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712B1 -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712B1
KR102572712B1 KR1020230079779A KR20230079779A KR102572712B1 KR 102572712 B1 KR102572712 B1 KR 102572712B1 KR 1020230079779 A KR1020230079779 A KR 1020230079779A KR 20230079779 A KR20230079779 A KR 20230079779A KR 102572712 B1 KR102572712 B1 KR 10257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water
check valve
output
valve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희
Original Assignee
한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희 filed Critical 한은희
Priority to KR102023007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미스트생성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에 연동되어 음향부 및 조명부 출력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미립자 분무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압축수 압력을 제어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수시로 분리 제거하여 필터부 막힘으로 인한 미립자 출력 저하현상 방지 및 기존에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미스트생성모듈의 메인트런스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펌프모듈(100), 분배라인(200), 미스트생성모듈(300), 제어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Cooling Mist Spray System}
본 발명은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미스트생성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에 연동되어 음향부 및 조명부 출력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미립자 분무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압축수 압력을 제어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수시로 분리 제거하여 필터부 막힘으로 인한 미립자 출력 저하현상 방지 및 기존에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미스트생성모듈의 메인트런스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미스트 분사장치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열섬현상 및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시설에 미스트 분무를 통해 주변 온도를 하강시키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도록 적용된다.
이러한 미스트 분사장치는 대부분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관리자에 의한 수동 제어를 통해 미스트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인건비 부담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2174007호에서, 공급수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펌프; 상기 압축펌프에서 압축된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배관; 상기 각각의 분기배관을 개폐시키는 미스트제어밸브; 상기 분기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를 분무시켜 미세한 물방울 형태의 미스트를 분무하는 미스트노즐;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미스트제어밸브를 개폐하고 상기 압축펌프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배관 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음압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스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각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나, 압축펌프를 통하여 고압 공급되는 공급수를 미스트노즐에서 미스트 분무하는 중에 미스트노즐의 미세한 토출구 사이즈로 인해 잦은 막힘현상이 발생되고, 막힌 미스트 노즐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수시로 미스트 공급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2174007 B1 (2020.10.29.)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미스트생성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에 연동되어 음향부 및 조명부 출력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미립자 분무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압축수 압력을 제어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수시로 분리 제거하여 필터부 막힘으로 인한 미립자 출력 저하현상 방지 및 기존에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미스트생성모듈의 메인트런스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포트(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압축하여 출력포트(120)로 출력하고, 일단에 드레인관(130)이 구비되는 펌프모듈(100); 상기 출력포트(120)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배포트(210)가 형성되어 압축수를 분배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분배라인(200); 상기 분배포트(210)에 장착되고,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여 쿨링 미스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미스트생성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100) 출력을 제어하여, 분배포트(210)로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41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점등 및 컬러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420)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부(42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모듈(400)은 음향부(4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볼륨을 스캔하여, 음향 볼륨에 비례하게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한 미립자로 분무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은,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를 여과하는 필터부(310)와, 필터부(310)를 통과한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는 노즐부(320)와,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류클리닝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클리닝부(330)는, 분배포트(210)와 필터부(31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1원추형관로(331a)가 형성되는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1원추형관로(331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1체크디스크(332)와, 필터부(310)와 노즐부(32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원추형관로(333a)가 형성되는 제 2체크밸브바디(333)와, 제 2체크밸브바디(333)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2원추형관로(333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2체크디스크(334)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 입구 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2체크밸브바디(333) 입구 측에 연결되어,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우회하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우회라인(335)과, 우회라인(335)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원추형관로(336a)가 형성되는 제 3체크밸브바디(336)와, 제 3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3원추형관로(336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3원추형관로(336a)에 맞물려 닫힘작동되는 제 3체크디스크(337)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필터부(310) 사이에 연결되는 퇴수라인(338b)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4원추형관로(338a)가 형성되는 제 4체크밸브바디(338)와, 제 4체크밸브바디(338)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4원추형관로(338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4원추형관로(338a)에 맞물려 닫힘 작동되는 제 4체크디스크(3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높게 설정되면,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닫힘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닫힘 작동되고,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개방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통하여 여과된 상태로 노즐부(320)로 출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낮게 설정되면,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닫힘 작동되고,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열림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열림 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우회라인(335)을 타고 필터부(310) 구간을 역류하면서,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퇴수라인(338b)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미스트생성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에 연동되어 음향부 및 조명부 출력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미립자 분무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압축수 압력을 제어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수시로 분리 제거하여 필터부 막힘으로 인한 미립자 출력 저하현상 방지 및 기존에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미스트생성모듈의 메인트런스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음향부 및 조명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미스트생성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역류클리닝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역류클리닝모듈에 의한 필터부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음향부 및 조명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미스트생성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역류클리닝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역류클리닝모듈에 의한 필터부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미스트생성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에 연동되어 음향부 및 조명부 출력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미립자 분무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펌프모듈(100), 분배라인(200), 미스트생성모듈(300), 제어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모듈(100)은 입력포트(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압축하여 출력포트(120)로 출력하고, 일단에 드레인관(130)이 구비된다.
상기 펌프모듈(1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는 600 ~ 90 bar의 고압으로 압축되어 후술하는 분배라인(200)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펌프모듈(100)에는 급수가 유입되는 입력포트(110)와, 고압으로 압축된 압축수가 출력되는 출력포트(120)와, 펌프모듈(100)에 잔류하는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관(130)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펌프모듈(100)에 의해 출력되는 압축수는 분배라인(200)으로 공급되어 미립자로 분무되고, 펌프모듈(100)가 정지작동되면, 펌프모듈(100) 내에 잔류하는 물을 드레인관(130)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배라인(200)은 상기 출력포트(120)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배포트(210)가 형성되어 압축수를 분배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배라인(200)은 설치 장소에 따라 직선 및 곡선으로 형성되고, 분배라인(200)을 따라 복수의 분배포트(210)가 이격 배치되어 후술하는 미스트생성모듈(300)을 설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생성모듈(300)은 상기 분배포트(210)에 장착되고,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여 쿨링 미스트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출력되는 미립자 분무 압력은 제어모듈(400)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바, 여기서 제어모듈(400)은 상기 펌프모듈(100) 출력을 제어하여, 분배포트(210)로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모듈(400)은 펌프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고, 이때 제어모듈(400)은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41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점등 및 컬러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모듈(400)은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중에 조명부(410)를 통하여 다양한 컬러의 조명을 출력함으로써, 조명이 압축수 미립자에 반사 및 산란되어 아름다운 시각적 디자인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부(42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400)은 음향부(4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볼륨을 스캔하여, 음향 볼륨에 비례하게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한 미립자로 분무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미립자에 의한 쿨링효과, 조명부(410)에 의한 시각효과 및 음향부(420)에 의한 청각효과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은,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를 여과하는 필터부(310)와, 필터부(310)를 통과한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는 노즐부(320)와,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류클리닝부(330)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경유하여 노즐부(320)로 출력됨에 따라 이물질로 인한 노즐부(320)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역류클리닝부(330)는, 분배포트(210)와 필터부(31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1원추형관로(331a)가 형성되는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1원추형관로(331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1체크디스크(332)와, 필터부(310)와 노즐부(32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원추형관로(333a)가 형성되는 제 2체크밸브바디(333)와, 제 2체크밸브바디(333)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2원추형관로(333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2체크디스크(334)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 입구 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2체크밸브바디(333) 입구 측에 연결되어,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우회하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우회라인(335)과, 우회라인(335)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원추형관로(336a)가 형성되는 제 3체크밸브바디(336)와, 제 3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3원추형관로(336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3원추형관로(336a)에 맞물려 닫힘작동되는 제 3체크디스크(337)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필터부(310) 사이에 연결되는 퇴수라인(338b)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4원추형관로(338a)가 형성되는 제 4체크밸브바디(338)와, 제 4체크밸브바디(338)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4원추형관로(338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4원추형관로(338a)에 맞물려 닫힘 작동되는 제 4체크디스크(33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은 동일한 탄지력으로 설정되고, 제 3, 4체크디스크(337)(339)는 동일한 탄지력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의 탄지력은 제 3, 4체크디스크(337)(339)의 탄지력 대비 높게 설정되어, 압축수 출력이 비교적 높은 압력 조건에서 제 3, 4체크디스크(337)(339)는 닫힘 작동되고, 제 1, 2체크디스크(332)(334)는 열림 작동되며, 압축수 출력이 비교적 낮은 압력 조건에서 제 3, 4체크디스크(337)(339)는 열림 작동되고, 제 1, 2체크디스크(332)(334)는 닫힘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처럼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높게 설정되면,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닫힘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닫힘 작동되고,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개방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통하여 여과된 상태로 노즐부(320)로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낮게 설정되면,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닫힘 작동되고,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열림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열림 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우회라인(335)을 타고 필터부(310) 구간을 역류하면서,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퇴수라인(338b)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400)에서 압축수를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출력하는 미스트출력모드와, 압축수를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출력하는 필터부세척모드를 편성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필터부세척모드를 실행하거나, 설정된 주기로 필터부세척모드가 자동 실행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압축수 압력을 제어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수시로 분리 제거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필터부(310) 막힘으로 인한 미립자 출력 저하현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기존에 필터부(310)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미스트생성모듈(300)의 메인트런스 주기가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펌프모듈 200: 분배라인
300: 미스트생성모듈 400: 제어모듈

Claims (6)

  1. 입력포트(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압축하여 출력포트(120)로 출력하고, 일단에 드레인관(130)이 구비되는 펌프모듈(100);
    상기 출력포트(120)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배포트(210)가 형성되어 압축수를 분배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분배라인(200);
    상기 분배포트(210)에 장착되고,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여 쿨링 미스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미스트생성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100) 출력을 제어하여, 분배포트(210)로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은,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를 여과하는 필터부(310)와,
    필터부(310)를 통과한 압축수를 미립자로 분무하는 노즐부(320)와,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류클리닝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41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점등 및 컬러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하여 압축수가 미립자로 분무되는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420)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부(420)는 제어모듈(400)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모듈(400)은 음향부(4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볼륨을 스캔하여, 음향 볼륨에 비례하게 미스트생성모듈(300)을 통한 미립자로 분무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클리닝부(330)는,
    분배포트(210)와 필터부(31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1원추형관로(331a)가 형성되는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1원추형관로(331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1체크디스크(332)와,
    필터부(310)와 노즐부(320)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원추형관로(333a)가 형성되는 제 2체크밸브바디(333)와,
    제 2체크밸브바디(333)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2원추형관로(333a)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수 역류를 차단하는 제 2체크디스크(334)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 입구 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2체크밸브바디(333) 입구 측에 연결되어,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우회하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우회라인(335)과,
    우회라인(335)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원추형관로(336a)가 형성되는 제 3체크밸브바디(336)와,
    제 3체크밸브바디(331)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3원추형관로(336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3원추형관로(336a)에 맞물려 닫힘작동되는 제 3체크디스크(337)와,
    제 1체크밸브바디(331)와 필터부(310) 사이에 연결되는 퇴수라인(338b)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4원추형관로(338a)가 형성되는 제 4체크밸브바디(338)와,
    제 4체크밸브바디(338)에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압축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4원추형관로(338a)를 개방작동하며, 압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서 제 4원추형관로(338a)에 맞물려 닫힘 작동되는 제 4체크디스크(3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높게 설정되면,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닫힘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닫힘 작동되고,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개방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필터부(310)를 통하여 여과된 상태로 노즐부(320)로 출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400)에 의해 분배포트(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수 압력이 비교적 낮게 설정되면, 제 1, 2체크디스크(332)(334)에 의해 제 1, 2체크밸브바디(331)(333)가 닫힘 작동되고, 제 3체크디스크(337)에 의해 제 3체크밸브바디(336)가 열림 작동 및 제 4체크디스크(339)에 의해 제 4체크밸브바디(338)가 열림 작동된 상태로, 압축수가 우회라인(335)을 타고 필터부(310) 구간을 역류하면서, 필터부(31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퇴수라인(338b)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1020230079779A 2023-06-21 2023-06-21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10257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779A KR102572712B1 (ko) 2023-06-21 2023-06-21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779A KR102572712B1 (ko) 2023-06-21 2023-06-21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712B1 true KR102572712B1 (ko) 2023-08-29

Family

ID=8780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779A KR102572712B1 (ko) 2023-06-21 2023-06-21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7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911B1 (ko) * 2019-10-04 2019-10-31 김성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132164B1 (ko) * 2020-04-20 2020-07-09 김성호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종합 관리 시스템
KR102174007B1 (ko) 2020-04-08 2020-11-04 남윤재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제어 시스템
KR102363422B1 (ko) * 2020-11-20 2022-02-15 이주형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 시스템
KR102529559B1 (ko) * 2022-02-10 2023-05-08 주식회사 에버디포 스마트 쿨링포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911B1 (ko) * 2019-10-04 2019-10-31 김성호 냉풍 및 쿨링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174007B1 (ko) 2020-04-08 2020-11-04 남윤재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제어 시스템
KR102132164B1 (ko) * 2020-04-20 2020-07-09 김성호 쿨링 미스트 분사 및 종합 관리 시스템
KR102363422B1 (ko) * 2020-11-20 2022-02-15 이주형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 시스템
KR102529559B1 (ko) * 2022-02-10 2023-05-08 주식회사 에버디포 스마트 쿨링포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467B2 (en)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filtration material of a gas filter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8038879B2 (en) Fluid strainer assembly
CA2221645A1 (en) Faucet having multiple water discharges
CN204063375U (zh) 空气净化系统
KR950031170A (ko) 클린룸용 개방형 에어샤워장치
US7297173B2 (en) Gas turbine air intake system with bypass arrangement and methods
KR102572712B1 (ko)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CN206681406U (zh) 建筑物附属降霾喷雾和清洗、消防射流装置
CA2530807A1 (en) Drain valve
CN109972990A (zh) 防雾霾用新风净化窗
KR101106073B1 (ko) 고압 집진장치의 필터 역세정장치
CN108954184B (zh) 一种市政工程多功能路灯
US4622995A (en) Integral valve and tank assembly for pulse-jet air cleaners
CN2475452Y (zh) 自动清洗的水过滤器
US20070119974A1 (en) Combined valve, filter, and regulator irrigation apparatus
CN2769254Y (zh) 污水过滤器的自动清洗装置
CN113557931A (zh) 一种用于农业节水灌溉的雾化灌溉装置
CN2397351Y (zh) 一种双滤网式疏水阀
CN205747175U (zh) 除霾新风系统
CN208660677U (zh) 一种水雾化除尘降霾系统
CN208382421U (zh) 一种安装在中央空调风机盘管回风口的空气净化装置
CN212283335U (zh) 一种高压喷雾除尘装置
CN113154611A (zh) 一种静电空气净化装置及使用方法
JPH0436008A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逆洗再生装置
CN216225033U (zh) 喷淋防堵系统及喷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