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53B1 - 재난 구조 침대 - Google Patents

재난 구조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53B1
KR102174753B1 KR1020190028164A KR20190028164A KR102174753B1 KR 102174753 B1 KR102174753 B1 KR 102174753B1 KR 1020190028164 A KR1020190028164 A KR 1020190028164A KR 20190028164 A KR20190028164 A KR 20190028164A KR 102174753 B1 KR102174753 B1 KR 10217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lat panel
bed
disaster relief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098A (ko
Inventor
정상혁
Original Assignee
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혁 filed Critical 정상혁
Priority to KR102019002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7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63C9/30Floatable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구조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온돌 구조이고 외측면부가 황토 재질로 이루어진 평면패널;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을 따라 덮개로 설치되는 텐트;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평면패널을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난 구조 침대{bed for disaster relief}
본 발명은 재난 구조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가 만일 물속에 잠기는 상태가 되더라도, 이 구조물의 상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전체의 구조물이 물에 뜰 수 있는 재난 구조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계속적으로 자연환경과 인간이 만든 물질과 문명의 발달에 의한 재해에 대한 도전과 항전을 계속해왔다.
각종 인재와 재해 속에서 인간이 이를 극복하면 편리하고 편안한 삶을 누리고, 그러지 못하면 극심한 후유증과 생활의 불편 속에서 살아가거나, 심지어는 생명을 마감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한 재해와 인재가 지엽적이고 규모가 작을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재해와 인재가 대규모이고 확산이 되면서 지속적으로 진행이 된다면 그 결과는 끔찍한 모습이 될 것이다. 여기에 대한 인간의 대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구호소 운영 메뉴얼에는 지방자치단체와 구호단체가 협력해 구호소나 대피소를 마련하는 한편 재해가 끝난 뒤엔 이재민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구호 기간을 연장하고 심리 상담을 병행하자는 내용 등이 담길 예정이다.
자세히 알아보면 인재에 의한 화재, 지진, 해일, 화산 폭발, 건물 붕괴, 가스 유출, 수재와 전쟁과 홍수 및 가뭄 그리고 대규모의 산불, 위급한 전염병 등에 의한 이재민과 난민이 발생한다.
또한 대규모의 행사 등이 개최될 때 한꺼번에 집중되는 참가자들의 발생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필요하게 되는 대규모의 집단의 수용시설이 단기간에 필요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1년에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과거에는 지진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는다는 쪽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볍게 여겨왔다.
그러나, 경주와 포항에 지진이 발생하게되자 많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기에 대한 준비는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현재, 포항에서의 경우에도 이재민이 발생하여 그들을 수용하는 과정을 보면, 집단으로 수용하는 장소로는 학교의 운동장과 체육관이고, 시설과 물품으로는 담요와 몇 가지의 간단한 생활용품 밖에 없었다.
하루나 이틀 또는 짧은 기간에 이러한 상황이 해결되어서 각자의 집과 일터로 돌아갈 수 있다면 수용시설에서의 불편함은 각자가 극복해야 하지만, 이러한 생활의 형태가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상황이 된다면, 다른 시각에서 이 상황을 바라보고 대비를 해야 한다.
또한, 현대에는 여러 가지 행사와 레저활동으로 인하여 야외에서 취침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물론, 여러 가지 형태의 취침시설이 준비되어 있기도 하고, 준비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1인이나 2인이 사용하고 이동 및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4계절 사용 가능하고 바람과 비와 강설(强雪)에 대비하며, 대규모의 보관, 운반, 설치, 해체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재민, 난민, 필요에 의한 이용자를 집단으로 수용하게 되면 대규모의 천막에서 남녀의 구분과 가족의 구분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지지 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설물이 필요로 된다.
특히나, 수용시설 內에서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과 부모, 환자와 가족, 부부가 같은 공간에서 취침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해 주는 내부의 공간과 시설물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전기와 가스 등이 공급이 되는 장소와 될 수 있는 환경에서는 난방에 대한 부분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이러한 것들이 없는 곳에서는 겨울의 추위, 계절마다 찾아오는 비와 바람, 서리 등에 대한 대비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난방에 대한 방안으로서는 집단난방과 개별난방이 있는데, 본 제안은 개별난방 中에서도 우리나라의 온돌방식을 통한 방법으로 해결하도록 한다.
한편, 침대는 휴식과 수면을 취하기 위한 가구의 일종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가정용, 병원용, 군용, 차량용으로 구분되며, 그 크기에 따라 더블, 싱글, 세미더블, 유아용 침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통상적으로 침대는 침대 전체의 형태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안치되는 메트리스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침대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기능성 침대가 개발되었다. 예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7768호에는 캡슐형 황토 침대 및 그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받침다리(11)가 각 모서리에 설치되고, 면을 일정 형태로 갖는 침대틀(10) 상부에 돔형 벽체(30)를 구성하고 다시, 상기 돔형 벽체(30)에 출입문(34)과 창문(15)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침대틀(10) 위에 바닥 난방층과 그 위에 황토석이 적층된 황토바닥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돔 내부에서 휴식 및 숙면뿐만 아니라 찜질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지진이나 해일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게될 문제가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 범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등에 기인하여 지진, 해일, 홍수 등의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재난발생시 건물 내부에 있는 인원의 경우,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것은 시간상 사실상 불가능 하며, 침대 등 가구 밑에 대피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통상의 가구들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않아, 또한, 충분한 밀폐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낙하물로부터 인원을 보호하지 못하였다. 전술한 발명과 같이 밀폐된 침대의 경우도 낙하물로부터 인원을 보호할 수 없으며, 인원이 생존한다고 가정하여도 구조시간까지 견딜 수 없음은 당연하다.
더욱이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는 인원의 경우에는 재난발생시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게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종래 발명은 침대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진동의 주기, 강도, 방향을 포함한 초기 설정값이 저장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과 상기 초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판단모듈과; 상기 제어판단모듈에 의해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판단모듈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작동시 상기 침대본체와 함께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침대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침대본체 상에 위치한 인원을 외부 낙하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수면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난발생시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게되고, 재난이 발생한 후 지속적인 관리와 위험 상황에 대한 보호 및 생명 유지에 대해서는 전혀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대피공간(22)이 구비되는 본체부(20); 사용자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20) 상부에 결합되어 재난 발생 시 사용자가 상기 대피 공간(22)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에 의해 본체부(20) 상부를 개방하는 상판(21); 재난 발생시 하강하여 본체부(20)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본체부(20)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0); 상기 본체부(2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10)의 상하 이동 및 상판(21)의 회동이 이뤄지도록 하는 무동력 견인부(30); 및 상단이 상기 덮개부(10) 상측 위치에 돌출되고, 하단은 상기 무동력 견인부(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덮개부(10) 상측에 발생되는 재난을 감지하여 상기 무동력 견인부(30)에 전달함으로써 무동력 견인부(30)를 구동시키는 재난 감지부(40);를 포함하는 재난 대비 침대의 경우 외부 배터리의 전력 공급 없이 침대의 내측에서 덮개부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없으며, 문제가 발생하여 덮개부를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 유아나 장애인이 이러한 상황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각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도면 부호와 상관 없다.
또한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180,190)와; 진동의 주기, 강도, 방향을 포함한 초기 설정값이 저장되며, 상기 센서(180,190)로부터 감지된 진동과 상기 초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판단모듈(110)과; 상기 제어판단모듈(110)에 의해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판단모듈(1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작동시 상기 침대본체(100)와 함께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침대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침대본체(100) 상에 위치한 인원을 외부 낙하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침대본체 상에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낙하물 등으로부터 인원을 보호할 수 있지만 내부를 침실로 개조하고 하측부에 다리를 설치하더라도 침대 본체의 무게로 부력이 없이 가라앉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침대본체(100), 수위감지센서(110), 제어판단모듈(115), 밀폐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각 구성품이 설치되거나 또는 구성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밀폐장치의 캡슐(131)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지진 발생시 낙하물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성일지 모르나 해일, 홍수 등 재난 발생시 다소 복잡한 구조의 밀폐장치의 캡슐이 고장날 염려가 있고 침대 본체의 무게로 부력이 없이 가라앉을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8-0015489호 일본공개특허 제13029176호 일본공개특허 제181981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가 온돌 구조이고 외측면부가 황토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침대 공간에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가 만일 물속에 잠기는 상태가 되더라도, 이 구조물의 상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전체의 구조물이 물에 뜰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재난 구조 침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돌로 이루어진 평면패널;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로 이루어진 제1 평면패널; 상기 제1 평면패널의 측면과 상측면을 덮는 황토 재질의 제2 평면패널;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패널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로 이루어진 평면패널;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온돌 구조이고 외측면부가 황토 재질로 이루어진 평면패널;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을 따라 덮개로 설치되는 텐트;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평면패널을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다리는 "ㄴ"형상의 브라켓에 직선과 곡선 모양의 2개의 파이프를 모아 연결한 "y"형상이다.
상기 평면패널의 양 외측부의 4곳 또는 복수개의 위치에 설치하여 상부의 하중에 견디면서, 만일 물속에 잠기는 상태가 되더라도, 이 구조물의 상부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형성되어 전체의 구조물이 물에 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트는, 외부 유해 환경에 대한 방어를 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아우터 텐트; 및 상기 아우터 텐트와 함께 내외부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단열과 보온의 효과를 내는 역할을 하는 이너 텐트;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패널 하측부에 "L"자형 연도를 이루며 상기 "L"자형 연도의 일측부에 문과 공기 조절구를 설치하여 연소의 정도를 조절하는 아궁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패널의 내부는 일정 깊이로 파여 있고, 각각의 물품이 분리 보관될 수 있도록 칸막이가 설치된다.
상기 "y" 형태 등으로 연결된 파이프의 상부쪽은 막힌 상태이고, 지면쪽의 끝단은 수평 절단면이 원형이고 수직 절단면이 반원형인 상협하광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것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눈, 비, 바람, 한랭한 공기, 유해 동물과 곤충 등에 대한 방어를 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텐트는 아우터 텐트와 함께 내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단열과 보온의 효과를 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악의 상황에서도 이용자 각각의 몸과 마음의 상태에 맞는 난방이 가능케 함으로써, 집단수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된 파이프의 상부 쪽은 막힌 상태이고, 지면쪽의 끝단은 환상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를 부착하여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고, 지면에 파고드는 면적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다리는 지면에서 올라오는 벌레나 곤충 기타 유해한 생물이나 물건의 진입을 막아주며, 한기나 습기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의 소모를 줄여주고 빠른 가열과 온도의 조절 및 재청소의 편리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 본체 상에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재난에 의한 인명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용 텐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침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침대의 추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침대의 받침대, 받침다리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연도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뚝이 추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연도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형상의 내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온돌로 이루어진 제1 평면패널(11), 상기 제1 평면패널의 측면 또는 상측면을 덮는 황토 재질의 제2 평면패널(1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11, 12)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20), 상기 수직패널(20)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봉(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평면패널(11, 12)들은 철판으로 우리나라 전통의 온돌과 아궁이를 만들고, 이것을 단열재로 밑면과 옆면에 보온을 하고, 황토를 옆면과 윗면에 덮고, 전체를 철판 등으로 감싼다.
특히 제2 평면패널은 제외될 수도 있으며, 상측부에 약간 경사(측면에서 봤을 때 사선 기울기)를 주어 침대와 같은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패널(11, 12)들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나 열에 강한 소재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판은 열전도율이 매우 우수하므로 평면패널(11, 12)의 온도를 빨리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패널(11, 12)에는 내열실리콘과 내열페인트, 분무식 단열재를 시공하여 단열과 보온,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또는 평면패널(11)의 바닥부의 외측에는 단열 페인트를 도포한다.
상기 한쌍의 수직패널(20)에는 각종 개인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을 설치한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은 결착식으로 할 수 있다.
수직패널 구조물을 평면패널(11, 12)의 양쪽 끝단에 위치시킬 때, 중간에 생성되는 공간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이며, 이것은 상측부에 복수개의 파이프로 연결하여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상기 수직패널(20)에 나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평면패널(11, 12) 양쪽 끝단에 개인의 사물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과 보관공간을 만들어 준다.
상기 보관공간(21, 22)은 보관함 다수를 하나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거나 보관함 한 칸의 크기보다 큰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은 물건을 보관할 때에는 보관함을 일부 공간에 작게 한 칸만을 사용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보관함 중 하나인 비상물품저장부는 지진 등 재난 발생시 전술한 차폐장치의 작동에 의해 밀폐공간 상에서 사용자가 일정기간(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동안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물품 즉, 비상식량, 물 등과 외부와의 송수신을 위한 원거리통신장치, LED 렌턴, 단파 라디오 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상물품저장부는 보관된 비상물품을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장치와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지는 평상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충전되며, 외부전원 차단시에는 냉각장치, 원거리통신장치, 단파 라디오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원거리 통신 장치는 단파송수신을 수행하여 홍수 등에 의해 떠내려갔을 경우 또는 지진 등에 의해 매몰된 경우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GPS 등의 위치표시기능과, 홍수 등에 의해 상당한 거리 표류했을 경우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조 점멸 기능을 더 갖추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에 걸쳐져 설치되는 텐트는 한겹 또는 2중으로 설치하는데, 아우터 텐트는 눈, 비, 바람, 한랭한 공기, 유해 동물과 곤충 등에 대한 방어를 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2중으로 설치할 경우 이너 텐트는 아우터 텐트와 함께 내외부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단열과 보온의 효과를 내는 역할을 한다.
아우터 텐트 및 이너 텐트는 각각 캠핑용 텐트로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지만, 다르게는 이너 텐트는 보호용 텐트로의 기능을 하지만, 아우터 텐트는 그늘막으로 사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이너텐트에는 수분센서와 질소가스를 포함하는 튜브를 부착하여 홍수 등으로 물이 찰 경우 이를 검지한 후, 수분센서의 수분검지정보로 질소공기가 텐트로 주입되어 부력을 형성하여 텐트가 물에 뜨도록 한다.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텐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텐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텐트 내에서 외부 하늘을 바라볼 수 있다. 특히 제2 윈도우는 제1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텐트 사용자가 제2 윈도우로 시선을 향함과 동시에 제1 윈도우에서 보여지는 외부 전경이 제2 윈도우로 보여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투명 혹은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텐트는 아우터 텐트의 제1 윈도우와 대향되는 제2 윈도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너 텐트의 제2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아우터 텐트 내에 이너 텐트가 설치된 캠핑용 텐트의 사용자가 이너 텐트에서 제1 및 제2 윈도우를 통해 외부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투명 혹은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그물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 텐트 내에 설치된 이너 텐트를 아우터 텐트에서 분리함으로써, 주변환경에 따라 텐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텐트의 출입구와 창문은 방충망, 차면시설,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평면패널(11, 12)의 바닥면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상승되게 하고, 분해 조립이 가능한 받침다리(41)를 설치한다.
평면패널(11, 12)의 내부 구조는 철판으로 조성된 온돌구조물과 아궁이를 설치함으로써,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목질계 등의 연료로 난방이 가능하고, 전기가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전기를 이용한 난방기구를 아궁이에 설치하여 각각의 텐트에 난방이 가능한 개별난방의 형태를 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눈, 비, 바람, 한랭한 공기, 유해 동물과 곤충 등에 대한 방어를 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고, 이용자 각각의 몸과 마음의 상태에 맞는 난방이 가능케 함으로써, 집단수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아궁이(111)는 철, 도자기, 세라믹 등으로 만들고, 온돌구조물과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그 구조는 전기나 가스 또는 유류 등이 공급될 때는 그 연소 기구를 하부로 걸림턱(114)에 걸어 넣을 수 있고, 목질계 연료를 태워서 난방해야 할 때는 상부나 위의 연소 기구를 넣는 아궁이 구멍을 통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그 구멍에는 문과 공기 조절구를 설치하여 연소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역풍에 의한 열기와 연기의 역류를 저지해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아궁이(111)는 전체적으로 "L"자형 연도를 이루며 로켓 보일러(Rocket Boiler)의 형태를 갖추게 함으로써 고온의 연소가 가능케 되어 완전연소에 가까운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L"자형 연도에는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 조절홀(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연료의 소모를 줄여주고 빠른 가열과 온도의 조절 및 재청소의 편리 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패널(11, 12) 내부의 고래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고래둑이 형성됨으로써, 고래를 거쳐 유입된 열기가 1회 제공시에도 열전도가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평면패널의 열전도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아궁이(111)에서 발생하는 화기를 전달받아 열을 저장하기 위해 평면패널 내부에 열이 이동하는 열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아궁이(111)가 설치된 동일 측면에 연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기배출구에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굴뚝(122)과 연결되는 연통관이 상기 평면패널에 결합된다.
상기 열이동통로에서 침대에 열기를 전달하고 침대 내부에 충진된 황토와 자갈 또는 맥반석으로 이루어진 축열부에서 열기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열이동통로로서 연소연기와 열기가 유동하는 제1 고래층과, 상기 제1 고래층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어 제1 고래층의 열기를 침대 공간 바닥층에 전달하는 제2 고래층, 상기 제2 고래층을 경유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궁이(111)의 방향과 동일 측면에 형성되는 굴뚝(122)에서 연기와 열기 배출의 균형을 맞춰 상기 침대 바닥부를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아궁이(111)에 들어가는 제1고래층(도 4의 A)은 면적이 넓고 굴뚝측의 제2고래층(도 4의 B)은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제2고래층의 열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침대 바닥부를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 원료인 펠릿을 연료로 하는 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침대에서 난방이 이루어져 제작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평면패널(11, 12)을 포함하는 구조물들을 지면에서 띄어주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는 "ㄴ"형태의 브라켓(44)에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y" 또는 "n" 형태 받침다리(41)를 이루게 하고, 이것을 평면패널(11, 12)의 양측면에 결착한다.
상기 "y" 형태 등으로 연결된 파이프의 상부쪽은 막힌 상태이고, 지면(저면)쪽의 끝단은 평판(42) 또는 환상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한다. 또한 환상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나팔관 형태의 판재는 지면에 파고드는 면적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하부와 나팔관 형태의 판재는 서로 관통하는 구조로 제조되어 무게를 경량화시키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y" 형태 구조물은 온돌구조물의 외부의 4곳 또는 수개를 설치하여 상부의 하중에 견디면서, 만일 물속에 잠기는 상태가 되더라도, 이 구조물의 상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전체의 구조물이 물에 뜰 수 있도록 한다.
설치된 "y" 형태 받침다리는 양쪽을 막아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 "ㅁ"자 형태의 사각 파이프나 판재구조물로서 가운데가 비어있는 구조물로 연결한다.
이 구조물은 이용자의 텐트 진입을 편리하게 하며, 신을 신거나 벗을 때 편리하도록 하며, 에어 포켓에서 만들어지는 부력을 증가시키면서, 물위에 떠 있을 때는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주는 카누의 플로트(float)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y" 형태 받침다리(41)는 댓돌의 역할도 하며, 온돌구조에 받침다리를 설치하여 지면과 차이를 줌으로써 이용자가 텐트로 들어갈 때 걸터앉을 수 있어 편안하게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받침다리(41) 마루에서 마당으로 내려올 때 단 차이를 줄여주며 신을 놓는 장소를 제공하며,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나 우천시 바닥에서 튀어오르는 흙탕물이 신발에 묻혀지지 않게 하는 기능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14)는 지면에서 올라오는 벌레나 곤충 기타 유해한 생물이나 위험한 물건의 진입을 막아주며, 한기나 습기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y" 형태 등으로 연결된 파이프의 상부쪽은 막힌 상태이고, 지면쪽의 끝단은 수평 절단면이 원형이고 수직 절단면이 반원형인 상협하광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재난상황감지수단은 영상으로 재난을 파악할 수 있는 CCTV, 지진이나 폭발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 농도감지센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영상, 진동, 화재, 질소산화물 또는 이산화탄소 감지시에 신호를 추가 연결되는 제어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상황감지수단, 재난방송수단, 상기 보관장치 본체에서 보관함 개폐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는 서랍식 보관함, 상기 보관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재난상황임을 알리는 알림수단 및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에서 재난상황을 감지한 후 신호를 수신받아 수직패널(20) 내에 보관함 개폐수단 및 알림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방화복, 소화기 및 비상약품함을 별도로 보관하여 꺼내어 쓸 수 있는 보관함을 포함한다.
11 : 제1 평면패널
12 : 제2 평면패널
20 : 수직패널
21, 22 : 보관공간
30 : 연결봉

Claims (7)

  1. 내부가 온돌 구조이고 외측면부가 황토 재질로 이루어진 평면패널(10);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을 따라 덮개로 설치되는 텐트;
    상기 평면패널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평면패널을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받침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다리는 "ㄴ"형상의 브라켓에 직선과 곡선 모양의 2개의 파이프를 모아 연결한 "y"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내부가 비어 있어 만일 물속에 잠기는 상태가 되더라도, 내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전체의 구조물이 물에 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외부 유해 환경에 대해 방어하면서,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아우터 텐트; 및
    상기 아우터 텐트와 함께 내외부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단열과 보온의 효과를 내는 역할을 하는 이너 텐트;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패널 하측부에 "L"자형 연도를 이루며 상기 "L"자형 연도의 일측부에 문과 공기 조절구를 설치하여 연소의 정도를 조절하는 아궁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패널의 내부는 일정 깊이로 파여 있고, 각각의 물품이 분리 보관될 수 있도록 칸막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 형태 등으로 연결된 파이프의 상부쪽은 막힌 상태이고, 지면쪽의 끝단은 수평 절단면이 원형이고 수직 절단면이 반원형인 상협하광의 나팔관 형태의 판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것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침대.
KR1020190028164A 2019-03-12 2019-03-12 재난 구조 침대 KR10217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64A KR102174753B1 (ko) 2019-03-12 2019-03-12 재난 구조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64A KR102174753B1 (ko) 2019-03-12 2019-03-12 재난 구조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98A KR20200109098A (ko) 2020-09-22
KR102174753B1 true KR102174753B1 (ko) 2020-11-05

Family

ID=7270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64A KR102174753B1 (ko) 2019-03-12 2019-03-12 재난 구조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2395B (zh) * 2021-01-24 2023-06-09 宜昌力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收缩式切割器防雨棚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55B1 (ko) * 2016-08-10 2017-11-29 이경희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001U (ja) * 1992-11-17 1994-06-14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二重テント装置
JPH09234135A (ja) * 1996-02-29 1997-09-09 Norio Katsuki 就寝者の保護装置
KR100209939B1 (ko) 1996-08-22 1999-07-15 이상훈 절대 압력계
JP3777446B2 (ja) * 1997-05-06 2006-05-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事件事故現場保存用テント
JP5812267B2 (ja) 2011-07-29 2015-1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管用ねじ継手の製造方法
KR20130062126A (ko) * 2011-12-02 2013-06-12 정운황 재난 대비용 침대
JP2018198109A (ja) 2015-10-13 2018-12-13 株式会社ギャラキシー 電池負極活物質液及び電池正極活物質液並びにこれらの調製方法
KR102304821B1 (ko) * 2017-03-16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55B1 (ko) * 2016-08-10 2017-11-29 이경희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98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5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ielding against natural disasters, terror acts and war hazards
KR102174753B1 (ko) 재난 구조 침대
KR101380202B1 (ko) 재난시 인명을 구조하는 안전룸 기능을 구비한 재난 안전 건물
WO2019038971A1 (ja) 避難シェルターとしても機能するバス・モジュール、及び当該バス・モジュールを囲う剛性のフレームワーク
KR20190120959A (ko) 캡슐보호장치
JP6083775B1 (ja) 災害時避難設備
JP5543678B1 (ja) 区画間仕切りが可能な蓄熱タンクを装備したベツト
JPH0731063U (ja) 災害からの避難システム
JP2015169054A (ja) 津波用天井避難部屋
JP6368892B1 (ja) 津波、洪水、高潮対策用の避難部屋付き建築建造物
JP6402296B1 (ja) 津波、洪水、高潮対策用の避難部屋付き建築建造物
WO2017047026A1 (ja) 避難カプセル
WO2019167211A1 (ja) シェルタを備えた建築物
JP2013002199A (ja) 温熱療浴兼用の地震対応避難シェルター
EP2099988B1 (en) Building assembly forming an enclosed climate zone
Bannister et al. Housing for older people
Bannister et al. 22 Housing for older people
Layaoen Emergency Architecture: A Temporary Housing Solution for Post-disasters in Hawaii
Acheson Health and housing-annual lecture
JPS61179973A (ja) 住居兼用防災シエルタ−
KR20120118123A (ko) 이재민을 위한 간이용 비닐텐트
Navarro et al. Earthquake Precautionary Measures in Post-disaster Housing with Reference to Mexico City, Mexico
OFFICE OF CIVIL DEFENSE WASHINGTON DC PROTECTIVE STRUCTURES DIV INCORPORATION OF SHELTER INTO SCHOOLS
EDITION INCORPORATION OF SHELTER INTO SCHOOLS
Hilu et al. Housing and institutional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