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06B1 - 재난 긴급 구호주택 - Google Patents

재난 긴급 구호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06B1
KR101873706B1 KR1020180010327A KR20180010327A KR101873706B1 KR 101873706 B1 KR101873706 B1 KR 101873706B1 KR 1020180010327 A KR1020180010327 A KR 1020180010327A KR 20180010327 A KR20180010327 A KR 20180010327A KR 101873706 B1 KR101873706 B1 KR 10187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ody
heat
generating unit
heat generating
comm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
Original Assignee
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 filed Critical 김선
Priority to KR102018001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난 긴급 구호주택은 재난 전의 주택과 동일하게 건축 및 제작하여 이재민들의 안정된 주거생활을 통해서 이재민의 정신적 및 육체적 안정과 더불어 재난을 극복하고자 용기를 복 돋아 주어서 편안한 주거생활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포함하고, 바닥판, 상판, 및 복수의 측판을 가진 스틸몸체; 상기 스틸몸체의 상판에 장착된 복수개 이상의 상부 공유압시스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상부에 연결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의 상하 및 좌우각도 또는 수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 수평감지센서;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 이상의 채광 및 환기창;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장착된 레그 공유압시스팀과 바퀴;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 및 배수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데크; 상기 데크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복수개 이상의 경첩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일측에 형성된 현관문과 통유리창; 상기 현관문과 인접한 스틸몸체 측판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에 장착된 제어반; 상기 제어반 일측에 연결된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전기공급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과 이격되게 배치된 바닥마감재의 저면에 배치된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하부에 형성된 열기유로와, 상기 열기유로 측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열기 발생유닛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한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난방기구;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벽과 바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각 모서리면에 연결된 복수개의 원목보호테;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스틸몸체의 상판 사이에는 급수펌프와 물탱크,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공유압을 공급하는 공유압모터, 에어컨의 실외기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컨실외기 하우징 및 밧데리하우징, 상기 스틸몸체의 수평을 감지하는 복수개 이상의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 및 상기 스틸몸체를 승하강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승하강부 브라켓가 배치되며, 상기 구들장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축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기유로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로부터 제공된 열기가 상대적으로 오래 체류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의 공간을 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샤워실을 구비하여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이재민을 긴급하게 주거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 긴급 구호주택{Emergency relief house on the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 긴급 구호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풍, 폭우 및 집중호우, 지진, 폭설, 해일, 화재 등 불가피한 자연재해로 인해 주택의 상실 및 소실, 파괴 및 지역에 이재민의 주거생활 공간을 빠른 시일내에 제공하여 이재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정신적 안정을 취하게 하면서 편안한 주거생활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또한 청년 및 벤처창업 등의 사무실 공간 및 미니 주거, 휴양지 및 전원주택의 세컨하우스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 긴급 구호주택을 사용한 후, 이를 재활용하여 다시 주거 및 미니 사무실 공간, 스튜디오(studio), 공공임대상가 부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에 관한 것이다.
태풍, 폭우,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 폭설, 지진, 해일, 화재, 각종 전염병 등의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로 인해 불가피하게 이재민이 발생되는 사건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재민들이 거주하고 있던 주택이 파손, 붕괴 또는 상실 및 소실되어서 이재민들이 오갈데가 없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관공서나 학교 교실 및 체육관 등의 안전한 공공시설물에 집단생활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고, 이러한 이재민의 임시대피 상황이 언제 끝날지 기약이 없으며, 재해 전 주택의 복구가 끝날 때 까지 마냥 지루하게 기다리게 되는 상황으로 이재민의 정신적 피해 뿐만 아니라 육체적 피해도 가해져 이재민의 심신이 지쳐가는 현상이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예로, 공항 등에서 폭우, 강한 바람, 폭설, 안개 등으로 비행기가 이착륙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비행기 승객들이 날씨가 좋아질 때까지 공항의 바닥에서 숙박을 해가면서 마냥 기다리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이재민의 장기간의 집단생활로 인해 이재민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있고, 노약자 및 어린이 등의 이재민이 전염병 등에 의해 2차 재해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 임시적으로 텐트를 제공하여 해당 가족끼리 기거할 수는 있으나, 그 텐트가 소형이면서 수면만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이재민의 생활이 불편하고, 또한 정해진 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타 이재민의 소음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재민을 위하여 가설주택을 건설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가설주택을 건설하는데 전문인력의 동원과 더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고, 수백명, 수천명, 수만명의 이재민이 동시에 많이 한꺼번에 발생될 경우 건축장소와 더불어 이재민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가사 많은 가설주택을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재해전으로 주택복구가 완료될 경우 상기 가설주택의 재활용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으로 비용낭비가 심한 실정이다.
또한, 이재민의 임시 대피소로 상기와 같은 텐트 및 가설주택은 급수시설과 세면시설, 주방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관공서의 공동시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재민에게 많은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숙박 및 거주에 있어서도 냉난방 등의 불편한 문제와 더불어 TV 및 인터넷 등이 제공되지 아니하여 이재민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 뿐만 아니라, 관공서나 학교시설 및 가설주택이나 텐트 등의 임시 대피장소의 바닥에 간단한 스티로폼이나 모포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또한 텐트를 이용하여 긴급 대피를 위해 집단생활을 하고 있어서 이재민의 냉난방 등이 어려워 긴급대피생활의 불편함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청년 등의 창업을 하고자 할 때, 초기 창업비용을 절감을 하기 위해 컨테이너 등에서 사무실 및 주거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냉난방 설비가 갖추어 지지 아니하여 겨울에 화재사고, 하절기에 선풍기 등의 전기과열로 화재가 발생하여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휴양지의 펜션 등에서 집중호우로 인해 긴급 재난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긴급상황을 휴양객이 전달 받지 못해 인명피해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접이식 재난 구호주택은 단순히 접혀져서 부피를 감소하고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다는 것만 제공될 뿐, 이재민의 주거생활공간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동식 주택은 태양열집열판에 의해 난방으로 활용과 더불어 내부공간을 복층으로 활용하긴 하나,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동식 주택의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지붕을 태양전지판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태양전지판, 축전지 및 인버터 등의 일체화와, 태양열을 이용한 실내난방, 상기 태양전지판이 계절별 고도 및 시간별 위치에 따라 좌우측 및 전후측으로 가변 되도록 되어 있을 뿐,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벽촌에 물공급이 어려운 장소에 물탱크가 부설된 이동식 간이주택은 물탱크를 장착하여 물은 공급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캠핑트레일러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이동식 펜션은 가족이나 친지와 함께 강이나 산, 바닷가 등에 자연공간에서 시간을 보내기 위해 프레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지면의 고정과 견인을 안전성 있게 한다는 것일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동식 주택은 도로의 폭과 높이를 감안하여 상기 이동식 주택에 바퀴를 장착하여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것만 개시되어 있을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난방,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이동식 주택의 상하수도 시스템은 급수와 생활 하수만을 처리하고 있을 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난방 및 세면, 데크, 인터넷 등의 정주공간 및 긴급안내방송 등의 기타 편의시설이 없어 이재민이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태풍, 폭우,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 겨울철의 폭설, 지진, 해일, 화재, 각종 전염병 등의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로 인해 재해 전의 주택이 복구될 때까지 이재민의 장기간 주거공간으로 편안하면서 안정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6520호(2016. 4. 28)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6470호(2011. 8. 11) 선행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15693호(2007. 2. 6) 선행문헌 4: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0-0001100호(1980. 7. 28) 선행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2739호(2012. 3. 27) 선행문헌 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89224호(2008. 10. 6) 선행문헌 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9613호(2015. 8. 27) 선행문헌 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46500호(2017. 5. 2) 선행문헌 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34420호(2016. 11. 23) 선행문헌 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04748호(2017. 1. 11) 선행문헌 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12837호(2016. 9. 28) 선행문헌 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8692호(2016. 10. 23) 선행문헌 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69802호(2014. 12. 1) 선행문헌 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73319호(2014. 3. 5) 선행문헌 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3782호(2007. 9. 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긴급 구호주택은 재난 전의 주거생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미리 건축 및 제작하여 이재민들의 안정된 주거생활을 통해서 이재민의 정신적 및 육체적 안정과 더불어, 재난을 극복하고자 용기를 북돋아 주어서 편안한 주거생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한다.
또한, 재난 긴급구호주택으로 사용한 이후에, 대학 기숙사, 회사 기숙사, 휴양지 펜션, 스튜디오 및 공공임대상가 등으로 재활용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청년 및 벤처 창업자의 연구실 및 사무실공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여 청년 및 벤처 등의 창업자의 창업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서울 등 수도권 등의 대학 등에서 기숙사가 많이 부족한 것을 해결하고, 대학 및 회사 등의 기숙사를 건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재정적 비용을 절감하여 편안하면서 저렴한 주거 생활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휴양지에 긴급구호 주택을 제공함으로써 휴양지의 숙소 및 휴가 기간 동안에 휴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전원농장에 설치하여 주말에 4 내지 5인이 전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세컨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수백명, 수천명 및 수만명 등의 많은 이재민을 동시 및 짧은 시간에 바로 수용하도록 공급할 수 있고, 2차 재해를 방지하여 공항에서 긴급한 상황에 미리 대비해 놓아 승객들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난방수단을 화석연료, 즉 가스, 기름, 석탄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 대기 오염에 의한 환경 보호를 한다고 있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긴급 구호주택은,
단열재를 포함하고, 바닥판, 상판, 및 복수의 측판을 가진 스틸몸체;
상기 스틸몸체의 상판에 장착된 복수개 이상의 상부 공유압시스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상부에 연결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의 상하 및 좌우각도 또는 수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 수평감지센서;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 이상의 채광 및 환기창;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장착된 레그 공유압시스템과 바퀴;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 및 배수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데크;
상기 데크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복수개 이상의 경첩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일측에 형성된 현관문과 통유리창;
상기 현관문과 인접한 스틸몸체 측판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에 장착된 제어반;
상기 제어반 일측에 연결된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전기공급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과 이격되게 배치된 바닥마감재의 저면에 배치된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하부에 형성된 열기유로와, 상기 열기유로 측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열기 발생유닛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한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난방기구;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벽과 바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각 모서리면에 연결된 복수개의 원목보호테;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스틸몸체의 상판 사이에는 급수펌프와 물탱크,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공유압을 공급하는 공유압모터, 에어컨의 실외기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컨실외기 하우징 및 밧데리하우징, 상기 스틸몸체의 수평을 감지하는 복수개 이상의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 및 상기 스틸몸체를 승하강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승하강부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구들장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축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기유로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로부터 제공된 열기가 상대적으로 오래 체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의 공간을 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샤워실을 구비하여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이재민을 긴급하게 주거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피스톤 선단은 반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의 브라켓 하부에는 소켓부가 부착되며, 상기 피스톤의 선단이 상기 소켓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을 상하 및 좌우 각도로 조절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상기 피스톤 선단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브라켓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총행정의 조정길이는 일측, 중간측 및 타측의 비율이 1:6:12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은 태양전지판을 계절 및 하루의 시간변화에 따라 상하 및 좌우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과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상하 및 각도, 수평을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는 수중펌프로 물탱크안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안의 밑면은 급수펌프방향으로 낮게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유압모터와 상기 에어컨실외기 하우징 또는 물탱크는 상기 스틸몸체의 상부에 고무팩킹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는 상기 스틸몸체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 브라켓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몸체 상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는 태양전지판의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채광 및 환기창은 스틸몸체의 상부 또는 측판의 일측면에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될수 있다.
상기 채광 및 환기창은 미닫이 형식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이외에 바닥판의 공간에 적어도 4개 이상으로 장착될 수있다.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과 바퀴는 상기 스틸몸체와 하부브라켓을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총행정길이가 바퀴의 높이보다 크게 또는 작게 조절되게 하여서 상기 스틸몸체를 이동 또는 고정 가능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에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지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면에 경첩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크의 타측면은 복수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첩수단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스틸몸체 하부의 일측면에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첩수단은 바닥판 일측면에 경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첩수단의 바닥판 일측면의 경첩홀과 데크의 타측면의 장공이 일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첩홀 및 데크의 타측면의 장공은 ㄱ 또는 ㄴ자형 고정부재로 결합하여 상기 경첩수단과 데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상부 일측면에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반은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 태양전지판, 급수펌프, 공유압모터, 에어컨, 밧데리,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 채광 및/또는 환기창, 레그 공유압시스템,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 전기공급수단을 제어하면서 인터넷 공급장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반의 전원공급은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밧데리의 전기와 일반 가정용 전기를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공간은 거실, 주방, 침실, 세면실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공간의 구획은 알루미늄 커튼 또는 목재판으로 된 미닫이 문으로 구성될수 있다.
상기 미닫이 문은 목재판안에 내장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퀴는 자동차 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온도조절기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레그 슈는 직사각형의 가장자리에 커링되어 있으면서 그 크기는 하부 브라켓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일측면에 현관문과 이중 통유리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단열판이 적층되고, 상기 열기유로는 상기 단열판과 상기 구들장 사이에 복수의 지지체 및 복수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유로 상에서 열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 측으로 일직선상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방사형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절곡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기유로의 일측에는 연결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기유로의 타측은 배기관과 소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연결개구를 통해 상기 열기유로 내로 유입되고,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한 열기는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연소재료를 태워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그 전방측에 형성된 입구를 가지고, 상기 입구를 통해 연소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그 일측에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은 상기 열기유로의 연결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의 내부에는 그을음(soot)을 여과하는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개구는 상기 스틸몸체의 어느 한 측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연결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이 상기 연결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이 상기 연결개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연결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가장자리에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장착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하단에는 복수의 레그가 장착되며,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레그들이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판은 상기 연결개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배기관과 인접한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개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는 바람막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기발생유닛은 구들장과 열기유로 없이 거실 또는 침실 등에 직접 장착하여 배기관과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긴급 구호주택은 재난 전의 주건 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미리 건축 및 제작하여 이재민들의 안정된 주거생활을 통해서 이재민의 정신적 및 육체적 안정과 더불어, 재난을 극복하고자 용기를 북돋아 주어서 편안한 주거생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더불어 재난 긴급구호주택으로 사용한 이후에, 대학 기숙사, 회사 기숙사, 휴양지 펜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년 및 벤처 창업자의 연구실 및 사무실공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여 청년 및 벤처 등의 창업자의 창업비용을 절감시키고, 서울 등 수도권 등의 대학 등에서 기숙사가 많이 부족한 것을 해결하고, 대학 및 회사 등의 기숙사를 건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재정적 비용을 절감하여 편안하고 저렴한 주거 생활공간으로 빠른 시일내로 공급하여 시간단축의 효과가 있으며, 휴양지에 긴급구호 주택을 공급함으로써 휴양지의 숙소 및 휴가기간 동안에 휴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전원농장에 설치하여 주말에 4 내지 5인이 전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세컨하우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수백명, 수천명 및 수만명 등의 많은 이재민을 동시 및 짧은 시간에 바로 재난 긴급 구호주택으로 수용하도록 공급할 수 있고, 2차 재해를 방지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 편, 본 발명에 의해 난방수단을 화석연료, 즉 가스, 기름 석탄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 대기 오염에 의한 환경 보호하는 효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기구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기구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난방기구의 열기유로를 실시예 별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 긴급 구호주택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및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및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및 "직접 결합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틸몸체(100)는 바닥판(101), 상판(102)과 4개의 측판(10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101), 상판(102)과 4개의 측판(103)들은 내부에 모두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틸몸체(100)는 직육면체의 각 모서리에 I형강을 포함하여 직육면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판(101)의 상측에는 바닥마감재(514)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바닥마감재(514)의 가장자리와 각 측판(103)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는 모서리면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면에는 원목보호테(513)가 연결될 수 있다.
스틸몸체(100)의 내부공간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 주방, 침실, 세면실, 샤워실로 구획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틸몸체(100)의 내부공간구획은 알루미늄 커튼(417) 또는 미닫이 문(419) 형식의 목재판(418)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닫이 문(419)은 목재판안에 내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틸몸체(100)의 상판(101)의 상부에 복수개 이상의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은 실린더(202)와 피스톤(201)을 포함하고 있으며, 피스톤(201)의 행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은 상판(102)의 상부에 적어도 6개 이상을 각 모서리의 언저리 또는 상판(10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의 총행정 조정길이는 일측, 중간측 및 타측의 비율이 1:6: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에서 피스톤의 선단(203)은 반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태양전지판(30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01)의 하부에 적어도 6개 이상의 소켓부(302)가 형성되고, 각 소켓부(302)는 피스톤의 반구형상의 선단(203)에 대응하는 반구형상의 홈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피스톤의 선단(203)과 소켓부(302)가 서로 연결 및 접속됨으로써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의 선단(203)과 소켓부(302) 대신에 유니버셜조인트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판(300)과 스틸몸체(100)의 상판(102) 사이에 물탱크(4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400)안에 수중펌프인 급수펌프(401)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물탱크(400)가 한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히터(402)와 온도센서(403)가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급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탱크(400)와 상기 상판(102)을 연결 및 결합할 때 고무팩킹(404)을 부가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물탱크(400)를 임의의 각도로 급수펌프(401)방향으로 낮게 하면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판(300)과 스틸몸체(100)의 상판(102) 사이에 밧데리하우징(420)과, 공유압모터(406) 및 에어컨실외기 하우징(405)를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유압모터(406) 및 에어컨실외기 하우징(405)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유압모터(406) 및 에어컨실외기 하우징(405)와 상기 상판(102)을 연결할 때 고무팩킹(404)을 부가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틸몸체(100)의 상판(102) 사이에 스틸몸체(100)의 수평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4개 이상의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407)를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틸몸체(100)를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부 브라켓(408)에 중공(409)이 형성된 적어도 4개 이상을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부 브라켓(408)은 상기 상판(102)의 각 모서리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은 태양전지판(300)을 계절 및 하루시간의 변화에 따라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태양전지판(300)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4개 이상의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410)를 태양전지판(300)의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몸체(100)의 상판(102) 또는 측판(103)에는 채광 및 환기창(411)을 복수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채광 및 환기창(411)은 미닫이 방식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측판(103)의 상부에 에어컨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홀(412)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은 피스톤(501)과 실린더(502)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501)의 선단은 용접으로 레그슈(503)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은 스틸몸체(100)의 바닥판(101)과 하부브라켓(504)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그 공유압시스템(500), 스틸몸체(100)의 바닥판(101)과 하부브라켓(504)의 결합은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연결 및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4개 이상이 장착된 바퀴(505)는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의 연결형태와 동일하게 스틸몸체(100)의 바닥판(101)과 하부브라켓(504)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바퀴(505)는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의 이외의 공간인 바닥판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의 총행정길이가 상기 바퀴(505)의 높이보다 크게 또는 작게 피스톤(501)으로 조절되게 하여서 스틸몸체(100)를 이동 또는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스틸몸체(100)를 이동할 경우에는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을 들어올리면, 바퀴(505)는 지면에 접촉하게 되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505)는 자동차 타이어로 구성될 수 있고,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의 레그 슈(503)는 직사각형의 가장자리에 커링되어 있으면서 그 크기는 하부브라켓(504)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공유압시스템(200)과 레그 공유압시스템(500)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높이 및 각도, 수평을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몸체(100)의 바닥판(101)은 복수개 이상의 물 또는 오염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출홀(5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506)은 배수관(507)와 연결되어 외부의 배수펌프와 정화조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600)의 재질은 목재로 사용하고 있고, 상기 데크(600)의 일측면은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고정되고 있으며, 데크(600)의 타측면은 적어도 6개 이상의 다리(601)에 의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데크(600)의 타측면의 일부가 경첩(602)수단과 연결 및 결합되어서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600)의 타측면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장공(607)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600)에 결합되는 경첩(602)수단은 상기 스틸몸체(100)의 하부 일측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경첩(602)수단을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첩(602)수단은, 즉 경첩(602), 리벳 또는 볼트너트, 힌지(604), 경첩홀(60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첩홀(603)과 데크(600)에 형성된 데크 타측면의 장공(607)과 일치시켜서 고정부재(606)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스틸몸체(100) 및 데크(600)를 다리(601)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틸몸체(100)와 데크(600)와 연결된 상기 스틸몸체(100)의 측판 일측면에 현관문(700)과 통유리창(701)로 구성될 수 있고,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중 통유리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현관문(700)의 안쪽에 상기 스팀몸체(100)의 내부공간의 측판(103)의 상부에 제어반(413)이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어반(413)에 인접된 측판에 긴급안내방송 스피커(414)가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틸몸체(100)의 상부에 장착된 전기구동부품 및 복수개 이상의 측판(103)에 장착된 전기구동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전기공급수단(415)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반(413)의 전원공급은 태양전지판(300)에서 생성된 밧데리(404)의 전기와 일반 사용전기를 동시 또는 독립적이거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413)은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200), 태양전지판(300), 급수펌프(401), 공유압모터(406), 에어컨, 밧데리 하우징에 내장된 밧데리(420),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407), 태양전지판수평센서(410), 채광 및 환기창(411), 레그 공유압시스템(500),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414), 전기공급수단(415), 온도조절기와 온도센서를 포함한 온도조절수단(416) 등을 상기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 및 제어하면서 인터넷 공급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틸몸체(100)의 바닥판(101)과 바닥마감재(514) 사이에 배치된 난방기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기구(800)는 바닥마감재(514)의 저면에 배치된 구들장(801)과, 구들장(801)의 하부에 형성된 열기유로(802)와, 열기유로(802) 측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열기 발생유닛(80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들장(801)은 열기유로(802)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축열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구들장(801)은 그 축열된 열을 바닥마감재(514)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들장(801)은 화강암 판석, 황토혼합물로 이루어진 판석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들장(801)은 황토층 및 현무암판이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닥판(101)의 상면에는 단열판(809)이 적층될 수 있고, 단열판(809)은 내화벽돌 등으로 구성되어 바닥판(101)의 하부로 열이 방출됨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열기유로(802)는 열기 발생유닛(803)으로부터 제공된 열기(연기, 불길 등)가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열기유로(802)는 열기가 가능한 오래 체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구들장(801)으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열기유로(802)의 일측에는 연결개구(807)가 마련되고, 열기유로(802)의 타측은 배기관(806)과 소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발생된 열기가 연결개구(807)를 통해 열기유로(802)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열기유로(802)를 통과한 열기는 배기관(80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체(804)가 바닥마감재(514) 및 단열판(809)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배치됨으로써 열기유로(802)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체(804)의 길이는 바닥마감재(514) 및 단열판(809) 사이의 이격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체(804)들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805)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가이드부재(805)는 열기유로(802) 상에서 열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재(805)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부재(805)는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배기관(806) 측으로 일직선상으로 가이드되도록 스틸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부재(805)는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배기관(806)을 향해 방사형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부재(805a, 805b)는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배기관(806)을 향해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재(805a, 805b)는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대각선 가이드부재(805a) 및 대각선 가이드부재(805a)의 주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길이방향 가이드부재(805b)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열기 발생유닛(803) 및 배기관(806)이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부재(805)는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배기관(806)을 향해 절곡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가이드부재(805)는 일정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열기 발생유닛(803)은 열기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발생된 열기가 열기유로(802)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열기 발생유닛(803)은 구들장 및 열기유료 없이 거실 또는 침실 등에 직접 장착하여 배기관(806)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기 발생유닛(803)은 통나무 등과 같은 연소재료를 태워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열기 발생유닛(803)은 그 전방측에 형성된 입구(803a)를 가질 수 있고, 입구(803a)를 통해 통나무 등과 같은 연소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열기 발생유닛(803)의 상단에는 개구(803b)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803b)에는 가마솥 등과 같은 조리기구 또는 덮개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열기 발생유닛(803)은 그 일측에 공급관(808)이 연결될 수 있고, 열기 발생유닛(803)의 공급관(808)은 열기유로(802) 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스틸몸체(100)의 어느 한 측판(104)의 하부에는 연결개구(807)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개구(807)에는 열기 발생유닛(803)의 공급관(808)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개구(807)는 도어(8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도어(815)가 연결개구(807)를 개방한 상태에서 열기 발생유닛(803)의 공급관(808)이 결합될 수 있다. 하절기 등에 난방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열기 발생유닛(803)의 공급관(808)이 연결개구(807)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렇게 공급관(808)이 연결개구(807)에서 분리되면 도어(815)가 연결개구(807)를 폐쇄할 수 있다.
공급관(808)의 내부에는 필터(820)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필터(820)는 자갈, 또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된 세라믹, 모래 등으로 구성되어 열기 발생유닛(803)에서 발생된 그을음 및 이물질 등을 여과함으로써 구들장(801)의 저면에 soot(그을음, 탄소알갱이 등)가 부착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820)를 공급관(808)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필터(820)를 세척함으로써 그 여과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틸몸체(100)의 일측가장자리에는 열기 발생유닛(803)을 지지하는 지지판(810)이 장착될 수 있고, 열기 발생유닛(803)의 하단에는 복수개 이상의 레그(81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열기 발생유닛(803)의 레그(811)들이 지지판(81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열기 발생유닛(803)은 지지판(810)에 안정된 자세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기구(8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기구(800)의 단열판(809)은 연결개구(807)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831) 및 배기관(806)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함몰부(832)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831)는 연결개구(807)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831)의 전방면 및 후방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개구(807)를 통해 유입된 열기는 돌출부(831)를 타고 열기유로(802) 내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돌출부(831)의 사이즈, 형상 등에 따라 열기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함몰부(832)는 배기관(806)과 인접한 위치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832)에 의해 연소시 흡입되는 재가 함몰부(832)의 바닥에 가라 앉을 수 있다. 함몰부(832) 내에서 열기와 공기가 적절히 혼합될 수도 있다.
함몰부(832)의 일측에는 바람막이 돌기(83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바람막이 돌기(833)에 의해 배기관(806)을 타고 역류하는 외기가 열기유로(802)로 유입됨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틸몸체
101: 바닥판 102: 상판 103: 측판
200: 상부 공유압시스템
201: 피스톤 202: 실린더 203: 피스톤의 선단
300: 태양전지판
301: 브라켓 302: 소켓부
400: 물탱크
401: 급수펌프 402: 히터 403: 온도센서
404: 고무팩킹 405: 에어컨 실외기 하우징 406: 공유압모터
407: 수평감지센서 408: 승하강부 브라켓 409: 중공
410: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 411: 채광 및/또는 환기창
412: 홀
413: 제어반 414: 스피커 415: 전기공급수단
416: 온도조절수단 417: 알루미늄 커튼 418: 목재판
419: 미닫이 문
420: 밧데리 하우징
500: 레그 공유압시스템
501: 피스톤 502: 실린더 503: 레그슈
504: 하부 브라켓 505: 바퀴 506: 배출홀
507: 배수관
513: 원목보호테 514: 바닥마감재
600: 데크
601: 다리 602: 경첩 603: 경첩홀
604: 힌지 605: 리벳 및/또는 볼트너트 606: 고정부재
607: 데크 타측면의 장공
700: 현관문
701: 통유리창
A: 거실 B: 주방 C 및 D: 침실, 세면대, 샤워장, 화장실
800: 난방기구
801: 구들장 802: 열기유로 803: 열기 발생유닛
809: 단열판

Claims (54)

  1. 단열재를 포함하고, 바닥판, 상판, 및 복수의 측판을 가진 스틸몸체;
    상기 스틸몸체의 상판에 장착된 복수개 이상의 상부 공유압시스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피스톤 선단은 반구형상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상부에 연결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의 브라켓 하부에는 소켓부가 부착되며, 상기 피스톤의 선단이 상기 소켓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을 상하 및 좌우 각도로 조절되는 것;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상하 및 좌우각도 또는 수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 수평감지센서;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 이상의 채광 및 환기창;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장착된 레그 공유압시스템과 바퀴;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 및 배수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데크;
    상기 데크와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복수개 이상의 경첩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일측에 형성된 현관문과 통유리창;
    상기 현관문과 인접한 스틸몸체 측판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에 장착된 제어반;
    상기 제어반 일측에 연결된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
    상기 스틸몸체 상부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에 장착된 전기 구동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전기공급수단;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과 이격되게 배치된 바닥마감재의 저면에 배치된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하부에 형성된 열기유로와, 상기 열기유로 측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열기 발생유닛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한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난방기구; 및
    상기 스틸몸체의 측벽과 바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각 모서리면에 연결된 복수개의 원목보호테;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과 스틸몸체의 상판 사이에는 급수펌프와 물탱크,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공유압을 공급하는 공유압모터, 에어컨의 실외기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컨실외기 하우징 및 밧데리하우징, 상기 스틸몸체의 수평을 감지하는 복수개 이상의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 및 상기 스틸몸체를 승하강할 수 있는 복수개 이상의 승하강부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구들장은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축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기유로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로부터 제공된 열기가 상대적으로 오래 체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의 공간을 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샤워실을 구비하여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이재민을 긴급하게 주거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상기 피스톤 선단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브라켓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의 총행정의 조정길이는 일측, 중간측 및 타측의 비율이 1:6: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은 태양전지판을 계절 및 하루의 시간변화에 따라 상하 및 좌우각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과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상하 및 각도, 수평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는 수중펌프로 물탱크안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안의 밑면은 급수펌프방향으로 낮게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압모터와 상기 에어컨실외기 하우징 또는 물탱크는 상기 스틸몸체의 상부에 고무팩킹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는 상기 스틸몸체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 브라켓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몸체 상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는 태양전지판의 상부 또는 하부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광 및 환기창은 스틸몸체의 상부 또는 측판의 일측면에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채광 및 환기창은 미닫이 형식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이외에 바닥판의 공간에 적어도 4개 이상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과 바퀴는 상기 스틸몸체와 하부브라켓을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총행정길이가 바퀴의 높이보다 크게 또는 작게 조절되게 하여서 상기 스틸몸체를 이동 또는 고정 가능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바닥판에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에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지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면에 경첩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타측면은 복수개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수단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스틸몸체 하부의 일측면에 리벳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3. 청구항 20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경첩수단은 바닥판 일측면에 경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첩수단의 바닥판 일측면의 경첩홀과 데크의 타측면의 장공이 일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경첩홀 및 데크의 타측면의 장공은 ㄱ 또는 ㄴ자형 고정부재로 결합하여 상기 경첩수단과 데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상부 일측면에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홀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상부 공유압시스템, 태양전지판, 급수펌프, 공유압모터, 에어컨, 밧데리, 스틸몸체수평감지센서, 태양전지판수평감지센서, 채광 및 환기창, 레그 공유압시스템, 긴급 안내방송 스피커, 전기공급수단을 제어하면서 인터넷 공급장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의 전원공급은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밧데리의 전기와 일반 가정용 전기를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공간은 거실, 주방, 침실, 세면실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내부공간의 구획은 알루미늄 커튼 또는 목재판으로 된 미닫이 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문은 목재판안에 내장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자동차 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 공유압시스템의 레그 슈는 직사각형의 가장자리에 커링되어 있으면서 그 크기는 하부 브라켓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측판 일측면에 현관문과 이중 통유리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단열판이 적층되고, 상기 열기유로는 상기 단열판과 상기 구들장 사이에 복수의 지지체 및 복수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유로 상에서 열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7.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 측으로 일직선상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8.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방사형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39.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관을 향해 절곡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유로의 일측에는 연결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기유로의 타측은 배기관과 소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기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연결개구를 통해 상기 열기유로 내로 유입되고, 상기 열기유로를 통과한 열기는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연소재료를 태워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그 전방측에 형성된 입구를 가지고, 상기 입구를 통해 연소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은 그 일측에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은 상기 열기유로의 연결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의 내부에는 그을음을 여과하는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자갈 또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인 세라믹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어느 한 측판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4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측판에 형성된 연결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어가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이 연결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공급관이 상기 연결개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연결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몸체의 일측가장자리에는 상기 열기 발생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장착되고,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하단에는 복수의 레그가 장착되며, 상기 열기 발생유닛의 레그들이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1.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은 상기 일측의 측판에 형성된 연결개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 및 배기관과 인접한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개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3.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는 바람막이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5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기발생유닛은 구들장과 열기유로 없이 거실 또는 침실 등에 직접 장착하여 배기관과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20180010327A 2018-01-29 2018-01-29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187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327A KR101873706B1 (ko) 2018-01-29 2018-01-29 재난 긴급 구호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327A KR101873706B1 (ko) 2018-01-29 2018-01-29 재난 긴급 구호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06B1 true KR101873706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327A KR101873706B1 (ko) 2018-01-29 2018-01-29 재난 긴급 구호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618A (zh) * 2019-03-06 2019-06-25 杨桂林 一种多功能救援系统
KR102158280B1 (ko) * 2020-04-07 2020-09-21 주식회사 신웅이엔지 에어커튼 시스템
WO2021034280A1 (en) * 2019-08-19 2021-02-25 Erol Bulut Heating system for using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furnace
KR102502329B1 (ko) * 2022-06-14 2023-02-23 유지씨 주식회사 건축물의 유지 보수 현장 작업자용 휴식 및 개인위생 관리 시설
KR102508673B1 (ko) * 2022-09-26 2023-03-14 주식회사 구들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KR102625356B1 (ko) * 2023-02-21 2024-01-16 김태겸 구들식 캠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801A (ja) * 2007-01-30 2008-08-14 Seiji Okamura 組立式簡易住宅
KR101122713B1 (ko) * 2011-05-03 2012-03-23 오세환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1754641B1 (ko) * 2015-10-21 2017-07-06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801A (ja) * 2007-01-30 2008-08-14 Seiji Okamura 組立式簡易住宅
KR101122713B1 (ko) * 2011-05-03 2012-03-23 오세환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1754641B1 (ko) * 2015-10-21 2017-07-06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618A (zh) * 2019-03-06 2019-06-25 杨桂林 一种多功能救援系统
WO2021034280A1 (en) * 2019-08-19 2021-02-25 Erol Bulut Heating system for using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furnace
KR102158280B1 (ko) * 2020-04-07 2020-09-21 주식회사 신웅이엔지 에어커튼 시스템
KR102502329B1 (ko) * 2022-06-14 2023-02-23 유지씨 주식회사 건축물의 유지 보수 현장 작업자용 휴식 및 개인위생 관리 시설
KR102508673B1 (ko) * 2022-09-26 2023-03-14 주식회사 구들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KR102625356B1 (ko) * 2023-02-21 2024-01-16 김태겸 구들식 캠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706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1873707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TW518387B (en) Self-contained transportable dwelling
US10549675B2 (en) Portable living structure and assembly
KR101845211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CA2577139C (en) Modular room and structure
AU2015101968A4 (en) Mobile house utilising renewable energy
US11241992B2 (en) Portable living structure and assembly
CN106400965A (zh) 扩展式集成房屋
KR102079392B1 (ko) 적층 가능한 임시주거용 주택
KR101980490B1 (ko)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101487714B1 (ko) 난방시설이 갖추어진 야외 캠핑용 텐트
CN2537782Y (zh) 环保节能民用住宅楼
KR20200049421A (ko)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CN107269106B (zh) 不打地井有自然空调二层楼车库无噪音能封闭防火的高楼
US11873651B2 (en) Sustainable net zero modular building and assembly method
AU2016273806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JP2008184801A (ja) 組立式簡易住宅
JP2004137859A (ja) 木造移動建築物
WO2018013059A1 (en) A shelt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1976485B2 (en) System for self-sustaining modular housing
KR100469973B1 (ko) 공기 주입장치
CN209144988U (zh) 一种具有防火性能的模块化房屋
CN106988428A (zh) 可移动组合胶囊公寓
JPH09125718A (ja) 簡易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