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779B1 -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779B1
KR102626779B1 KR1020220031624A KR20220031624A KR102626779B1 KR 102626779 B1 KR102626779 B1 KR 102626779B1 KR 1020220031624 A KR1020220031624 A KR 1020220031624A KR 20220031624 A KR20220031624 A KR 20220031624A KR 102626779 B1 KR102626779 B1 KR 10262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ondol
underfloor heating
panel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357A (ko
Inventor
오명례
Original Assignee
오명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례 filed Critical 오명례
Priority to KR102022003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7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바닥에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공기를 가열한 열공기를 순환시켜 난방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열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의 유로가 형성된 하부 온돌패널;과 상기 하부 온돌패널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유로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축열된 열을 상면으로 발산하는 상부 온돌패널; 상기 하부 온돌패널과 상기 상부 온돌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온돌패널을 인접 단위 온돌패널과 조립시 인접되는 단위 온돌패널간 열공기 입구와 출구에 개재되어 통과되는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시키는 직렬 유로연결구;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출구와 다음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입구 사이에 개재되어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U형 유로연결구; 그리고 열공기를 생성하는 메인 히터와 생성된 열공기를 송출하는 송풍기 그리고 상기 온돌패널측으로 열공기를 토출하는 열공기 송출구와 상기 온돌패널측에서 순환되어 돌아오는 열공기가 들어오는 열공기 환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히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ONDOL PANEL SET FOR AIR CIRCULATION BOILER AND ONDO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공기를 열교환 매체로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바닥에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공기를 가열한 열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그 순환되는 열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따뜻하게 덥혀져서 방 내부로 열을 방출하여 난방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돌 난방은 예로부터 우리 나라 주거용 건물의 전통적인 난방방식으로서, 아궁이에서 나무를 태워 발생되는 열기가 굴뚝을 통해 배출되기 전까지 구들장을 가열하여 난방하던 방식을 이용하다가 에너지원으로서 아궁이에서 나무대신 연탄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아파트와 같은 집합 건물에서 석유나 액화천연가스를 사용하여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여 얻은 난방수를 실내 바닥에 매설된 파이프를 통해 순환시켜 실내 바닥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기도 하였으나, 실내 바닥을 가열하여 난방하는 기본적인 방식은 크게 변화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 난방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좌식 주거생활 환경에 적합하고, 수면중 바닥으로 부터 전달된 온기로 수면중 피로를 풀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난방 방식으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 바닥에 전기 발열선을 배설하여 난방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전자기파가 건강에 유해하다는 인식과 함께 시설비와 전기료 부담으로 보편화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바닥난방에서는 축열 특성이 우수한 구들장을 사용하였으나, 아파트와 같이 집합건물에서는 구들장의 중량에 의한 과도한 구조하중의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은 구들장용 석재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고, 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재의 바닥 난방 구조는 주로 난방수관을 시멘트 바닥에 매설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난방수관을 바닥에 매설하는 난방 방식은 높은 수준의 시공기술을 필요로 하고, 시공기간이 길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2007.07.24 등록된 한국 특허 제10-0743974호에는, 건축물의 바닥에 조립하여 시공하기 위한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온돌바닥구조로서, 패널몸체의 내부 중앙에 온수파이프가 지그재그로 설치되고, 상기 온수파이프와 상기 패널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에 와이어 메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패널몸체의 어느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파이프의 인입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배출부는 상기 패널몸체의 타측면으로 돌출되어지되, 상기 인입부의 단부에는 원터치 결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인입부의 결합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구에 형성된 U자홈에 끼움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온돌바닥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온돌패널은 바닥을 패널 형태로 만들어 바닥 시공에서는 유리한 점이 있지만 패널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연결해야 하는 점에서 기술 숙련자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누수 가능성이 있고, 시공 기간과 비용의 절감을 위한 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망되었다.
또한, 2003.10.06 등록된 한국 특허 제10-0402205호에는 현행 온돌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온수 순환용 배관 대신에 유니트화된 바닥 패널면 전체에 온수가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패널 자체가 온수 순환의 기능과 방열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축열기능을 갖는 무배관방식의 모듈화패널 온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발명의 모듈화패널에서는 바닥 패널에 유로를 형성하여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된 점에서, 누수방지를 위해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겨울에 동파될 우려도 있으며, 누수 발생시 전체 바닥을 해체해야 하는 점에서 보수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743974호(2007.07.24 등록)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402205호(2003.10.06 등록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난방용 바닥을 시공할 수 있도록, 열공기 순환용 유로가 형성된 단위 크기의 유로 온돌패널과 난방용 열을 공급 위한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가 내장된 온돌패널로 이루어지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열공기 순환용 유로가 형성된 복수 개의 유로 온돌패널을 난방 면적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조립 설치함과 아울러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일열의 유로 온돌패널과 다른 열의 유로 온돌패널간에 유로를 연결하는 위치에 유로연결구를 설치하되, 상기 유로연결구 중 일부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가 내장된 유로연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 온돌 바닥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는, 축열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가 형성되면서 상기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 사이에 열공기 이동을 위해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의 유로가 형성된 하부 온돌패널;과 상기 하부 온돌패널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유로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축열된 열을 상면으로 발산하는 상부 온돌패널; 상기 하부 온돌패널과 상기 상부 온돌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온돌패널을 인접 단위 온돌패널과 조립시 인접되는 단위 온돌패널간 열공기 입구와 출구에 개재되어 통과되는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시키는 직렬 유로연결구;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출구와 다음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입구 사이에 개재되어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U형 유로연결구; 그리고 열공기를 생성하는 메인 히터와 생성된 열공기를 송출하는 송풍기 그리고 상기 온돌패널측으로 열공기를 토출하는 열공기 송출구와 상기 온돌패널측에서 순환되어 돌아오는 열공기가 들어오는 열공기 환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히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U형 유로연결구들 중 일부에는 온돌패널에서 순환도중에 떨어진 온도를 보충하기 위한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돌패널에 설치되는 유로에는 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유로를 분할하는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온돌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단열 및 완충 특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은, 상기 완충부재 위에 축열기능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유로 및 유로 입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온돌패널들을 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가 서로 마주 닿게 인접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온돌패널들의 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에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인접 하부 온돌패널과 유로가 연통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렬 유로연결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온돌패널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부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온돌패널과 상부 온돌패널로 이루어지는 단위 온돌패널들이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 중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출구와 다음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입구 사이에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연통되도록 U형 유로연결구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위 온돌패널들로 이루어지는 온돌 바닥의 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에 송풍기와 메인 히터가 내설된 히터부재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하여, 히터부재에서 송출되는 열공기가 상기 온돌 바닥의 유로를 순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은 온돌패널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지 않고 하부 온돌패널과 상부 온돌패널의 조립으로 유로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열공기 순환용 유로가 형성된 단위 온돌패널들을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온돌패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온돌 시공방법은 상기한 단위 온돌패널들을 유로가 기밀되게 직렬 유로연결구와 U형 유로연결구에 의해 연통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열공기 순환식 온돌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온돌패널 및 온돌바닥구조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패널의 유로를 연결하는 U형 유로연결구, 특히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가 내설된 U형 유로연결구의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들을 이용한 온돌 바닥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나의 온돌패널을 구성하는 단위 온돌패널(100)은 하부 온돌패널(200)과 상부 온돌패널(300)로 구성된다.
하부 온돌패널(200)은 축열기능을 갖는 석재 재질로 판 형태의 직육면체 패널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열공기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210)가 상측이 개방된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유로(210)는 대개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단위 온돌패널(100)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온돌패널(200)의 상측에는 상부 온돌패널(300)이 부착된다. 상기 상부 온돌패널(300)은 가로, 세로의 길이가 상기 하부 온돌패널(200)과 대응되는 크기의 판형태로 형성되며, 재질로는 주로 석재, 자기, 맥반석, 황토 또는 천연옥 등 견고하면서 축열기능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난방시 열공기에 의해 상부 온도패널(300)이 소정 온도로 가열될 때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온돌패널(300)은 시멘트로 성형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 온도패널(300)의 표면에 바닥재로서의 장식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온돌패널(300)을 상기 하부 온돌패널(200)의 상측에 부착할 때에는 상기 하부 온돌패널(200)에 형성된 유로(210)의 상측 개방부를 기밀되게 밀폐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온돌패널(200)과 상부 온돌패널(300) 사이에는 상기 유로(210)를 통과하는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유로(210)의 양측에 예를 들어 내열성 실리콘과 같이 고온에 견디는 접착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기밀되게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온돌패널(200)의 저면에는 받침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20)는 하부 온돌패널(200)의 하부에서 층간 소음을 방지하거나 단열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또한 온돌 바닥에서 하부 온돌패널(20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압축 스티로폼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20)는 열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하부 온돌패널(200)에 축열되는 열이 하부 온돌패널(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으로 전달되어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하여 난방에너지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최근 집합건물에서 자주 문제가 되는 층간 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직렬 유로연결구(230)는 단위 온돌패널(100)을 이용하여 온돌을 시공할 때 인접한 하부 단위패널의 유로(210)와 연통시켜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로(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열공기가 누출없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직렬 유로연결구(230)의 외표면과 접촉되는 단위 온돌패널(100)의 유로 내표면 사이에는 통과되는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내열성 실리콘과 같은 시일재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직렬 유로연결구(230)는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예를들어 박판의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또는 불연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단위 온돌패널의 양측 유로에 일부가 각각 나뉘어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을 간략화하고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부 온돌패널(300)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온돌패널(200) 상면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 유로(21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단턱(240)이 형성되어 직렬 유로연결구(230)의 내측면이 유로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직렬 유로연결구(230)에서도 열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표면에 내열성 실리콘의 시일재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하부 온돌패널(200) 및 상부 온돌패널(300)에 기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하부 온돌패널(200) 위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부 온돌패널(300)이 적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을 간략화하고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부 온돌패널(300)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온돌패널(200)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210)에 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중앙에 유로(210)를 분할하는 지지벽(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50)은 단위 온돌패널(100)의 가로×세로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하부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210)의 폭이 넓은 경우 상부 온돌패널(300)에 수직하중이 크게 가해졌을 때 상부 온돌패널(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온돌패널(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온돌패널(20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돌패널은 패널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지 않고 하부 온돌패널과 상부 온돌패널을 조립하여 유로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열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온돌패널을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온돌패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패널의 유로를 연결하는 U형 유로연결구, 특히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410)가 내설된 U형 유로연결구(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U형 유로연결구(400)는 단위 온돌패널(100)들을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인접설치하여 온돌바닥을 시공할 때 유로 진행방향을 따라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100)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100)의 열공기 출구와 다음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100)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100)의 열공기 입구 사이에 기밀하게 개재되어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U형 유로연결구(400)의 입출구(420)는 단위 온돌패널(100)의 유로(210)의 입출구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U형 유로연결구(400) 중에서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410)가 내설된 U형 유로연결구(400)는 복수의 단위 온돌패널(10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여 온돌바닥을 구성할 때 열공기가 온돌패널(100)들을 경유하여 순환하는 도중에 떨어진 온도를 가온하여 순환되는 열공기 온도를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U형 유로연결구(400)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홈(430)은 상기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4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 인출용으로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지 않게 시일재의 마개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마개로 전력선 인출용 홈(430)을 밀폐하는 기술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온돌패널들을 이용한 온돌 바닥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한 단위 온돌패널(100)들은 온돌바닥(500)에서 유로(210)가 연결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온돌바닥(500)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온돌패널(100)들은 U형 유로연결구(400)에 의해 유로(210)가 기밀하게 연통되어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인접된 온돌패널 열간의 유로(210)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체적인 온돌바닥(500)의 유로(210)가 모두 이어져서 열공기가 온돌바닥(500) 전체를 순환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U형 유로연결구(400)를 이용하여 온돌패널(100)들의 유로(210)를 연결할 때 U형 유로연결구(400)의 외주면에 내열성 시일재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온돌패널(100)들의 유로(210)의 내주면에 기밀되게 유로(210)를 연결시켜 난방용 열공기 순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전통적인 온돌구조와 유사한 열공기 온돌바닥을 시공할 수 있으며, 조립이 매우 간편하여 온돌바닥 시공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높은 기술의 숙련자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공사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온돌패널들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유로가 단순히 직선형으로 되어 있으나, 변형적으로 일부 온돌패널에서는 만곡된 유로를 갖도록 하여 열공기의 이동속도를 지연시켜 열교환 시간을 늘림으로써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곡선형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난방용 바닥에 열공기가 순환되도록 유로가 형성된 온돌패널들을 조립하여 온돌바닥 시공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 단위 온돌패널, 200 -- 하부 온돌패널,
210 -- 유로, 220 -- 받침부재,
230 -- 직렬 유로연결구, 240 -- 단턱,
250 -- 지지벽, 300 -- 상부 온돌패널,
400 -- U형 유로연결구, 410 -- 보조 히터,
420 -- 입출구, 430 -- 홈,
500 -- 온돌바닥.

Claims (5)

  1. 축열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가 형성되면서 상기열공기 입구와 열공기 출구 사이에 열공기 이동을 위해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의 유로가 형성된 하부 온돌패널;과
    상기 하부 온돌패널의 상면에 고온에 견디는 내열성 접착 실리콘으로 기밀되게 부착되어 상기 유로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축열된 열을 상면으로 발산하는 상부 온돌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온돌패널을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온돌바닥을 조립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 온돌패널을 인접 단위 온돌패널과 조립시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의 단위 온돌패널간 열공기 입구와 출구에 개재되면서 내열성 접착 실리콘으로 부착되어 통과되는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연통시켜 다수 개의 단위 온돌패널을 일렬로 연결하여 소정 길이의 온돌패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직렬 유로연결구;와
    일렬로 조립된 소정 길이의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출구와 다음 일렬로 조립된 단위 온돌패널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온돌패널의 열공기 입구 사이에 개재된 후 열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내열성 접착 실리콘으로 부착되고, 소정길이의 온돌패널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소정 면적의 온돌패널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되, 소정 면적의 온돌패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가 전체적으로 지그재그로 형태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U형 유로연결구; 그리고
    열공기를 생성하는 메인 히터와 생성된 열공기를 송출하는 송풍기 그리고 상기 온돌패널측으로 열공기를 토출하는 열공기 송출구와 상기 온돌패널측에서 순환되어 돌아오는 열공기가 들어오는 열공기 환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히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U형 유로연결구들 중 일부에는 온돌패널에서 순환도중에 떨어진 온도를 보충하기 위한 열공기 가온용 보조 히터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 온돌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단열 및 완충 특성을 갖도록 압축스티로폼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직렬 유로연결구의 내측면이 유로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패널에 설치되는 유로에는 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유로를 분할하는 지지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1624A 2022-03-14 2022-03-14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10262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24A KR102626779B1 (ko) 2022-03-14 2022-03-14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24A KR102626779B1 (ko) 2022-03-14 2022-03-14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57A KR20230134357A (ko) 2023-09-21
KR102626779B1 true KR102626779B1 (ko) 2024-01-17

Family

ID=8818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624A KR102626779B1 (ko) 2022-03-14 2022-03-14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28U (ko) * 1994-07-08 1996-02-17 최관석 난방장치
JPH10267301A (ja) * 1997-03-21 1998-10-09 Hazama Gumi Ltd 温水循環式床暖房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循環式床暖房装置とその組立方法
KR100402205B1 (ko) 1999-11-13 2003-10-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배관방식의 모듈화페널 온돌 시스템
KR100446263B1 (ko) * 2001-01-04 2004-09-04 지엔아이종합건축사사무소(주) 저온 열기순환 식 온돌난방
KR100743974B1 (ko) 2007-04-20 2007-07-30 (주)혜원종합개발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온돌바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57A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101801557B1 (ko) 수평축 회오리대류방식 난방 시스템
KR20160112837A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2526058B1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50081418A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CN209893463U (zh) 一种节能舒适火炕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CN208702078U (zh) 地板供暖铺设新结构
KR101369505B1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4071U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 패널 구조체
KR20100069060A (ko) 아궁이 난방구조용 구들장블럭
CN205137641U (zh) 太阳能墙暖系统
CN220203074U (zh) 一种内嵌辐射采暖盘管的装配式墙体
JP5650412B2 (ja) 薪ストーブと蓄熱性基礎構造体による住宅用冷暖房
KR101777647B1 (ko) 화목난로를 이용한 이동식 조립온돌침대
CN109780576B (zh) 一种节能舒适火炕
JP2510992Y2 (ja) エアサイクル住宅における内部空間暖房用建築構造
KR101052537B1 (ko) 건축물의 난방 방법 및 그 장치
KR200275940Y1 (ko) 난방과 온수용 축열구조
CN2298444Y (zh) 一种带有层叠式余热吸收器的多功能家用炉
KR20220002824A (ko) 덕트 온돌 난방장치
KR100469817B1 (ko) 다목적 소형 난방장치
Cho Simulation Study on Heating Performance of a Cabin
Shved Pros and cons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modern interior design
KR100455063B1 (ko) 운모석 흙벽돌을 이용한 찜질방용 열실의 축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