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681B1 - 스마트 버스정류장 - Google Patents

스마트 버스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681B1
KR102067681B1 KR1020180144333A KR20180144333A KR102067681B1 KR 102067681 B1 KR102067681 B1 KR 102067681B1 KR 1020180144333 A KR1020180144333 A KR 1020180144333A KR 20180144333 A KR20180144333 A KR 20180144333A KR 102067681 B1 KR102067681 B1 KR 10206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bus
storage tank
loop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화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18014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의 지반 내부에 마련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류조와; 상기 버스정류장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빗물이 상기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유로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차수시설물과;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배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제시함으로써, 빗물을 재활용하여 버스정류장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고 도로 측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절기에 버스이용객들이 겪는 폭염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가림루프를 설치하여 우천시에 버스이용객들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시에 비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버스정류장{SMART BUS STATION}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빗물을 재활용함으로써 폭염으로 인하여 버스이용객들이 겪는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강우 유출량에 비해 1인당 물사용 가능량이 부족한 물부족 국가로 해당되어 물에 대한 효율적 관리의 중요성과 활용가치의 향상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빗물에 대한 관리와 이용 방법이 최근 활발히 연구 개발중이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을 통해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설치와 관리기준을 마련하여 적극적인 빗물이용방법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빗물 이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규모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정해져 있어 소규모 건축물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이 지붕면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해서는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도로 등과 같은 불투수면의 증가로 빗물이 지하수로 함양되는 것이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감안할 때 버스 정류장과 같이 소규모 시설에서 빗물을 직접 확보하여 이용 가능한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법도 절실히 필요하다.
한편, 최근의 버스 정류장은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좀 더 나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착 예정시간 알림 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비롯해 벽면은 주요 광고수단으로 활용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갖추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버스 정류장의 기능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환경에 대한 소중함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소형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버스 정류장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버스 정류장의 지붕면에 내린 빗물에는 대기 중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비롯해 조류의 배설물, 낙엽, 토사,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빗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염시에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조금이나마 더위를 식히면서 쾌적한 환경에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버스에 승차시에 빗물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버스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이용객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빗물을 재활용하여 버스정류장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고 도로 측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절기에 버스이용객들이 겪는 폭염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가림루프를 설치하여 우천시에 버스이용객들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시에 비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의 내부에 마련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류조와;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빗물이 상기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유로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차수시설물과;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배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빗물배출수단은 상기 비가림루프의 단부에서 상기 비가림루프의 상면을 향하여 빗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상기 빗물저류조의 상부 측면에서 도로를 향하여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빗물저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조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1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비가림루프의 단부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파이프와, 상기 유로파이프 상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로파이프를 유동하는 상기 빗물이 상기 비가림루프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제1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빗물저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조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2펌프와, 상기 빗물저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빗물저류조의 상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펌프와 연결되어 펌핑된 빗물을 상기 도로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가림루프는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복수의 판재가 상기 판면이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호 접합되고, 접합된 상기 단부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재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비가림루프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판재가 도로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의 일측에는 상기 차수시설물에 의하여 집수된 물이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되기 전에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과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기둥부재 하부의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 형성된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1입구와, 상기 도로 측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도로 측으로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2입구를 구비한 여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가림루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버스가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올바르게 정차가 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버스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들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버스 운전자가 상기 버스를 정위치에 정차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별도의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빗물을 재활용하여 버스정류장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고 도로 측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절기에 버스이용객들이 겪는 폭염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가림루프를 설치하여 우천시에 버스이용객들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시에 비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여과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운영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여과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운영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은,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의 내부에 마련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류조(100)와; 상기 버스가 정차는 지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빗물이 상기 빗물저류조(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211)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재(210)와, 상기 기둥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유로(211)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림루프(220)로 이루어지는 차수시설물(200)과; 상기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배출수단(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빗물저류조(100)는 우천시 내리는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한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의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빗물저류조(100)의 상면에는 인도가 설치되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빗물저류조(100)의 상면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시설물(200)은 우천시에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비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리는 빗물을 집수하여 빗물저류조(100) 측으로 빗물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비를 피함과 동시에 버스에 탑승시에도 비를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차수시설물(200)의 일부는 도로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차수시설물(200)은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빗물이 상기 빗물저류조(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211)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재(210)와, 기둥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유로(211)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림루프(220)로 구성된다.
기둥부재(210)는 상기 지반의 복수의 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비가림루프(220)를 일정 높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에 유로(211)를 형성하여 비가림루프(220)에 의하여 집수된 빗물을 빗물저류조(100)로 저장시에 통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기둥부재(210)의 하단은 빗물저류조(100)와 연통되고 상단은 비가림루프(220)의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비가림루프(2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 빗물이 기둥부재(210)의 유로(211)를 통과하여 빗물저류조(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림루프(220)는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비를 피할 수 있도록 기둥부재(21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비가림루프(220)는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복수의 판재가 상기 판면이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호 접합되고, 접합된 상기 단부가 기둥부재(21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기둥부재(210)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에 설치되어 비가림루프(22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판재가 도로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이 버스에 탑승시에도 비를 맞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비가림루프(220)의 양측 단부에는 버스가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올바르게 정차가 된지 여부를 판단하여 버스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들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버스 운전자가 버스를 정위치에 정차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별도의 차량위치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승객이 버스에 승차하거나 하차시에 안전 사고가 발생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버스가 비스듬하게 정차하여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여 교통의 흐름을 끊게됨을 방지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빗물배출수단(300)은 비가림루프(220)의 단부에서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빗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310)와, 빗물저류조(100)의 상부 측면에서 도로를 향하여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배출부(310)는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1펌프(311)와, 상기 제1펌프(311)와 연결되어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단부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파이프(312)와, 상기 유로파이프(312) 상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로파이프(312)를 유동하는 상기 빗물이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제1노즐(3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배출부(310)를 이용하여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비가림푸프(220)의 단부에서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염시에 비가림루프(220) 상면의 열을 식히도록 하여 비가림루프(220)에서 복사되는 열을 냉각시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좀 더 시원한 환경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가림루프(220)의 단부에서 지상을 향하는 별도의 노즐을 마련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미세 여과모듈 및 UV 소독시설을 설치함으로써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 이용하여 지면을 향하여 미세 입자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버스정류장을 전체적으로 냉각시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2배출부(320)는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2펌프(321)와, 빗물저류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빗물저류조(100)의 상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2펌프(321)와 연결되어 펌핑된 빗물을 상기 도로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노즐(3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배출부(320)를 이용하여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도로 측으로 분사하여 도로를 세척함과 동시에 도로의 열기를 식힘으로써 도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폭염시에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좀 더 시원한 환경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는 차수시설물(200)에 의하여 집수된 물이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되기 전에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과수단(4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수단(400)은 기둥부재(210) 하부의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기둥부재(210)에 형성된 유로(211)와 연결되는 제1입구(411)와, 상기 도로 측의 물이 유입되도록 도로 측으로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2입구(412)를 구비한 여과필터(41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과수단(400)에 형성된 제1입구(411)는 기둥부재(210)의 유로(211)와 연결됨으로써 비가림루프(220)에 의하여 집수된 빗물이 유로(211)를 따라 유동한 후에 제1입구(411)를 통하여 여과필터(410)로 유입되어 여과가 이루어진 후에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과수단(400)에 형성된 제2입구(412)는 도로에 내린 빗물 또는 도로 측으로 분사된 물이 도로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쓸어내린 후에 이물질과 함께 복귀시에 여과필터(410)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며, 혼탁해진 물이 여과필터(410)에서 여과된 후에 빗물저류조(100)에 다시 저장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운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천시에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에 내린 빗물은 비가림루프(22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기둥부재(210)에 형성된 유로(211)를 통과하여 빗물저류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빗물이 빗물저류조(100)로 유입시에 여과수단(400)인 여과필터(410)를 통과함으로써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빗물저류조(100)의 용량 이상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월류되어 도로 측면에 별도로 설치된 우수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저류조(100)에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 저장되면 빗물배출수단(300)이 구동되는데, 빗물배출수단(300)을 구성하는 제1펌프(311)와 제1노즐(313)에 의하여 빗물이 비가림루프(220)의 단부에서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비가림루프(220) 자체의 열기를 식힘으로써 폭염시에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폭염으로 인하여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빗물배출수단(300)을 구성하는 제2펌프(321)와 제2노즐(322)에 의하여 빗물을 도로 측으로 분사함으로써 도로의 먼지와 쓰레기 같은 이물질을 세척함과 동시에 도로 표면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도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폭염시에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폭염으로 인하여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빗물배출수단(300)은 평시에는 구동하여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지만, 강우시에는 구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효과적이다.
도로의 세척과 도로 표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제2펌프(321) 및 제2노즐(322)에 의하여 도로로 분사된 빗물은 여과필터(400)의 제2입구(412)를 통하여 여과필터(410)로 유입되어 여과가 이루어져 오염 물질이 제거된 후에 다시 빗물저류조(100)로 이송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버스정류장은 빗물을 재활용하여 버스정류장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고 도로 측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절기에 버스이용객들이 겪는 폭염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가림루프를 설치하여 우천시에 버스이용객들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시에 비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빗물저류조 200 : 차수시설물
210 : 기둥부재 211 : 유로
220 : 비가림루프 300 : 빗물배출수단
310 : 제1배출부 311 : 제1펌프
312 : 유로파이프 313 : 제1노즐
320 : 제2배출부 321 : 제2펌프
322 : 제2노즐 400 : 여과수단
410 : 여과필터 411 : 제1입구
412 : 제2입구

Claims (9)

  1. 버스가 정차하는 지반의 내부에 마련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류조(100)와;
    상기 버스가 정차는 지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빗물이 상기 빗물저류조(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211)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재(210)와, 상기 기둥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의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유로(211)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림루프(220)로 이루어지는 차수시설물(200)과;
    상기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배출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는 상기 차수시설물(200)에 의하여 집수된 물이 상기 빗물저류조(100)에 저장되기 전에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과수단(400)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수단(400)은 상기 기둥부재(210) 하부의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210)에 형성된 상기 유로(211)와 연결되는 제1입구(411)와, 상기 도로 측의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도로 측으로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2입구(412)를 구비한 여과필터(410)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배출수단(300)은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단부에서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빗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310)와, 상기 빗물저류조의 상부 측면에서 도로를 향하여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부(310)는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1펌프(311)와, 상기 제1펌프(311)와 연결되어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단부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파이프(312)와, 상기 유로파이프(312) 상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로파이프(312)를 유동하는 상기 빗물이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제1노즐(313)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배출부(320)는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빗물을 펌핑하는 제2펌프(321)와,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상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펌프(321)와 연결되어 펌핑된 빗물을 상기 도로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노즐(322)로 구성되고,
    상기 비가림루프(220)는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복수의 판재가 상기 판면이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호 접합되고, 접합된 상기 단부가 상기 기둥부재(21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재(210)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비가림루프(22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판재가 도로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판재는 상기 인도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버스정류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림루프(22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버스가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올바르게 정차가 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버스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들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버스 운전자가 상기 버스를 정위치에 정차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별도의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버스정류장.
KR1020180144333A 2018-11-21 2018-11-21 스마트 버스정류장 KR10206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333A KR102067681B1 (ko) 2018-11-21 2018-11-21 스마트 버스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333A KR102067681B1 (ko) 2018-11-21 2018-11-21 스마트 버스정류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681B1 true KR102067681B1 (ko) 2020-01-17

Family

ID=693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333A KR102067681B1 (ko) 2018-11-21 2018-11-21 스마트 버스정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737A (zh) * 2020-12-23 2021-04-13 吴大海 一种具有雨水收集利用结构的环保型公交站台
KR102308668B1 (ko) * 2021-01-14 2021-10-01 김준수 미스트 분무형 난간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CN115476756A (zh) * 2022-09-21 2022-12-16 山东泰骋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仓栅式半挂车雨棚快速牵引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883A (ja) * 2001-09-28 2003-04-09 Michiko Fukuda 温度上昇防止システム
KR101489808B1 (ko) * 2013-08-07 2015-02-0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20150071693A (ko) * 2015-06-08 2015-06-26 주식회사 비다인 버스정류장 지붕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883A (ja) * 2001-09-28 2003-04-09 Michiko Fukuda 温度上昇防止システム
KR101489808B1 (ko) * 2013-08-07 2015-02-0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20150071693A (ko) * 2015-06-08 2015-06-26 주식회사 비다인 버스정류장 지붕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737A (zh) * 2020-12-23 2021-04-13 吴大海 一种具有雨水收集利用结构的环保型公交站台
KR102308668B1 (ko) * 2021-01-14 2021-10-01 김준수 미스트 분무형 난간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CN115476756A (zh) * 2022-09-21 2022-12-16 山东泰骋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仓栅式半挂车雨棚快速牵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681B1 (ko) 스마트 버스정류장
JP2012132240A (ja) 道路散水システム
KR20150071693A (ko) 버스정류장 지붕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KR101078773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20180007803A (ko) 클린 로드 시스템
JP3860827B2 (ja) 雨水利用気化熱冷却システムおよび雨水を利用した温度上昇の抑制方法
KR100885119B1 (ko) 무동력 물 뿌림 장치
KR102021016B1 (ko) 유출지하수 및 빗물을 이용한 건물의 비산 미세먼지 저감 장치
EP1013831A2 (en) Protective barrier
CN109429999B (zh) 一种基于城市道路绿化带种植的智能防护方法及其系统
CN208363700U (zh) 一种移动公交候车亭
CN207525851U (zh) 边坡雨水收集系统
CN211622741U (zh) 一种带有快速排水结构的公交站台
KR102199768B1 (ko) 물순환형 도로 세척시스템
CN214143996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KR102277516B1 (ko) 토사유출방지 및 집진 기능을 가진 펜스
CN212896600U (zh) 一种园林景观雨水收集及循环用水系统
KR100896695B1 (ko)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관거 시스템
CN110965413B (zh) 城区净尘系统和城区净尘方法
KR102073520B1 (ko) 매립식 도로 결빙방지 및 노면세척 살수 시스템과 그 공법
KR20210090823A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2700105B (zh) 一种基于互联网和微循环系统构建海绵城市的系统、方法以及存储介质
KR100866289B1 (ko) 도로배수시설용 협잡물 여과구
KR102261001B1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1379202B (zh) 一种防积水的加强路基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