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55B1 -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55B1
KR101802155B1 KR1020160101632A KR20160101632A KR101802155B1 KR 101802155 B1 KR101802155 B1 KR 101802155B1 KR 1020160101632 A KR1020160101632 A KR 1020160101632A KR 20160101632 A KR20160101632 A KR 20160101632A KR 101802155 B1 KR101802155 B1 KR 10180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ale
layer
heat
chimney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16010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7Sol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45Radiators having horizontally extend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궁이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 상기 줄고래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 상기 허튼고래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 상기 고래개자리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로 구성되어 열기가 방바닥층 전체에 빠르게 전달되면서 고래층에 재가 정체되지 않아 방바닥층에 열전도 효율이 높아지며, 상기 방고래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고래둑이 형성됨으로써, 방고래에 유입된 열기가 1회 제공시, 열전도가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방바닥층에 열전도율이 증가하고, 건축물의 내외장재, 바닥재를 자연친화적인 황토와 자연석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그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
본 발명은 찜질방을 이동식으로 형성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궁이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 상기 줄고래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 상기 허튼고래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 상기 고래개자리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로 구성되어 열기가 방바닥층 전체에 빠르게 전달되면서 방바닥층에 열전도 효율이 높아지며, 상기 허튼고래가 어긋지는 형태로 허튼고래둑이 배치됨으로써, 유입된 열기가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방바닥층에 열전도율이 증가하고, 방 바닥재를 자연친화적인 황토외 맥반석 등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그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관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숯가마, 찜질방 등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숯가마, 찜질방 등은 피로회복과 성인병 예방 등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이용하기 때문에 청결하지 못하고 개인 시간을 갖는 등의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형 또는 소규모의 찜질방이 제작되고 있으나, 이들 찜질방은 전기열을 이용한 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무를 태워 그 열기로 구들을 데우는 찜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물론 찜질방을 구들 방식으로 제작한 일부 제품이 있었으나 아궁이와 굴뚝이 상기 찜질방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아궁이에 쌓인 재의 청소나 연통의 그을음을 청소하는데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부피가 큰 단일 조립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확보와, 설치위치를 바꾸기가 어려우며, 설치될 소정의 공간에 맞는 크기로 짜 맞추어야만 하므로 규격화시킬 수 없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온돌은 구들의 가열시간이 길어 방이 따뜻해지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고래의 구조상 쉽게 식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보일러를 이용한 온수 순환식 온돌난방시스템이 대부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수 순환식 난방은 종래의 전통적인 화기를 이용한 구들 난방에 비해 온도조절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방바닥에서 가까운 온돌 층에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관이 매설되어 방바닥이 일찍 가열되는 장점은 있으나 온돌이 지닌 근원적인 장점을 이용하는 데 부족하고, 에너지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 순환식 난방은 열교환매체로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을 가열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어 열에너지 운반속도가 느림은 물론 국부적인 방열로 인해 균등한 난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방열부위가 방바닥 가까이에 있어 고온의 열에너지가 실내공간으로 대부분 방출되고 온돌에는 축열되지 않아 빨리 식으며, 겨울철에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일러와 난방관의 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987193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370호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40699호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2121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궁이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 상기 줄고래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 상기 허튼고래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 상기 고래개자리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굴뚝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로 구성됨으로써, 아궁이부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방바닥 전체에 빠르고 골고루 이송하여 방바닥층에 열전도 효율이 높아지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를 제공하고, 이를 규격화하여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며, 규격화가 가능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허튼고래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고래둑이 형성됨으로써, 줄고래를 거쳐 유입된 열기가 1회 제공시, 열전도가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방바닥층에 열전도율이 증가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방바닥의 바닥재를 자연친화적인 황토와 게르마늄, 숯, 송진 등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그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바닥층(63)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소연기와 열기가 유동하는 고래층과, 상기 고래층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래층의 열기를 방바닥층(60)에 전달하는 구들층(61)과, 상기 구들층(61)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들층(61)의 열기가 전달되는 방바닥층(60)과, 상기 구들층(61)의 일측에 중앙부에 구비되어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부(10)와, 상기 아궁이부(10)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고래층을 경유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80)으로 구성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래층은 상기 아궁이부(10)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30), 상기 줄고래(3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40), 상기 허튼고래(40)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12b)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50), 상기 고래개자리(50)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80)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층(63)과 고래층 사이에는 바닥판(62)이 후부방향으로 하향하면서 연기가 나가는 모든 바닥판이 고래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고래층 상부에는 구들층(61)이 고래 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판(62)과 상기 구들층(61)의 재질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두께 4.5mm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궁이부(10)와 줄고래(30) 사이에는 아궁이부(10)를 통해 전달된 열기가 양옆으로 퍼지도록 상기 줄고래(30)의 방향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냉기(21)이 구비되며, 상기 부냉기(21)의 중간부분은 높고 양쪽은 낮게 형성하여 상기 부냉기(21)과 구들층(61) 사이에 형성된 부냉기 공간(22)이 아궁이부(10)와 가까운 중간부분은 작고, 아궁이부(10)와 먼 양측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줄고래(30)의 후부측 끝에는 연기와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a)를 갖는 고래턱(32)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구(32a)는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줄고래(30)를 형성하는 줄고래둑(31)은 외부를 철판으로 용접 조립한 사다리꼴 박스형상으로 후부면의 하단부에는 습기 및 냉기 배출구(41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허튼고래(40)는 열기를 머물게 하도록 3단계로 구성되는 허튼고래둑(41)을 구비하며, 1 내지 3 단계의 허튼고래둑(41a, 41,b, 41c)은 각각 열기구멍을 복수 개 구비하되 각 단계의 구멍을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상기 3단계 허튼고래둑(41c)의 배연구(43)는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튼고래(40)를 형성하는 허튼고래둑(41)은 외부를 철판으로 용접 조립하고, 상부에는 배연구(42)를 복수개 형성하고 하단부에 습기 및 냉기 배출구(41a)가 구비된 다.
본 발명의 아궁이부(10)는 90~12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는 V자 형상으로 내부에는 2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2차공기 투입구(10a)를 구비하고, 입구에는 힌지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아궁이뚜껑(10b)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아궁이에서 구들로 들어가는 불목둑(11)의 안쪽은 상부에는 석재구들(23)을 부냉기(21)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궁이 입구의 구들층(61)의 상부에는 이중구들(64)을 형성하고, 상기 구들층(61)과 이중구들(64)의 사이에는 가열판(65a)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판(65a)에 히트관(65b)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통부(82)의 하단부에는 습기를 배출과 완전 연소 후에 열기가 밖으로 새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냉기배출구(84)을 구비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는 아궁이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 상기 줄고래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 상기 허튼고래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 상기 고래개자리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굴뚝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로 구성됨으로써, 아궁이부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방바닥 전체에 빠르고 골고루 이송하여 방바닥층에 열전도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허튼고래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고래둑이 형성됨으로써, 줄고래를 거쳐 유입된 열기가 1회 제공시, 열전도가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방바닥층에 열전도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바닥의 바닥재를 자연친화적인 황토, 게르마늄, 옥돌, 숯, 송진, 천연돌, 흑운모, 맥반석, 펄프, 석회를 혼합한 흙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그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몸체의 내부나 외부에는 단열재를 시공하여 보온의 효과를 줌으로서 열기가 오랬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아궁이를 중심으로 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냉기과 부냉기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고래둑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궁이와 굴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단계 허튼고래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바닥층(63)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소연기와 열기가 유동하는 고래층과, 상기 고래층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래층의 열기를 방바닥층(60)에 전달하는 구들층(61)과, 상기 구들층(61)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들층(61)의 열기가 전달되는 방바닥층(60)과, 상기 구들층(61)의 일측에 중앙부에 구비되어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부(10)와, 상기 아궁이부(10)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고래층을 경유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80)으로 구성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래층은 상기 아궁이부(10)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30), 상기 줄고래(3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40), 상기 허튼고래(40)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12b)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50), 상기 고래개자리(50)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80)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아궁이를 중심으로 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냉기과 부냉기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고래둑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궁이와 굴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단계 허튼고래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는 바닥층(63)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소연기와 열기가 유동하는 고래층과, 상기 고래층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래층의 열기를 방바닥층(60)에 전달하는 구들층(61)과, 상기 구들층(61)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들층(61)의 열기가 전달되는 방바닥층(60)과, 상기 구들층(61)의 일측에 중앙부에 구비되어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부(10)와, 상기 아궁이부(10)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고래층을 경유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층(63)은 받침대(67)와 외벽(12) 사이에 채워지고, 상기 고래층의 하측에 마련되는데, 상기 바닥층(63)은 황토, 게르마늄, 옥돌, 숯, 송진, 천연돌, 흑운모, 맥반석, 펄프 및 석회석을 혼합한 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층(63)에 석회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잡아주어 차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고래층에 이송되는 열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벽(12)은 조립식 목골조로 구성되며, 바깥 외측부터 방 내부까지의 각 층의 재질은 눈비에 강한 소재의 금속철판층, 철망층, 황토층, 왕겨층, 황토층, 목재층 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황토층은 황토에 석회, 펄프, 천연풀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외벽(12)의 구성은 단열 효과를 높이며, 찜질방의 전체하중을 가볍게 하여 이동에 편리한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붕은 일부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밤하늘의 별과 달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지붕의 내부는 벌레 등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방충망을 설치한다.
상기 고래층은 상기 아궁이부(10)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30), 상기 줄고래(3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40), 상기 허튼고래(40)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12b)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50), 상기 고래개자리(50)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80)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51)로 구성된다. 상기 되돌음고래(51)은 온돌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 부분에 만들어져 방 전체에 고루 열기가 퍼지고 열기가 오래 머무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줄고래(30)와 허튼고래(30)의 길이는 약 3:1의 비율로 형성된다. 상기 줄고래(30)는 뜨거운 열이 빨리 지나가게 하는데, 중앙부분의 고래는 좌우 보다 좁으면서 고래의 경계가 막힌 구조로 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층(63)과 고래층 사이에는 바닥판(62)이 후부방향으로 하향하면서 연기가 나가는 모든 바닥판이 고래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고래층 상부에는 구들층(61)이 고래 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아궁이에서 가열되어 들어온 열기는 온돌의 끝부분을 향하여 오름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부로 전달되면서 원활히 배출되고 하부의 내림경사는 습기와 냉기를 자동으로 빼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닥판(62)과 상기 구들층(61)의 재질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나 열에 강한 소재의 두께 4.5mm나 그 이상 두께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판은 열전도율이 매우 우수하므로 찜질방의 온도를 빨리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들 내부에는 내열실리콘과 내열페인트, 분무식 단열재를 시공하여 단열과 보온,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궁이부(10)와 줄고래(30) 사이에는 아궁이부(10)를 통해 전달된 열기가 양옆으로 퍼지도록 상기 줄고래(30)의 방향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냉기(21)이 구비되며, 상기 부냉기(21)의 중간부분은 높고 양쪽은 낮게 형성하여 상기 부냉기(21)과 구들층(61) 사이에 형성된 부냉기 공간(22)이 아궁이부(10)와 가까운 중간부분은 작고, 아궁이부(10)와 먼 양측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아궁이와 일직선상에 있는 중간부분의 줄고래에는 열기를 적게 보내고 아궁이와 멀리 있는 외측의 줄고래에는 열기를 많이 보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방 전체에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줄고래(30)의 후부측 끝에는 연기와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a)를 갖는 고래턱(32)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구(32a)는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줄고래(30)를 형성하는 줄고래둑(31)은 외부를 철판으로 용접 조립한 사다리꼴 박스형상으로 후부면의 하단부에는 습기 및 냉기 배출구(31a)를 구비한다. 상기 습기 및 냉기 배출구(31a)는 줄고래둑이 가열되었다 식을 때 온도차로 내부에 습기나 냉기가 생길 때 경사진 아래 부분으로 흘러 습기 및 냉기 배출구(31a)를 통해 배출하며, 가열된 열기를 오랫동안 간직하였다 서서히 배출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허튼고래(40)는 열기를 머물게 하도록 3단계로 구성되는 허튼고래둑(41)을 구비하며, 1 내지 3 단계의 허튼고래둑(41a, 41,b, 41c)은 각각 열기구멍을 복수 개 구비하되 각 단계의 구멍을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상기 3단계 허튼고래둑(41c)의 배연구(43)는 도 8과 같이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각 허튼고래둑(41a, 41,b, 41c)에 형성된 열기구멍을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열의 난기류발생이 증가되어 방바닥층(60)에 전달되는 열전도 효율이 증가하고 열기가 고래에 오래 머무는 효과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줄고래 및 허튼고래를 통해 이송되는 열기는 고래둑의 벽면에 부딪히면서 난기류(회오리)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열기의 온도가 올라가며, 상기 지그재그로 형성된 허튼고래를 통해 전달된 열기가 장시간 지속될 수 있어 한 번의 가열로 높은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아궁이부(10)는 90~12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는 V자 형상으로 내부에는 2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2차공기 투입구(10a)를 구비하고, 입구에는 힌지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아궁이뚜껑(10b)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아궁이는 위에서 아래로 45~60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입구에 장작 등을 넣으면 소각되면서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아궁이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길이가 긴 것을 넣어도 타들어가면서 뚜껑(10b)도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의 아궁이 입구를 통해 들어온 1차 공기만으로는 45도 이상 아래로 경사지어 있어 아궁이 내부 깊숙이 공기를 공급하기 어려워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상기 2차공기 투입구(10a)에 투입된 공기는 아궁이 내부 깊숙이 공급하여 산소를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완전 연소가 덜 된 연기가 완전연소가 될 수 있도록 하여, 배출가스를 줄여주고 더 높은 온도의 열기를 공급하여 연료의 절약과 빠른 온도상승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본 발명에서 아궁이는 나무를 사용하는 아궁이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으나, 열원은 나무뿐만 아니라 전기, 가스, 목초, 가연성 물질을 사용하도록 변경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상기 굴뚝(80)은 고래층의 배출구와 연도에 의해 연결되면서 외부를 향하여 경사가 지도록 한다.
상기 굴뚝(8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81)과, 연통부(82)와, 연도(85)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통(81)은 연도(85)가 상측 외주연에 연통되고, 상기 연도(85)가 몸통(81)의 상측부에 설치됨으로써, 연도(85)를 통해 유입된 열기와 부재물이 타고 남은 이물질(재) 중 이물질만이 몸통(81)의 내부 하단부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연통부(82)는 몸통(81)의 상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몸통(81)의 내부에 유입된 열기와 이물질 중 열기를 외부로 배출해준다.
연통부(82)의 하단부에는 역풍이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굴뚝개자리(83)가 형성된다. 상기 굴뚝개자리(83)의 하단부에는 습기와 냉기를 배출하고 완전 연소 후에 열기가 밖으로 새는 것을 차단하는 차가운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습기 및 냉기배출구(84)을 구비한다. 또한 굴뚝개자리(83)의 하부에는 그을음, 먼지 등이 쌓였을 때 문을 열고 청소할 수 있도록 굴뚝청소구(8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들층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래층의 상측에 마련되어 고래층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 및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기를 축적하도록 구들층(61)이 설치되고, 상기 구들층(61)을 통해 축적된 열기를 방바닥층(60)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바닥을 빨리 데우고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히트파이프(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아궁이 입구의 구들층(61)의 상부에는 이중구들(64)을 형성하고 상기 구들층(61)과 이중구들(64)의 사이에는 가열판(65a)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판(65a)에 히트관(65b)을 연결한 하트파이프(65)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히트파이프(65)는 아궁이 입구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을 방바닥 전체에 고르고 빨리 열을 전달하여 방바닥이 뜨거워지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같은 양의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사용 시간의 증가와 더 높은 온도로서 찜질방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바닥층(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들층(61)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들층(61)으로부터 전달된 열기를 실내(주거공간)에 전달하여 난방을 하는데, 상기 방바닥층(60)은 철판으로 된 구들층(61) 위에 약간의 간격을 이격하여 철망(66)을 설치한 후에 방바닥층(60)을 시공한다. 즉, 구들층(61)과 철망(66) 사이의 공간과 방바닥층(60)의 최 상면까지 황토, 게르마늄, 옥돌, 숯, 송진, 천연돌, 흑운모, 맥반석, 펄프 및 석회석을 혼합한 흙으로 채워지게 되는데, 상기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원적외선 등이 발산되어 사용자의 질병 예방 등의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바닥층(60)의 상측에는 일반적으로 장판(미도시) 등의 마무리 바닥재가 깔리게 되고, 상기 황토는 건강에 유익한 적외선을 방출하고 온기를 오랫동안 축적한다.
본 발명의 아궁이에서 구들로 들어가는 초입에는 가장 뜨거운 열기가 유입됨으로서, 그 열기에 의해 철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무암 등의 석재구들(23)을 하향으로 덧붙여 시공하여 준다. 즉, 아궁이에서 불길이 처음 들어오는 불목둑(11) 안쪽의 상부는 가장 강한 화열이 들어오기 때문에 화열에 의한 철판의 온도가 고온으로 가열되고, 이것 때문에 부식이 빨리 되거나 팽창수축이 많이 발생하여 구조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무암과 같은 석재구들(23)을 온돌판 하부의 아궁이 불길이 직접 닿는 곳에 설치하여 열기를 흡수 또는 분산키며, 굴뚝으로부터의 역풍에 의해 화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도록 부냉기(21)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방바닥층(60)은 아궁이부(10) 측에서 굴뚝(80) 측으로 갈수록 층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는 아궁이부(10) 측의 아랫목은 온도가 뜨거우므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굴뚝(80) 측의 윗목은 아궁이부(10)로부터 전달된 열기가 많지 않으므로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두께를 아랫목에 비해 얇게 형성한다.
10 : 아궁이부
10a : 2차공기 투입구
11 : 불목둑
12 : 외벽
12a : 전부외벽
12b : 후부외벽
12c : 좌측외벽
12d : 우측외벽
20 : 구들개자리
21 : 부냉기
22 : 부냉기 공간
23 : 석재구들
30 : 줄고래
31 : 줄고래둑
31a : 습기 및 냉기 배출구
31b ; 철판
32 : 고래턱
32a : 배출구
40 : 허튼고래
41: 허튼고래둑
41a: 1단계 허튼고래둑
41b: 2단계 허튼고래둑
41c: 3단계 허튼고래둑
42 : 습기 및 냉기 배출구
43 : 배연구
50 : 고래개자리
51 : 되돌음고래
60 : 방바닥층
61 : 구들층
62 : 바닥판
63 : 바닥층
64 : 이중구들
65 : 히트파이프
65a : 가열판
65b : 히트관
66 : 받침대
80 : 굴뚝
81 : 몸통
82 : 연통부
83 : 굴뚝개자리
84 : 냉기배출구
85 : 연도
86 : 굴뚝청소구

Claims (13)

  1. 바닥층(63)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소연기와 열기가 유동하는 고래층과, 상기 고래층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래층의 열기를 방바닥층(60)에 전달하는 구들층(61)과, 상기 구들층(61)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들층(61)의 열기가 전달되는 방바닥층(60)과, 상기 구들층(61)의 일측에 중앙부에 구비되어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부(10)와, 상기 아궁이부(10)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고래층을 경유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80)으로 구성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래층은 상기 아궁이부(10)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줄고래(30), 상기 줄고래(3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허튼고래(40), 상기 허튼고래(40)와 같은 방향으로 후부외벽(12b)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개자리(50), 상기 고래개자리(50)의 일측단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80)과 연결되는 되돌음고래(51)로 구성되고,
    상기 줄고래(30)의 후부측 끝에는 연기와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a)를 갖는 고래턱(32)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구(32a)는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63)과 고래층 사이에는 바닥판(62)이 후부방향으로 하향하면서 연기가 나가는 모든 바닥판이 고래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고래층 상부에는 구들층(61)이 고래 개자리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62)과 상기 구들층(61)의 재질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두께 4.5mm 이상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부(10)와 줄고래(30) 사이에는 아궁이부(10)를 통해 전달된 열기가 양옆으로 퍼지도록 상기 줄고래(30)의 방향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냉기(21)이 구비되며, 상기 부냉기(21)의 중간부분은 높고 양쪽은 낮게 형성하여 상기 부냉기(21)과 구들층(61) 사이에 형성된 부냉기 공간(22)이 아궁이부(10)와 가까운 중간부분은 작고, 아궁이부(10)와 먼 양측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고래(30)를 형성하는 줄고래둑(31)은 외부를 철판으로 용접 조립한 사다리꼴 박스형상으로 후부면의 하단부에는 습기 및 냉기 배출구(3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튼고래(40)는 열기를 머물게 하도록 3단계로 구성되는 허튼고래둑(41)을 구비하며, 1 내지 3 단계의 허튼고래둑(41a, 41,b, 41c)은 각각 열기구멍을 복수 개 구비하되 각 단계의 구멍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3단계 허튼고래둑(41c)의 배연구(43)는 굴뚝에서 먼 곳은 크게, 굴뚝에서 가까운 곳은 작게 형성되어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튼고래(40)를 형성하는 허튼고래둑(41)은 외부를 철판으로 용접 조립하고, 상부에는 배연구(42)를 복수개 형성하고 하단부에 습기 및 냉기 배출구(4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부(10)는 90~12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는 V자 형상으로 내부에는 2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2차공기 투입구(10a)를 구비하고, 입구에는 힌지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아궁이뚜껑(10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뚝(80)의 하단부에는 습기를 배출하고 완전 연소 후에 열기가 밖으로 새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냉기배출구(8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궁이에서 구들로 들어가는 불목둑(11)의 안쪽은 상부에는 석재구들(23)을 부냉기(21)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아궁이 입구의 구들층(61)의 상부에는 이중구들(64)을 형성하고, 상기 구들층(61)과 이중구들(64)의 사이에는 가열판(65a)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판(65a)에 히트관(65b)을 연결한 히트파이프(6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1020160101632A 2016-08-10 2016-08-10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10180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32A KR101802155B1 (ko) 2016-08-10 2016-08-10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32A KR101802155B1 (ko) 2016-08-10 2016-08-10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155B1 true KR101802155B1 (ko) 2017-11-29

Family

ID=6081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32A KR101802155B1 (ko) 2016-08-10 2016-08-10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98A (ko) * 2019-03-12 2020-09-22 정상혁 재난 구조 침대
KR20210076250A (ko)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온수텍 황토패널이 포함된 냉난방판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82B1 (ko) * 2007-06-14 2007-10-05 이윤모 온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82B1 (ko) * 2007-06-14 2007-10-05 이윤모 온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98A (ko) * 2019-03-12 2020-09-22 정상혁 재난 구조 침대
KR102174753B1 (ko) * 2019-03-12 2020-11-05 정상혁 재난 구조 침대
KR20210076250A (ko)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온수텍 황토패널이 포함된 냉난방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802B1 (ko) 온돌난방구조
RU2291999C1 (ru) Русская парная баня курина и банная печь с воздуховодом под подов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US4004731A (en) Device for transferring heat energy from a fireplace to a fluid heating system
KR101802155B1 (ko)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RU2448305C1 (ru) Русская парная баня е.в. бусыгина
RU8561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ечь-каменка
KR100746973B1 (ko) 구들장 벽난로
RU104674U1 (ru) Банная печь
RU2715487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с каменкой
CN206281210U (zh) 一种冷凝式内燃多回程锅炉
KR101147290B1 (ko) 열효율이 우수한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RU2241909C2 (ru) Печь для бань
BG2090U1 (bg) Кюнец-топлообменник
RU163581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13653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теплонакопительный камин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CN106524512A (zh) 一种冷凝式内燃多回程锅炉
RU2011121C1 (ru) Печь для бань
RU123116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2134556B1 (ko)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CN205825124U (zh) 供暖炉
RU2289069C1 (ru) Печь для обогрева помещения
CN104154653A (zh) 一种高效节能热风锅炉
KR102108840B1 (ko)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