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673B1 -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8673B1 KR102508673B1 KR1020220121295A KR20220121295A KR102508673B1 KR 102508673 B1 KR102508673 B1 KR 102508673B1 KR 1020220121295 A KR1020220121295 A KR 1020220121295A KR 20220121295 A KR20220121295 A KR 20220121295A KR 102508673 B1 KR102508673 B1 KR 102508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h
- whale
- heat
- hous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title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41000283153 Cet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10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40 Gas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7—Sol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 관한 것으로,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1120)과;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주택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1130)과;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로부터 입력되는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팬(1120) 및 흡기팬(1130)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210)가 구비되는 제어패널(1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특허문헌1 참조)이다.
이러한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 난방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은 90% 전후로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해당 모듈러 건축물이 들어설 부지에 블록을 맞추듯 조립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 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커서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대한건설 정책연구원에서는 한국의 모듈러 건축물 건축 시장 규모가 2020년에는 1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을 정도로 그 확장세가 다른 건축물보다도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대한민국의 전통건축양식인 한옥 건축물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에 중심을 둔 주거 공간으로서, 한옥 건축물을 짓는데 황토와 같은 자연친화적인 재료를 이용한다.
이처럼, 한옥 건축물에 이용되는 황토는 실트(모래보다 잘고 진흙보다 두꺼운 상태)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로서 공극률이 큰 실리카, 알루미늄, 산화철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라믹 재질이다.
또한, 황토는 건축재로 사용 시 온화하고 포근한 느낌을 부여할 뿐 만 아니라, pH 8.5~9.5의 약얄칼리성을 나타내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습도 조절력(흡수율 20~25%)과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아 시멘트 건물에 비해 약 30% 정도 난방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옥 건축물(특허문헌2 참조)의 재료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한옥의 대표적인 난방방식인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덮어 흙을 발라서 방바닥을 만들고 불을 때어 난방을 하는 구들난방은 구들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고래의 크기도 달라지기 때문에, 적용의 어려움이 있어 방바닥에 온수배관을 매립하고, 난방보일러를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일반난방으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인데, 그 이유로, 모듈러 건축물에 구들을 적용할 경우 그 건축물 크기에 대응되게 고래의 크기도 다르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난방구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은, 바닥벽체, 바닥벽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 후측벽체,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와; 구들몸체의 전측벽체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과; 구들몸체의 후측벽체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과; 함실과 굴뚝구멍을 연결하여, 구들몸체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와;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와;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과;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주택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과;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팬 및 흡기팬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습기를 감지하여, 습기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습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기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습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팬 및 상기 흡기팬을 구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서 주택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 위치하는 주택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와;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감시카메라를 구동제어하여, 촬영되는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통신부와; DB부가 탑재된 주택관리서버와;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소지한 것으로,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을 원격에서 관리가능하게 안내하는 주택 관리용 앱이 탑재된 거주자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DB부에는,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및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와;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저장부에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상기 구들몸체가 설치된 주택을 식별하는 주택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를 상기 정보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택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주택관리서버는 전송되는 상기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주택실별자정보를 통해 해당 주택을 식별하여, 상기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에 저장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와 더불어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거주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거주자단말의 주택 관리용 앱은 전송되는 상기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를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습기가 찰 경우에도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그 제공되는 모듈러화된 구들이 설치된 구들방 뿐만 아니라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세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 구비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열풍배관이 매설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7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매설된 열풍배관이 수직벽체를 따라 구들외룸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되어 대류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이루는 구성 중 함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기 위해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세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 구비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열풍배관이 매설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7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매설된 열풍배관이 수직벽체를 따라 구들외룸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되어 대류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을 이루는 구성 중 함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기 위해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그 제공되는 모듈러화된 구들이 설치된 구들방 뿐만 아니라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은 기본적으로 구들몸체(100), 함실(200), 굴뚝구멍(131) 및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구들몸체(100)는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내부에 후술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함실(200)은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함실(200)은 발생되는 방사열기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함실(200)의 외부에 설치되되, 함실(20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몸체가 구비될 수 있고, 함실(200)의 타측에는 개폐도어를 구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실(200)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240)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부넘기 설치부의 세부구성은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좌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우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우측격벽(220)과,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측 우측격벽(220) 사이를 연결하는 함실측 연결격벽(230)과, 부넘기 설치부 내에 배치되는 부넘기(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뚝구멍(131)은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구멍부재이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함실(200)과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이동 통로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특정하여, 유동중인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유동 가능하게 안내(베르누이 효과)할 뿐만 아니라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구들장(700)에 더 가깝게 즉, 상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방사열기가 유동됨에 따라 열기에너지가 떨어지더라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구들장(700) 사이의 두께를 가면 갈수록 얇게 하여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에 방사열기가 최대한 많이 전달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세부구성은 먼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는 일측단 경로가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직진 보다는 바로 꺾여진 상태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일단 경로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다시 한번 꺾여져 후방으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일측단 경로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축열에 따른 열기 전달로 어느 정도 세기가 떨어졌지만, 아직까지도 그 열기에너지가 크며, 방바닥의 나머지 영역에도 방사열기의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전방으로 90°꺾여져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에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1 세로측 구획벽(161), 제1 우측 지지벽(151),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여기서,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의 높이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 쪽에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이 구비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는 현무암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로, 현무암은 내열성 및 내구성이 좋고, 기공층 형성으로 열 저장성 즉, 축열성능도 우수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한편,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의 세기 정도가 유동되는 길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클 경우에는 두께를 두껍게 하고,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적층 조합에 따라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적층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하여,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 이는,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열기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너지가 온전히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가 적층되어진다. 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도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와 마찬가지로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함으로써, 방사열기로부터 방사되는 큰 열기에너지가 최대한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어진다.
먼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가 나머지 반 정도의 방바닥방바닥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입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는 일단 경로가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여기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굴뚝구멍(131)과 연통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2 세로측 구획벽(163), 제2 우측 지지벽(152), 제2 좌측 지지벽(142),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 제3 좌측 지지벽(143),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 및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구획벽체이다.
이처럼,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의 높이가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지지벽체이다.
이처럼, 제3 우측 지지벽(153)의 높이가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일 마지막 경로인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유동 시 이미 열기에너지가 많이 소모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를 보다 더 얇게 함으로써,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한편,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진다.
이에 따라,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과,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는데, 이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도,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게 제공한다.
이처럼,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거지한 상태에서, 구들장(700)을 얹져 마감처리한다. 이처럼, 마감처리되는 구들장(700)은 황토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습도 조절력 및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제공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특성 상 위로 향하기 때문에, 유동공간 또한 이전보다는 위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방사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각 부분경로 매립부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또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그리고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가 직각으로 꺾여지는 영역에 배치하여, 방사열기의 유동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이 구비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은 그 형상에 따라 모따기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을 제공하거나 라운딩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 등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은 함실(200)에에서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이용하여,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가능하도록, 열풍배관(800) 및 확장 난방부(90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열풍배관(800)은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인 구들외룸(R1)의 방바닥에 매립되는 난방배관부재이다. 여기서, 구들외룸(R1)에는 거실이나 작은방 또는 다락방 등 그들이 설치되지 않은 모든 방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풍배관(8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난방부(900)는 일단이 열풍배관(800)의 일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타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함실(200)에서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일단과 연통된 열풍배관(800) 쪽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배관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확장 난방부(90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관형상으로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그 재질은 열풍배관(800)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함실(200)은 추가적으로 외부몸체(250) 및 연소통(26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외부몸체(250)는 사각형상으로, 일측에 개폐도어(252)가 구비되어, 장작과 같은 연소체를 내입 시 개방가능하게 제공하며,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폐쇄시킬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연소통(260)은 외부몸체(250) 내부에 설치되되, 가열공간(251)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연결대(261)가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외부몸체(25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연소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발생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연소통(260)과 외부몸체(250) 간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대(261)는 연소통(260)과 외부몸체(250) 간에 타측부에만 연결되어, 가열공간(251)이 확보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연소통(260)의 일부가 외부몸체(250)를 관통하여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확장 난방부(900)의 일부는가 가열공간(251)에 위치되어, 연소통(260)으로부터 전달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어진다.
특히, 확장 난방부(900)가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소통(260)을 감쌈으로써, 충분한 가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의 열기가 순환되도록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확장 난방부(900)의 타단 쪽에는 외부공기를 타단 쪽으로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되는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는 팬 및 팬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장 난방부(900)에 연결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일정 거리 이격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를 확장 난방부(900)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제공할 경우, 확장 난방부(900)의 타단에는 고깔 모양의 확장구를 연결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최대한 많이 유입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풍배관(800)의 타단 쪽은 구들외룸(R1)의 수직벽체를 따라 확장연결시켜 구들외룸(R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하여, 구들외룸(R1)의 내부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가 유출됨으로써, 대류난방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때, 대류난방을 수행하는 가열된 공기에는 연소 시 포함되는 연기나 가스 없이 순수한 외부공기이기 때문에, 가스중독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구들외룸(R1)의 수직벽체를 따라 확장연결된 열풍배관(800)의 타단 쪽에는 가열된 공기에 포함된 황사와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탑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서는 사용 중인 구들난방에 크랙이 발생함과 같은 이유로 인해, 열원을 공급하는 함실로부터 유해가스가 주택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 배기팬(1120), 흡기팬(1130) 및 제어패널(120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에는 이산화탄소센서나 일산화탄소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1120)은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킴으로써,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부재이다.
상기 흡기팬(1130)은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주택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유해가스의 제거성능을 가일층 향상시켜주는 부재이다.
상기 제어패널(1200)은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로부터 입력되는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배기팬(1120) 및 흡기팬(1130)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210)가 구비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패널(1200)은 전용 콘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이 적용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습기가 찰 경우에도 이를 인지하여 대응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습기를 감지하여, 습기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습기감지센서(1140)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어부(1210)는 습기감지센서(1140)로부터 입력되는 습기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습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배기팬(1120) 및 흡기팬(1130)을 구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이 적용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에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 쪽에 설치되는 인체감지센서(1150), 감시카메라(1160) 및 현관등(1170)과, 제어패널(1200)에 구비되는 정보저장부(1220) 및 정보통신부(1230)와, 주택관리서버(1300)와, 거주자단말(140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인체감지센서(1150)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서 주택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감지센서(1150)로는 인체에서 발산하는 열(적외선)에 의한 주변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적외선 인체감지센서나 인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인체감지 모션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1160)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 위치하는 주택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재이다.
상기 현관등(1170)은 야간에 현관을 출입하는 출입자에게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로서, LED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10)는 출입자가 야간에 출입 시 현관등(1170)을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감시카메라(1160)가 영상 촬영 시 주택 출입자의 얼굴영상이 정확하게 촬영되도록 제공한다.
상기 정보저장부(1220)는 현관에 위치하는 주택 출입자의 정지영상을 촬영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와 같이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부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부(1230)는 후술되는 주택관리서버(1300)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을 식별하는 주택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와 같은 정보를 TCP/IP 통신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어부(1210)는 인체감지센서(1150)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감시카메라(1160)를 구동제어하여, 촬영되는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정보저장부(1220)에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패널(12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기 위해 필요한 제어패널(1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입력부나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도 함께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택관리서버(1300)는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하고, 그 인지된 출입자를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게 관리하여 주는 서버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주택관리서버(1300)에는 DB부(1310)가 탑재되어진다.
이처럼, 탑재되는 DB부(1310)에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및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1311) 및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1312)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거주자단말(1400)은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소지한 것으로,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을 원격에서 관리가능하게 안내하는 주택 관리용 앱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주택 관리용 앱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거주자단말(1400)에 임베디드(embeded) 방식으로 탑재되거나, 거주자단말(1400)의 구동시스템(OS)에 인스톨(install)하는 방식으로 탑재되어질 수 있다. 즉, 거주자가 거주자단말(1400)을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거주자단말(1400)의 종류에는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어부(1210)는 정보저장부(1220)에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을 식별하는 주택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를 정보통신부(1230)를 통해, 주택관리서버(1300)로 전송한다.
이후, 주택관리서버(1300)는 전송되는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주택실별자정보를 통해 해당 주택을 식별하여,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1311)에 저장관리함과 동시에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와 더불어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로 가공하여, 거주자단말(14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1312)에 저장관리한다.
이후, 거주자단말(1400)의 주택 관리용 앱은 전송되는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를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거주자가 구들난방이 구비된 모듈러 건축물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인지가능하게 안내하여 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들몸체 110 : 바닥벽체
120 : 전측벽체 130 : 후측벽체
131 : 굴뚝구멍 132 : 제1 후측지지벽
140 : 좌측벽체 141 : 제1 좌측지지벽
142 : 제2 좌측지지벽 143 : 제3 좌측지지벽
150 : 우측벽체 151 : 제1 우측지지벽
161 : 제1 세로측 구획벽 162 : 제1 가로측 구획벽
163 : 제2 세로측 구획벽 164 : 제3 세로측 구획벽
165 : 제4 세로측 구획벽 200 : 함실
210 : 함실측 좌측격벽 220 : 함실측 우측격벽
230 : 함실측 연결격벽 240 : 부넘기
250 : 외부몸체 251 : 가열공간
252 : 개폐도어 260 : 연소통
261 : 연결대 270 : 외부공기 강제유입부
300 : 열기안내용 고래길 경로
310 :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20 :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30 :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40 :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50 :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60 :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410 : 기본형 축열부재 420 : 박막형 축열부재
510 :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520 :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610,620 :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
700 : 구들장 800 : 열풍배관
900 : 확장난방부 1110 : 유해가스 감지센서
1120 : 배기팬 1130 : 흡기팬
1140 : 습기감지센서 1150 : 인체감지센서
1160 : 감시카메라 1170 : 현관등
1200 : 제어패널 1210 : 제어부
1220 : 정보저장부 1230 : 정보통신부
1300 : 주택관리서버 1310 : DB부
1311 :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
1312 :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
1400 : 거주자단말
120 : 전측벽체 130 : 후측벽체
131 : 굴뚝구멍 132 : 제1 후측지지벽
140 : 좌측벽체 141 : 제1 좌측지지벽
142 : 제2 좌측지지벽 143 : 제3 좌측지지벽
150 : 우측벽체 151 : 제1 우측지지벽
161 : 제1 세로측 구획벽 162 : 제1 가로측 구획벽
163 : 제2 세로측 구획벽 164 : 제3 세로측 구획벽
165 : 제4 세로측 구획벽 200 : 함실
210 : 함실측 좌측격벽 220 : 함실측 우측격벽
230 : 함실측 연결격벽 240 : 부넘기
250 : 외부몸체 251 : 가열공간
252 : 개폐도어 260 : 연소통
261 : 연결대 270 : 외부공기 강제유입부
300 : 열기안내용 고래길 경로
310 :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20 :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30 :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40 :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50 :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60 :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410 : 기본형 축열부재 420 : 박막형 축열부재
510 :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520 :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610,620 :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
700 : 구들장 800 : 열풍배관
900 : 확장난방부 1110 : 유해가스 감지센서
1120 : 배기팬 1130 : 흡기팬
1140 : 습기감지센서 1150 : 인체감지센서
1160 : 감시카메라 1170 : 현관등
1200 : 제어패널 1210 : 제어부
1220 : 정보저장부 1230 : 정보통신부
1300 : 주택관리서버 1310 : DB부
1311 :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
1312 :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
1400 : 거주자단말
Claims (12)
-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1120)과;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주택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1130)과;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1110)로부터 입력되는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팬(1120) 및 흡기팬(1130)을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210)가 구비되는 제어패널(1200);을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151)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141)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주택 내부에 습기를 감지하여, 습기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습기감지센서(1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10)는, 상기 습기감지센서(1140)로부터 입력되는 습기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습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팬(1120) 및 상기 흡기팬(1130)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서 주택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115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현관에 위치하는 주택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1160)와;
정보저장부(1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1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150)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감시카메라(1160)를 구동제어하여, 촬영되는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1220)에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3항에 있어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통신부(1230)와;
DB부(1310)가 탑재된 주택관리서버(1300)와;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소지한 것으로,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을 원격에서 관리가능하게 안내하는 주택 관리용 앱이 탑재된 거주자단말(1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DB부(1310)에는,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및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1311)와;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것으로,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에서 촬영된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가 한 조로 구분하여, 누적 저장되는 주택별 출입자 통보내역정보 DB(1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10)는, 상기 정보저장부(1220)에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 및 상기 구들몸체(100)가 설치된 주택을 식별하는 주택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실시간 출입자 안내신호를 상기 정보통신부(1230)를 통해, 상기 주택관리서버(1300)로 전송하며,
상기 주택관리서버(1300)는 전송되는 상기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주택실별자정보를 통해 해당 주택을 식별하여, 상기 주택별 출입자 관리내역정보 DB(1311)에 저장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자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 상기 주택 출입자 영상정보가 촬영된 일자를 나타내는 촬영일자정보와 더불어 해당 주택에 외부인이 출입하였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거주자단말(1400)로 전송하고,
상기 거주자단말(1400)의 주택 관리용 앱은 전송되는 상기 실시간 출입자 중계안내신호를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13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142)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143)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295A KR102508673B1 (ko) | 2022-09-26 | 2022-09-26 |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295A KR102508673B1 (ko) | 2022-09-26 | 2022-09-26 |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8673B1 true KR102508673B1 (ko) | 2023-03-14 |
Family
ID=8550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295A KR102508673B1 (ko) | 2022-09-26 | 2022-09-26 |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867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3856A (ko) * | 2002-01-24 | 2003-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 |
KR100646263B1 (ko) | 2005-12-26 | 2006-11-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건축 모듈의 조립 방법 |
KR101873706B1 (ko) * | 2018-01-29 | 2018-07-02 | 김선 | 재난 긴급 구호주택 |
KR102089746B1 (ko) | 2018-10-25 | 2020-03-16 | 차화신 |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
KR20200144654A (ko) * | 2019-06-19 | 2020-12-30 | 임준섭 | 온돌 시스템 |
KR20220049633A (ko) * | 2020-10-14 | 2022-04-22 | 이후시스(주) |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295A patent/KR102508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3856A (ko) * | 2002-01-24 | 2003-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 |
KR100646263B1 (ko) | 2005-12-26 | 2006-11-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건축 모듈의 조립 방법 |
KR101873706B1 (ko) * | 2018-01-29 | 2018-07-02 | 김선 | 재난 긴급 구호주택 |
KR102089746B1 (ko) | 2018-10-25 | 2020-03-16 | 차화신 |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
KR20200144654A (ko) * | 2019-06-19 | 2020-12-30 | 임준섭 | 온돌 시스템 |
KR20220049633A (ko) * | 2020-10-14 | 2022-04-22 | 이후시스(주) |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90363U1 (ru) |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подвального помещения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здания | |
US20120028563A1 (en) | Energy efficient building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KR20190106608A (ko) |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 |
CN108006884A (zh) | 一种阻止室外空气污染物入室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2508673B1 (ko) |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 |
Brimblecombe et al. | Positive energy homes: creating passive houses for better living | |
Heiselberg | Design of natural and hybrid ventilation | |
KR20220120944A (ko) | 모듈러 주택과 이동식 주택의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시스템 | |
KR102497231B1 (ko) | 모듈러 구들 | |
KR102497240B1 (ko) | 확장된 바닥난방구조가 적용된 모듈러 구들 | |
Heiselberg | Design principles for natural and hybrid ventilation | |
KR102508679B1 (ko) | 난방구들 | |
US20210095896A1 (en) |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 |
KR102584538B1 (ko) | 난방구들용 주택 | |
KR200410994Y1 (ko) | 모기침입 방지장치 | |
CA2841018C (en) | Efficient house: an efficient, healthful and durable building system using differential airflow and heat control across an air permeable heat reflective external envelope assembly | |
Dewsbury et al. | Thermal performance for timber-framed residential construction: building comfortable and energy-efficient timber houses | |
GB2374921A (en) | A system for heating and ventilating a building | |
Sørensen et al. | The Visund office building, Haakonsvern, Bergen. As-built report | |
CN109059213B (zh) | 提升整体空间内空气质量的方法及装置 | |
Romano et al. | Beyond sustainability. Regenerative technologies for a restorative indoor environment | |
Krispin et al. | Into the woods | |
Bazzocchi et al. | Low-cost and non-invasive energy recovery techniques for public residential buildings made with great panel structures in Italy | |
RU90540U1 (ru) | Система дымоудаления из подвального помещения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одновременно функционирующая как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 |
JPS6370745A (ja) | 家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