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31B1 - 모듈러 구들 - Google Patents

모듈러 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31B1
KR102497231B1 KR1020220068784A KR20220068784A KR102497231B1 KR 102497231 B1 KR102497231 B1 KR 102497231B1 KR 1020220068784 A KR1020220068784 A KR 1020220068784A KR 20220068784 A KR20220068784 A KR 20220068784A KR 102497231 B1 KR102497231 B1 KR 10249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whale
heat
wa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들
Priority to KR102022006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31B1/ko
Priority to PCT/KR2023/000576 priority patent/WO202323900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크기에 따라 고래길도 대응가능하게 적용하여 안내하는 모듈러 구들에 관한 것으로,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러 구들{Modular hypocaust}
본 발명은 건축물 크기에 따라 고래길도 대응가능하게 적용하여 안내하는 모듈러 구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특허문헌1 참조)이다.
이러한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 난방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은 90% 전후로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해당 모듈러 건축물이 들어설 부지에 블록을 맞추듯 조립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 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커서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대한건설 정책연구원에서는 한국의 모듈러 건축물 건축 시장 규모가 2020년에는 1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을 정도로 그 확장세가 다른 건축물보다도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대한민국의 전통건축양식인 한옥 건축물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에 중심을 둔 주거 공간으로서, 한옥 건축물을 짓는데 황토와 같은 자연친화적인 재료를 이용한다.
이처럼, 한옥 건축물에 이용되는 황토는 실트(모래보다 잘고 진흙보다 두꺼운 상태)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로서 공극률이 큰 실리카, 알루미늄, 산화철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라믹 재질이다.
또한, 황토는 건축재로 사용 시 온화하고 포근한 느낌을 부여할 뿐 만 아니라, pH 8.5~9.5의 약얄칼리성을 나타내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습도 조절력(흡수율 20~25%)과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아 시멘트 건물에 비해 약 30% 정도 난방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옥 건축물(특허문헌2 참조)의 재료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한옥의 대표적인 난방방식인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덮어 흙을 발라서 방바닥을 만들고 불을 때어 난방을 하는 구들난방은 구들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고래의 크기도 달라지기 때문에, 적용의 어려움이 있어 방바닥에 온수배관을 매립하고, 난방보일러를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일반난방으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구들은 모듈러 건축물의 경우 그 건축물 크기에 대응되게 고래의 크기도 다르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0646263 B1 KR 10-2089746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러 건축물을 포함하는 건축물 크기에 따라 고래길도 대응가능하게 적용하여 안내하는 모듈러 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은, 바닥벽체, 상기 바닥벽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 후측벽체,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와; 상기 구들몸체의 전측벽체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과; 상기 구들몸체의 후측벽체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과; 상기 함실과 상기 굴뚝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함실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넘기 설치부는, 상기 함실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좌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좌측격벽과; 상기 함실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우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우측격벽과; 상기 함실측 좌측격벽과 함실측 우측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함실측 연결격벽과; 상기 부넘기 설치부 내에 배치되는 부넘기;로 이루어진 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크기에 따라 고래길도 대응가능하게 적용하여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을 세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 구비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건축물을 포함하는 건축물 크기에 따라 고래도 대응가능하게 적용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은 구들몸체(100), 함실(200), 굴뚝구멍(131) 및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구들몸체(100)는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내부에 후술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함실(200)은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함실(200)은 발생되는 방사열기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함실(200)의 외부에 설치되되, 함실(20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몸체가 구비될 수 있고, 함실(200)의 타측에는 개폐도어를 구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실(200)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240)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부넘기 설치부의 세부구성은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좌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우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우측격벽(220)과,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측 우측격벽(220) 사이를 연결하는 함실측 연결격벽(230)과, 부넘기 설치부 내에 배치되는 부넘기(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뚝구멍(131)은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구멍부재이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함실(200)과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이동 통로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특정하여, 유동중인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유동 가능하게 안내(베르누이 효과)할 뿐만 아니라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구들장(700)에 더 가깝게 즉, 상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방사열기가 유동됨에 따라 열기에너지가 떨어지더라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구들장(700) 사이의 두께를 가면 갈수록 얇게 하여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에 방사열기가 최대한 많이 전달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세부구성은 먼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는 일측단 경로가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직진 보다는 바로 꺾여진 상태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일단 경로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다시 한번 꺾여져 후방으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일측단 경로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축열에 따른 열기 전달로 어느 정도 세기가 떨어졌지만, 아직까지도 그 열기에너지가 크며, 방바닥의 나머지 영역에도 방사열기의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전방으로 90°꺾여져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에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1 세로측 구획벽(161), 제1 우측 지지벽(151),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여기서,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의 높이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 쪽에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이 구비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는 현무암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로, 현무암은 내열성 및 내구성이 좋고, 기공층 형성으로 열 저장성 즉, 축열성능도 우수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한편,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의 세기 정도가 유동되는 길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클 경우에는 두께를 두껍게 하고,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적층 조합에 따라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적층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하여,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 이는,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열기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너지가 온전히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가 적층되어진다. 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도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와 마찬가지로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함으로써, 방사열기로부터 방사되는 큰 열기에너지가 최대한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어진다.
먼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가 나머지 반 정도의 방바닥방바닥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입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는 일단 경로가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여기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굴뚝구멍(131)과 연통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2 세로측 구획벽(163), 제2 우측 지지벽(152), 제2 좌측 지지벽(142),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 제3 좌측 지지벽(143),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 및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구획벽체이다.
이처럼,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의 높이가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지지벽체이다.
이처럼, 제3 우측 지지벽(153)의 높이가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일 마지막 경로인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유동 시 이미 열기에너지가 많이 소모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를 보다 더 얇게 함으로써,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한편,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진다.
이에 따라,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과,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는데, 이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도,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게 제공한다.
이처럼,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거지한 상태에서, 구들장(700)을 얹져 마감처리한다. 이처럼, 마감처리되는 구들장(700)은 황토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습도 조절력 및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제공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특성 상 위로 향하기 때문에, 유동공간 또한 이전보다는 위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방사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각 부분경로 매립부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또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그리고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가 직각으로 꺾여지는 영역에 배치하여, 방사열기의 유동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이 구비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은 그 형상에 따라 모따기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을 제공하거나 라운딩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 등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들본체 110 : 바닥벽체
120 : 전측벽체 130 : 후측벽체
131 : 굴뚝구멍 132 : 제1 후측지지벽
140 : 좌측벽체 141 : 제1 좌측지지벽
142 : 제2 좌측지지벽 143 : 제3 좌측지지벽
150 : 우측벽체 151 : 제1 우측지지벽
161 : 제1 세로측 구획벽 162 : 제1 가로측 구획벽
163 : 제2 세로측 구획벽 164 : 제3 세로측 구획벽
165 : 제4 세로측 구획벽 200 : 함실
210 : 함실측 좌측격벽 220 : 함실측 우측격벽
230 : 함실측 연결격벽 240 : 부넘기
300 : 열기안내용 고래길 경로
310 :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20 :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30 :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40 :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50 :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60 :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410 : 기본형 축열부재 420 : 박막형 축열부재
510 :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520 :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610,620 :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
700 : 구들장

Claims (12)

  1.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151)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141)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실(200)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240)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넘기 설치부는, 상기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좌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상기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우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우측격벽(220)과;
    상기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측 우측격벽(220) 사이를 연결하는 함실측 연결격벽(230)과;
    상기 부넘기 설치부 내에 배치되는 부넘기(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13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142)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143)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들.
KR1020220068784A 2022-06-07 2022-06-07 모듈러 구들 KR10249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84A KR102497231B1 (ko) 2022-06-07 2022-06-07 모듈러 구들
PCT/KR2023/000576 WO2023239005A1 (ko) 2022-06-07 2023-01-12 모듈러 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84A KR102497231B1 (ko) 2022-06-07 2022-06-07 모듈러 구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231B1 true KR102497231B1 (ko) 2023-02-07

Family

ID=8522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84A KR102497231B1 (ko) 2022-06-07 2022-06-07 모듈러 구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7231B1 (ko)
WO (1) WO20232390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74B1 (ko) 2023-04-12 2023-12-15 주식회사 구들 가습장비가 구비된 난방구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63B1 (ko) 2005-12-26 2006-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축 모듈의 조립 방법
KR20170059727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구들
KR102089746B1 (ko)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20200144654A (ko) * 2019-06-19 2020-12-30 임준섭 온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86B1 (ko) * 2014-07-01 2015-01-21 신창화 난방효율을 개선한 구들
KR20170011319A (ko) * 2015-07-22 2017-02-02 유명성 전통구들방식을 이용한 복합난방 시스템
CN112066420B (zh) * 2020-09-18 2023-02-24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实现热均匀的保温舒适的双层火炕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63B1 (ko) 2005-12-26 2006-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축 모듈의 조립 방법
KR20170059727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구들
KR102089746B1 (ko)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20200144654A (ko) * 2019-06-19 2020-12-30 임준섭 온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74B1 (ko) 2023-04-12 2023-12-15 주식회사 구들 가습장비가 구비된 난방구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005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231B1 (ko) 모듈러 구들
US201001984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US11767990B2 (en) Facade panel conditioning system
CN101842639A (zh) 低能耗气候控制系统和用于实现高隔热隔声建筑物的方法
JP6994284B1 (ja) 建造物
KR102497240B1 (ko) 확장된 바닥난방구조가 적용된 모듈러 구들
KR102508679B1 (ko) 난방구들
KR101552884B1 (ko) 2세대 공동 사용이 가능한 복층 구조의 공동 주택용 실외기실
KR102497235B1 (ko) 반신욕조가 구비된 모듈러 구들
KR102508667B1 (ko) 변형방지용 바닥부가 구비된 모듈러 구들
JP5502402B2 (ja) 建物
KR102497245B1 (ko) 다용도 난방구들
KR101859800B1 (ko) 한옥식 발코니
KR102584538B1 (ko) 난방구들용 주택
WO1998038395A1 (es) Modulo habitacional prefabricado apilable
Bazzocchi et al. Low-cost and non-invasive energy recovery techniques for public residential buildings made with great panel structures in Italy
KR102508673B1 (ko)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난방구들
Gunawardana et al. Three-storied apartment buildings constructed using lightweight eps concrete panels for tropical climatic regions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7105594B2 (ja) 建物
WO2011015690A2 (es) Cerramiento térmico industrializado de fácil montaje
Frolova Determination of the amount of internal heat input in the office space
ES2849923T3 (es) Módulo industrializado para soluciones prefabricadas habitacionales
ITTO960472A1 (it) Edificio
JP2003021372A (ja) 戸建て住宅の空調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