 유기 물질(예를 들어, 코코넛), 무기물질(예를 들어, 클레이 과립) 또는 가능한 한 오래 지속되지만 생체 적합성 있는, 생체 플라스틱(biogenic plastic)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이끼 이외에 유관속 식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이끼 층 내의 유관속 식물의 추가 배치는 생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면 캐리어는 홀딩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리어가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일종의 베이어닛 락(bayonet lock) 등과 같은 퀵 릴리즈(quick release)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끼 층을 갖는 개개의 캐리어는 필요한 경우 쉽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홀딩 디바이스는 평면 캐리어의 거리가 서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체결 장치가 일정한 그리드(grid)로 홀딩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체결 장치의 도움으로 캐리어가 홀딩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현장 또는 각각의 응용 상황, 예를 들어 캐리어의 수 및 거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설치 후에도 이러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체는 모듈식으로 공기 정화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생태계 서비스로서 감소된 오염 물질 함량을 갖는 실내 공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미세 먼지 입자의 공기 중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이러한 목적으로, 주변 공기가 캐리어 상에 위치한 이끼 위로 흐를 수 있도록 독립형 또는 벽형, 현수(suspended)형 등으로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오염 물질은 이끼 층에 의해 최적으로 구속되고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의 목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간략화된 공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캐리어를 통과하는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일 실시 예의 간략화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일 실시 예의 단순화 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예는 각각 수직으로 배열된 6개의 평면 캐리어(3)를 갖는 2개의 캐리어 그룹(30, 31)에 대한 랙형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평면 캐리어(3)는 단면적으로 완만한 S자형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다. 홀딩 디바이스(2)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품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 캐리어(3)는 각각 길게 형성되고, 지면(paper)에 수직 인 평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캐리어(3)는 홀딩 디바이스(2)의 수직 부분과 퀵 릴리스에 의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연결된다. 제1 캐리어 그룹(30)의 캐리어(3)는 제2 캐리어 그룹(31)의 캐리어(3)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이끼 층(5)은 각각의 캐리어(3)의 상부 캐리어 표면(4) 상에 배치되고, 이끼 층(5)과 상부 캐리어 표면(4) 사이에 부직포 층(8) 및 기질 층(9)(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된다(도 5 참조). 장치(1)는 예를 들어 실내에 자유롭게 배치 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그룹(30)과 제2 캐리어 그룹(31)은 홀딩 디바이스(2) 상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1 캐리어 그룹(30)의 캐리어(3)의 전면(10)은 제2 캐리어 그룹(31)의 캐리어(3)의 전면(10)을 향하고 있다. 캐리어(3)는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높이(H)를 갖는 자유 갭(7)이 형성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또한, 캐리어 그룹(30, 31)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채널(16)이 그들 사이에 형성된다. 캐리어(3)의 횡단면의 완만한 S 형상으로 인해, 일종의 함몰부 또는 골(12) 및 상승부(13)가 형성된다. 그 결과, 이끼 층(5)이 있는 캐리어(3) 상으로 흐르는 공기로부터의 공기 오염 물질, 특히 미세 먼지의 침착이 개선된다. 전면(10, 11) 상에서 벽이 상승되어, 캐리어(3)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된다. 장치(1)는 이끼 층(5)에 가습하기 위한 가습 장치(14)를 갖는다. 여기서 단지 모식도로 도시된 가습 장치(14)는 예를 들어, 홀딩 디바이스(2)의 서포트에 수용되거나 홀딩 디바이스(2)에 고정될 수 있는 튜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7)는 또한 홀딩 디바이스(2)의 일부, 예를 들어 캐리어(3)의 지지부를 형성 할 수 있다. 튜브(17)는 부분적으로 천공되어 물의 공급에 적합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물을 분무 스프레이로 만드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atomizer)(15)가 장치(1)의 상부, 즉 2개의 캐리어 그룹(30, 31)의 캐리어(3) 위에 배치된다. 작은 물방울은 채널(16)을 따라 캐리어(3) 위에 분포되거나 공기 중으로 증발되어 캐리어의 이끼 층(5)을 축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물의 분배는 여기에 제시되지 않은 수단으로 따로 생성되거나, 물의 분무에 따른 증발 냉각을 통해 발생하는 온도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수행된다. 수분 센서(20)는 이끼 층(5) 또는 그 주변의 수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끼 층(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이다. 분무기(15)로부터 이끼 층(5)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물은 물 저장조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집 컨테이너(19)에 수집되고, 예를 들어 펌프(18) 및 튜브(17)에 의해 분무기(15)로 재순환된다. 분무기(15)의 배치는 단지 예시로서 도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캐리어(3) 바로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추가 분무기(15)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다른 실시 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로서, 캐리어(3)가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를 위해, 단면이 완만한 S자로 굽은 캐리어(3)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캐리어(3)는 그것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각도 α만큼 수평에 대해 기울어져서, 각각의 캐리어 그룹(30, 31)의 캐리어(3)의 내측을 향하는 전면(10)은 캐리어(3)의 외측을 향하는 전면(11)보다 상당히 높다. 캐리어(3)의 내부 전면(10)은 수직 오프셋없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채널(16)이 또한 여기에 제공된다. 분무기(15)로부터의 물방울은 채널(16)을 따라 수집 컨테이너(19)를 향해 떨어지고, 도중에 공기 유동에 의해 소용돌이치며 이끼 층(5) 상에 침착된다. 또한, 침착되지 않은 물이 수집 컨테이너(19)에 모여 분무기(15)로 다시 이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순화 된 측면도로서, 제1 캐리어 그룹(30)의 캐리어(3) 및 제2 캐리어 그룹(31)의 캐리어(3)가 서로 유사하게 이들의 길이방향 축으로 수평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지만,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순화 된 측면도로서, 제 1 캐리어 그룹(30)의 캐리어(3) 및 제 2 캐리어 그룹(31)의 캐리어(3)는 이들의 길이방향 축으로 수평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되고, 추가적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 예에서, 채널(16)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구불구불한 사행 형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1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실시 예의 매우 단순화된 공간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도 1과 비교하여 2 개의 캐리어 그룹(30, 31)에 대해 각각 5 개의 캐리어(3)만이 도시되어 있다.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홀딩 디바이스(2)의 전방부는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어(3)는 거의 정사각형 인 표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3)가 길이 방향으로, 즉 전면(10, 11)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더 큰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매우 개략적으로 그리고 간략하게 도시된 홀딩 디바이스(2)는 보다 복잡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캐리어(3)의 고정을 위한 장치에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이끼 층의 물 공급을 위한 가습 장치(14) 또는 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의 고정을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캐리어(3)를 관통하는 단면 및 전방 영역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다. 캐리어(3)는 정면(10, 11) 상에 상승된 벽을 갖는 단면이 완만한 S자형인 플라스틱 판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코코넛으로 구성된 기질 층(9)이 상부 캐리어 표면(4)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부직포 층(8)이 기질 층(9) 상에 배치되며, 부직포 층은 캐리어(3)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부직포 층(8)은 이끼 층(5)의 보다 양호한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캐리어(3)에는 습기 센서(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캐리어(3), 기질 층(9) 및 부직포 층(8)을 통과하여 이끼 층(5)을 통과함으로써 이끼 층(5)에 침투한 습기를 측정한다. 측정된 값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펌프로 이끼 층(5)에 물을 공급하는 컨트롤러에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라인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가습 수단, 예를 들어 분무기가 캐리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0)의 일 실시 예의 단순화 된 정면도를 도시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캐리어 그룹(30, 31) 중 하나의 캐리어 그룹(31)의 캐리어(3)만이 여기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치(1)의 완만한 S자형 캐리어(3)(좌측)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어, 외측 전면(11) 및 상승부(13)를 갖는 캐리어(3)의 부분이 보인다. 추가적인 장치(1)는 제1 장치(1)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가습 장치(14)의 분무기(15)는 여기에 보이지 않는 커버 뒤에 배치된다.

Claims (10)

  1. a)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평면 캐리어(3)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캐리어 그룹(30, 31)이 배치된 수직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i) 상기 평면 캐리어(3) 각각은 그 위에 이끼(moss) 층(5)이 배치되고 대향하는 하부 표면(6)이 배치되는 상부 캐리어 표면(4)을 가지며, 상기 상부 캐리어 표면은 수평으로 배향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최대 45° 기울어지며,
    ii) 각각의 상기 캐리어 그룹(30, 31) 내에서, 평면 캐리어(3)의 상기 이끼 층(5)과 상부의 평면 캐리어(3)의 상기 하부 표면(6) 사이에 자유 갭(7)이 남도록, 인접한 상기 평면 캐리어(3)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ⅲ) 2개의 캐리어 그룹(30, 31)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 또는 2개의 캐리어 그룹(30, 31)의 상기 평면 캐리어(3)는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제1 캐리어 그룹(30)과 제2 캐리어 그룹(31)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채널(16)이 형성되고,
    b)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로부터 분무된 물이 상기 채널(16)에서 끝나도록 배치되는 가습 장치(14)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캐리어(3)는 단면이 완만한 S자(sigmoidal)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유 갭(7)은 수직 방향으로 평균 클리어 높이 H를 가지고,
    상기 평균 클리어 높이는,
    15-50cm, 20-45cm, 20-40cm 또는 25-35cm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캐리어(3)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끼 층(5)과 상기 상부 캐리어 표면(4) 사이에 기질 층(9) 및 부직포 층(8)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층(5)에는 유관속(vascular) 식물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캐리어(3)는,
    상기 홀딩 디바이스(2)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디바이스(2)는,
    복수의 상기 평면 캐리어(3)의 서로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무기(15)에 의해 분무되었거나 분무될 물을 수집 및 저장하기 위한 수집 컨테이너(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9.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
  10. 미세 먼지 입자의 공기 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KR1020190003429A 2018-08-20 2019-01-10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KR102140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4764.7 2018-08-20
DE202018104764.7U DE202018104764U1 (de) 2018-08-20 2018-08-20 Vorrichtung zur Luftverbesserung in Innenräumen
DE102018120188.5 2018-08-20
DE102018120188.5A DE102018120188B3 (de) 2018-08-20 2018-08-20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Luftqualität in Innenräu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38A KR20200038838A (ko) 2020-04-14
KR102140203B1 true KR102140203B1 (ko) 2020-07-31

Family

ID=6959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29A KR102140203B1 (ko) 2018-08-20 2019-01-10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0203B1 (ko)
CN (2) CN11084883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818B1 (ko) * 2021-10-07 2022-03-04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650B1 (ko) *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가 형성된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227B1 (ko) * 2021-10-07 2022-07-08 김진수 도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IoT 스마트 기반의 모듈형 녹화 플랜터 시스템
KR102418649B1 (ko) *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9685B1 (ko) *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KR102419684B1 (ko) *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66022B1 (ko) *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형 식물 녹화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식물 펜스 시스템
KR102466021B1 (ko) *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도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및 와류형 식물 트레이 및 그의 스마트 플랜터 펜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03B1 (ko) * 2018-08-20 2020-07-31 유르겐 피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90834U (zh) * 2010-06-12 2011-01-05 湖南省湘晖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多层可调植物育苗工作架
JP4920868B2 (ja) * 2003-12-10 2012-04-18 株式会社モス山形 コケ緑化用マットおよびパネル
KR101146895B1 (ko) * 2011-10-13 2012-05-16 김세철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KR101335814B1 (ko) * 2012-05-30 2013-12-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끼 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137A (ja) * 2002-06-20 2004-01-22 Towa Kogyo:Kk 空気浄化装置
CN102499049A (zh) * 2011-10-20 2012-06-20 宁波美灵塑模制造有限公司 气雾式智能箱体栽培装置
CN105972743A (zh) * 2016-06-20 2016-09-28 翁正祥 一种气雾培式空气净化器
CN207692491U (zh) * 2017-12-27 2018-08-07 郑州智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盆栽培养装置
KR102140203B1 (ko) * 2018-08-20 2020-07-31 유르겐 피치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0868B2 (ja) * 2003-12-10 2012-04-18 株式会社モス山形 コケ緑化用マットおよびパネル
CN201690834U (zh) * 2010-06-12 2011-01-05 湖南省湘晖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多层可调植物育苗工作架
KR101146895B1 (ko) * 2011-10-13 2012-05-16 김세철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KR101335814B1 (ko) * 2012-05-30 2013-12-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끼 재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818B1 (ko) * 2021-10-07 2022-03-04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650B1 (ko) *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가 형성된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8227B1 (ko) * 2021-10-07 2022-07-08 김진수 도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IoT 스마트 기반의 모듈형 녹화 플랜터 시스템
KR102418649B1 (ko) * 2021-10-07 2022-07-08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KR102419685B1 (ko) *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KR102419684B1 (ko) * 2021-10-07 2022-07-11 김진수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형 플랜터 장치
KR102466022B1 (ko) *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형 식물 녹화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식물 펜스 시스템
KR102466021B1 (ko) * 2022-06-30 2022-11-14 (주)랜드아키생태조경 도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및 와류형 식물 트레이 및 그의 스마트 플랜터 펜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011684U (zh) 2020-07-14
KR20200038838A (ko) 2020-04-14
CN110848830A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203B1 (ko) 실내 공기질 개선장치
US5433923A (en) Indoor humidifier and air purifier
US6006471A (en) Air-cleaning ecosystem apparatus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US20120090232A1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101131614B1 (ko) 창문에 부착할 수 있는 광합성 생물을 이용한 실내용 공기정화장치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EP1007887B1 (en) A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CN105613093B (zh) 一种利用室内污水供水的植物培养架及其制作方法
KR20210108647A (ko) 식물과 미스트를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EP0451682B1 (en) Apparatus for promoting the generation of organic compounds from trees
CN205357676U (zh) 一种方便疫病防控的肉鸡舍
CN205536147U (zh) 一种植物幕墙空气净化装置
KR20140069403A (ko) 가습기 기능과 공기정화를 위한 다단식 식물재배기
KR101144909B1 (ko) 가습기의 가습유도장치
KR20130130200A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200470992Y1 (ko)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CN205408789U (zh) 一种利用室内污水供水的植物培养架
CN205431215U (zh) 一种能够净化空气的生态植物墙架
KR102137420B1 (ko) 이미시온 저감장치
CN208139502U (zh) 一种室内空气净化加湿装置
KR20110045506A (ko) 대나무숯 가습 장치 및 대나무숯 가습 장치를 포함하는 분경 장치
KR20090000927U (ko) 친환경 식물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