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70B1 -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970B1
KR100673970B1 KR1020050103220A KR20050103220A KR100673970B1 KR 100673970 B1 KR100673970 B1 KR 100673970B1 KR 1020050103220 A KR1020050103220 A KR 1020050103220A KR 20050103220 A KR20050103220 A KR 20050103220A KR 100673970 B1 KR100673970 B1 KR 10067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eiling
finishing material
hous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환
최순애
홍창선
Original Assignee
신윤환
최순애
홍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환, 최순애, 홍창선 filed Critical 신윤환
Priority to KR102005010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돌 주택에서의 난방 장치 구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닥, 벽 및 천장에 마감재를 설치하되 상기 마감재와 면에 닿는 당접 부분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의 순환으로 바닥, 벽 및 천장에서 온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온돌 난방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벽과 내부의 벽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은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닥의 열이 벽 및 천장으로 순환되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 공기 순환 공간부를 형성한 마감재를 바닥, 벽 및 천장에 맞붙여서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바닥의 데워진 공기를 바닥, 벽 및 천장에 순환시키는 주택의 온돌 구조를 제공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조립대에 마감재를 삽설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마감재의 재질 및 문양에 따라 실내가 미려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난방, 마감재, 조립대, 공기순환홈

Description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A house heating system and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온돌 주택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감재 상기 마감재를 구속하는 조립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마감재의 저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변에 조립대 결합홈을 형성한 마감재 사시도.
도 4b 도 4a에 따른 마감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마감재 및 조립대의 단면도.
도 6은 실내의 천장이 높을 경우에 천장의 높이를 낮추어서 설치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설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석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석 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구석에 설치되는 조립대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바닥 기초재 11...온수관
12...바닥 마감재
20...외벽
21...보온재 22...내벽
23...내벽 마감재 24...모서리
30...천장 기초재
31...천장 공간부 32...천장 마감재
100...마감재 101...공기 순환 공간부
110...평면 120...조립대 결합홈
130...공기 순환홈 140...바닥 당접부
200, 201, 202, 203, 204...조립대
210...면 부착부
220...마감재 결합요부 230...공기 순환통공
240...몸체 250...연결대
본 발명은 온돌 주택에서의 난방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온돌 구조의 주택에서 바닥의 온화한 열기를 벽과 천정으로 순환시켜 벽 및 천정에서 온화한 열기가 방출되도록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거용 온돌 주택에서 바닥, 벽면 및 천정에 대한 시공법은 대부분 각 구성을 이루는 소재들이 서로 밀착하여 이루어지는 공법이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온돌 주택의 단면 구조는, 바닥에 있어서는 바닥 기초재(10)에 온수관(11)을 설치하여 묻고, 상기 바닥 기초재(10)의 상부에는 바닥마감재(12, 장판 등)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벽면에 있어서는 외벽(20)과 내벽(22) 사이에 보온재(22)를 설치하고 내벽(22)에는 내벽 마감재(23, 벽지 등)를 도착하여 구성하고, 천장에 있어서는 천장 기초재(30)와 천장 마감재(32)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천장 공간부(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돌 주택에서는 물을 데워서 상기 온수관(11)에 물을 순환시켜 바닥의 온기로 실내공간을 난방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주택의 온돌 구조는 바닥의 열이 실내 전체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아서 바닥은 뜨거우나 천장부근의 실내는 한기를 느끼게 된다. 이는 곧 에너지의 과소비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비효율적인 난방 구조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라디에타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인 서양식 주택 공법이 도입되고 있다. 상기의 서양식 주택 공법은 실내의 공기는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바닥이 차가워서 온돌을 선호하는 한국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공법이다.
상기의 두 가지 주택 난방 시스템은 외부의 벽이 내부의 벽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열이 내벽을 통하여 외부의 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열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외부의 벽과 내부의 벽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내부의 열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의 열을 바닥뿐만 아니라 벽 및 천장에서도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부에 공기 순환 공간부를 형성한 마감재를 바닥, 벽 및 천장에 맞붙여서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바닥의 데워진 공기를 바닥, 벽 및 천장에 순환시키는 온돌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공기의 흐름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 조립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마감재의 재질 및 문양에 따라 실내가 미려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돌 주택에서의 난방 장치 구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여 내벽과 외벽사이의 직접적인 열의 전도를 차단하고, 바닥의 온수관에 의해서 데워진 공기가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순환하면서 바닥, 벽 및 천장에서 온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바닥의 온수관에 의해서 난방하는 주택의 난방 구조에서, 바닥, 벽 및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바닥의 온기가 순환하면서 바닥, 벽 및 천장에서 온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 기초재(10)에 설치된 온수관(11)에 온수를 순환시키면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온기(溫氣)가 발생한다. 상기의 온기는 바닥, 벽 및 천장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공간부(101)를 통하여 바닥, 벽 및 천장에 순환이 되고 실내 내부의 전체 면에 온기가 발생하여 난방하게 된다.
또한 내부의 열이 형성된 공기 순환 공간부(101)에서 1차적으로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최소화 하며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시에 최종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여름의 더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의 냉방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감재 및 상기 마감재를 구속하는 조립대의 사시도와 상기 마감재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순 조립으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차단하면서 내부의 온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공기 순환홈이 마련된 마감재와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조립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100)는 주택 내부 표면에 노출되는 평면(110)과 상기 평면(110)의 하부에 면(바닥 면, 벽면, 천장 면)과 맞닿는 바닥 당접부(140), 바닥 당접부(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 순환홈(130), 조립대(200)와 결합하여 상기 마감재(100)를 구속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조립대 결합홈(120)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100)의 평면(110)에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 마감재(100)가 주택 내부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주택 내부의 별도 공사가 없이도 실내 장식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감재(100)의 재료는 인체에 이로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조립대(200)의 재질은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립대(200)는 몸체(240) 하부에 상기 조립대(200)를 면(바닥면, 벽면, 천장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면 부착부(210)와 상부에 마감재를 결합하기 위한 마감재 결합 요부(220) 및 몸체(240)에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순환 통공(230)이 설치된다.
상기의 면 부착부(210)는 면에 나사못에 의해서 나착(螺着)될 수 있도록 얇은 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대(200)는 좌· 우로 길게 형성하여 마감재(100)의 길이와 면(바닥면, 벽면, 천장면)의 형상에 따라 절단하여 설치한다.
상기 마감재(100)의 하부 형상은 다수개의 바닥 당접부(140)와 상기 바닥 당접부(140)의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 순환홈(130)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마감재(100)의 하부 형상은 당업자에 따라 쉽게 변형되거나 변경될 수 있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충분한 턱이 마련된 마감재(100)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있음이 당연하다.
도 4a 및 도 4b는 도 4의 마감재 하부 형상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4변에 조립대 결합홈을 형성한 마감재의 사시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감재(100)에 있어서 4변에 조립대 결합홈(120)이 설치되어 면(바닥면, 벽면, 천장면)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마감재 및 조립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조립대(200)의 면 접착부(210)를 바닥(10) 면에 나사못(211)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고, 조립대(200)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고정한다.
상기의 나사못(211)을 대신하여 콘크리트 못, 일반적인 못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아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와 나사못을 동시에 사용하여 부착함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마감재(100)의 면과 당접하는 바닥 당접부(140)에도 접착제를 도착(塗着)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온수관(11)에 의해서 데워진 온기는 마감재(1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순환홈(130) 및 조립대(200)의 공시 순환 통공(230)을 통하여 순환될 수 있다.
상기의 나사못(211)은 온수관(11)이 묻혀있는 깊이보다 작거나 상기 온수관(11)을 피해서 나설되어야 한다.
상기의 단면도는 바닥면, 벽면, 천장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설치 순서에 있어서도 마감재(100)를 선(先) 설치 후에 조립대(200)를 후(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 환경에 따라 조립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실내의 천장이 높을 경우에 천장의 높이를 낮추어서 설치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천장(32)에 연결대(250)를 부착 고정하고 상기 연결대(250)에 조립대(200)를 부착 고정한다.
상기 조립대(200)의 마감재 결합 요부(230)를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고정한다.
상기의 마감재(100)의 크기에 맞추어서 연결대(250)에 조립대(200)를 설치하고 마감재(100)를 고정 부착함이 설치에 용이하다.
상기에서 연결대(250)의 부착 고정하는 방법 또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조립대(200)를 면에 고정 부착하고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에 조립대(200)의 마감재 결합 요부(230)를 삽설하여 마감재(100)를 설치한다.
상기 마감재(1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순환 홈(130)과 조립대(2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통공(230)에 의해서 공기는 순환하게 된다.
상기에서 조립대(200)에 형성한 공기 순환 통공(230)의 크기는 상기 조립대(200)의 몸체(240)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도면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립대(200)와 조립대의 간격(A)을 마련하여 설치하면 공기의 순환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실내는 면과 면이 이뤄서 튀어나온 모서리와 하기에서 설명될 면과 면이 이뤄서 들어간 구석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는 모서리에 있어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 및 도 11은 구석에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서리에는 몸체 내부에는 공기순환 통공(230)과 모서리(24)의 양 면에 면 접착부(210)가 당접하도록 하부는 직각의 형상을 이루고 모서리의 면과 평행하면서 모서리에 대칭으로 마감재 결합요부(220)가 형성된 조립대(201, 202)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된다.
상기 조립대(201, 202)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외부면은 모서리를 깎는 챔퍼(chamfer, 도 8참조) 또는 모서리는 둥글게 하는 필릿(fillet, 귀접이, 도 9참조) 형상으로 제작되어 질 수 있다.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상기 마감재(100)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조립대(201, 202)의 외부 형상에 따라 절삭하거나 연마한다.
상기의 조립대(201, 202)의 외부 형상에서 라운딩 처리(챔퍼(chamfer) 또는 필릿(fillet))하는 이유는 안전성과 미려(美麗)한 실내 장식을 위한 것으로 실내의 형상에 따라 직각의 형상을 이루는 모서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도 8 및 9에서 조립대(201, 202)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공기 순환 통공(230)은 크기가 미약하다면 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대(201, 202)의 부착 고정시 간격(A)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석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구석에 설치되는 일체형 조립대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내의 내부 형상 중에는 면과 면이 이뤄서 들어간 구석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의 구석은 대표적으로 벽면(22)과 천장(32)에 의한 구석(도 10)과 벽면(22)과 바닥면(10)에 의한 구석(도 11)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구석에 설치되는 조립대(203)는 도 3에서 보여지는 조립대(200)의 중심부를 가로축으로 길게 절단한 것이다.
상기에서 절단된 일부분은 면과 면에 당접하도록 부착 고정하고, 다른 일부부분은 일측 면에만 부착 고정하여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모서리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되는 조립대(203) 및 마감재(100)는 조립대(203) 내부의 공기순환 통공(230)이 서로 연통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순환 통공(230)이 서로 연통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지 위해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대(203)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간격(A)을 두고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조립대(도 12 참조)를 제작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2에서 구석에는 몸체 내부에 공기순환 통공(230)과 구석의 양 면에 면 접착부(210)가 당접하도록 하부는 직각의 형상을 이루고 구석의 면과 평행하면서 구석에 대칭으로 마감재 결합요부(220)가 형성된 조립대(204)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된다.
본 발명은 주택 실내의 형상/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마감재 및 조립대가 개발되어 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 및 조립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마감재 및 조립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있음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따르면, 외부의 벽과 내부의 벽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은 내부의 열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의 열이 벽 및 천장에서 방출될 수 있다.
상기는 하부에 공기 순환 공간부를 형성한 마감재를 바닥, 벽 및 천장에 맞붙여서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바닥의 데워진 공기를 바닥, 벽 및 천장에 순환시키는 주택의 온돌 구조를 제공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수 있으며, 또한 조립대에 마감재를 삽설하여 설치 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마감재의 재질 및 문양에 따라 실내가 미려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바닥의 온수관에 의해서 난방하는 주택의 난방 구조에서,
    바닥, 벽 및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순환 공간부를 통하여 바닥의 온기가 순환하면서 바닥, 벽 및 천장에서 온기가 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2. 바닥의 온수관에 의해서 난방하는 주택의 난방 구조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평면(110)과 상기 평면(110)의 하부에 면(바닥 면, 벽면, 천장 면)과 맞닿는 바닥 당접부(140), 바닥 당접부(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순환 할 수 있는 공기 순환홈(130)이 형성된 마감재(100);
    몸체(240) 하부에 상기 조립대(200)를 면(바닥면, 벽면, 천장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면 부착부(210)와 상부에 상기 마감재(100)를 결합하기 위한 마감재 결합 요부(220)와 몸체(240)에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순환 통공(230)이 설치되어 상기 마감재(100)를 구속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조립대(200);
    상기 조립대(200)의 면 접착부(210)를 바닥(10) 면에 나사못(211)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고, 조립대(200)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바닥, 벽,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100)의 평면(110)에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어 바닥, 벽,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실내 내부의 면과 면이 이뤄서 튀어나온 모서리에는,
    몸체 내부에 공기순환 통공(230)과 모서리(24)의 양 면에 면 접착부(210)가 당접하도록 하부는 직각의 형상을 이루고 모서리의 면과 평행하면서 모서리에 대칭으로 마감재 결합요부(220)가 형성된 조립대(201, 202)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바닥, 벽,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실내 내부의 면과 면이 이뤄서 들어간 구석에는,
    몸체 내부에 공기순환 통공(230)과 구석의 양 면에 면 접착부(210)가 당접하도록 하부는 직각의 형상을 이루고 구석의 면과 평행하면서 구석에 대칭으로 마감재 결합요부(220)가 형성된 조립대(204)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의 마감재 결합요부(220)에 마감재(100)의 조립대 결합홈(120)을 삽설하여 바닥, 벽, 천장에 서로 연통되는 공기 순환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조립대(201, 202)의 외부 형상은 라운딩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주택의 난방 시공 시스템.
KR1020050103220A 2005-10-31 2005-10-31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KR10067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20A KR100673970B1 (ko) 2005-10-31 2005-10-31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20A KR100673970B1 (ko) 2005-10-31 2005-10-31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970B1 true KR100673970B1 (ko) 2007-01-24

Family

ID=3801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20A KR100673970B1 (ko) 2005-10-31 2005-10-31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536B1 (ko) * 2012-09-27 2013-09-25 김상구 보온난방연도를 이용하는 난방장치
KR101438280B1 (ko) 2012-11-14 2014-09-04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온돌바닥의 바닥판재 부착장치
KR101754641B1 (ko) * 2015-10-21 2017-07-06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536B1 (ko) * 2012-09-27 2013-09-25 김상구 보온난방연도를 이용하는 난방장치
KR101438280B1 (ko) 2012-11-14 2014-09-04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온돌바닥의 바닥판재 부착장치
KR101754641B1 (ko) * 2015-10-21 2017-07-06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8286C2 (ru) Модульная теплообменная система
KR100741757B1 (ko)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US200701931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ishing Basement Walls
WO2017059764A1 (zh) 地暖型模块地板
KR100673970B1 (ko) 온돌 주택의 난방 구조 및 시스템
CA2236560C (en) Apparatus and method of attaching radiating plate to holders of modular unit for radiant floor and wall hydronic heating systems
JP3300892B2 (ja)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ード
CN213390944U (zh) 保温装饰一体板
KR100897545B1 (ko) 상부 마감재 및 바닥 시스템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190124896A (ko) 벽체패널 고정장치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CN215368436U (zh) 建筑龙骨装置
KR20070098981A (ko) 히트 파이프 안착홈을 구비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욕실바닥 시공방법
EP3431885A1 (en) Surface heat-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CN219976551U (zh) 一种多维集成一体复合模块
JP5995738B2 (ja) 建物
JP7340307B1 (ja) 建物、複層通気パネル及び通気断熱方法
KR20220081933A (ko)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황토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90017118A (ko) 마감용 심재가 구비된 단열재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JP5118524B2 (ja) 建物の地下室
KR200214992Y1 (ko) 난방 시공용 단열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