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641B1 -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 Google Patents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641B1
KR101754641B1 KR1020150146925A KR20150146925A KR101754641B1 KR 101754641 B1 KR101754641 B1 KR 101754641B1 KR 1020150146925 A KR1020150146925 A KR 1020150146925A KR 20150146925 A KR20150146925 A KR 20150146925A KR 101754641 B1 KR101754641 B1 KR 10175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hale
floor structure
obturato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500A (ko
Inventor
차화신
Original Assignee
차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신 filed Critical 차화신
Priority to KR102015014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6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23Building characterised by incorporated canalis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2중 구조의 구들장을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장에서 저부의 바닥구조물 및 상부 황토방건물을 제작한 후 바닥구조물과 황토방건물이 각각 현장에 운반되어 손쉽게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 관한 것이다.
저부의 바닥구조물은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장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20~30 mm 두께의 돌 구들장을 깔아 하부구들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는 10 ~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상부구들을 형성하는 2중 구조의 구들장을 형성하고
저부 바닥구조물 상부에 올려 설치되는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가온열이 하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상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이동하고 상부구들을 경유한 가온 잔열은 건물벽체에 형성된 칸막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지붕에 마련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Join Moving House having double heating system}
본원은 산간이나 시골 벽지에 많은 비용을 들여 본격적으로 전원주택을 지어놓고 여유롭게 휴식을 즐기기 전에 임시 주거수단으로 산간이나 시골의 좁은 땅에 5 내지 10평 규모로 저비용 구조로 황토방을 만들어 놓고 주말에 휴식을 취하거나 또는 도심을 떠나 시골생활에 과연 적용이 가능할 것인지 실험단계로 임시 주거수단으로 황토방을 만들어 놓고 적응 훈련을 위한 용도로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현장에서 당일 완성할 수 있도록 공장에서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을 별도로 제작하여, 각각 현장에 운반되어 손쉽게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해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의 주거공간이 시멘트 구조물로 바뀌면서 우리의 인체는 시멘트의 강알칼리성 독성 인자로부터 배출되는 냉(冷)과 사기(邪)로 인하여 두통,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나고, 산업화에 따른 각종 공해, 발암물질 및 스트레스로 인해 각종 성인병 및 만성질환에 고생하는 사람이 많아 지는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최근에는 본격적으로 시골로 이주하여 전원주택을 마련하기 전까지는 많은 준비와 자금이 필요하므로 시골의 경치 좋은 곳에 간단한 구조로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설치하여 전원생활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 5일 근무로 레져 인구가 증가되고 있고, 특히 퇴직 후에 구태어 도시에서 자동차 매연, 도시 소음에 시달리며 살아야 될 이유가 없는 퇴직자 노인층이나, 각종 환경질환으로 몸 건강을 잃은 환자분들은 황토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친환경 재료인 황토로 이루어진 황토방짐을 선호하나 이를 개별적으로 황토집을 짓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동식 황토방을 선호하고 기왕이면 산의 땔감을 활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는 황토방을 선호하여 찾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소규모 이동식 주택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69615호에는 이동식 황토방으로 집의 벽체 및 바닥을 형성하는 벽체 프레임; 벽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쉬(mesh) 유닛; 메쉬 유닛의 일측에 삽입설치되는 난방 유닛; 벽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공간의 내부로 돌출되며, 연료가 투입되는 연소 챔버와, 연소 챔버와 분리되며 연소 챔버의 연료 연소에 의한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 챔버와, 가열 챔버내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유체를 유동시키는 펌핑 유닛과, 펌핑 유닛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유체가 유동되며 벽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관로 유닛을 포함하고 집을 구성하는 벽체에 황토몰탈을 메시부의 메쉬 사이에 용이하게 발라 쉽게 떨어지지 않게 바르도록 적용되는 기술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기술 이전부터도 우리 조상들은 전통적인 시골주택에 설치되는 아궁이는 땔감 나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가스를 방바닥 하부의 구들장으로 이동시켜 난방을 하여 왔는데, 이러한 흙으로 이루어진 아궁이와 돌로 이루어진 구들장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발생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종래의 재래식 구들장은 아랫목만이 따뜻하고 윗목까지 더운 열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고, 더욱 황토방 이동식 주택에는 황토 자체가 타 물질과 결합력이 적은 상태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뜨거운 열기가 황토에 직접 닿으면 쉽게 클랙이 발생하여 간극이 벌어지는 문제점, 또한 간극이 발생한 상태에서 땔감을 태우면 자연히 연기가 발생하는데 실내에 조그마한 간극이라도 생가면 실내에 연기가 가득 차서 호흡은 방해하고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제시되어 현실적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원은 상부 황토방건물과 저부 바닥구조물까지 공장에서 일체의 완성품으로 만들어서 현장에 운반 후 이동식 황토방을 설치하는 경우 운반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조그마한 부주의에도 하자가 생기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필요하였고, 또한 나무 땔감을 사용할 때 아랫목만이 아닌 전체구조를 따뜻하게 해주기 위한 구조, 실내에 스며드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고 또한 산간에 설치도는 황토방은 낮과 밤,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너무 심하여 가온되지 않으면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습기 조절에 어려움이 있음을 인식하여 이들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동식 황토방 구조가 필요하였다.
본원은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을 공장에서 각각 제작하고 이 들을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시키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 아궁이 구조를 마련하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장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게 하여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가온열이 하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상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골고루 난방효과를 제공하며, 상부구들을 경유한 가온 잔열은 건물벽체에 형성된 칸막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지붕에 마련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현장에 운반되어 설치되도록 경량성을 높임과 동시에 환경친화형 소재만을 활용한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하기의 수단에 의해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이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저부의 바닥구조물에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고래길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15~30 mm 두께의 돌 구들장 저부로 저부고래길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 10~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제공되는 상부구들 사이에 상부고래길을 형성하여 아궁이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이 하부고래길 및 상부고래길을 경유하는 2중 구조의 고래길을 형성하고 저부 바닥구조물 상부에 올려 설치되는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가 내장되도록 적용되어 실내 습도를 조절하도록 적용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로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가온열이 하부구들 저면의 저부고래길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하부구들 상면의 상부고래길을 따라 이동하고 상부고래길을 경유한 가온 잔열은 건물벽체에 형성된 칸막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지붕에 마련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이 개시된다.
본원 이동식 황토방에서 상기 황토판으로 제공되는 상부구들은 침하방지용 철판과 황토판재 사이에 황토와 석영안산암(돌가루) 및 산화마그네슘이 5±0.5 : 4±0.5 : 1±0.5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식물 풀로 반죽된 후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바닥마감재가 깔리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본원 이동식 황토방 구조에서 상기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격벽과 격벽 사이의 지그 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에 숯가루가 내장되도록 적용되어 가온 구조를 이루지 않을 때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실내 습도를 숯층이 흡입하여 실내습도를 조절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본원 기술사상은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이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설치방법으로서, 저부의 바닥구조물에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길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20~30 mm 두께의 돌 구들장을 깔아 하부구들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는 10 ~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상부구들을 형성하는 2중 구조의 구들장을 갖도록 저부 바닥구조물이 제공되는 제1단계 공정과, 바닥면이 생략된 형태로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상부 황토방건물이 제공되는 제2단계 공정이 공장에서 진행되고,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저부 바닥구조물과 제2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황토방건물이 현장에 운반되어 저부 바닥구조물 상부로 황토방건물이 얹혀 쉽게 조립되면서도 사후 하자 문제가 없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는 상기 하부구들의 후단부에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고 감지내용이 배기팬과 연계되어 일정기준 이상의 연기농도가 감지될 때 만 배기팬이 작동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황토방은 상부 황토방건물과 저부 바닥구조물까지 공장에서 일체로 만들어서 현장에 운반 후 조립식으로 설치하며 완벽하게 마감처리됨으로 운반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이동식 황토방은 아궁이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장 구조가 2중 구조로 제공되어 가온열이 하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상부구들 저면의 고래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골고루 난방효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구들을 경유한 가온 잔열은 건물벽체에 형성된 칸막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지붕에 마련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실내의 일측 벽에 배기구가 설치되어 실내에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배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 발명에서 이동식 황토방 주택이 저부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 건물로 분리되어 공장에서 제작된 후 설치장소의 현장에 운반된 후 현장에서 하나의 건물로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의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저부 바닥구조물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바닥구조물 예시도.
도 3 : 본 발명에서 이동식 황토방 주택에서 바닥구조물의 저부층 및 상부층구들의 열기유도격벽 설치 예시도.
도 4 : 본원의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상부 황토방 건물의 적용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발명의 도면에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의 실시양태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원에서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새로운 구성으로 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본원의 기술구성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서 이동식 황토방 주택이 저부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 건물로 분리되어 공장에서 제작된 후 설치장소의 현장에 운반된 후 현장에서 하나의 건물로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원의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저부 바닥구조물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바닥구조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동식 황토방 주택에서 바닥구조물의 저부층 및 상부층 구들의 열기 유도를 위해 적용되는 격벽 설치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에서는 본원의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서 상부 황토방 건물의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이동식 황토방의 저부의 바닥구조물(60)은 불을 때는 아궁이(10)와 바닥구조물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과 프레임에 내장되는 구들프레임(50)의 상부로 바닥마감재(54)만 외부로 보이는 형태로 제공되고, 상부 황토방(90)은 벽체층(70)에 출입문(71)과 창문(72), 측벽창문(73)을 갖도록 제공되고 벽체 상단이 지붕(80)을 갖는 구조로 상부 황토방 건물이 제공되어 저부의 바닥구조물(60)의 상부에 중간제품인 상부 황토방 건물(90)이 올려져 조립/설치되는데 상기의 바닥구조물(60)과 상부 황토방 건물(90)은 공장에서 제작 도면에 의거 별도로 제작되고 2개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현장에 운반되어 이동식 황토방으로 조립도록 적용됨으로 전체 건축공정을 단축시키면서 이동 주택의 설치작업이 쉽고 간편하게 당일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황토방의 저부의 바닥구조물(60)을 분해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바닥구조물을 지지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하부프레임(20)이 일정 높이를 갖는 I형 또는 H형 빔으로 제공되고 그 사면이 상호 연결되어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입구부에는 불을 때는 아궁이(10)가 설치되고 하부프레임(20)에는 하단걸림턱(22) 및 중간걸림턱(21)이 마련되며, 하부프레임(20) 하단걸림턱(22)에는 하부구들길이 만들어진 지지철판(30)이 안착되고, 중간걸림턱(21)에는 15~30 mm 두께의 하부구들장(40) 상부로 상부열원분배로가 형성된 상태로 안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철판(30)에는 외연으로 단열재(31)가 감싸지고 내측으로 하부구들길인 열원분배로가 설치되어 아궁이(10)의 열원 입구부(32)에서 발생된 열이 다수개의 격벽(33) 사이에 형성된 열흐름유도공(34)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도록 배치되어 전체 면적을 골로루 분배되어 흐르다가 열유출구(35)로 빠져나가도록 적용되는데 하부구들길은 도 3a에 제시되는 형태의 열원분배로가 형성된 지지철판(30)이 하단걸림턱(22)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하부구들장(40)은 외연으로 단열재(41)가 설치되고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격벽(43) 및 열흐름유도공(44)이 설치되어 하부열원분배로의 유출구(35)로 빠져나온 열이 하부구들장(40)의 유입부(42)로 들어와서 격벽(43) 및 열흐름유도공(44) 사이를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전체 면적을 골로루 분배되어 흐르다가 유출구(45)로 빠져나가도록 적용된다.
상기 하부구들장(40)의 열원분배로 상부에는 10 ~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제공되는 상부구들이 설치되어 적용되는데, 본원에서는 하부구들(40) 및 상부구들이 2중 구조를 갖는바, 상부구들은 외연걸림턱(51)을 갖는 상부프레임(50) 내측에 하부판(52)과 황토판(53)과 바닥마감재(54)가 적층구조를 이루며 상부구들을 형성하게 되는바, 본원에서는 상부구들을 형성하는 황토판재가 뜨겁게 가온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여 가는 실금이 생기는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없이하기 위해 상부구들을 형성하는 하부판은 파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강도를 유지하여 변형방지효과를 갖게 하고 그 표면에는 아연도금 등 코팅처리되어 열화되거나 부식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판 상부에 먼저 황토와 석영안산암(돌가루) 및 산화마그네슘이 5±0.5 : 4±0.5 : 1±0.5 비율로 혼합된 혼합파우더를 찹살풀로 반죽하여 반죽물을 하부판 상부에 깔고 황토판재을 덮고 그 상부로는 바닥마감재가 깔리도록 구성되는 적용을 이루는 경우 약 60일 정도의 실험관측 기간 동안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원의 구들장에 설치되는 구들길의 열원 분배로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하부구들(40) 밑면에 설치되는 하부구들길의 열원분배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하부구들(40) 위면에 설치되는 상부구들길 열원분배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구들(40) 밑면에 설치되는 열원분배에서는 아궁이(10)에서 발생한 열원이 입구부(32)로 유입되어 다수개의 격벽(33) 사이에 형성된 열흐름유도구(34)를 거쳐 외부로 확산되면서 격벽(33)과 격벽 사이에 형성된 열흐름유도공(34)을 지나 빠져나가도록 적용되고 다시 도 3b에 제시되는 형태의 상부 열원분배로의 좌측 단부에 마련되는 입구부(42)로 들어가서 상부열원분배로 내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43) 및 열흐름유도공(44) 사이를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전체 면적을 골로루 분배되어 흐르다가 상부열원분배로의 우측 단부에 마련되는 유출구(45)로 빠져나가도록 적용된 후 상부열원분배로의 우측 단부 유출구(45)로 빠져나가는 잔열은 도 4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측벽부의 하단부 일측으로 안내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남은 잔열이 건물 벽체를 따라 지그재그 흐름을 이루며 벽체를 가온 또는 보온하는 구조를 이루다가 최종적으로 배기팬(91)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이동식 황토방의 벽체(70)가 내벽체(76)와 외벽체(78)사이에 칸막이 기능을 하는 격벽(77)이 횡으로 설치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79)가 내장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숯가루(74)는 환절기의 낮과 밤, 또는 우리나라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너무 심하여 황토측벽부가 가온되지 않은 상태로 습기 중에 방치되면 측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방치하면 곰팡이 발생이나 벽면에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을 발생하므로 황토방의 내벽체(76)와 외벽체(78)사이에 숯가루를 충진시키게 되면 숯가루가 습기를 흡수하여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하며 황토방의 습기조절에 유익하다.
상기와 같이 황토방 벽체(70)의 격벽(77)과 격벽 사이에 숯가루(79)가 적층되는 경우에도 숯가루는 공극이 크고 고압으로 압착시켜 적층되는 것이 아니므로 숯가루와 숯가루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통하여 상부열원분배로의 우측 단부 유출구(45)로 빠져나온 잔열이 벽체를 골고루 돌아 흐르면서 측벽을 가온 및 보온하도록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고 배기관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팬을 갖고 모터에는 상기 상부열원분배로의 우측 단부 유출구(45) 일측에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기준 이상의 연기농도가 감지될 때 배기팬의 모터가 작동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이동식 황토방에 만약의 경우 방바닥 부위에 간극이 벌어져서 연기가 발생할 우려도 완전 배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식 황토방 측벽의 일측에 5~10㎝ 직경의 환기공(75)이 뚜껑캡(75a)을 갖도록 설치되어 실내 환기가 필요할 때 또는 실내에 연기가 찾을 때 뚜껑캡(75a)을 오픈하여 실내 환기를 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황토방 구조의 설치수단으로 저부의 바닥구조물에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장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20~30 mm 두께의 돌 구들장을 깔아 하부구들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는 10 ~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상부구들을 형성하는 2중 구조의 구들장을 갖도록 저부 바닥구조물이 제공되는 제1단계 공정과 바닥면이 생략된 형태로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가 내장되도록 적용되어 실내 습도를 조절하며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상부 황토방건물이 제공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저부 바닥구조물과 제2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황토방건물이 현장에 운반되어 저부 바닥구조물 밑에 일정높이의 주춧돌(110)이 놓인 상태를 이루고 그 상부에 저부 바닥구조물(60)이 설치되며 아궁이(10)의 배출로가 저부 구들길로 안내되도록 연결되고 상부로 황토방건물이 얹혀 조립될 때 상기 우측 단부 유출구(45)에서 나오는 온기가 황토방건물의 벽체 저부로 안내되도록 적용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순 작업으로 당일에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동식 황토방 구조에 나타난 실시 적용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아궁이 20 : 하부프레임
21 : 중간걸림턱 22 : 하단걸림턱
30 : 저부구들길 지지철판 31 : 단열재
32 : 열원입구부 33 : 격벽
34 : 열흐름유도공 35 : 열유출구
40 : 하부구들장 41 : 단열재
42 : 유입부 43 : 격벽
44 : 열흐름유도공 45 : 유출구
50 : 상부프레임 51 : 외연걸림턱
52 : 하부판 53 : 황토판
54 : 바닥마감재 60 : 바닥구조물
70 : 황토방 벽체 71 : 출입문
72 : 창문 73 : 측벽창문
74 : 황토판재 75 : 통기공
76 : 내측벽체 77 : 외측벽체
78 : 중간격벽 79 : 숯가루
80 : 지붕 90 : 황토방(중간제품)
91 : 배기팬 100 : 이동식 황토방

Claims (4)

  1.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이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에 있어서,
    저부의 바닥구조물에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고래길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15~30 mm 두께의 하부구들 저부로 저부고래길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는 10~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제공되는 상부구들 사이에 상부고래길을 형성하며 상부구들은 침하방지용 철판과 황토판재 사이에 황토와 석영안산암 및 산화마그네슘이 5±0.5 : 4±0.5 : 1±0.5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식물 풀로 반죽된 후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바닥마감재가 깔리도록 적용되어 아궁이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이 하부고래길 및 상부고래길을 경유하는 2중 구조의 고래길이 형성되는 저부 바닥구조물을 이루고
    저부 바닥구조물 상부에 올려 설치되는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가 내장되도록 적용되어 실내 습도를 조절하도록 적용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로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가온열이 하부구들 저면의 저부고래길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하부구들 상면의 상부고래길을 따라 이동하고 상부고래길을 경유한 가온 잔열은 건물벽체에 형성된 칸막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한 후 지붕에 마련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2. 삭제
  3. 저부의 바닥구조물과 상부 황토방건물이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저부의 바닥구조물에 화목을 이용하는 아궁이 구조를 갖고 아궁이의 불길을 안내하는 구둘장 구조가 2중 구조로 형성되되, 아래쪽에는 15~30 mm 두께의 하부구들 저부로 저부고래길을 형성하고 하부구들 상부로는 10~15 mm 두께의 황토판으로 제공되는 상부구들 사이에 상부고래길을 형성하며 상부구들은 침하방지용 철판과 황토판재 사이에 황토와 석영안산암 및 산화마그네슘이 5±0.5 : 4±0.5 : 1±0.5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식물 풀로 반죽된 후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바닥마감재가 깔리도록 적용되어 아궁이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이 하부고래길 및 상부고래길을 경유하는 2중 구조의 고래길이 형성되는 저부 바닥구조물이 제공되는 제1단계;
    바닥면이 생략된 형태로 황토방건물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격벽이 칸막이 형태로 횡으로 설치되고 격벽과 격벽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가 내장되도록 적용되어 실내 습도를 조절하며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황토방건물의 지붕에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상부 황토방건물이 제공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저부 바닥구조물과 제2단계 공정으로 제공되는 황토방건물이 현장에 운반되어 저부 바닥구조물 상부로 황토방건물이 얹혀 조립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설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들의 후단부에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기준 이상의 연기농도가 감지될 때 배기팬이 작동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설치방법.
KR1020150146925A 2015-10-21 2015-10-21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175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25A KR101754641B1 (ko) 2015-10-21 2015-10-21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25A KR101754641B1 (ko) 2015-10-21 2015-10-21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00A KR20170046500A (ko) 2017-05-02
KR101754641B1 true KR101754641B1 (ko) 2017-07-06

Family

ID=5874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925A KR101754641B1 (ko) 2015-10-21 2015-10-21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06B1 (ko) * 2018-01-29 2018-07-02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863B1 (ko) 2021-05-27 2022-02-15 박창욱 황토 구들장
KR102385137B1 (ko) * 2021-09-03 2022-04-11 사단법인 밝은빛태극권협회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70B1 (ko) * 2005-10-31 2007-01-24 신윤환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KR101373319B1 (ko) * 2013-09-05 2014-03-12 (주) 동원 이동가능한 조립식 구들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70B1 (ko) * 2005-10-31 2007-01-24 신윤환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KR101373319B1 (ko) * 2013-09-05 2014-03-12 (주) 동원 이동가능한 조립식 구들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06B1 (ko) * 2018-01-29 2018-07-02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00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3786A (en) Enclosure conditioned housing system
KR101754641B1 (ko)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1000802B1 (ko) 온돌난방구조
KR102023419B1 (ko)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RU2432435C2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е отапливаемое здание
KR20060085129A (ko) 이동식 웰빙찜질 하우스
JP2007162388A (ja) 建物
KR20030071448A (ko) 숯가마를 이용한 찜질방
KR101530596B1 (ko)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200291198Y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JP4116021B2 (ja) 外張り断熱工法による断熱・気密・換気構造及び既設建物の外張り断熱工法による断熱・気密・換気構造の改修方法
CN203795647U (zh) 一种吊脚楼内墙体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RU157323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KR102531918B1 (ko) 분리형 이동식 황토구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22158B1 (ko)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JP3075469U (ja) 床下空間を活用した集中暖房換気方式を採用した木造住宅
US1613547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JP3368486B2 (ja) 建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100438199B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JP2007162389A (ja) 建物
JP2004271122A (ja) 床暖房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蓄熱体および蓄熱体の製造方法
JP3029335U (ja) 床下空間を活用した集中暖房換気方式を採用した木造住宅
JPS63282430A (ja) 家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