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286B1 - 버스정류장 쉘터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 쉘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286B1
KR102056286B1 KR1020170074393A KR20170074393A KR102056286B1 KR 102056286 B1 KR102056286 B1 KR 102056286B1 KR 1020170074393 A KR1020170074393 A KR 1020170074393A KR 20170074393 A KR20170074393 A KR 20170074393A KR 102056286 B1 KR102056286 B1 KR 10205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side wall
shelt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739A (ko
Inventor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플랜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랜두 filed Critical (주)플랜두
Priority to KR102017007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2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터에 설치된 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구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쉘터 내측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는 출입문이 구비된 전면벽체; 상기 전면벽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흡입부가 구비된 제1측면벽체; 상기 제1측면벽체와 대향되게 상기 전면벽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공기배출부가 구비된 제2측면벽체; 상기 제1측면벽체와 제2측면벽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벽체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후면벽체; 및 상기 전면벽체, 제1,2측면벽체, 후면벽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 공기배출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된 상면벽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 쉘터{Bus Shelter}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정류장 쉘터에 설치된 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구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정화한 후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쉘터 내측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한 것이다.
버스정류장 쉘터란, 시내 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이 내부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버스정류장 쉘터는 설치가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사용용도에 따라 조립식의 건물형태를 이루거나, 버스정류장에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는 건물형태로 설치된다.
위와 같은 버스정류장 쉘터는 내부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비, 눈,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공간에는 의자를 구비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내측에서 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는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내부 공간에서 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버스노선, 각종 제품의 광고안내와 같은 정보의 제공과, 편의시설을 제공할 수 있도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문헌(2)에서와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내부 공간에서 쉴 수 있으며, 승객이 쉴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고, 겨울철에는 쉘터의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쉘터가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버스정류장 쉘터들은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용이한 입출을 이룰 수 있도록 쉘터의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비, 눈,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쉘터 내측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비 ,눈 ,바람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밀폐된 버스정류장 쉘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쉘터 내측의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루기 어려워 쉘터 내측의 공기가 손쉽게 오염되고, 이러한 공기를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흡입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버스정류장 쉘터는 외부 환경이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대기하는 경우, 더위 또는 추위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4234호(2011.04.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326호(2013.07.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버스정류장 쉘터 내측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쉘터의 내부환경이 항상 퀘적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태양열 또는 심야전기를 축전할 수 있는 전원부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부공기 순환과, 내부공간에 구비된 의자의 열선을 가열시키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 없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쉘터의 내부공간에서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에는 외부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하여 밀폐형의 버스정류장 쉘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쉘터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에도 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부에 구비된 정화망과 정화필터의 구성을 통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각종 오염된 공기가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배출부의 정화망과 정화필터의 구성을 통하여 정화되며 버스정류장 쉘터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차량의 이동이 번잡하거나 공장지대와 같은 곳에서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는 출입문이 구비된 전면벽체; 상기 전면벽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흡입부가 구비된 제1측면벽체; 상기 제1측면벽체와 대향되게 상기 전면벽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공기배출부가 구비된 제2측면벽체; 상기 제1측면벽체와 제2측면벽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벽체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후면벽체; 및 상기 전면벽체, 제1,2측면벽체, 후면벽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 공기배출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된 상면벽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후면벽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는 열선이 내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벽체는 상기 공기흡입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감싸도록 체결부재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공기유입구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공과 흡입팬의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망 및 정화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벽체는 상기 공기배출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감싸도록 체결부재를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공과 배출팬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배출팬의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망 및 정화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화망을 통하여 걸러진 오물을 하단으로 배출하는 오물배출구와, 상기 오물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공기흡입부, 공기배출부, 의자의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 환경변화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상면벽체에 구비되는 태양열전지판과, 상기 태양열전지판을 통하여 축전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기흡입부, 공기배출부, 의자의 열선으로 전달하는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기흡입부, 공기배출부, 의자의 열선으로 선택적인 전달을 이루는 제어스위치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센서와,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 및 공기배출부의 일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외부덮개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버스정류장 쉘터 내측의 공기를 정화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쉘터의 내부환경이 항상 퀘적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둘째, 태양열 또는 심야전기를 축전할 수 있는 전원부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부공기 순환과, 내부공간에 구비된 의자의 열선을 가열시키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쉘터의 내부공간에서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에는 외부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쉴 수 있고, 이를 이루기 위하여 밀폐형의 버스정류장 쉘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쉘터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에도 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부에 구비된 정화망과 정화필터의 구성을 통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각종 오염된 공기가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배출부의 정화망과 정화필터의 구성을 통하여 정화되며 버스정류장 쉘터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차량의 이동이 번잡하거나 공장지대와 같은 곳에서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기능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버스정류장 쉘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버스정류장 쉘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의 공기정화 흐름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의 전원부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의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출입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0a)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는 출입문(11)이 구비된 전면벽체(10); 상기 전면벽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흡입부(21)가 구비된 제1측면벽체(20);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대향되게 상기 전면벽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공기배출부(31)가 구비된 제2측면벽체(30);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제2측면벽체(3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벽체(1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내부공간(40a)을 형성하는 후면벽체(40); 및 상기 전면벽체(10), 제1,2측면벽체(20,30), 후면벽체(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40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1)가 구비된 상면벽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벽체(10)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정류장 쉘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승객의 이동이 가능한 출입구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10a)는 상기 전면벽체(10)의 선택된 일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a)에는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11)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11)은 상기 전면벽체(10)의 출입구(10a)를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전면벽체(10)에 슬라이딩 되는 도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출입구(10a)와 출입문(11)의 연결부위를 통하여 쉘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위와 같은 출입구(10a)와 출입문(11)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외측으로 사람(승객)의 이동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0a)에 상기 출입문(11)이 닫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출입구(10a)를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측면벽체(20)는 상기 전면벽체(10)의 일측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전면벽체(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측면벽체(20)와 마주볼 수 있도록 상기 전면벽체(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측면벽체(20)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흡입부(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1)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벽체(20)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공기흡입부(21)를 통하여 제1측면벽체(20)를 사이로 공기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면벽체(20)에는 공기흡입부(21)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0a)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기흡입부(21)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흡입부(21)는 상기 제1측면벽체(2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0a)를 감싸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20a)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공(21a-1)을 형성한 하우징(21a)과, 상기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공(21a-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공기유입구(20a)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흡입팬(21b)과, 상기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공(21a-1)과 흡입팬(21b)의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공(21a-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망(21c) 및 정화필터(2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a)은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측면벽체(2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0a)를 감싸, 상기 제1측면벽체(20)의 외측으로 공기유입구(20a)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흡입공(21a-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팬(21b)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측면벽체(20)의 공기유입구(20a)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a)은 상술한 흡입팬(21b), 정화망(21c), 정화필터(21d)가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팬(21b), 정화망(21c), 정화필터(21d)를 지지하며 고정 시킬 수 있는 별도의 결합홈(미도시), 결합돌기(21a-4), 가이드돌기(21a-4) 등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a)은 상기 제1측면벽체(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변화나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21b)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21a)의 흡입공(21a-1)을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유입이 이루어진 공기는 제1측면벽체(20)의 공기유입구(20a)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을 이루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흡입팬(21b)의 회전을 통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흡입구(21a-1)와 흡입팬(21b)의 사이에 설치되는 정화망(21c)과, 정화필터(21d)의 구성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21b)의 회전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정화망(21c)과 정화필터(21d)에 각종 오염물이 걸러지고, 오염물이 걸러진 정화된 공기가 버스정류장 쉘터로 유입됨으로써, 버스정류장 쉘터 내부 공기를 퀘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화망(21c)과 정화필터(21d)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종래의 정화망(21c)과 정화필터(21d)를 적용하는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마주보게 상기 전면벽체(10)에 설치되는 제2측면벽체(30)는 상기 공기배출부(31)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구(30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31)는 상기 공기배출구(30a)를 감싸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부(31)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31a-1)이 형성된 하우징(31a)과, 상기 하우징(3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부(3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공(31a-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팬(31b)과, 상기 하우징(31a)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공(31a-1)과 흡입팬(31a)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배출팬(31a)의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망(31c) 및 정화필터(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1a)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면벽체(3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0a)를 감싸 상기 제2측면벽체(30)의 외측으로 공기유입구(30a)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공기배출부(3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구비된 배출팬(31b)의 구성을 통하여 하우징(31a)의 배출공(31a-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1a)은 상기 배출팬(31b), 정화망(31c), 정화필터(31d)가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출팬(31b), 정화망(31c), 정화필터(31d)를 지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결합홈(미도시), 결합돌기(31a-4), 가이드돌기(31a-4) 등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a)은 상기 제2측면벽체(3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변화나,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팬(31b)은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a)의 내측에 설치를 이루되, 상기 제2측면벽체(30)의 공기배출구(30a)를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유입이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 하우징(31a)의 배출공(31a-1)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배출팬(31b)의 회전을 통하여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 공기가 상기 제2측면벽체(3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버스정류장 쉘터 내측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켜 버스정류장 쉘터 내부의 공기를 퀘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화망(31c)과 정화필터(31d)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종래의 정화망(31c)과 정화필터(31d)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31)의 하우징(21a,31a)에는 상기 정화망(21c,31c)을 통하여 걸러진 오물(T)을 하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오물배출구(21a-2.31a-2)와, 상기 오물배출구(21a-2,31a-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출덮개(21a-3.31a-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제1측면벽체(20)에 구비된 공기흡입부(21)와, 제2측면벽체(30)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1)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고, 쉘터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버스정류장 쉘터 외측의 오염된 오물 등이 상기 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31)의 내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벽체(40)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제2측면벽체(3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벽체(10)와 마주보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면벽체(40)를 상기 전면벽체(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연결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면벽체(10), 제1측면벽체(20), 제2측면벽체(30)의 내측으로 내부공간(40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40a)으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출입하여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면벽체(40)의 일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4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의자(41)는 상술한 전원부(51)의 전원을 통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는 열선(41a)이 내측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착석하여 쉴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겨울철과 같은 경우에는 의자(41)에 구비된 열선(41a)을 가열하여 의자(41)에 착석을 이룬 승객에게 열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열선(41a)의 온도조절에 따라 버스 정류장 쉘터 내측의 공기온도 또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 눈 등이 오는 경우에도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대기를 이루는 승객이 추위에 떠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벽체(50)는 상기 전면벽체(10), 제1측면벽체(20), 제2측면벽체(30), 후면벽체(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버스정류장 쉘터의 지붕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버스정류장 쉘터의 상부로 떨어질 수 있는 비, 눈, 우박 등에도 손쉽게 손상되지 않고,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부공간(40a)으로 햇볕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읜 금속재, 플라스틱재, 강화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면벽체(50)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부공간(40a)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외부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전하게 버스를 기다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면벽체(50)는 상기 제1측면벽체(20)의 공기흡입부(21)와, 제2측면벽체(30)의 공기배출부(31)에 연결되어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1)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공기흡입부(21)의 흡입팬(21b)과, 공기배출부(31)의 배출팬(31b), 의자(41)의 열선(41a) 작동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51)는 상기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1a)와, 상기 전원공급부(51a)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 환경변화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5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51a)는 상기 상면벽체(50)에 구비되는 태양열전지판(51a-1)과, 상기 태양열전지판(51a-1)을 통하여 축전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지(51a-2)와, 상기 축전지(51a-2)의 전원을 상기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전달하는 전선(51a-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공급부(51a)의 제어는 구비된 제어부(51b)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51b)를 원격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51b)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축전지(51a-2)의 전원을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선택적인 전달을 이루는 제어스위치(51b-1)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센서(51b-2)와, 상기 제어부(51b)에 구비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51b-1)를 작동시키는 수신부(51b-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21) 및 공기배출부(31)의 일측에는 관통공(60a)을 갖는 외부덮개(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부덮개(60)는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측면벽체(20)에 설치된 공기흡입부(21)와, 제2측면벽체(30)에 설치된 공기배출부(3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이 이루어진 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31)가 외부 환경이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버스정류장 쉘터 내측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버스정류장 쉘터 내측의 환경을 퀘적하게 유지시키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외부 환경변화나 날시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버스정류장 쉘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전면벽체 10a: 출입구
11: 출입문 20: 제1측면벽체
20a: 공기유입구 21: 공기흡입부
21a-1: 흡입공 21a: 하우징
21a-2,31a-2: 오물배출구 21a-3,31a-3: 배출덮개
21b: 흡입팬 21c,31c: 정화망
21d,31d: 정화필터 30: 제2측면벽체
33a: 공기배출구 31: 공기배출부
31a-1: 배출공 31a: 하우징
31b: 배출팬 40: 후면벽체
40a: 내부공간 41: 의자
41a: 열선 50: 상면벽체
51: 전원부 51a: 전원공급부
51a-1: 태양열전지판 51a-2: 축전지
51a-3: 전선 51b: 제어부
51b-1: 제어스위치 51b-2: 작동센서
51b-3: 수신부 60: 외부덮개
60a: 관통공

Claims (8)

  1.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출입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0a)에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는 출입문(11)이 구비된 전면벽체(10);
    상기 전면벽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흡입부(21)가 구비된 제1측면벽체(20);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대향되게 상기 전면벽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공기배출부(31)가 구비된 제2측면벽체(30);
    상기 제1측면벽체(20)와 제2측면벽체(3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벽체(1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내부공간(40a)을 형성하는 후면벽체(40); 및
    상기 전면벽체(10), 제1,2측면벽체(20,30), 후면벽체(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40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1)가 구비된 상면벽체(50);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벽체(4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51)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는 열선(41a)이 내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측면벽체(20)는 상기 공기흡입부(21)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0a)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부(21)는 상기 공기유입구(20a)를 감싸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20a)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공(21a-1)이 형성된 하우징(21a)과,
    상기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공(21a-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공기유입구(20a)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흡입팬(21b)과,
    상기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공(21a-1)과 흡입팬(21b)의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공(21a-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망(21c) 및 정화필터(21d)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벽체(30)는 상기 공기배출부(31)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31)는
    상기 공기배출구(30a)를 감싸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부(31)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31a-1)이 형성된 하우징(31a)과,
    상기 하우징(3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부(3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공(31a-1)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팬(31b)과,
    상기 하우징(31a)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공(31a-1)과 배출팬(31b)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배출팬(31b)의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망(31c) 및 정화필터(31d)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1a,31a)은
    상기 정화망(21c,31c)을 통하여 걸러진 오물(T)을 하단으로 배출하는 오물배출구(21a-2,31a-2)와, 상기 오물배출구(21a-2,31a-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덮개(21a-3,31a-3)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51)는
    상기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1a)와,
    상기 전원공급부(51a)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 환경변화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51b)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51a)는
    상기 상면벽체(50)에 구비되는 태양열전지판(51a-1)과,
    상기 태양열전지판(51a-1)을 통하여 축전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지(51a-2)와,
    상기 축전지(51a-2)의 전원을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전달하는 전선(51a-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1b)는
    상기 축전지(51a-2)의 전원을 공기흡입부(21), 공기배출부(31), 의자(41)의 열선(41a)으로 선택적인 전달을 이루는 제어스위치(51b-1)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센서(51b-2)와,
    상기 제어부(51b)에 구비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51b-1)를 작동시키는 수신부(51b-3)를 포함하는 버스 정류장 쉘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21) 및 공기배출부(31)의 일측에는 관통공(60a)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1측면벽체(20)에 설치된 공기흡입부(21)와, 제2측면벽체(30)에 설치된 공기배출부(3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이 이루어진 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31)가 외부 환경이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덮개(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오물배출구(21a-2)는 상기 공기흡입부(21)를 통하여 내부공간(40a)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시, 버스장류장 쉘터 외측의 오염된 오물 등이 정화망(21c)에 걸려 공기흡입부(21)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물배출구(31a-2)는 상기 공기배출부(31)를 통하여 내부공간(40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시, 버스정류장 쉘터 외측의 오염된 오물 등이 정화망(31c)에 걸려 공기배출부(31)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물배출구(21a-2,31a-2)의 구성을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고, 쉘터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버스정류장 쉘터 외측의 오염된 오물 등이 상기 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31)의 내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 쉘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74393A 2017-06-13 2017-06-13 버스정류장 쉘터 KR10205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3A KR102056286B1 (ko) 2017-06-13 2017-06-13 버스정류장 쉘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3A KR102056286B1 (ko) 2017-06-13 2017-06-13 버스정류장 쉘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39A KR20180135739A (ko) 2018-12-21
KR102056286B1 true KR102056286B1 (ko) 2019-12-16

Family

ID=6496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393A KR102056286B1 (ko) 2017-06-13 2017-06-13 버스정류장 쉘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2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95B1 (ko)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597506B1 (ko) 2022-12-05 2023-11-03 주식회사 씨티콘 이동식 부스
KR102597508B1 (ko) 2022-12-05 2023-11-03 주식회사 씨티콘 이동식 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52B1 (ko) * 2019-04-01 2021-11-04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CN110984633B (zh) * 2020-01-03 2021-02-09 深圳昌恩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公交车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95B1 (ko) 2020-07-14 2021-08-09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스마트 버스 쉘터 시스템
KR102597506B1 (ko) 2022-12-05 2023-11-03 주식회사 씨티콘 이동식 부스
KR102597508B1 (ko) 2022-12-05 2023-11-03 주식회사 씨티콘 이동식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39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286B1 (ko) 버스정류장 쉘터
KR102160487B1 (ko) 버스정류장 쉘터
EP3126584B1 (en) Mobile house utilising renewable energy
KR101878551B1 (ko) 창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DK200800168Y6 (da) Luftsolfanger til at opvarme luftstrøm
CN205577278U (zh) 全自动智能感应太阳能挡雨集水雨篷
KR102069382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이동식 부스
KR101873706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CN108291737B (zh) 通风并生物净化环境内外空气的模块及相关方法
KR102153698B1 (ko) 미세먼지 차단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 구성의 쉘터
JPH11350759A (ja) バス・トイレ用のコンテナ
KR102228418B1 (ko) 스카이 어닝
CN208122381U (zh) 一种节能建筑屋
KR102080068B1 (ko) 옥외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고정식 그늘막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EP330946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ssembly of such a roof window system
FR2936828A1 (fr) Module prefabrique destine a etre monte dans un batiment et batiment comprenant un tel module
KR100837499B1 (ko) 사계절용 실내공기 환기와 정화 및 자동 시스템의 이중복합창
KR20180089782A (ko) 좌판 오염 방지기능을 가지는 벤치
WO2007078136A1 (en) Ventilation door
FR3014172A1 (fr) Gaine aeraulique destinee a la climatisation de l'air dans un batiment d'elevage et batiment d'elevage pourvu d'une telle gaine aeraulique
KR20200113955A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스마트 대기소
JP2005061670A (ja) 温水器
WO1999043992A1 (fr) Dispositif integre, prefabrique et modulaire, de chauffage et de ventilation d'un local de batiment
KR102305602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여 쾌적함을 제공하는 친환경 쉘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