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608A -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608A
KR20190106608A KR1020180036009A KR20180036009A KR20190106608A KR 20190106608 A KR20190106608 A KR 20190106608A KR 1020180036009 A KR1020180036009 A KR 1020180036009A KR 20180036009 A KR20180036009 A KR 20180036009A KR 20190106608 A KR20190106608 A KR 2019010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nsor
air conditioning
control uni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586B1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ublication of KR2019010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다양한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며, 측정된 공기 상태를 기 설정된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일정범위를 벗어날 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에 도달하도록 작동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장치 중 하나에 탑재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Integrate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다양한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은 인간의 편의를 위해 항상 발전해왔고, 최근에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같이 가정 안의 각종 기기를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가정생활의 편리성 향상과 안전확보를 꾀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신체를 움직이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하고, 특별한 관리자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는 것보다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유기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상기의 홈 오토메이션의 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2775호 '음향기기 작동식 홈오토메이션용 방범장치'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44200호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등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산업화에 따른 공기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 등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 등에 따라 기상이변 등이 발생하면서 날씨의 경우 겨울날씨는 점점 더 추워지는 추세이고, 여름날씨는 점점 더 더워지는 추세이다.
이처럼, 공기의 오염과 날씨변화에 따라 점차 실내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맞추기 위해 자동으로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경우 상기의 예와 같이 주로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공기 조화에 관한 기술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에 관련한 홈 오토메이션과 같은 통합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공기조화장치들의 작동을 통해 실내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맞출 수 있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실내 공기 상태의 변화를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보다 쾌적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며, 측정된 공기 상태를 기 설정된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일정범위를 벗어날 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에 도달하도록 작동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장치 중 하나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라돈 센서, 에어플로우 센서, 맵 센서, 산소량 측정 센서, VOCs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유해 가스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가습기, 에어컨디셔너, 환기장치, 보일러, 자동창문, 공기청정기, 선풍기, 스프링쿨러 및 온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실내의 열 변화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열 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화상 카메라는 감지되는 열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송하되, 제어부는 감지되는 열 변화가 설정된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들 중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가동시키고, 기 설정된 연락망으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공기 오염도, 공기량, 산소 농도, 습도, 온도, VOCs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의 조건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가 구비된 가습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진행하는 환기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도록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에어컨디셔너를 포함하여, 실내의 공기조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라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오염도는 상기 라돈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장치는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 환기장치 또는 내부에 전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순환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창문부착형 환기장치와 벽걸이형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걸이형 환기장치는, 실내 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실외로 돌출 형성되는 흡기관로 및 배기관로를 포함하여, 실내 벽에 설치되어도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성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음성을 인지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 상태를 맵핑하여 관리하는 맵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맵 관리부를 통해 파악되는 공기 상태 중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가 가장 먼 순에서 가장 가까운 순으로 공기조화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 관리부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맵핑된 맵을 전송하며, 상기 맵을 통해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수동으로 공기조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공기조화장치들의 작동을 통해 실내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맞출 수 있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실내 공기 상태의 변화를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보다 쾌적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제어부에 추가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추가 구성 중 맵 관리부를 통한 맵핑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에 추가 실시되는 열 화상 카메라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1의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며, (c)는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흡기 및 배기관로를 절개하여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도 1의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흡기 및 배기관로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도 1의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투영 사시도이며, (b)는 투영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유입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몸체부 후단부의 상세도이며, (b)는 (a)의 A-A'단면도이다.
도 11은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일 구성인 조립판체의 내부 상세도이다.
도 12는 유입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몸체부 중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유입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몸체부 전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14는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몸체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15는 벽걸이형 환기장치의 일 구성인 개폐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배출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몸체부 후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17은 배출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몸체부 중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18의 (a) 및 (b)는 배출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조립판체의 저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9는 몸체부에서 프리필터를 제거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인 제어부에 추가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추가 구성 중 맵 관리부를 통한 맵핑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에 추가 실시되는 열 화상 카메라의 연결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장치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실내 공기 조건을 최적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어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공기조화장치 내에 탑재된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작동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센서부(10), 제어부(20) 및 공기조화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0)는 실내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 일정 부분 또는 곳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라돈 센서, 에어플로우 센서, 맵 센서, 산소량 측정 센서, VOCs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유해 가스 센서 등과 같은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를 간략히 설명하면, 온도 센서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습도 센서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또한, 라돈 센서는 암을 유발하는 라돈가스의 수치를 측정하여 공기 오염도를 체킹하기 위한 센서이며, 에어플로우 센서와 맵 센서는 각각 공기의 질량과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산소량 측정 센서는 공기중의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VOCs 센서는 공기중의 VOCs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고, 이산화탄소 센서는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유해 가스 센서는 황산화물(SOx) 또는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센서 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센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실내 곳곳에 하나 또는 복수개씩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 상태를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0)는 상기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면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20)는 센서부(10)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서술한 다수의 센서는 모두 센싱값을 제어부(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측정된 공기 상태를 기 설정된 설정범위와 비교수행한 후, 일정범위를 벗어난 것이 판단되면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0)에는 권고되는 공기 상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 상태가 범위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는 디스플레이와 버튼 등이 구비된 조작부(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원격제어모듈 또는 통신모듈 등을 포함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원격장치로 사용자가 수동 제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기 설정범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컨트롤러 등으로 사용자에 의한 직접 설정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범위는 단일 설정범위 또는 한계 설정범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의 상태 중 온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일 설정범위는 24℃와 같은 단일 조건일 수 있으며, 한계 설정범위는 22℃ 내지 26℃와 같이 상한과 하한이 정해지는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는 후술하는 공기조화장치(30) 중 하나에 탑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공기조화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해 장착되는 제어부에 구현함으로써 따로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조화장치(30)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부(20)와 연동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에 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의 습도 설정범위를 80%의 단일 설정범위로 설정하면 습도 80%를 벗어나게 될 때 공기조화장치(30)가 작동하게 되고, 이는 습도 80%까지 도달할 때까지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30)는 상기의 작동을 위해 가습기, 에어컨디셔너, 환기장치, 보일러, 자동창문, 공기청정기, 선풍기, 스프링쿨러 및 온풍기 등의 다양한 공기조화를 가능케 하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공기조화장치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30)는 하나 이상을 구비되어 공기조화를 위해 복합적으로 작동되거나 각기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의 상태가 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각 공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3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으며, 상황에 맞추어 공기조화장치(30)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장치 내부에 전열교환기 등을 구비하여 공기 순환시 열을 교환하도록 할 수 있으나, 급격한 온도의 변화가 필요할 시에는 에어컨디셔너를 같이 가동시킬 수 있으며, 실내 공기의 배출이 보다 많이 필요할 때는 환기장치 외에도 자동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실내 공기 상태의 변화를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보다 쾌적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공기조화가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태로 제어 가능한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에 음성인식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인식부(22)는 음성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음성을 인지하도록 하며, 인지된 음성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기조화장치(30)로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어부(20)가 탑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향해 "선풍기 작동"과 같은 단어를 말하면 제어부(20)는 음성인식부(22)를 통해 먼저 음성을 분석하고 이를 단어화하여 "선풍기"와 "작동"에 해당하는 단어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선풍기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선풍기는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에 맵 관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맵 관리부(24)는 실내의 공기 상태를 맴핑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맵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구역별로 분할하여 각 구역으로 지정 후, 구역마다 공기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실과 방 1, 방 2, 방 3, 화장실, 주방 등의 공간을 따로 구획하고 각 공간 마다 온도, 습도, 산소량, 공기 오염도, VOCs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황산화물(SOx) 또는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유해가스 농도 등의 공기 상태를 개별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공기 상태를 분할하여 관리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개수가 한정된 공기조화장치(30)의 공기조화 방향을 설정범위가 가장 먼 순에서 가까운 순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범위가 26℃의 온도일 시에 방 1이 18℃이고, 방 2가 16℃라면, 방 2부터 온도를 높이도록 공기조화가 될 수 있고, 방 1의 공기 오염도가 방 2 보다 더 높을 시에는 방 1의 환기가 먼저 진행될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30)가 무한정 설치되는 것이 아닌 한정된 개수만큼 설치된 것 (가정의 경우에는 에어컨을 보통 1~2개 설치)에 따른 것으로 공기조화를 해야 할 방향은 많으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코자 함이다.
또한, 이러한 맵핑 정보는 통신 모듈 등을 통해 핸드폰 등의 사용자 단말이나 개인 컴퓨터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공기조화장치(30) 표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에도 표기될 수 있다. 즉, 맵 관리부(24)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맵핑된 맵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공기 상태가 표기되는 맵을 통해 원격지에서 수동으로 공기조화 방향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와 연동되는 열 화상 카메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 화상 카메라(40)는 실내의 열 변화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감지되는 열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감지되는 열 변화가 설정된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공기조화장치(30)들 중에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30)를 가동시키고, 기 설정된 연락망으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설정된 행동 범위는 실내의 열 감지와 실외의 열 감지를 통한 실외와 실내의 경계의 열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공기조화장치 중 자동창문을 예시로 설명하면, 자동창문 주변의 일정한 온도가 있을 터인데, 열 화상 카메라(40)는 이러한 실내측과 실외측의 자동창문 주변 온도를 항시 체크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실내측과 실외측의 자동창문 주변 온도는 서서히 변화되거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 정상인데, 자동창문 주변에 누군가 접근하게 되면 갑자기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창문 주변에서 온도의 급격한 변화나 온도의 이동이 일어날 시에는 제어부(20)가 행동 범위 이상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행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30)인 자동창문 등을 잠그도록 가동되어 실외로부터 실내의 침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기 설정된 연락망 즉, 관리자는 물론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 등 비상연락망 등으로 자동 알림을 전송하도록 하여 공기조화 실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일부 침입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도 갖출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온도 범위는 실내의 열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온도가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에 의해 서서히 변화되어야 하는데, 화재 등이 발생할 시에는 갑작스레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화상 카메라(40)로부터 실내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일어난 것이 감지될 시에는 제어부(20)가 온도 범위 초과를 판단하여 온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30)인 스프링쿨러, 환기장치, 자동창문 등을 가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등을 예방 또는 진압할 수 있는 효과도 갖출 수 있다.
즉, 상기의 열 화상 카메라(40)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1)은, 공기조화뿐만 아니라 범죄예방과 화재예방 등의 안전장치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보다 바람직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30)는 가습기(50),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진행하는 환기장치(60) 및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에어컨디셔너(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0)는 가습기(5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습기(50)의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제어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는 공기 오염도, 공기량, 산소 농도, 습도, 온도, VOCs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의 조건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공기 오염도는 라돈 센서(8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60)의 경우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 환기장치(미도시) 또는 내부 전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순환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창문부착형 환기장치(미도시)와 벽걸이형 환기장치(6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 환기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0555호 '능동형 자연 환기 장치'일 수 있으며, 창문부착형 환기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48213호 '자동환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555212호 '자동환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719544호 '다기능 자동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벽걸이형 환기장치(62)는 실내 벽에 설치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와 연결되어 실외로 돌출 형성되는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를 포함하여, 실내 벽(W)에 설치되어도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걸이형 환기장치를 도시한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벽걸이형 환기장치(62)는 몸체부(100) 내부에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유입관 및 배기관을 형성하고, 흡기관로(110)로 외기를 유입시켜 복수의 유입관을 통해 실내로 공급하며, 내기는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시켜 복수의 배기관을 거쳐 배기관로(120)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기 유입시에는 전열교환기(300)를 거치도록 하여 열 교환이 된 상태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벽걸이형 환기장치(62)는 몸체부(100) 내부에 전열교환기(30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조립판체(20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조립판체(200) 양측으로는 외기의 유입과 내기의 배출을 위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기 및 배기 블로우 모터(320a, 320b)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유입관은 제1 내지 제4 유입관(410 내지 440)이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배출관은 제1 내지 제5 배출관(510 내지 55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전면과 양측면에는 각각 몸체부(100) 내부로의 외기 또는 내기가 흡입되기 위해 실내 흡입구(140) 및 실내 배출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걸이형 환기장치(62)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 공기"라 지칭하며, 내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 공기"라 지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하우징(100a)과 몸체부 커버(1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a)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술한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 연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로 연결부(130)는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가 개별적으로 구비될 시에는 좌측과 우측사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각 측면마다 2개씩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각 측면마다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관로 연결부(130)가 양측면에 각각 1개씩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관로(110)와 배기관로(1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면,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는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통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통의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흡기관로(110)와 배기관로(120)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기 위해 각각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합쳐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흡기관로(110)와 배기관로(120)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나, 서로 간의 공기의 흐름이 간섭되지 않도록 둘 사이는 폐쇄되어 있으며, 흡기관로(110) 끝단에 형성되는 흡기구(115)와 배기관로(120) 끝단에 형성되는 배기구(125)가 유입 공기 및 배출 공기의 공기 유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체형 흡기관로(110) 및 배기관로(12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관로 연결부(130)에 일부가 삽입되거나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100)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판체(2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조립판체(200)는 몸체부(100) 양측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조립판체(200)의 장착으로 인해 몸체부(100) 내부는 전단부(170), 중단부(180), 후단부(190)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 후단부(190)에는 제1 및 제2 유입관(410, 420)과 제1 및 제2 배출관(510, 5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 중단부(180)에는 상기의 조립판체(200), 제3 유입관(430) 및 제3 내지 제5 배출관(530 내지 550)이 배치될 수 있고, 몸체부 전단부(170)에는 제4 유입관(440)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관(410)은 일단과 타단이 몸체부(100) 양측면에 형성된 관로 연결부(130)와 연결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몸체부 후단부(190)의 최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입관(420)은 최하측에 배치된 제1 유입관(410)의 일 영역에서 최상측까지 연장되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입관(420)은 'ㄱ'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입관(410)과 함께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입관(410)과 제2 유입관(420)의 이격된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1 배출관(5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입 공기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된 관로 연결부(130)에 연결되는 흡기관로(110)를 통해 유입되어 제1 유입관(410)과 제2 유입관(420)을 순차적으로 거쳐 몸체부 중단부(180)에 구비된 조립판체(200)로 유동될 수 있다.
조립판체(200)는 도 11을 참조하면, 양측이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립판체(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열교환기(300)와 두 개의 블로우 모터(320a, 32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에는 교차 공간(210)이 형성되고 교차 공간(210) 양측으로 개별 공간(22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 공간(210)에는 전열교환기(300)가 장착되며, 일측 개별 공간(220)에는 흡기 블로우 모터(320a)가 구비되고, 타측 개별 공간(220)에는 배기 블로우 모터(32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흡기 블로우 모터(320a)는 제2 유입관(420)과 연결되는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기 블로우 모터(320b)는 후술하는 제2 배출관(520)과 연결되는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교환기(300)가 장착되는 교차 공간(210)은 유입 공기와 배출 공기의 공기 유동로가 교차하는 구간이다. 즉, 이 구간에 전열교환기(300)가 장착됨으로써 유입 공기 및 배출 공기는 모두 전열교환기(300)를 거쳐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전열교환기(300)의 사용은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 시에만 필요하므로, 유입 공기가 유동될 때만 작동될 수 있다.
전열교환기(300)의 장착을 통해 교차 공간(210)은 4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입관(420)은 조립판체(200)의 상측으로 연결되므로, 교차 공간(210)은 개별 공간(220)과 하측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2와 같이 일측 상부에서 제2 유입관(420)을 통해 유입 공기가 조립판체(200)로 유입되면, 전열교환기(300)를 거쳐 타측 하부를 통해 흡기 블로우 모터(320a)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배출 공기의 유동방향은 타측 상부에서 제2 배출관(520)을 통해 조립판체(200)로 유입되면, 일측 하부를 통해 배기 블로우 모터(320b)로 인입될 수 있다.
흡기 블로우 모터(320a)와 배기 블로우 모터(320b)는 각각 유입 공기와 배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다. 즉, 제어부(20) 또는 후술하는 환기장치 제어부(700)를 통해 제어신호 인가시에 흡기 블로우 모터(320a) 또는 배기 블로우 모터(320b)가 작동하여 실내로 유입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거나 실외로 배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유입관(430)은 조립판체(200) 하부에 구비되어 흡기 블로우 모터(32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유입관(440)은 제3 유입관(430)과 연결되도록 몸체부 전단부(1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4 유입관(44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양방으로 대칭 구비되어 몸체부(100) 전면으로 형성되는 실내 배출구(150)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내지 제4 유입관(410 내지 440)과 조립판체(200)를 통해 유입 공기는 흡기 블로우 모터(320a)의 작동 시 흡기관로(110)로부터 유동되어 실내 배출구(15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실내 배출구(150)에는 개폐조절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조절부(600)는 실내 배출구(150)를 개방하고 폐쇄하며, 유입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패널(610), 판넬(620), 방향조절부(630) 및 패널이송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610)은 실내 배출구(150)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배출구(150)에 대하여 인출 및 인입되어 실내 배출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610)은 패널이송부(640)에 의해 전면과 후면측으로 이송되면서 실내 배출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판넬(620)은 제4 유입관(440)의 말단에 구비되어 패널(610)과 이격거리를 형성할 수 있고, 판넬(620)과 패널(610) 사이로는 방향조절부(630)가 구비되어 판넬(620)과 패널(610) 사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이송부(640)는 구동모터(641), 하나 이상의 회전축(642), 피니언 기어(644) 및 랙 기어(6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641)는 회전축(642)에 동력을 전달하며, 회전축(642)은 피니언 기어(64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랙 기어(645)는 판넬(620) 후면측으로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644)와 상응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641)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644)가 회전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644)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는 랙 기어(645)가 전/후로 이송되어 판넬(62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판넬(620)과 패널(610) 사이에 형성되는 방향조절부(630)가 패널(610)을 밀어내거나, 판넬(620) 이송시에 개별적으로 패널(610)이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실내 배출구(15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축(642)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균형을 갖추도록 3개의 회전축(642a 내지 642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회전축(642a 내지 642c)은 끝단에 연결부재(643)를 구비하여 연결부재(643)간의 연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모터(641)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642a)은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끝단에 제1 연결부재(64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642b)은 일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제1 연결부재(643a)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643b)를 구비할 수 있고, 타단에는 제3 연결부재(643c)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3 회전축(642c)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제3 연결부재(643c)와 연결되는 제4 연결부재(643d)를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축(642b)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643)는 면 마찰되는 부재로 형성되거나,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조절부(630)는 회전모터(미도시), 구동기어(634), 피동기어(636) 및 차단막(63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모터(미도시)는 판넬(620) 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634)는 회전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판넬(620)을 관통하는 축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634)에는 실내 배출구(150)와 상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피동기어(636)가 치합될 수 있으며, 피동기어(636)와 일체로 피동기어(636)의 일측은 차단막(63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638)은 패널(610)과 판넬(620) 사이의 일측을 막아 유입 공기가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회전모터(미도시)로 차단막(638)의 위치 조정을 통해 유입 공기 배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조절부(600)를 통해 유입 공기의 유입량 조절 및 배출 방향 조절이 용이하며, 제어부(20) 또는 환기장치 제어부(700)의 제어 신호 인가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유입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몸체부(100)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관로 연결부(130) 상측으로는 실내 흡입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흡입구(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공기가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간이다.
배출 공기의 배출을 위해 몸체부 후단부(190)에는 제1 배출관(5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배출관(510)은 상술한 제1 유입관(410)과 제2 유입관(420)의 이격거리 사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관(520)은 제1 배출관(510) 상측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립판체(200)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출관(520)은 제2 유입관(420)이 연결된 교차 공간(210)의 타측의 상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유입 공기의 유동 경로와 배출 공기의 유동 경로가 전열교환기(300) 외에는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배출관(530)은 조립판체(200) 하측으로 구비되어 배기 블로우 모터(320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관(530)은 배기 블로우 모터(320b)와 연결되는 타측에 배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홀(54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관(530) 하측으로는 제4 배출관(540)이 몸체부(100) 양측단을 향해 조립판체(200) 길이만큼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4 배출관(540) 양단으로는 관로 연결부(130)와 연결되는 제5 배출관(550)이 각각 구비되어 배기관로(120)로 관로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형 환기장치(62)는 유입 공기 또는 배출 공기의 유동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실내 흡입구(140)에는 프리필터(1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프리필터(160)는 후크형의 걸림부(162)를 형성하여 몸체부(100)의 고정부(164)로부터 쉽게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입관(420)과 전열교환기(300) 사이에는 필터(310)가 장착(도 11에 도시됨)될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310)는 각각 전열교환기 커버(305)와 필터 커버(315)를 구비(도 12에 도시됨)하여 교환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향조절부(630), 패널이송부(640), 블로우 모터(320a, 320b)의 구동 등은 모두 제어부(20)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환기장치 제어부(700)가 따로 구비되어 벽걸이형 환기장치(62)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환기장치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 버튼 등의 조작부 등을 포함하며,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나, 통신모듈 등을 구비하여 리모컨트롤러 또는 핸드폰 등의 원격 단말 등에 의해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벽걸이형 환기장치 또는 상술한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 환기장치 또는 내부 전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순환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창문부착형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 상태를 최적으로 조절하면서도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환기장치 또는 내부에 전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순환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창문부착형 환기장치와 벽걸이형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상기의 환기장치들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한 환기장치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60)와 에어컨디셔너(70)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공기조화장치를 가습기(50)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습기(50)는 공기청정기(51) 또는 온풍기(52)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예로써 공기청정기(51) 또는 온풍기(52)에 제어부(20)가 탑재되며, 제어부(20)가 탑재된 공기청정기(51) 또는 온풍기(52)는 환기장치(60)와 에어컨디셔너(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도 20을 참조하면, 가습기(50), 공기청정기(51) 및 온풍기(52) 중 하나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어 서버의 역할을 하며, 이들은 환기장치(60) 및 에어컨디셔너(70)를 제어하고,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라돈 센서, 에어플로우 센서, 맵 센서, 산소량 측정 센서, VOCs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유해 가스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10)와 연결되어 센싱 신호를 받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가습기(50)는 고온스팀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되는 세균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은 공기청정기(51) 및 온풍기(52)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10 : 센서부 20 : 제어부
22 : 음성인식부 24 : 맵 관리부
30 : 공기조화장치 40 : 열 화상 카메라
50 : 가습기 51 : 공기청정기
52 : 온풍기 60 : 환기장치
62 : 벽걸이형 환기장치 70 : 에어컨디셔너
80 : 라돈 센서 100 : 몸체부
100a : 하우징 100b : 몸체부 커버
110 : 흡기관로 115 : 흡기구
120 : 배기관로 125 : 배기구
130 : 관로 연결부 140 : 실내 흡입구
150 : 실내 배출구 160 : 프리필터
162 : 걸림부 164 : 고정부
170 : 몸체부 전단부 180 : 몸체부 중단부
190 : 몸체부 후단부 200 : 조립판체
210 : 교차 공간 220 : 개별 공간
300 : 전열교환기 305 : 전열교환기 커버
310 : 필터 315 : 필터 커버
320a : 흡기 블로우 모터 320b : 배기 블로우 모터
410 ~ 440 : 제1 유입관 내지 제4 유입관
510 ~ 550 : 제1 배출관 내지 제5 배출관
542 : 배출홀 600 : 개폐조절부
610 : 패널 620 : 판넬
630 : 방향조절부 634 : 구동기어
636 : 피동기어 638 : 차단막
640 : 패널이송부 641 : 구동모터
642a ~ 642c : 제1 내지 제3 회전축
643a ~ 643d :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
644 : 피니언 기어 645 : 랙 기어
700 : 환기장치 제어부 W : 실내 벽

Claims (11)

  1.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며, 측정된 공기 상태를 기 설정된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일정범위를 벗어날 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에 도달하도록 작동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장치 중 하나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라돈 센서, 에어플로우 센서, 맵 센서, 산소량 측정 센서, VOCs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유해 가스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가습기, 에어컨디셔너, 환기장치, 보일러, 자동창문, 공기청정기, 선풍기, 스프링쿨러 및 온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실내의 열 변화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열 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화상 카메라는 감지되는 열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송하되, 제어부는 감지되는 열 변화가 설정된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들 중 행동 범위 또는 온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가동시키고, 기 설정된 연락망으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5. 공기 오염도, 공기량, 산소 농도, 습도, 온도, VOCs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의 조건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가 구비된 가습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진행하는 환기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도록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에어컨디셔너를 포함하여, 실내의 공기조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라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오염도는 상기 라돈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샤시에 장착되는 능동형 자연 환기장치 또는 내부에 전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순환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창문부착형 환기장치와 벽걸이형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형 환기장치는,
    실내 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실외로 돌출 형성되는 흡기관로 및 배기관로를 포함하여,
    실내 벽에 설치되어도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음성을 인지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 상태를 맵핑하여 관리하는 맵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맵 관리부를 통해 파악되는 공기 상태 중 기 설정된 공기 상태 설정범위가 가장 먼 순에서 가장 가까운 순으로 공기조화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맵 관리부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맵핑된 맵을 전송하며,
    상기 맵을 통해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수동으로 공기조화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180036009A 2018-03-06 2018-03-28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103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78 2018-03-06
KR20180026578 2018-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08A true KR20190106608A (ko) 2019-09-18
KR102103586B1 KR102103586B1 (ko) 2020-04-23

Family

ID=6807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009A KR102103586B1 (ko) 2018-03-06 2018-03-28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58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72B1 (ko) 2020-03-31 2021-06-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각 실 통합 제어 공기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280108B1 (ko) 2020-05-19 2021-07-22 (주)대우건설 자동 제어 급배기장치
WO2021157844A1 (en) * 2020-02-06 2021-08-1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33947B1 (ko) * 2020-07-24 2021-12-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모달 영상을 이용한 열 추적 및 열 판별 기술을 활용한 감염 질환 예방 방법 및 장치
KR20220055813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나인와트 고령자에게 복지관의 환기 상태 알림을 제공하고, 복지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KR102411692B1 (ko) * 2020-12-18 2022-06-22 동서콘트롤(주)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 통합제어형 공기조화시스템
EP4095453A1 (en) 2021-05-24 2022-11-30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EP4098950A1 (en) 2021-05-24 2022-12-07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KR102713920B1 (ko) * 2023-12-26 2024-10-07 (주)삼우전기컨설턴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설비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2476B (zh) * 2020-09-18 2021-12-14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遥控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72B1 (ko) * 2013-05-10 2013-09-06 주재일 실내 공기질 측정 기능을 갖는 리모컨을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시스템
WO2014185033A1 (ja) * 2013-05-17 2014-11-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熱画像センサ、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50015886A (ko) * 2013-08-02 2015-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89046A (ko) * 2015-12-28 2017-08-03 주식회사 세스코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KR2017012185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농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및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72B1 (ko) * 2013-05-10 2013-09-06 주재일 실내 공기질 측정 기능을 갖는 리모컨을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시스템
WO2014185033A1 (ja) * 2013-05-17 2014-11-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熱画像センサ、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50015886A (ko) * 2013-08-02 2015-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89046A (ko) * 2015-12-28 2017-08-03 주식회사 세스코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KR2017012185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농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및 운용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844A1 (en) * 2020-02-06 2021-08-1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428433B2 (en) 2020-02-06 2022-08-3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67172B1 (ko) 2020-03-31 2021-06-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각 실 통합 제어 공기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280108B1 (ko) 2020-05-19 2021-07-22 (주)대우건설 자동 제어 급배기장치
KR102333947B1 (ko) * 2020-07-24 2021-12-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모달 영상을 이용한 열 추적 및 열 판별 기술을 활용한 감염 질환 예방 방법 및 장치
KR20220055813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나인와트 고령자에게 복지관의 환기 상태 알림을 제공하고, 복지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KR102411692B1 (ko) * 2020-12-18 2022-06-22 동서콘트롤(주)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 통합제어형 공기조화시스템
EP4095453A1 (en) 2021-05-24 2022-11-30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EP4098950A1 (en) 2021-05-24 2022-12-07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KR102713920B1 (ko) * 2023-12-26 2024-10-07 (주)삼우전기컨설턴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설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586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586B1 (ko)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US9970666B2 (en) Air conditioner system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178801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CN105091097A (zh) 空气调节系统
US11686498B2 (en) Heat transfer system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with heat transfer system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6892179B1 (ja) 空調システム
CN111795464A (zh) 一种厨房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JPH0979648A (ja) 全館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243226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62337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0196997A (ja) 建物
KR2015012957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0601221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JP4451766B2 (ja)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及び全館換気空調装置
ES2872402T3 (es) Sistema de ventilación configurable
KR102613073B1 (ko) 탄소중립 형 ehp-erv 융복합 제어 시스템
CN213273053U (zh) 新风系统
CN214536750U (zh) 一种独立中央空调出风控制系统
KR101139908B1 (ko) 중공층 냉방시스템
KR200446746Y1 (ko) 실내온도 관리장치
US20230184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lective filtered fresh air source using existing ducting
KR20160010194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