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911B1 -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 Google Patents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911B1
KR102038911B1 KR1020190122881A KR20190122881A KR102038911B1 KR 102038911 B1 KR102038911 B1 KR 102038911B1 KR 1020190122881 A KR1020190122881 A KR 1020190122881A KR 20190122881 A KR20190122881 A KR 20190122881A KR 102038911 B1 KR102038911 B1 KR 10203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unit
air
wate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19012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승강장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차량승강장의 내부 하측까지 냉풍 및 쿨링 미스트가 도달되도록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휴게시설, 차량승강장 등의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쿨링 미스트가 구조물 하측에 앉아 있는 이용자에게 도달하여 쿨링 및 송풍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Cold Wind And Cooling Mist Injection System}
본 발명은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휴게시설, 차량승강장 등의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구조물의 내부 하측까지 냉풍 및 쿨링 미스트가 도달되도록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 집중현상이 심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인공열과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도시 상공의 기온이 주변지역보다 높아지는 이른바 열섬(Heat Island)현상이 큰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열섬현상이란 도시화와 고도의 토지이용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기후적 특성으로서, 도시 안에서 발생하는 인공열과 대기오염, 건축물, 포장 도로 등의 영향으로 도심이 주변의 교외지에 비해 고온의 공기가 섬 모양으로 뒤덮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열섬현상은 고층빌딩증가로 인한 건축물 표면온도를 급속히 상승시키고, 그 결과 도시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축물과 포장도로의 증가는 녹지공간 비율의 감소로 인한 수목 및 녹지의 차양, 증발산 효과 감소로 인해 나타난다.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에는 열섬현상이 더욱 심화되며, 특히 차량대기시설(ex 버스승강장, 택시승강장), 야외휴게시설(ex 정자, 조경시설물) 등의 구조물은 많은 이용자들이 장시간 대기하는 공간으로서, 내부의 온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구조물 내부의 온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종래에는 구조물 내부에 쿨링 미스트가 분무되는 시스템이 있었으나, 종래 시스템에서 쿨링 미스트는 구조물의 상측에 머무르기만 할 뿐, 구조물의 하측에 앉아 있는 이용자들에게는 도달하지 못하여 쿨링 및 송풍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야외휴게시설, 차량승강* 등의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구조물의 내부 하측까지 쿨링 미스트가 도달되도록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을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57988호 (2011.08.12.)
본 발명은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구조물의 내부 하측까지 쿨링 미스트가 도달되도록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공(110)이 형성된 구조물(100)과,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을 감싸면서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배출부(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200)와,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공(31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부(300)와, 상기 공기배출부(3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510)이 형성된 미스트분무부(500)와, 상기 미스트분무부(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와, 상기 물공급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는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공기유입공(211)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21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공기유입공(212)을 포함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제2공기유입공(21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는 공기유입팬(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필터(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공(310)은 하나의 주배출공(311)과, 상기 주배출공(311)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주배출공(3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를 가지는 복수개의 보조배출공(312)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400)는 미스트분무부(500)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41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살균하는 살균장치(43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화하는 정화필터(44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45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스트분무부(500)로 펌핑하되,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고압펌프(460)와,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되,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키되, 시스템 이상을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알려주는 고압력게이지(470)와, 상기 고압펌프(460)가 작동 중일 때는 미스트분무부(500)로 물을 공급하고, 고압펌프(460)의 작동이 정지된 때는 잔수탱크(490)로 잔수를 배출하는 고압체크밸브(480)와, 상기 고압체크밸브(480)를 통하여 배출되는 잔수가 저장되는 잔수탱크(4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되, 측정된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온습도측정부(620)를 작동시키는 시간측정부(610)와,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온습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인체접근감지부(630) 및 차량접근감지부(640)를 작동시키는 온습도측정부(620)와,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되,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인체접근감지부(630)와, 차량이 구조물(100)에 도착하는 예상 도착시간(T)을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예상 도착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차량접근감지부(640)와, 구조물(10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미세먼지측정부(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휴게시설, 차량승강장 등의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쿨링 미스트가 구조물 하측에 앉아 있는 이용자에게 도달하여 쿨링 및 송풍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부 및 미스트분무부에 대한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공기배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휴게시설, 차량승강장 등의 구조물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쿨링 미스트를 실어 보냄으로써, 구조물의 내부 하측까지 냉풍 및 쿨링 미스트가 도달되도록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두 가지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휴게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구조물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0)과,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부(200)와,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300)와, 상기 공기배출부(3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미스트분무부(500)와, 상기 미스트분무부(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와, 상기 물공급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조물(10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구조물(100)은 야외에서 사람들이 더위를 피해 휴게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을 말한다. 구조물(100)의 예로는 정자 기타 야외휴게시설, 버스승강장, 택시승강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공(110)이 형성된다. 제1공기유입공(110)은 후술할 공기유입부(200)에서 공기배출부(300)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공기유입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유입부(200)는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을 감싸면서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배출부(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유입부(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팬(220), 정화필터(230) 및 살균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기유입공(110)을 감싸면서 형성됨으로써 제1공기유입공(110)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는 공기유입팬(220), 정화필터(230) 및 살균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제1공기유입공(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공기유입공(2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공기유입공(2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공기유입공(212)이 형성된다.
공기유입팬(220)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유입팬(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제2공기유입공(21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공기유입팬(22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공기유입팬(220)의 역회전에 의해 공기유입팬(220)에 붙어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화필터(230)에 대해 설명한다. 정화필터(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살균장치(240)에 대해 설명한다. 살균장치(24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장치(240)는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하여 UV, O3, 플라즈마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필터(230) 및 살균장치(240)가 공기유입팬(220)과 제3공기유입공(21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것이 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유입팬(220)과 제2공기유입공(21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공기배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배출부(300)는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공(310)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된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유입공(211)와 제1공기유입공(110)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기배출부(300) 내부에 유입되고, 공기배출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배출공(310)을 통하여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하나의 구멍으로만 형성된 공기배출공(310)에서 나온 바람은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바람보다 주변으로 흩어지는 바람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기배출공(310)이 하나의 주배출공(311)과, 상기 주배출공(311)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주배출공(3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를 가지는 복수개의 보조배출공(312)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공기배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보조배출공(312)에서 나온 바람이 길을 만들어 상호작용하여 중심을 잡기 때문에, 주배출공(311)에서 나온 바람은 보조배출공(312)과 상호작용하여 흩어지지 않고, 앞으로 직진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공기배출공(310)에서 나오는 바람이 구조물(100)의 상측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100)의 하측까지 도달하여 쿨링효과를 가져온다.
미스트분무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미스트분무부(500)는 상기 공기배출부(3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510)을 포함한다.
미스트분무부(500)의 분무노즐(510)를 통하여 분무되는 미스트는 상기 공기배출공(3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실려 멀리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미스트분무부(500)에서 미스트가 분무되지 않고, 공기배출공(310)에서 냉풍만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미스트를 공기에 효과적으로 실어 보내기 위하여 분무노즐(510)은 공기배출공(310)과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부 및 미스트분무부에 대한 계통도이다.
물공급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물공급부(400)는 미스트분무부(5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공급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분무부(500)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41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살균하는 살균장치(43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화하는 정화필터(44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450)와, 상기 물탱크(410) 및 잔수탱크(49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스트분무부(500)로 펌핑하는 고압펌프(460)와,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고압력게이지(470), 미스트분무부(500)로 물을 공급하거나 잔수탱크(490)로 잔수를 배출하는 고압체크밸브(480), 상기 고압체크밸브(480)를 통하여 배출되는 잔수가 저장되는 잔수탱크(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10)와 살균장치(430) 사이에는 체크밸브(420)가 설치되어, 물이 물탱크(410)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살균장치(430)는 UV관을 이용할 수 있다.
고압펌프(460)에 대해 설명한다. 고압펌프(460)는 물탱크(4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스트분무부(500)로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고압펌프(460)는 후술할 인체접근감지부(630), 차량접근감지부(640), 미세먼지감지부(6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고압펌프(460)는 사판 펌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압펌프(460)는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용프로그램(10)이란 관리자가 소지하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고압력게이지(4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압력게이지(470)는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되,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키되(S113), 시스템 이상을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S114). 고압펌프(46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물의 압력범위는 60~100 bar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수치를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압체크밸브(480)에 대해 설명한다. 고압체크밸브(480)는 Y모양의 체크밸브로서, 상기 고압펌프(460)가 작동 중일 때는 미스트분무부(500)로 향하는 밸브를 개방하여 미스트분무부(500)로 물을 공급하고, 고압펌프(460)의 작동이 정지된 때는 잔수탱크(490)로 향하는 밸브를 개방하여 잔수탱크(490)로 잔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잔수탱크(490)에 저장된 잔수는 다시 고압펌프(460)로 공급되는 과정을 거친다.
제어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상기 물공급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600)는 시간측정부(610), 온습도측정부(620), 인체접근감지부(630), 미세먼지측정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의 살펴본다.
시간측정부(610)에 대해 설명한다. 시간측정부(610)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되(S102), 측정된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온습도측정부(6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일일 24시간 가운데 소정의 시간동안 온습도측정부(620)를 작동되는 것이다. 측정된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09).
상기 시간 범위는 버스 등의 운행시간 및 태양이 떠있는 시간에 맞추어 대략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온습도측정부(620)에 대해 설명한다. 온습도측정부(620)는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되(S104), 상기 측정된 온습도가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동안 인체접근감지부(63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조물(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을 초과하고, 구조물(100) 내부의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값을 초과할 때 인체접근감지부(63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된 온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09).
인체접근감지부(630)에 대해 설명한다. 인체접근감지부(630)는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되(S106),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S108).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없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09).
미세먼지측정부(650)에 대해 설명한다. 미세먼지측정부(650)는 구조물(10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되(S100),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S108). 미세먼지측정부(650)가 작동되는 미세먼지 농도는 70μg/㎥ 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치를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고압펌프(460)는 ⅰ)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ⅱ)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고,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며,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 경우에 작동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은 차량을 기다리는 동안 쉴 수 있는 버스승강장, 택시승강장 등의 구조물에 한정하여 적용된다. 그리고, 제어부(600)에 차량접근감지부(640)가 추가로 구성되고, 온습도측정부(620)는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인체접근감지부(630)뿐만 아니라, 차량접근감지부(640)도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제1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고압펌프의 제어과정의 살펴본다.
차량접근감지부(640)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접근감지부(640)는 차량이 구조물(100)에 도착하는 예상 도착시간(T)을 측정하되(S207), 상기 측정된 예상 도착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S209). 즉, 제1실시예와 달리,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예상 도착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압펌프(460)는 ⅰ)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ⅱ)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고,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며,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거나 차량의 예상 도착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작동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구조물
110 : 제1공기유입공
200 : 공기유입부
210 : 하우징
211 : 제2공기유입공
212 : 제3공기유입공
220 : 공기유입팬
230 : 정화필터
240 : 살균장치
300 : 공기배출부
310 : 공기배출공
311 : 주배출공
312 : 보조배출공
400 : 물공급부
410 : 물탱크
420 : 체크밸브
430 : 살균장치
440 : 정화필터
450 : 냉각장치
460 : 고압펌프
470 : 고압력게이지
480 : 고압체크밸브
490 : 잔수탱크
500 : 미스트분무부
510 : 분무노즐
600 : 제어부
610 : 시간측정부
620 : 온습도측정부
630 : 인체접근감지부
640 : 차량접근감지부
650 : 미세먼지측정부
10 : 관리자용프로그램
T : 차량의 예상도착시간
d1 : 주배출공의 직경
d2 : 보조배출공의 직경

Claims (5)

  1.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공(110)이 형성된 구조물(100);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을 감싸면서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배출부(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200);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공(31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부(300);
    상기 공기배출부(3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510)이 형성된 미스트분무부(500);
    상기 미스트분무부(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
    상기 물공급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는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공기유입공(211)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21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공기유입공(212)을 포함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제2공기유입공(21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기유입팬(220)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400)는
    미스트분무부(500)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41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스트분무부(500)로 펌핑하는 고압펌프(460)와,
    상기 고압펌프(460)가 작동 중일 때는 미스트분무부(500)로 물을 공급하고, 고압펌프(460)의 작동이 정지된 때는 잔수탱크(490)로 잔수를 배출하는 고압체크밸브(480)와,
    상기 고압체크밸브(480)를 통하여 배출되는 잔수가 저장되는 잔수탱크(4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되, 측정된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온습도측정부(620)를 작동시키는 시간측정부(610)와,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온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인체접근감지부(630)를 작동시키는 온습도측정부(620)와,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되,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인체접근감지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살균하는 살균장치(43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화하는 정화필터(44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450)와,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되,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고압력게이지(4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구조물(10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미세먼지측정부(6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필터(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팬(22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배출공(310)은
    하나의 주배출공(311)과,
    상기 주배출공(311)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주배출공(3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를 가지는 복수개의 보조배출공(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460)는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력게이지(470)는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되,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키되, 시스템 이상을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5.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공(110)이 형성된 구조물(100);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을 감싸면서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배출부(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200);
    상기 구조물(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구조물(100) 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공(31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부(300);
    상기 공기배출부(3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510)이 형성된 미스트분무부(500);
    상기 미스트분무부(5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
    상기 물공급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200)는
    상기 제1공기유입공(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공기유입공(211)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21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공기유입공(212)을 포함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제2공기유입공(21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는 공기유입팬(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필터(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3공기유입공(2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2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공(310)은
    하나의 주배출공(311)과,
    상기 주배출공(311)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주배출공(3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를 가지는 복수개의 보조배출공(312)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400)는
    미스트분무부(500)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41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살균하는 살균장치(43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화하는 정화필터(440)와,
    상기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450)와,
    상기 물탱크(410) 및 잔수탱크(49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스트분무부(500)로 펌핑하되,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고압펌프(460)와,
    상기 고압펌프(460)에서 펌핑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되,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압펌프(460)의 작동을 정지시키되, 시스템 이상을 관리자용프로그램(10)에 알려주는 고압력게이지(470)와,
    상기 고압펌프(460)가 작동 중일 때는 미스트분무부(500)로 물을 공급하고, 고압펌프(460)의 작동이 정지된 때는 잔수탱크(490)로 잔수를 배출하는 고압체크밸브(480)와,
    상기 고압체크밸브(480)를 통하여 배출되는 잔수가 저장되되, 상기 고압펌프(460)로 잔수를 공급하는 잔수탱크(4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되, 측정된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온습도측정부(620)를 작동시키는 시간측정부(610)와,
    구조물(100)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온습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인체접근감지부(630) 및 차량접근감지부(640)를 작동시키는 온습도측정부(620)와,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되, 구조물(100) 내부에 인체가 위치하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인체접근감지부(630)와,
    차량이 구조물(100)에 도착하는 예상 도착시간(T)을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예상 도착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동안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차량접근감지부(640)와,
    구조물(10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되,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압펌프(460)를 작동시키는 미세먼지측정부(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0190122881A 2019-10-04 2019-10-04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03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81A KR102038911B1 (ko) 2019-10-04 2019-10-04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81A KR102038911B1 (ko) 2019-10-04 2019-10-04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911B1 true KR102038911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81A KR102038911B1 (ko) 2019-10-04 2019-10-04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9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64B1 (ko) * 2020-04-20 2020-07-09 김성호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종합 관리 시스템
KR102137666B1 (ko) * 2020-01-10 2020-07-24 김성호 승강장 쉘터 미세먼지 흡입 및 수류대류형 냉방장치
KR102214955B1 (ko) * 2020-09-28 2021-02-10 케이스타주식회사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KR102243562B1 (ko) * 2020-07-29 2021-04-23 양정윤 전자분사기
KR102287195B1 (ko) *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20220018734A (ko)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약액 분사 장치
KR20230061995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개방형 대기실용 냉각 장치
CN116204020A (zh) * 2023-02-02 2023-06-02 山东润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碳中和监控系统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KR102572712B1 (ko) * 2023-06-21 2023-08-29 한은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88B1 (ko) 2009-09-28 2011-08-19 남양주시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KR20140024158A (ko) * 2012-08-20 2014-02-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88B1 (ko) 2009-09-28 2011-08-19 남양주시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KR20140024158A (ko) * 2012-08-20 2014-02-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66B1 (ko) * 2020-01-10 2020-07-24 김성호 승강장 쉘터 미세먼지 흡입 및 수류대류형 냉방장치
KR102132164B1 (ko) * 2020-04-20 2020-07-09 김성호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종합 관리 시스템
KR102287195B1 (ko) *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243562B1 (ko) * 2020-07-29 2021-04-23 양정윤 전자분사기
KR20220018734A (ko)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약액 분사 장치
KR102214955B1 (ko) * 2020-09-28 2021-02-10 케이스타주식회사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KR20230061995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개방형 대기실용 냉각 장치
KR102581973B1 (ko) * 2021-10-29 2023-09-25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개방형 대기실용 냉각 장치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CN116204020A (zh) * 2023-02-02 2023-06-02 山东润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碳中和监控系统
CN116204020B (zh) * 2023-02-02 2024-05-17 山东润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碳中和监控系统
KR102572712B1 (ko) * 2023-06-21 2023-08-29 한은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911B1 (ko)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AU2012319385A1 (en) Vacuum suction-type toil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acuum suction-type toilet
KR102132164B1 (ko)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종합 관리 시스템
CN107429507A (zh) 用于马桶的灭菌设备和方法
CN115554797A (zh) 一种多尺度喷雾除霾设备
KR200363828Y1 (ko) 안개 분무장치
CN105180323A (zh) 一种建筑消除雾霾除尘降温系统
CN205475025U (zh) 一种洗扫车用高压水路控制系统
CN108505446A (zh) 桥墩、连续梁喷淋养护装置
JPH10189438A (ja) 半導体製造用の自動シンナー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CN108797731A (zh) 智能坐便器的水路系统和智能坐便器
CN209652843U (zh) 一种用于水路系统的保护装置
CN107268718A (zh) 一种高效节能全自动反冲洗无负压供水设备
EP0446011A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CN208009534U (zh) 节能型分区无负压供水系统
CN112281990A (zh) 一种具有超滤净化功能的二次供水系统及方法
CN109718618A (zh) 一种气流除雾导霾塔及其使用方法
US200502416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utomobile at self-service carwash
CN111090219A (zh) 光刻胶排放系统及光刻胶排放方法
CN205152875U (zh) 一种自动化清洗喷雾器
CN105080270A (zh) 一种节能型组合式废气处理装置
CN211384311U (zh) 一种升降式环保除尘喷雾装置
CN214990861U (zh) 一种用于排水泵站集水井的除臭消毒清洁装置
KR200355707Y1 (ko) 웨트 스크루버의 자동제어 장치
CN2431040Y (zh) 油烟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