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226B1 -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 Google Patents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26B1
KR101448226B1 KR1020130103378A KR20130103378A KR101448226B1 KR 101448226 B1 KR101448226 B1 KR 101448226B1 KR 1020130103378 A KR1020130103378 A KR 1020130103378A KR 20130103378 A KR20130103378 A KR 20130103378A KR 101448226 B1 KR101448226 B1 KR 10144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urnace
oven
top surfac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진
Original Assignee
류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진 filed Critical 류형진
Priority to KR102013010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기초물 외측의 불을 지피는 입구에서부터 실내 바닥 중심부 근처에 이르도록 일정 길이와 깊이로 형성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의 상면에 놓여지는 구들 높이로 형성되되, 아궁이의 입구에서 아궁이의 내측 말단 측으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초바닥; 상기 아궁이의 내측단부와 그 내측단부에 이르는 아궁이의 상면 좌우측에 상기 기초바닥의 상면으로 아궁이 내부의 화염 및 열기가 방출되도록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열기배출구; 경사진 기초바닥 상면에 바둑판 구조로 일정간격 유지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간형성 기둥; 복수개의 상기 공간형성 기둥 상면에서 기초바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수평유지부재; 상기 수평유지부재 상면에서 기초바닥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기초바닥과의 사이에 일정 높이의 중공층을 형성시키는 데크부재; 상기 중공층으로 유입된 화염 및 열기가 열교환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주연에 복수개의 연소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굴뚝 또는 연통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기초바닥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소가스 수집관; 상기 데크부재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적층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콘크리트층 상부로 그 표면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경사진 콘크리트층 상부에 일정 높이로 적층되는 황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Double-floor heating structure using a floor-heating}
본 발명은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을 지피는 아궁이가 실내바닥 중앙 위치까지 일정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아궁이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들과 기초바닥 및 기초바닥 상부에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부재 및 황토층이 데크부재 하부의 중공층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전통 양식인 온돌방식은 아궁이에서 불을 지펴서 각방의 방바닥을 데우는 난방 방식이다.
이러한 전통 난방방식은 각종 땔감을 아궁이에서 태워서 그 열기가 실내 방바닥 하부로 통하는 고래를 지나면서 구들을 데워서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지구 온난화 방지와 산림훼손방지 및 난방기술의 발달로 근래에는 종래의 전통 구들방식의 난방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도시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이 정신적 및 육체적 휴식과 전원생활을 위해 탈도시화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전원생활과 힐링을 위해 농촌이나 도시 근교 등에 새로 주택을 짓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새롭게 지어지는 전원주택 등에서 옛날 전통방식인 구들 난방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면서 잊혀져 갔던 전통 구들 난방방식이 다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도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여 새롭게 주택을 지으면서 종래의 전통 난방방식인 구들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을 적용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전통 난방구조인 구들은 각 방마다 아궁이를 마련하여 불을 지피는 구조여서 주택의 건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난방의 효율성과 땔감의 마련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구들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난방시스템은 각 방마다 불을 지피는 아궁이가 마련되고, 각 아궁이에서 지핀 불길과 열기가 방바닥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고래를 만들고, 고래 상면에는 구들을 올려서 방바닥을 마감하는 구조여서 주택을 짓는데 구조상 불편함과 사용시 많은 땔감을 준비하여야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구들방식은 아궁이에 가까운 방바닥이 먼저 데워져 실내 바닥에 깐 장판 등이 누렇게 변색되고, 아궁이에서 먼 쪽의 방바닥은 데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쉽게 열이 식은 단점이 있어서 실내 방바닥이 골고루 난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구들이 아궁이에서 피워진 열기에 직접 데워져 난방이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실내 방바닥의 온기가 오랜시간 지속되지 못해 수시로 땔감을 아궁이에 공급해서 불을 지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내에 별도의 난방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렇게 함으로써 추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화재 위험 등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온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온수보일러 및 온수기를 설치해야 하는 등 난방과 온수가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져 그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땔감을 때서 난방을 하는 종래의 구들방식을 그대로 채택하면서 실내 전체의 난방이 골고루 이루어짐과 동시에 적은 땔감을 사용하면서 효율적인 난방이 이루어지고, 난방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난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난방과 사용이 편리한 전통방식의 구들 난방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어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1638호(등록일: 2012.07.20, 고안의 명칭 :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시스템) 한국 특허등록 제10-0733862호(등록일 : 2007.06.26, 발명의 명칭 : 이중바닥구조를 이용한 실내 공간의 종합환경 개선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공동주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전통 구들방식의 난방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아궁이로 실내 바닥 전체를 골고루 난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의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에서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 겸용 온수 이용이 가능한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는 외벽기초물 외측의 불을 지피는 입구에서부터 실내 바닥 중심부 근처에 이르는 거리까지 일정 길이와 깊이로 형성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의 상면에 놓여지는 구들 높이로 형성되되, 아궁이의 입구 측에서 아궁이의 내측 말단이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기초바닥; 상기 아궁이의 내측단부와 그 내측단부에 이르는 아궁이의 상면 좌우측에 상기 기초바닥의 상면으로 아궁이 내부의 화염 및 열기가 방출되도록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열기배출구; 경사진 기초바닥 상면에 바둑판 구조로 상호간에 일정간격 유지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간형성 기둥; 복수개의 상기 공간형성 기둥 상면에서 상기 기초바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수평유지부재; 상기 수평유지부재 상면에서 기초바닥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기초바닥과의 사이에 일정 높이의 중공층을 형성시키는 데크부재; 상기 기초바닥과 데크부재 사이의 중공층으로 유입된 연소가스 및 열기가 열교환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주연에 복수개의 연소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굴뚝 또는 연통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초바닥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소가스 수집관; 상기 데크부재의 상면에 일정두께로 적층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콘크리트층 상면으로 일정 두께 형성되되 경사진 콘크리트층의 기울기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그 표면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층되는 황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궁이의 입구 측 상면에는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아궁이의 화염을 이용하여 온수를 발생, 실내로 공급하는 온수발생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온수발생수단은 일정크기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과, 외부에서 직수가 공급되어 상기 저수통 내부의 물이 데워지면서 간접적으로 데워져 실내의 온수공급부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온수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황토층의 상면에는 일정두께로 몰탈층이 적층되고, 상기 몰탈층의 상면에는 실내바닥을 형성하는 마감재가 적층되며, 상기 공간형성 기둥은 황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부재는 상하 요철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된 골판재로 이루어져 중공층의 열기가 골을 따라 실내바닥 하부 전체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아궁이는 그 내측으로 화염 및 열기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입구측에서 내측 말단부 측으로 내측 폭 및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외광내협(外廣內狹)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바닥면은 입구측에서 그 내측 말단부 측으로 점점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를 이용하여 주택이 지어질 경우, 아궁이이 주택의 전체 실내 바닥의 중심부 깊이까지 형성되어 난방이 이루어지고, 아궁이 내부의 화기와 열기가 기초바닥과 데크부재 사이의 중공층으로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짐은 물론 실내 바닥 전체에 대하여 골고루 난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바닥 난방구조는 실내바닥의 어느 특정지점만을 고온으로 가열하지 않고, 실내 전체를 골고루 난방할 수 있어서 난방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아궁이을 통해 실내 전체 바닥의 난방을 하게 되어, 종래의 전통방식과 같이 각방마다 난방을 하는 구조에 비하여 땔감의 낭비를 줄이면서 효율적인 난방과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 난방구조에서 아궁이의 굴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아궁이의 상부에 구들이 안장되고, 기초바닥이 형성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기초바닥 상면에 공간형성기둥과 수평유지부재가 구축된 상태 및 일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수평유지부재 상면으로 테크부재, 콘크리트층, 황토층 및 마감재가 처리되어 실내바닥이 완성된 상태도,
도 5는 완성된 실내바닥으 구조를 알아보기 쉽도록 바닥의 일부를 절단한 절개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수직 절단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이중바닥 난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 설치작업 순서대로 기술하면서 본 발명의 난방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 난방구조에서 아궁이(20)가 굴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의 난방구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짓고자 하는 주택의 바닥구조대로 토대가 되는 기초바닥(30)을 구축하게 되는데, 상기 기초바닥(30)을 다지기 위해서는 짓고자 하는 주택의 형상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로 외벽기초물(10)을 먼저 구축하고, 외벽기초물(10)의 내측에 일정 높이로 토양을 채워 다져서 기초바닥(30)을 구축한다.
이때, 일측 외벽기초물(10)의 일부, 즉 아궁이(20)가 설치되어야 하는 일정 부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고 외벽기초물을 구축하게 되며, 외벽기초물(10)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내측으로 주택의 내부 바닥 중심부 근처 또는 중심부에서 더 안쪽으로 위치한 거리까지 일정 깊이와 폭으로 아궁이(20)를 굴착하는 것으로, 아궁이(20)의 굴착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궁이(20)는 외벽기초물(10)이 위치하는 입구 측에서 그 내측 말단부(굴뚝방향) 쪽으로 내부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구조로 굴착되며, 아궁이(20)의 양측면에는 아궁이의 내구성과 열원의 보존을 위해 중량체인 석조물(石造物,2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석조물(24)의 구축시 전후 석조물(24)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아궁이(20) 내부의 화염 및 열원이 아궁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열기배출구(27)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궁이(20) 바닥면(22)의 경우, 입구 측의 깊이(기초바닥에서부터의 깊이)가 가장 깊고, 내측(굴뚝방향)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점 낮아져 가장 후단의 바닥면(22)이 기초바닥(30)과 만날 수 있도록 상향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아궁이 내부의 화염 및 열원이 일정한 상승기류를 타고 아궁이 내부 말단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아궁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외벽기초물(10)의 내측에 아궁이(20)를 굴착한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된 아궁이(20)의 상면에 구들(25)을 올리고, 구들(25)이 놓여진 주변으로 바닥 정지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아궁이(20)의 입구 측 기초바닥(30)이 아궁이의 말단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점차 상승하여 일정한 상향 경사도를 갖도록 기초바닥(30)의 정지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기초바닥(30)의 정지작업에 대해서 좀 더 상술하면, 주택의 외벽의 기초가 되는 외벽기초물(10)은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견고하게 구축되는데, 상기 외벽기초물(10)은 사방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구축되는데 반해서, 상기 외벽기초물(10)의 내측에서 정지 작업되는 기초바닥(30)은 아궁이(20)의 입구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비스듬하게 상향 경사지게 구축되므로, 아궁이(20)의 입구측에 해당되는 외벽기초물(10)의 노출된 높이(H)가 아궁이 말단측의 외벽기초물의 노출된 높이(h)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초바닥(30)의 높이를 아궁이(20)의 입구 측은 낮고 아궁이의 말단부 측을 높게 형성시킨 것은 아궁이(20)의 바닥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되게 형성되므로 기초바닥과의 높이가 점점 가까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아궁이의 화염 및 열기가 아궁이가 형성된 길이 전체에서 기초바닥 상면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궁이(2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석조물(24)의 상면에 일정 두께의 구들(25)을 설치하게 되는데, 양쪽 석조물(24)의 상면에 걸쳐지는 구들(25)을 양측 석조물(24)의 노출된 폭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하여 안착시키면, 전후측 석조물(24) 사이에 형성된 열기배출구(27)가 구들(25)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이 열기배출구(27)를 통해 아궁이의 화염 및 열기가 빠져나가 기초바닥(30)의 상면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아궁이(20)의 말단부에도 일정 크기의 열기배출구(27)가 형성되도록 하여 구들을 설치함으로써 아궁이의 말단 후방으로 아궁이의 내부의 화염 및 열기가 빠져나가 실내바닥 깊숙이 열원이 공급되어 실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기초바닥(30)의 후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기초바닥(30)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빈 공간부인 중공층(32)이 형성되도록 기초바닥(30) 전체에 대해서 일정 높이의 공간형성 기둥(35)이 바둑판 구조로 상호간에 일정간격 유지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공간형성 기둥(35) 상면에는 일정 길이의 수평유지부재(40)가 안착된다.
상기 공간형성 기둥(35)은 벽돌이나 철 구조물 등으로 할 수 있지만, 내구성과 열의 흡수 및 보존이 좋으며, 친환경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황토를 반죽한 황토재로 구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 기둥(35)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유지부재(4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지만, 소구경의 금속재 원통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아궁이(20)의 형성방향과 평행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그 후속공정으로 수행되는 데크부재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형성 기둥(35)이 황토로 구성되어서 반죽상태의 황토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수평유지부재(40)를 그 상면 중심부에 올려놓게 되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공간형성 기둥(35)이 굳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수평유지부재(40)가 공간형성 기둥(35)과 일체로 굳어지게 되며, 상기 공간형성 기둥(35)은 전체적으로 그 높이를 균일하게 하여 그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수평유지부재(40)가 기초바닥과 평행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간형성 기둥(35)과 수평유지부재(40)를 설치한 후에, 수평유지부재(40)의 상면으로 데크부재를 안착시키고, 데크부재의 상면에 와이어메쉬를 깔고 콘크리트를 일정 높이로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층 양생된 후에 실내에 구조에 따라 벽을 쌓아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 공간의 콘크리트층 상면에 일정 높이로 황토를 깔아 황토층을 형성하고, 황토층의 표면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실내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황토미장을 하는 몰탈층을 형성하고, 몰탈층의 양생 후에 벽지나 장판 등 마감재를 깔아 실내바닥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이중바닥 구조의 완성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완성된 바닥구조의 내부를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 절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데크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가 상하 균일하게 형성되면서 인접하는 요철부 사이에 일정한 폭의 골(52)이 형성된 골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크부재(50)로 사용되는 골판재는 일반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일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 성형한 것이 이용되며, 데크부재의 골이 상기 수평유지부재(40)와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평유지부재(40)가 아궁이(20)의 형성방향과 평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유지부재(40)의 상면에 안착되는 데크부재(50)의 골(52)은 아궁이(20)의 형성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아궁이(20)에서 기초바닥(30)의 상면으로 올라온 열기가 골을 타고 기초바닥 상면 전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크부재(50)의 상면에 적층되는 콘크리트층(70)의 높이는 5~10㎝로 하여 전체가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데크부재(50)와 함께 상기 기초바닥(30)에 의해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유지되지만, 상기 콘크리트층(70) 상면에 적층되는 황토층(74)에 의해서 그 경사진 기울기가 수평상태로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층(70)의 경사진 기울기에 따라 그 상면에 적층되는 황토층(74)은 그 위치에 따라 적층되는 높이가 달라지지만, 그 상부표면은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실내바닥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황토층(74) 위로 황토미장을 하는 몰탈층(75)이 형성되어 양생되고, 양생된 몰탈층(75) 위로 한지나 데코타일, 장판 등을 설치하여 실내바닥을 마감하면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공정이 생략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콘크리층을 형성한 후에 내부 벽을 쌓아 방이나 거실 등을 구획하고, 내부 벽을 쌓은 후에 황토층 이후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내바닥 작업을 한 후, 아궁이(20)의 입구측 상단에서 외벽기초물(10)의 외측으로 온수발생수단(90)을 설치하여 아궁이(20) 내부의 화염을 이용하여 온수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수발생수단(90)의 설치 순서는 상술한 실내바닥 작업의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수발생수단(90)은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는 저수통(92)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통(92)의 내측에는 엑셀파이프가 권취되어 그 내부에 물이 채워져 저수통(92) 내부의 물이 데워짐으로써 간접적으로 물이 데워지는 온수관(94)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94)의 일단은 외부에서 물이 직접 공급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실내의 온수공급부에 연결되어 실내로 데워진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의 설치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더불어, 실내에서의 온수 이용이 편리하도록 온수가 배출되는 상기 온수관(94)의 말단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실내에서 온수 이용시 일정한 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저수통(92)에는 그 내부에 채워진 물이 증발되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어 항상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감지부(96, 도 6 참조)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공정으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 난방구조의 설치상태 단면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아궁이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아궁이가 형성된 직교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궁이의 바닥면(22)은 그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아궁이 내부에서 불을 지피게 되면 그 불길이 아궁이의 내측 및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불길 및 열기는 아궁이의 상면에 설치된 구들 및 아궁이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열기배출구(27)를 통해 기초바닥(30) 상면으로 유입된다.
기초바닥(30) 상면에는 공간형성 기둥(35)에 의해 데크부재(50)가 기초바닥(30)으로부터 일정높이 형성된 중공층(32)이 마련되어 있어, 중공층(32)으로 유입된 열기는 데크부재(50)의 골을 따라 좌우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데크부재 상면으로 적층된 콘크리트층, 황토층을 통해 실내바닥을 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층에서 데크부재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폐열가스는 기초바닥 후단측에 배치된 연소가스 수집관(60)의 연소가스 유입구(65)를 통해 외부 굴뚝(67)으로 배출된다.
또한, 아궁이(20)의 입구 측 상단에 설치된 온수발생수단(90)은 아궁이에서 지펴지는 화염에 의해 저수통(92) 내부의 물이 데워지고, 이로 인해 온수관(94) 내부에 채워진 물고 데워지게 되어 실내에서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궁이는 실내바닥 중심부에 이르는 길이 전체에 대하여 땔감을 채워넣고 불을 지필 수가 있어서, 땔감의 연소로 발생되는 열이 손실되지 않고 그대로 실내바닥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적은 땔감으로 효율적인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외벽기초물 20 : 아궁이
22 : 바닥면 24 : 석조물
25 : 구들 27 : 열기배출구
30 : 기초바닥 32 : 중공층
35 : 공간형성 기둥 40 : 수평유지부재
50 : 데크부재 52 : 골
60 : 연소가스 수집관 65 : 연소가스 유입구
67 : 굴뚝 70 : 콘크리트층
72 : 와이어메쉬 74 : 황토층
75 : 몰탈층 80 : 마감재
90 : 온수발생수단 92 : 저수통
94 : 온수관 96 : 수위감지부

Claims (4)

  1. 외벽기초물 외측의 불을 지피는 입구에서부터 실내 바닥 중심부 근처에 이르는 거리까지 일정 길이와 깊이로 형성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의 상면에 놓여지는 구들 높이로 형성되되, 아궁이의 입구 측에서 아궁이의 내측 말단이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기초바닥;
    상기 아궁이의 내측단부와 그 내측단부에 이르는 아궁이의 상면 좌우측에 상기 기초바닥의 상면으로 아궁이 내부의 화염 및 열기가 방출되도록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열기배출구;
    경사진 기초바닥 상면에 바둑판 구조로 상호간에 일정간격 유지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간형성 기둥;
    복수개의 상기 공간형성 기둥 상면에서 상기 기초바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수평유지부재;
    상기 수평유지부재 상면에서 기초바닥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기초바닥과의 사이에 일정 높이의 중공층을 형성시키는 데크부재;
    상기 기초바닥과 데크부재 사이의 중공층으로 유입된 연소가스 및 열기가 열교환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주연에 복수개의 연소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굴뚝 또는 연통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초바닥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소가스 수집관;
    상기 데크부재의 상면에 일정두께로 적층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콘크리트층 상면으로 일정 두께 형성되되 경사진 콘크리트층의 기울기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그 표면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적층되는 황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의 입구 측 상면에는 아궁이의 화염을 이용하여 온수를 발생, 실내로 공급하는 온수발생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온수발생수단은 일정크기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과, 외부에서 직수가 공급되어 상기 저수통 내부의 물이 데워지면서 간접적으로 데워져 실내의 온수공급부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온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의 상면에는 일정두께로 황토 몰탈층이 적층되고, 상기 황토 몰탈층의 상면에는 실내바닥을 형성하는 마감재가 적층되며,
    상기 공간형성 기둥은 황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부재는 상하 요철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된 골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는 입구측에서 그 내측 말단부 측으로 내측 폭 및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외광내협(外廣內狹)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바닥면은 입구측에서 그 내측 말단부 측으로 점점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KR1020130103378A 2013-08-29 2013-08-29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KR10144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8A KR101448226B1 (ko) 2013-08-29 2013-08-29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8A KR101448226B1 (ko) 2013-08-29 2013-08-29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226B1 true KR101448226B1 (ko) 2014-10-08

Family

ID=519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78A KR101448226B1 (ko) 2013-08-29 2013-08-29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20A (ko) 2015-03-11 2016-09-22 쥴온돌(주)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KR101689232B1 (ko) * 2016-04-20 2017-01-02 이창민 구들장을 이용한 이동식 온돌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22B1 (ko) 2008-11-13 2009-05-11 배성현 장작연소식 이동 찜질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22B1 (ko) 2008-11-13 2009-05-11 배성현 장작연소식 이동 찜질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20A (ko) 2015-03-11 2016-09-22 쥴온돌(주)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KR101689232B1 (ko) * 2016-04-20 2017-01-02 이창민 구들장을 이용한 이동식 온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746B1 (ko)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101000802B1 (ko) 온돌난방구조
JP6217804B1 (ja) オンドル構造体
KR101448226B1 (ko) 온돌방식을 이용한 이중바닥 난방구조
KR100896722B1 (ko) 장작연소식 이동 찜질방
KR100808783B1 (ko) 화목보일러
KR102385137B1 (ko) 이중구조를 포함하는 황토구들
KR101829683B1 (ko) 구들침대
KR101802155B1 (ko)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20170046500A (ko)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20030071448A (ko) 숯가마를 이용한 찜질방
KR20160112837A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0291198Y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RU2241909C2 (ru) Печь для бань
KR102134556B1 (ko)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KR100927177B1 (ko) 구들장 조립장치
CN102620340A (zh) 架空地板型燃池辐射采暖系统
CN206176514U (zh) 住房预热储存热量供暖装置
CN102535882A (zh) 北方寒冷地区一种农村燃池采暖住宅
KR100808784B1 (ko) 화목보일러
JP3142404U (ja) 屋外用パン窯
KR200455465Y1 (ko) 동파이프가 내장된 황토 불 한증막
CN201903081U (zh) 蓄热型火炕
KR200495120Y1 (ko) 가온 구조를 갖고 단위물품으로 판매되는 바닥체하우징
KR100821695B1 (ko) 다중 한증막 및 그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