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45B1 - 다용도 난방구들 - Google Patents

다용도 난방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45B1
KR102497245B1 KR1020220087954A KR20220087954A KR102497245B1 KR 102497245 B1 KR102497245 B1 KR 102497245B1 KR 1020220087954 A KR1020220087954 A KR 1020220087954A KR 20220087954 A KR20220087954 A KR 20220087954A KR 102497245 B1 KR102497245 B1 KR 10249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heat
whale
wall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들
Priority to KR102022008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음식을 가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다용도 난방구들에 관한 것으로,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상기 함실(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난방구들{Multipurpose hypocaus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음식을 가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다용도 난방구들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옥에서는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가열하여 난방하는 바닥 난방방식이 사용된다.
즉, 한옥에 적용되는 구들은 일측에 장작을 태워 열기를 발생시키는 아궁이가 형성되고,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가 난방이동통로인 고래를 따라 이동하면서, 구들장을 난방가열한 후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난방구조이다.
이러한 구들난방은 이동식 주택인 모듈러 건축물에도 적용되는데 특히, 구들장으로 황토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탁월한 습도 조절력(흡수율 20~25%)과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아 시멘트 건물에 비해 약 30% 정도 난방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구들장(특허문헌1 참조)의 재료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한옥에 적용되는 구들난방은 구들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고래의 크기도 달라지기 때문에, 적용의 어려움이 있어 방바닥에 온수배관을 매립하고, 난방보일러를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일반난방으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인데, 그 이유로, 모듈러 건축물에 구들을 적용할 경우 그 건축물 크기에 대응되게 고래의 크기도 다르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구들난방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은 제안되고 있지 않아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그 손실되는 난방에너지원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난방구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2089746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음식을 가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다용도 난방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구들이 설치된 구들방 뿐만 아니라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다용도 난방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은, 바닥벽체, 상기 바닥벽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 후측벽체,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와; 상기 구들몸체의 전측벽체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과; 상기 구들몸체의 후측벽체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과; 상기 함실과 상기 굴뚝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와; 상기 함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함실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과; 상기 우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과;
상기 좌측벽체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상기 바닥벽체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제1 좌측 지지벽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 박막형 축열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는,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함실은,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 내부에 설치되되, 가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몸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연소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발생시키는 연소통;을 포함하고,
상기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는, 일단이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 측면에 고정되게 절곡된 절곡 프레임이 기지정 간격마다 위치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조리음식이 수용된 함실측 조리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함실측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조리본체와; 상기 조리본체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통기공들이 관통 형성된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내측면이 상기 조리본체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 상기 덮개판의 하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가장자리측 밀폐대 보다 안쪽에 돌출되어, 외측면이 상기 조리본체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로 이루어진 뚜껑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흘림방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축열된 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는,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조리음식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음식내입구멍과; 상기 음식내입구멍에 인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된 음식수용구;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수용구는, 상기 음식내입구멍을 폐쇄시키는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음식수용통;을 포함한다.
상기 음식내입구멍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식수용통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음식을 가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구들이 설치된 구들방 뿐만 아니라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세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가로방향 쪽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에 구비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열풍배관이 매설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7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과 연이은 구들외룸에 매설된 열풍배관이 수직벽체를 따라 구들외룸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되어 대류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이루는 구성 중 함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이루는 구성 중 함실에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이루는 구성 중 함실측 조리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이루는 구성 중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구비되는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을 이루는 구성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에 구비되는 음식수용구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그 제공되는 구들이 설치된 구들방 뿐만 아니라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도록,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은 기본적으로 구들몸체(100), 함실(200), 굴뚝구멍(131) 및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구들몸체(100)는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내부에 후술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함실(200)은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함실(200)은 발생되는 방사열기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함실(200)의 외부에 설치되되, 함실(20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몸체가 구비될 수 있고, 함실(200)의 타측에는 개폐도어를 구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실(200)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240)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부넘기 설치부의 세부구성은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좌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200)의 개구된 일측 전방 중 우측 쪽에 설치되는 함실측 우측격벽(220)과, 함실측 좌측격벽(210)과 함실측 우측격벽(220) 사이를 연결하는 함실측 연결격벽(230)과, 부넘기 설치부 내에 배치되는 부넘기(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뚝구멍(131)은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구멍부재이다.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함실(200)과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이동 통로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특정하여, 유동중인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유동 가능하게 안내(베르누이 효과)할 뿐만 아니라 방사열기가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구들장(700)에 더 가깝게 즉, 상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방사열기가 유동됨에 따라 열기에너지가 떨어지더라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구들장(700) 사이의 두께를 가면 갈수록 얇게 하여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에 방사열기가 최대한 많이 전달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세부구성은 먼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는 일측단 경로가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직진 보다는 바로 꺾여진 상태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일단 경로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최대한 방바닥의 많은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다시 한번 꺾여져 후방으로 방사열기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일측단 경로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이처럼,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를 경유한 방사열기의 열기에너지가 축열에 따른 열기 전달로 어느 정도 세기가 떨어졌지만, 아직까지도 그 열기에너지가 크며, 방바닥의 나머지 영역에도 방사열기의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전방으로 90°꺾여져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에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1 세로측 구획벽(161), 제1 우측 지지벽(151),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구획벽체이다.
여기서,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의 높이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 쪽에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이 구비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는 현무암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로, 현무암은 내열성 및 내구성이 좋고, 기공층 형성으로 열 저장성 즉, 축열성능도 우수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한편,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의 세기 정도가 유동되는 길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클 경우에는 두께를 두껍게 하고, 열기에너지의 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적층 조합에 따라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과,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적층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가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하여,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 이는, 함실(200)로부터 바로 나오는 방사열기는 불꽃까지 포함하고 있는 가장 큰 열기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열기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너지가 온전히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가 적층되어진다. 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도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와 마찬가지로 2장의 기본형 축열부재(410)로 적용함으로써, 방사열기로부터 방사되는 큰 열기에너지가 최대한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에 축열되어, 장시간에 걸쳐 열기에너지가 구들장(700)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어진다.
먼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가 나머지 반 정도의 방바닥방바닥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입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는 일측단 경로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는 일단 경로가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유동로이다.
여기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굴뚝구멍(131)과 연통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로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들몸체(100)에 제2 세로측 구획벽(163), 제2 우측 지지벽(152), 제2 좌측 지지벽(142),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 제3 좌측 지지벽(143),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 및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구획벽체이다.
이처럼, 제2 세로측 구획벽(163)의 높이가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은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지지벽체이다.
이처럼, 제3 우측 지지벽(153)의 높이가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은 주된 이유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일 마지막 경로인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유동 시 이미 열기에너지가 많이 소모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를 보다 더 얇게 함으로써,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은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지지벽체이다.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상기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은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구획벽체이다.
한편,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된 방바닥 전체영역 중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에도 방사열기에서 전달되는 열기에너지를 축열하는 축열부재가 적층되어진다.
이에 따라,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박막형 축열부재(420)가 거치되는 영역은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과,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는데, 이는, 방사열기가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가 형성되는 방바닥 전체영역 중 반 정도의 영역을 유동하면서, 열기에너지를 어느 정도 소모한 상태여서, 거치되는 축열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구들장으로 전달되는 온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도,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게 제공한다.
이처럼, 두께조절용 축열부를 거지한 상태에서, 구들장(700)을 얹져 마감처리한다. 이처럼, 마감처리되는 구들장(700)은 황토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습도 조절력 및 온도조절력을 가지며, 원적외선 방사 특성 및 높은 공극률에 의한 축열 효과가 높고, 탈취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까지 제공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특성 상 위로 향하기 때문에, 유동공간 또한 이전보다는 위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방사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가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구비되는 각 부분경로 매립부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또한,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다.
그리고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구들에서는 유동하는 방사열기가 직각으로 꺾여지는 영역에 배치하여, 방사열기의 유동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 및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하는 방사열기의 진행방향을 예각의 사선으로 변경되게 안내하는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이 구비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10,620)은 그 형상에 따라 모따기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을 제공하거나 라운딩된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620) 등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은 함실(200)에에서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이용하여, 거실과 같이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의 바닥난방 에너지원으로도 활용가능하도록, 열풍배관(800) 및 확장 난방부(90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열풍배관(800)은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인 구들외룸(R1)의 방바닥에 매립되는 난방배관부재이다. 여기서, 구들외룸(R1)에는 거실이나 작은방 또는 다락방 등 그들이 설치되지 않은 모든 방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풍배관(8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난방부(900)는 일단이 열풍배관(800)의 일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타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함실(200)에서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일단과 연통된 열풍배관(800) 쪽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배관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확장 난방부(90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관형상으로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그 재질은 열풍배관(800)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함실(200)은 추가적으로 외부몸체(250) 및 연소통(26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외부몸체(250)는 사각형상으로, 일측에 개폐도어(252)가 구비되어, 장작과 같은 연소체를 내입 시 개방가능하게 제공하며,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폐쇄시킬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연소통(260)은 외부몸체(250) 내부에 설치되되, 가열공간(251)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연결대(261)가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외부몸체(25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연소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발생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연소통(260)과 외부몸체(250) 간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대(261)는 연소통(260)과 외부몸체(250) 간에 타측부에만 연결되어, 가열공간(251)이 확보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연소통(260)의 일부가 외부몸체(250)를 관통하여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확장 난방부(900)의 일부는가 가열공간(251)에 위치되어, 연소통(260)으로부터 전달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어진다.
특히, 확장 난방부(900)가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소통(260)을 감쌈으로써, 충분한 가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의 열기가 순환되도록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확장 난방부(900)의 타단 쪽에는 외부공기를 타단 쪽으로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되는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는 팬 및 팬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장 난방부(900)에 연결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일정 거리 이격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부공기 강제유입부(270)를 확장 난방부(900)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제공할 경우, 확장 난방부(900)의 타단에는 고깔 모양의 확장구를 연결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최대한 많이 유입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풍배관(800)의 타단 쪽은 구들외룸(R1)의 수직벽체를 따라 확장연결시켜 구들외룸(R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하여, 구들외룸(R1)의 내부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가 유출됨으로써, 대류난방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때, 대류난방을 수행하는 가열된 공기에는 연소 시 포함되는 연기나 가스 없이 순수한 외부공기이기 때문에, 가스중독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구들외룸(R1)의 수직벽체를 따라 확장연결된 열풍배관(800)의 타단 쪽에는 가열된 공기에 포함된 황사와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탑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모듈러화된 구들의 제공과 더불어,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을 음식을 가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구들에서 발생되는 난방에너지원의 손실을 최소화시켜주도록, 함실(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조리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를 통해 조리되는 조리음식의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조리가 가능한 바베큐 또는 탕류 및 면류를 포함하는 국물요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의 세부구성은 거치구(1110) 및 함실측 조리용기(1120)로 이루어진다.
먼저, 거치구(1110)는 일단이 외부몸체(25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몸체(250)의 내측 측면에 고정되게 절곡된 절곡 프레임(1111)이 기지정 간격마다 위치되어진다.
여기서, 기지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절곡 프레임(1111)의 길이는 후술되는 함실측 조리용기(1120)가 수납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절곡 프레임(1111)으로 이루어진 거치구(1110)는 외부몸체(25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함실측 조리용기(1120)는 거치구(1110)를 이루는 다수의 절곡 프레임(11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조리음식이 수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함실측 조리용기(1120)의 세부구성은 조리본체(1121) 및 뚜껑부(1122)로 이루어진다.
먼저, 조리본체(1121)는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체의 냄비부재로서, 원형이나 타원형 등 그 형상은 함실의 크기나 설치구조에 따라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본체(1121)의 전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1121a)를 부착설치하여, 사용자가 함실(200)에 설치된 거치구(1110)에 인출가능하게 안내한다. 이때, 함실(200)의 내부온도는 고온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열장갑을 끼고 함실측 조리용기(1120)의 인출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부(1122)는 조리본체(1121)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통기공(1122a1)들이 관통 형성된 덮개판(1122a), 덮개판(1122a)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내측면이 조리본체(112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 덮개판(1122a)의 하면을 따라 돌출되되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 보다 안쪽에 돌출되어, 외측면이 조리본체(112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1122c)로 이루어진 덮개부재이다.
여기서,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와 안측 밀폐대(1122c) 사이의 거리는 조리본체(1121)의 두께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한다.
이는,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가 고온이기 때문에, 거치구(1110)의 음식수용공간에 수용된 조리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뚜껑부(1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통기공(1122a1)들 또한 중앙 부근에 큰 통기면적을 가지는 2개와 뚜껑부(1122)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작은 통기면적을 가지는 다수개를 관통형성하여 증기가 유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뚜껑부(1122)의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와 안측 밀폐대(1122c) 사이에는 패킹부재(1123)가 끼임 밀착되어 조리본체(1121)와 뚜껑부(1122)가 밀착되게 안내하여 밀착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조리음식의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준다.
또한, 덮개판(1122a)에는 덮개판(1122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흘림방지대(1122a2)를 돌출연결하여, 통기공(1122a1)들을 통해 유출되는 조리음식에서 발생되는 국물이 함실(200)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준다.
또한, 덮개판(1122a)의 상면에는 손잡이를 설치하여 조리 후 억지끼움된 뚜껑부(1122)가 이탈될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구들난방은 고구마나 감자와 같이 국물요리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음식도 조리가능하도록,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축열된 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120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1200)에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조리음식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음식내입구멍(1210)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음식내입구멍(1210)에 인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된 음식수용구(1220)가 구비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음식수용구(1220)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이 국물요리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조리가 가능한 조리음식도 조리가능하도록, 폐쇄판(1221) 및 음식수용통(122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폐쇄판(1221)은 음식내입구멍(1210)을 폐쇄시키는 부재로서, 그 크기는 음식내입구멍(1210)보다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진다.
또한, 폐쇄판(1221)의 전면에는 손잡이(1221a)를 설치하여, 인출이 가능학 안내한다.
상기 음식수용통(1222)은 폐쇄판(1221)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단면이 폐쇄판(1221)보다 작거나 같고,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부재이다.
한편, 폐쇄판(1221)의 배면에 설치된 음식수용통(1222)이 음식내입구멍(1210)을 통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음식내입구멍(1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1211)이 형성되고, 음식수용통(1222)의 하부에 설치되되, 레일홈(1211)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222a)이 구비되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들본체 110 : 바닥벽체
120 : 전측벽체 130 : 후측벽체
131 : 굴뚝구멍 132 : 제1 후측지지벽
140 : 좌측벽체 141 : 제1 좌측지지벽
142 : 제2 좌측지지벽 143 : 제3 좌측지지벽
150 : 우측벽체 151 : 제1 우측지지벽
161 : 제1 세로측 구획벽 162 : 제1 가로측 구획벽
163 : 제2 세로측 구획벽 164 : 제3 세로측 구획벽
165 : 제4 세로측 구획벽 200 : 함실
210 : 함실측 좌측격벽 220 : 함실측 우측격벽
230 : 함실측 연결격벽 240 : 부넘기
250 : 외부몸체 251 : 가열공간
252 : 개폐도어 260 : 연소통
261 : 연결대 270 : 외부공기 강제유입부
300 : 열기안내용 고래길 경로
310 :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20 :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30 :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40 :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50 :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360 :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410 : 기본형 축열부재 420 : 박막형 축열부재
510 : 기본형 바닥매립부재 520 : 박막형 바닥매립부재
610,620 : 열기흐름 변경유도용 코너블록
700 : 구들장 800 : 열풍배관
900 : 확장난방부 1100 :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
1110 : 거치구 1111 : 절곡프레임
1120 : 함실측 조리용기 1121 : 조리본체
1121a,1221a : 손잡이 1122 : 뚜껑부
1122a : 덮개판 1122a1 : 통기공
1122a2 : 흘림방지대 1122b : 가장자리측 밀폐대
1122c : 안측 밀폐대 1123 : 패킹부재
1200 :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 1210 : 음식내입구멍
1211 : 레일홈 1220 : 음식수용구
1221 : 폐쇄판 1222 : 음식수용통
1222a : 이동레일

Claims (18)

  1. 바닥벽체(110), 상기 바닥벽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연결되는 전측벽체(120), 후측벽체(130), 좌측벽체(140) 및 우측벽체(1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들몸체(100)와;
    상기 구들몸체(100)의 전측벽체(120)에 연통되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에서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개구된 일측으로 제공하는 함실(200)과;
    상기 구들몸체(100)의 후측벽체(13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굴뚝이 연통되는 굴뚝구멍(131)과;
    상기 함실(200)과 상기 굴뚝구멍(131)을 연결하여, 상기 구들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열기가 유동하는 경로인 열기유동경로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열기유동경로를 따라 방사열기가 끊기지 않고 굴뚝구멍(131)까지 흐르게 유도하는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와;
    상기 함실(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를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함실(200)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함실(200)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열기가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는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에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측벽체(12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높이가 같은 제1 우측 지지벽(151)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과 높이가 동일한 제1 좌측 지지벽(141)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의 일측단에 연결지지되는 제1 가로측 구획벽(1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걸쳐지는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기본형 축열부재(410) 및 상기 기본형 축열부재(410)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가로의 길이는 상이한 복수의 박막형 축열부재(420)를 포함하는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일부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중앙부로 구분되는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1 축열부재 거치영역(DF)에 적층시킨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2 축열부재 거치영역(DE)에 적층시킨 제2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E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실(200)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함실(2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열기를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의 일단 쪽 경로로 넘어 들어가게 유도하는 부넘기(240)가 설치되는 영역인 부넘기 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는,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타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와;
    일측단 경로가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타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일측방으로 직교하여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와;
    일단 경로가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단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로부터 유동되는 방사열기를 전방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타측단 경로는, 상기 굴뚝구멍(13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우측벽체(150)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1 세로측 구획벽(161)보다 높이가 높은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우측 지지벽(152)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과 높이가 동일한 제2 좌측 지지벽(142)과;
    상기 우측벽체(150) 상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의 타단과 연결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벽체(130)에 연결지지되며, 상기 제2 우측 지지벽(152)보다 높이가 높은 제3 우측 지지벽(153)과;
    상기 좌측벽체(140) 상에 연결구비되되,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좌측 지지벽(143)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좌측 지지벽(142)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세로측 구획벽(163)과 높이가 동일한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상기 바닥벽체(110) 상에 직립되되,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과 연결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가 형성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3 좌측 지지벽(143)에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3 세로측 구획벽(164)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우측 지지벽(153)과 높이가 동일한 제4 세로측 구획벽(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일측부로 구분되는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 및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타측부로 구분되는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3 축열부재 거치영역(CB)에 적층시킨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는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은 상기 제1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DF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지지벽(141) 및 상기 제1 우측 지지벽(151) 상에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축열부재(410), 박막형 축열부재(4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층시키되, 상기 제4 축열부재 거치영역(AB)에 적층시킨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두께는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두께보다 작고, 거치된 상기 제4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AB1)의 하면은 상기 제3 적층 두께조절용 축열부(CB1)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를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및 상기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보다 두께가 얇은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를 포함하는 바닥매립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1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2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3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4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5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기안내용 고래길경로(300) 중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360)의 바닥면 상에 상기 바닥매립부재군을 이루는 기본형 바닥매립부재(510), 박막형 바닥매립부재(520)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매립시키는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상기 제1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 및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높이 보다 높고,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일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2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3 가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 매립부의 바닥 중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와 연통된 타측부의 바닥높이는 상기 제3 세로측 열기안내용 고래길 부분경로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실(200)은, 외부몸체(250)와;
    상기 외부몸체(250) 내부에 설치되되, 가열공간(251)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몸체(25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연소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화력원인 방사열기를 발생시키는 연소통(260);을 포함하고,
    상기 함실측 단시간 요리가열부(1100)는, 일단이 상기 외부몸체(25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몸체(250)의 내측 측면에 고정되게 절곡된 절곡 프레임(1111)이 기지정 간격마다 위치되는 거치구(1110)와;
    상기 거치구(1110)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조리음식이 수용된 함실측 조리용기(1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실측 조리용기(1120)는,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조리본체(1121)와;
    상기 조리본체(1121)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통기공(1122a1)들이 관통 형성된 덮개판(1122a), 상기 덮개판(1122a)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내측면이 상기 조리본체(112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 상기 덮개판(1122a)의 하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가장자리측 밀폐대(1122b) 보다 안쪽에 돌출되어, 외측면이 상기 조리본체(112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1122c)로 이루어진 뚜껑부(1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122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흘림방지대(1122a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축열된 열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측 장시간 요리가열부(1200)는, 상기 두께조절용 축열부재군에 조리음식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음식내입구멍(1210)과;
    상기 음식내입구멍(1210)에 인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된 음식수용구(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수용구(1220)는, 상기 음식내입구멍(1210)을 폐쇄시키는 폐쇄판(1221)과;
    상기 폐쇄판(1221)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음식수용통(1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상기 폐쇄판(12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221a)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내입구멍(1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1211)이 형성되고,
    상기 음식수용통(1222)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홈(1211)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222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18. 제1항에 있어서,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방인 구들외룸(R1)의 방바닥에 매립되는 열풍배관(800)과;
    일단이 상기 열풍배관(800)의 일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타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함실(200)에서 발생되는 방사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일단과 연통된 열풍배관(800) 쪽으로 유동되는 확장 난방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들난방.
KR1020220087954A 2022-07-18 2022-07-18 다용도 난방구들 KR10249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954A KR102497245B1 (ko) 2022-07-18 2022-07-18 다용도 난방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954A KR102497245B1 (ko) 2022-07-18 2022-07-18 다용도 난방구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245B1 true KR102497245B1 (ko) 2023-02-07

Family

ID=8522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954A KR102497245B1 (ko) 2022-07-18 2022-07-18 다용도 난방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2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816Y1 (ko) * 1981-12-09 1984-05-22 장재용 오븐(oven)
KR20100130342A (ko) * 2009-06-03 2010-12-13 송인관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KR20170059727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구들
KR101972837B1 (ko) * 2018-07-17 2019-08-16 신용선 온풍 겸용 아궁이 구들 난로 시스템
KR102089746B1 (ko)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20200144654A (ko) * 2019-06-19 2020-12-30 임준섭 온돌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816Y1 (ko) * 1981-12-09 1984-05-22 장재용 오븐(oven)
KR20100130342A (ko) * 2009-06-03 2010-12-13 송인관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KR20170059727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구들
KR101972837B1 (ko) * 2018-07-17 2019-08-16 신용선 온풍 겸용 아궁이 구들 난로 시스템
KR102089746B1 (ko)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20200144654A (ko) * 2019-06-19 2020-12-30 임준섭 온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05723U1 (ru) Односекционный или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двумя различно выполненными участками
KR102497245B1 (ko) 다용도 난방구들
US5823175A (en) Thermal protective barrier
JP2013537270A (ja) Pcmを収容する建材、及び耐候性外装材
KR102497231B1 (ko) 모듈러 구들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02497240B1 (ko) 확장된 바닥난방구조가 적용된 모듈러 구들
KR102508679B1 (ko) 난방구들
JP5362267B2 (ja) 業務用厨房の廃熱利用システム
KR20170024901A (ko) 조립식 주택
RU105973U1 (ru) Односекционный или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двумя различно выполненными участками
Humphreys et al. Keeping warm in a cooler house
KR101438363B1 (ko)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 시스템
KR101434900B1 (ko) 후면이 개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102362863B1 (ko) 황토 구들장
RU104291U1 (ru) Односекционный или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двумя различно выполненными участками
KR101798008B1 (ko)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RU2004107563A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ый комплекс
KR102497235B1 (ko) 반신욕조가 구비된 모듈러 구들
CN214536447U (zh) 一种室内烤火供暖多功能茶几
KR101476630B1 (ko) 하향배기식 연탄보일러
GB2374921A (en) A system for heating and ventilating a building
RU203748U1 (ru) Русская печь с бесконтакт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горнила и лежанкой, прогреваемой дымовым каналом от горнила
CN209090231U (zh) 一种移动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