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137B1 -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137B1
KR102385137B1 KR1020210117755A KR20210117755A KR102385137B1 KR 102385137 B1 KR102385137 B1 KR 102385137B1 KR 1020210117755 A KR1020210117755 A KR 1020210117755A KR 20210117755 A KR20210117755 A KR 20210117755A KR 102385137 B1 KR102385137 B1 KR 10238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eat
furnace
forming
gudeulj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종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밝은빛태극권협회
이화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밝은빛태극권협회, 이화종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밝은빛태극권협회
Priority to KR102021011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7Sol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06Parts of a building integrally forming part of heating systems, e.g. a wall as a heat storing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은, 건축물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열에 의해 바닥 전체가 가열되도록 하고, 종절단면상 유선형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복층구조로 형성된 구들장 본체부; 상기 구들장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열이 구들장 본체부의 열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아궁이부; 상기 아궁이부에 장착되고, 아궁이부 내부에 주입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는 벽난로부; 및 상기 구들장 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구들장 본체부를 통과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굴뚝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Having A Double Structure}
본 발명은 황토구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형 고래, 이중구조 및 벽난로 구조를 결합하여 열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황토구들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에서는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가열하여 난방하는 바닥 난방방식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구들(1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구들(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구들(1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구들(10)은 일측에 불기운을 불어넣는 아궁이(11)가 형성되고, 상기 아궁이(11)에서 발생한 화기(火氣)는 이동통로인 고래(13)를 따라 이동하여, 연도(14)를 지나 굴뚝(15)을
통해 비산하여 외부로 방출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기(火氣)가 고래(13)를 통과하며, 고래(13)의 상측에 배치된 [0005] 구들장(16)을 가열하게 되어 이를 통해 가옥의 실내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화기(火氣)의 열 에너지가 구들장(14)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굴뚝(13)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 및 가열된 구들장(14)의 열에너지가 가옥난방의 용도로만 활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구들의 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구들의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94587호 (등록일자: 2019년06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황토구들은, 건축물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열에 의해 바닥 전체가 가열되도록 하고, 종절단면상 유선형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복층구조로 형성된 구들장 본체부; 상기 구들장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열이 구들장 본체부의 열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아궁이부; 상기 아궁이부에 장착되고, 아궁이부 내부에 주입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는 벽난로부; 및 상기 구들장 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구들장 본체부를 통과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굴뚝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 본체부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 상기 외벽과 함께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통로형성 상부면;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과 함께 건축물의 하부에 열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 하부면;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에 소정 높이만큼 타설되어 형성되며, 자갈로 수평을 맞춘 후 흙, 백시멘트 및 모래를 포함하는 흙미장으로 마감처리하는 바닥타설부; 상기 아궁이부와 인접하는 통로형성 상부면에 형성되고, 바닥타설부가 형성되지 않아 주위구조에 비해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며, 평면상 소정 크기의 넓이를 가지며, 아궁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내 공기에 전달하는 실내난로부; 및 상기 실내난로부의 테두리를 따라 시공되고, 바닥타설부와 같은 높이로 시공되는 적벽돌 시공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 본체부는, 상기 적벽돌 시공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실내난로부의 만입된 구조 내부로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며, 바닥타설부와 같은 높이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실내난로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실내난로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구들은, 상기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아궁이부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하부통로; 상기 하부통로의 상부에 형성되고,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통로와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며, 아궁이부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상부통로; 상기 아궁이부와 벽난로부가 서로 연통하는 공간에 형성되고, 주입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키는 연료연소공간; 상기 아궁이부 내부에 형성되고, 연료연소공간으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진입하여 화염에 의해 발생된 열기와 가스를 하부통로와 상부통로로 유동시키는 화염진입공간; 및 상기 화염진입공간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로 장착되고, 연료연소공간으로부터 화염진입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화염을 실내난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곡면구조가 형성된 분리턱;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구들은, 상기 분리턱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연료연소공간의 화염 일부를 화염진입공간으로 유동시켜 화염진입공간 내부에 진입된 열기와 가스에 와류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은,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구조이고, 상기 통로형성 하부면은,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구조이고, 상기 상부통로는,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구조이고, 상기 하부통로는, 아궁이부로부터 굴뚝부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 본체부는,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과 통로형성 하부면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상하 높이 및 통로형성 하부면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벽난로부로부터 구들장 본체부 내부의 통로형성 하부면을 따라 진입된 구조이고, 벽난로부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핸들링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지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봉;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 본체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에 장착되고, 격벽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어 상부통로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는 상부 보조격벽;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장착되고, 격벽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으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되어 하부통로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는 하부 보조격벽;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난로부는, 상기 아궁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고, 아궁이부 내부로 연료를 주입시킬 수 있는 연료주입구가 형성된 하부벽난로; 및 상기 하부벽난로의 상부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가열된 하부벽난로부터 전달된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수납구조가 형성된 상부벽난로;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형성된 구들장 본체부, 아궁이부, 벽난로부 및 굴뚝부를 구비함으로써,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통로형성 상부면, 통로형성 하부면, 바닥타설부, 실내난로부, 적벽돌 시공부 및 실내난로 덮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난로부를 통해 실내에서 직접 수득할 수 있고, 아궁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내난로부를 통해 실내 공기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실내 바닥면은 물론 실내 공기까지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의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통로, 상부통로, 연료연소공간, 화염진입공간, 분리턱 및 바이패스 관통구를 구비함으로써, 연료연소공간으로부터 화염진입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화염을 실내난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실내난로부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실내난로부에 의한 실내 공기 가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연료연소공간의 화염 일부를 화염진입공간으로 유동시켜 화염진입공간 내부에 진입된 열기와 가스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어,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를 골고루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격벽, 수직지지부 및 제어봉을 구비함으로써, 복층구조를 형성하는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의 상하 높이 및 통로형성하부면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 기울기를 변경할 있고, 변경된 열 이동통로의 내경에 따른 열기와 가스의 유동 유량 및 유동 유속을 변경할 수 있어, 연료의 종류, 연료의 연소 조건, 연료의 연소 환경 및 원하는 가열범위에 따라 최적의 복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부 보조격벽 및 하부 보조격벽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봉을 핸들링하여 상부통로와 하부통로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어, 변경된 열 이동통로의 내경에 따른 열기와 가스의 유동 유량 및 유동 유속을 변경할 수 있어, 연료의 종류, 연료의 연소 조건, 연료의 연소 환경 및 원하는 가열범위에 따라 최적의 복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구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벽난로 및 상부벽난로를 포함하는 벽난로부를 구비함으로써, 황토구들 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벽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벽난로에 전달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간편히 수행할 수 있어,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C"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격벽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각각의 내경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의 상부 보조격벽과 하부 보조격벽을 이용하여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각각을 재차 복층구조로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100)은, 특정 구조의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형성된 구들장 본체부(110), 아궁이부(120), 벽난로부(130) 및 굴뚝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4의 "A"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도 4의 "B"부분확대도 및 "C"부분확대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 본체부(110)는, 건축물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열에 의해 바닥 전체가 가열되도록 하고, 종절단면상 유선형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복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100)의 아궁이부(120)는, 구들장 본체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열이 구들장 본체부(110)의 열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다른 황토구들(100)의 벽난로부(130)는, 아궁이부(120)에 장착되고, 아궁이부(120) 내부에 주입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어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벽난로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하부벽난로(131) 및 상부벽난로(1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벽난로(131)는, 아궁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고, 아궁이부(120) 내부로 연료를 주입시킬 수 있는 연료주입구(133)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부벽난로(132)는, 하부벽난로(131)의 상부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가열된 하부벽난로(131)부(130)터 전달된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수납구조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벽난로(131) 및 상부벽난로(132)를 포함하는 벽난로부(130)를 구비함으로써, 황토구들 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벽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벽난로에 전달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간편히 수행할 수 있어, 연료 주입이 간편하고 생활공간에서 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100)의 굴뚝부(140)는, 구들장 본체부(110)의 타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구들장 본체부(110)를 통과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 본체부(110)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11)과 함께 실내 바닥면(101)을 형성하는 통로형성 상부면(111), 통로형성 상부면(111)과 함께 건축물의 하부에 열 이동통로(115a, 115b)를 형성하는 통로형성 하부면(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바닥타설부(113), 실내난로부(114) 및 적벽돌 시공부(114a)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들장 본체부(110)의 바닥타설부(113)는, 통로형성 상부면(111)에 소정 높이만큼 타설되어 형성되며, 자갈로 수평을 맞춘 후 흙, 백시멘트 및 모래를 포함하는 흙미장으로 마감처리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난로부(114)는, 아궁이부(120)와 인접하는 통로형성 상부면(111)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바닥타설부(113)가 형성되지 않아 주위구조에 비해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며, 평면상 소정 크기의 넓이를 가지며, 아궁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내 공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적벽돌 시공부(114a)는, 실내난로부(114)의 테두리를 따라 시공되고, 바닥타설부(113)와 같은 높이로 시공되는 구성이다.
경우에 따라서, 실내난로부(114)는 실내난로 덮개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난로 덮개부재는, 적벽돌 시공부(114a)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실내난로부(114)의 만입된 구조 내부로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며, 바닥타설부(113)와 같은 높이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실내난로부(114)를 밀폐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통로형성 상부면(111), 통로형성 하부면(112), 바닥타설부(113), 실내난로부(114), 적벽돌 시공부(114a) 및 실내난로 덮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난로부(114)를 통해 실내에서 직접 수득할 수 있고, 아궁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내난로부(114)를 통해 실내 공기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실내 바닥면은 물론 실내 공기까지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의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부분확대도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은 특정 구조의 하부통로(115a), 상부통로(115b)를 포함하는 복층 형태의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통로(115a)는, 아궁이부(120)로부터 굴뚝부(140)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아궁이부(120)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140)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통로(115b)는, 하부통로(115a)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아궁이부(120)로부터 굴뚝부(140)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통로(115a)와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며, 아궁이부(120)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140)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궁이부(120)에는 특정 구조의 연료연소공간(121) 및 화염진입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연소공간(121)은, 아궁이부(120)와 벽난로부(130)가 서로 연통하는 공간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입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다. 화염진입공간(122)은, 아궁이부(120)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연료연소공간(121)으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진입하여 화염에 의해 발생된 열기와 가스를 하부통로(115a)와 상부통로(115b)로 유동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진입공간(122)에는 특정 구조의 분리턱(123)이 더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턱(123)은, 화염진입공간(122)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연료연소공간(121)으로부터 화염진입공간(122) 내부로 진입하는 화염을 실내난로부(114)의 하부면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곡면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턱(123)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이패스 관통구(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관통구(123a)는, 연료연소공간(121)의 화염 일부를 화염진입공간(122)으로 유동시켜 화염진입공간(122) 내부에 진입된 열기와 가스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통로(115a), 상부통로(115b), 연료연소공간(121), 화염진입공간(122), 분리턱(123) 및 바이패스 관통구(123a)를 구비함으로써, 연료연소공간(121)으로부터 화염진입공간(122) 내부로 진입하는 화염을 실내난로부(114)의 하부면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실내난로부(114)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실내난로부(114)에 의한 실내 공기 가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연료연소공간(121)의 화염 일부를 화염진입공간(122)으로 유동시켜 화염진입공간(122) 내부에 진입된 열기와 가스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어,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를 골고루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100)의 통로형성 상부면(111), 통로형성 하부면(112), 상부통로(115b) 및 하부통로(115a)는, 아궁이부(120)로부터 굴뚝부(140)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궁이부(120)로부터 발생된 화염, 열기 및 가스는 상부통로(115b)와 하부통로(115a)를 따라 굴뚝부(140)로 원활하게 유동하며 실내 바닥면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격벽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각각의 내경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수직지지부(116) 및 제어봉(118)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지지부(116)는 내부에 특정 구조의 기어박스(118a) 및 높이변경축(116a)이 내장된 구조로서, 상부통로(115b)와 하부통로(115a) 사이에 형성된 격벽(117)의 상하 높이 및 통로형성 하부면(112)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제어봉(118)은, 벽난로부(130)로부터 구들장 본체부(110) 내부의 통로형성 하부면(112)을 따라 진입된 구조로서, 벽난로부(130)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핸들링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지지부(11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봉(118)은 회전 동작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으며, 운용자에 의해 제어봉(118)이 특정 각도만큼 회전될 경우, 제어봉(118)의 회전동작은 기어박스(118a)를 통해 높이변경축(116a)을 작동시키며, 높이변경축(116a)에 의해 높낮이 변경되도록 장착된 격벽(117)의 상하 높이가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운용자는 제어봉(118)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격벽(117)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격벽(117)의 높낮이 변경을 통해 상부통로(115b)의 내경 및 하부통로(115a)의 내경을 변경할 수 있다.
상부통로(115b)의 내경을 좁게 변경하게 되면, 상부통로(115b)를 통해 유동하는 열기 및 가열된 가스의 유동량이 감소하게 되어, 실내 바닥면에 직접 전달되는 열량이 적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실내 바닥면 가열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반면, 상부통로(115b)이 내경을 넓게 변경하게 되면, 상부통로(115b)를 통해 유동하는 열기 및 가열된 가스의 유동량이 증가하게 되어, 실내 바닥면에 직접 전달되는 열량이 적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실내 바닥면 가열 속도를 높힐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격벽(117), 수직지지부(116) 및 제어봉(118)을 구비함으로써, 복층구조를 형성하는 상부통로(115b)와 하부통로(115a)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17)의 상하 높이 및 통로형성하부면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층구조의 열 이동통로 기울기를 변경할 있고, 변경된 열 이동통로의 내경에 따른 열기와 가스의 유동 유량 및 유동 유속을 변경할 수 있어, 연료의 종류, 연료의 연소 조건, 연료의 연소 환경 및 원하는 가열범위에 따라 최적의 복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구들의 상부 보조격벽과 하부 보조격벽을 이용하여 상부통로와 하부통로 각각을 재차 복층구조로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상부 보조격벽(117a) 및 하부 보조격벽(117b)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보조격벽(117a)은, 수직지지부(116)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격벽(117)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118)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117)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어 상부통로(115b)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조격벽(117b)은, 수직지지부(116)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격벽(117)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118)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117)으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되어 하부통로(115a)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부 보조격벽(117a) 및 하부 보조격벽(117b)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봉(118)을 핸들링하여 상부통로(115b)와 하부통로(115a)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어, 변경된 열 이동통로의 내경에 따른 열기와 가스의 유동 유량 및 유동 유속을 변경할 수 있어, 연료의 종류, 연료의 연소 조건, 연료의 연소 환경 및 원하는 가열범위에 따라 최적의 복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난방 대상 바닥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열기를 오랜 시간동안 간직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외벽
12: 지면
100: 황토구들
101: 실내 바닥면
110: 구들장 본체부
111: 통로형성 상부면
112: 통로형성 하부면
113: 바닥타설부
114: 실내난로부
114a: 적벽돌 시공부
115a: 하부통로
115b: 상부통로
116: 수직지지부
116a: 높이변경축
117: 격벽
117a: 상부 보조격벽
117b: 하부 보조격벽
118: 제어봉
118a: 기어박스
120: 아궁이부
121: 연료연소공간
122: 화연진입공간
123: 분리턱
123a: 바이패스 관통구
130: 벽난로부
131: 하부벽난로
132: 상부벽난로
133: 연료주입구
140: 굴뚝부

Claims (5)

  1. 건축물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열에 의해 바닥 전체가 가열되도록 하고, 종절단면상 유선형구조의 열 이동통로가 복층구조로 형성된 구들장 본체부(110);
    상기 구들장 본체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열이 구들장 본체부(110)의 열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아궁이부(120);
    상기 아궁이부(120)에 장착되고, 아궁이부(120) 내부에 주입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는 벽난로부(130); 및
    상기 구들장 본체부(110)의 타측에 장착되어, 구들장 본체부(110)를 통과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굴뚝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들장 본체부(110)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11);
    상기 외벽(11)과 함께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통로형성 상부면(111);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111)과 함께 건축물의 하부에 열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 하부면(112);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111)에 소정 높이만큼 타설되어 형성되며, 자갈로 수평을 맞춘 후 흙, 백시멘트 및 모래를 포함하는 흙미장으로 마감처리하는 바닥타설부(113);
    상기 아궁이부(120)와 인접하는 통로형성 상부면(111)에 형성되고, 바닥타설부(113)가 형성되지 않아 주위구조에 비해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며, 평면상 소정 크기의 넓이를 가지며, 아궁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내 공기에 전달하는 실내난로부(114);
    상기 실내난로부(114)의 테두리를 따라 시공되고, 바닥타설부(113)와 같은 높이로 시공되는 적벽돌 시공부(114a);
    상기 아궁이부(120)로부터 굴뚝부(140)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아궁이부(120)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140)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하부통로(115a); 및
    상기 하부통로(115a)의 상부에 형성되고, 아궁이부(120)로부터 굴뚝부(140)까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통로(115a)와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며, 아궁이부(120)로부터 진입된 열기를 굴뚝부(140)로 유동시키는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상부통로(115b);
    를 포함하고,
    상기 아궁이부(120)는,
    상기 아궁이부(120)와 벽난로부(130)가 서로 연통하는 공간에 형성되고, 주입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키는 연료연소공간(121);
    상기 아궁이부(120) 내부에 형성되고, 연료연소공간(121)으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진입하여 화염에 의해 발생된 열기와 가스를 하부통로(115a)와 상부통로(115b)로 유동시키는 화염진입공간(122);
    상기 화염진입공간(122)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로 장착되고, 연료연소공간(121)으로부터 화염진입공간(122) 내부로 진입하는 화염을 실내난로부(114)의 하부면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곡면구조가 형성된 분리턱(123); 및
    상기 분리턱(123)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연료연소공간(121)의 화염 일부를 화염진입공간(122)으로 유동시켜 화염진입공간(122) 내부에 진입된 열기와 가스에 와류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관통구(123a);
    를 포함하며,
    상기 구들장 본체부(110)는,
    상기 통로형성 상부면(111)과 통로형성 하부면(112)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부통로(115b)와 하부통로(115a) 사이에 형성된 격벽(117)의 상하 높이 및 통로형성 하부면(112)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직지지부(116); 및
    상기 벽난로부(130)로부터 구들장 본체부(110) 내부의 통로형성 하부면(112)을 따라 진입된 구조이고, 벽난로부(130)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핸들링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지지부(1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봉(1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 본체부(110)는,
    상기 수직지지부(116)에 장착되고, 격벽(117)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118)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117)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어 상부통로(115b)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는 상부 보조격벽(117a); 및
    상기 수직지지부(116)에 장착되고, 격벽(117)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제어봉(118)의 핸들링에 따라 격벽(117)으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되어 하부통로(115a)의 유로를 재차 복층 형태로 분리하는 하부 보조격벽(117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들.
KR1020210117755A 2021-09-03 2021-09-03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KR10238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55A KR102385137B1 (ko) 2021-09-03 2021-09-03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55A KR102385137B1 (ko) 2021-09-03 2021-09-03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137B1 true KR102385137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755A KR102385137B1 (ko) 2021-09-03 2021-09-03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18B1 (ko) 2022-11-18 2023-05-16 박창욱 분리형 이동식 황토구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04A (ko) * 2008-10-06 2010-04-15 신광건설(주) 2중구들 황토방 및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577813B1 (ko) * 2014-11-26 2015-12-15 신창화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60112837A (ko) * 2015-03-20 2016-09-28 손동식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70046500A (ko) * 2015-10-21 2017-05-02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1917982B1 (ko) * 2018-04-02 2018-11-13 문재남 아자 세줄고래 구조의 축열식 온돌구조
KR101994587B1 (ko) 2018-06-07 2019-06-28 유종 가마 구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04A (ko) * 2008-10-06 2010-04-15 신광건설(주) 2중구들 황토방 및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577813B1 (ko) * 2014-11-26 2015-12-15 신창화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60112837A (ko) * 2015-03-20 2016-09-28 손동식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70046500A (ko) * 2015-10-21 2017-05-02 차화신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1917982B1 (ko) * 2018-04-02 2018-11-13 문재남 아자 세줄고래 구조의 축열식 온돌구조
KR101994587B1 (ko) 2018-06-07 2019-06-28 유종 가마 구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18B1 (ko) 2022-11-18 2023-05-16 박창욱 분리형 이동식 황토구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232B1 (ko) 구들장을 이용한 이동식 온돌 시스템
KR102385137B1 (ko)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JP6217804B1 (ja) オンドル構造体
US9683745B2 (en) Small, high efficient wood stove
KR101741209B1 (ko) 바이오매스 구들 난방장치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1448226B1 (ko)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WO2011004072A1 (en) Firebox
CN1304787C (zh) 挥发分在封顶火焰燃烧室旋转供风燃烧的排烟回流锅炉
JP2006266638A (ja) 無煙陶芸窯
KR101751644B1 (ko) 가마 구들
US4531910A (en) Down draft kiln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20160112837A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1994587B1 (ko) 가마 구들
US1575056A (en) Chimney
RU2818956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59985B1 (ko) 열 순환식 미세먼지 집진기를 설치한 온열욕 겸용 숯가마
JP4231140B2 (ja) ピザ用窯
KR102134556B1 (ko)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KR20150056935A (ko) 화목온풍기
RU2503889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в печи и печь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RU110822U1 (ru) Печь
KR200294583Y1 (ko)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