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782B1 - 온돌장치 - Google Patents

온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782B1
KR100763782B1 KR1020070058392A KR20070058392A KR100763782B1 KR 100763782 B1 KR100763782 B1 KR 100763782B1 KR 1020070058392 A KR1020070058392 A KR 1020070058392A KR 20070058392 A KR20070058392 A KR 20070058392A KR 100763782 B1 KR100763782 B1 KR 10076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ayer
whale
roaster
chim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모
Original Assignee
이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모 filed Critical 이윤모
Priority to KR102007005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바닥층과, 상기 방바닥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방바닥층으로 열을 전달하는 구들층과, 상기 구들층의 하측에 마련된 바닥층과, 상기 구들층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하는 아궁이부와, 상기 구들층을 경유한 열이 배출되는 굴뚝을 포함하는 온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궁이부는, 연료가 적재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연료적재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구획된 로스터와; 상기 로스터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대응하는 상기 로스터의 연부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열의 누설을 차단하는 열차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적은 연료비로 높은 난방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돌장치{UNDERFLOOR HE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래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턱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의 구들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집열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석고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아궁이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로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돌장치 110 : 바닥층
120 : 고래층 121 : 고래
125 : 열차단턱 130 : 구들층
140 : 방바닥층 150 : 아궁이부
151 : 로스터 153 : 도어틀
153a : 기밀리브 155 : 도어
160 : 굴뚝 170 : 개자리
본 발명은 온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효율을 증가시킨 온돌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돌장치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건축물의 난방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온돌장치는 방바닥 아래로 구들장을 마련하고, 구들장의 아래에 열기가 유동하는 고래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래의 사이로 이동하는 열기 또는 연소연기가 구들장을 통해 방바닥으로 전달되어 난방이 이루어진다.
전통적인 방식의 온돌장치는 아궁이를 이용하여 목재를 태우고, 여기서 발생된 연소연기가 고래의 사이로 이동하여 난방을 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식의 온돌장치는 적외선 방출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열손실이 커서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의 온돌장치는 고래의 배치에 따라 아궁이와 가까운 윗목과 아궁이로부터 떨어진 아랫목 사이에 온도 편차가 심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온돌장치는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켜 방바닥을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보일러를 통해 물을 가열하기 위 해서는 별도의 연료로 물을 가열해야 하므로 연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연료비로 높은 난방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온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방바닥층과, 상기 방바닥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방바닥층으로 열을 전달하는 구들층과, 상기 구들층의 하측에 마련된 바닥층과, 상기 구들층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하는 아궁이부와, 상기 구들층을 경유한 열이 배출되는 굴뚝을 포함하는 온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부는, 연료가 적재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연료적재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구획된 로스터와; 상기 로스터를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상기 로스터의 연부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열의 누설을 차단하는 열차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들층은 상기 아궁이부에서 발생된 열이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층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고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래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들층은 상기 고래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아궁이부에서 발생된 열을 집중하는 금속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주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집열판의 열을 전달하는 석고보드판과; 상기 석고보드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석고보드판의 열을 전달하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뚝과 인접하는 영역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어 상기 굴뚝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개자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자리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고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자리로의 열의 유입을 방지하는 열차단턱을 더 포함하할 수 있다.
상기 열차단턱은 상기 굴뚝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100)는 방벽(S) 사이에 채워진 바닥층(110)과, 바닥층(1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연소연기와 열이 유동하는 고래층(120)과, 고래층(120)의 상측에 마련되어 고래층(120)으로 유동하는 열을 방바닥(140)으로 전달하는 구들층(130)과, 구들층(130)의 상측에 마련된 방바닥층(110)을 포함한다. 또한, 난방장치(100)는 고래층(120)에 연결되어 연소열기와 열기를 발생하는 아궁이부(150)와, 연소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160)과, 고래층(120)과 굴뚝(160) 사이에 마련되어 연소열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개자리(170)를 포함한다.
바닥층(110)은 고래층(120)의 하측에 마련되어 방의 기본적인 높이를 형성한다. 바닥층(110)은 흙 또는 황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층(110)과 고래층(120)의 경계에는 흙 또는 황토의 습기가 고래층(1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두께의 비닐(113)이 깔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래층(120)은 아궁이부(150)에서 발생된 연소연기 또는 열기를 방 전체로 전달한다. 고래층(120)은 소정 높이로 골을 이루듯이 형성된 고래(121)와, 고래(121) 사이에 형성되어 연소연기가 이동하는 유동로(123)와, 고래(121)와 고래(121)를 연결하는 열차단턱(125)을 포함한다.
고래(121)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마련된다. 고래(121)는 바닥층(110)으로부터 20~30Cm 높이로 마련된다. 고래(121)는 황토벽돌 또는 시멘트벽돌, 그리고 황토와 시멘트를 혼합한 벽돌(도10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래(121)를 황토벽돌로 형성한 경우 초기 시공비용은 증가할 수 있으나 황토가 인체에 유익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래(121)를 황토(121b)와 시멘크(121a)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황토벽돌에 비해 시공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했을 경우 시멘트는 내구성이 약해 부식되므로 황토(121b) 만이 남게된다.
고래(121)는 방 전체영역으로 고르게 열기를 전달하기 위해 아궁이부(150)에 가까운 영역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아궁이부(150)로부터 이격된 영역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동로(123)는 고래(121)와 고래(121) 사이에 형성되어 아궁이부(150)에서 발생된 열기가 이동한다. 여기서, 유동로(123)는 고래(121)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60)과와 인접하는 영역에는 유동로(123)를 통해 이동된 열기가 굴뚝(160)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고래층(120)에서 다시 순환할 수 있도록 열기를 순환하는 순환로(123a)가 형성된다. 순환로(123a)는 열기가 고래층(120)에 머무르는 시간을 지연하여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열차단턱(125)은 개자리(170)와 인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유동로(123)를 통해 이동한 열기와 연소연기가 개자리(170)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고래층(120) 내에 머무르도록 한다. 여기서, 열차단턱(125)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6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1>h2>h3>h4). 이는 굴뚝(160)에 가까운 유동로(123)로 이동한 열기가 굴뚝(160)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의 유동로(123)로 이동한 열기에 비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유동로(123) 내에 체류하는 높이가 낮기 때문이다.
구들층(130)은 고래층(120)의 상측에 마련되어 고래층(120)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 및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축적하고, 축적된 열을 방바닥층(110)으로 전달한다. 구들층(13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궁이부(150)의 상측에 마련된 집열판(131)과, 집열판(131)의 둘레영역에 마련되어 집열판(131)에 축적된 열을 절달하는 열전달부재(133)와, 열전달부재(133)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금속판(135)을 포함한다.
집열판(131)은 아궁이부(150)의 상측에 마련되어 아궁이부(150)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직접 가열된다. 집열판(13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률이 좋은 금속재질로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집열판(131)은 금속판(131a)과, 금속판(131a)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판(131a) 표면에 마련된 보강리브(131b)를 포함한다. 보강리브(131b)는 금속판(135)의 테두리영역과 내부영역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장기간 가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금속판(135)의 휨변형을 최소화 한다.
보강리브(13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그물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135)의 상부영역에 마련되거나 하부영역에도 마련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133)는 집열판(131)의 둘레영역에 마련되어 집열판(131)에 축적된 열을 전체로 전달한다. 열전달부재(133)는 집열판(131)과 금속판(135) 보다 열전달률이 낮은 부재로 마련되어 집열판(131)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축적한다. 집열판(131)과 금속판(135)은 열전달률이 높아 빠르게 온도가 올라가는 반면 쉽게 식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열전달부재(133)는 집열판(131)과 금속판(135) 사이에 마련되어 열을 장시간 축적하여 방바닥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열전달부재(133)는 일반적으로 석고보드(133a, 133b)로 마련될 수 있다. 석고보드(133a, 133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모양으로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결모양의 곡면을 타고 연소연기와 열기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집열판(131)의 상측에 마련된 석고보드(133a)는 물결무늬가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집열판(131)의 양측에 마련된 석고보드(133b)는 물결무늬가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135)은 열전달부재(133)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열전달부재(133)에 축열된 열을 전체로 전달한다.
방바닥층(110)은 구들층(130)의 상측에 마련되어 구들층(1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전달받아 축열하여 장시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방바닥 층(110)의 상측에는 일반적으로 장판(미도시)이 깔리게 된다. 여기서, 방바닥층(110)은 황토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황토는 건강에 유익한 적외선을 방출하고 온기를 오랫동안 축적한다.
여기서, 집열판(131)에 대응하는 방바닥층(110)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멘트층(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층()은 초기 시공후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이후 시간이 경과하며 부식에 의해 없어질 수 있다.
한편, 방바닥층(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궁이부(150) 측에서 굴뚝(160)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궁이부(150) 측의 아랫목은 온도가 뜨거우므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굴뚝(160) 측의 윗목은 아궁이부(150)로부터 전달된 열기가 많지 않으므로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두께를 아랫목에 비해 얇게 형성한다.
아궁이부(150)는 원료를 태워 연소연기 및 열기를 발생한다. 아궁이부(150)는 나무와 같은 연료가 적재되는 로스터(151)와, 방벽(S) 상에 마련된 도어틀(153)과, 로스터(151)를 기준으로 상측 도어틀(1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도어(155)와, 하측 도어틀(1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도어(157)를 포함한다.
아궁이부(15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층(120)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연료를 태워 연소연기와 열기를 발생시킨다. 아궁이부(150)에서 발생된 연소연기는 고래(121)를 따라 유동하고 열기는 집열판(131)과 석고보드(133a, 133b)에 축적된다.
로스터(151)는 목재, 석탄 등과 같은 연료를 적재한다. 로스터(151)는 연료 가 연소된 후 발생된 재가 하부공간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다공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스터(151)는 연료와 불에 직접 접촉하므로 열변형을 줄이기 위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상위 금속봉(151a) 아래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강 금속봉(151b)을 결합시키고, 최하측에 다시 수직한 방향의 금속봉(151c)를 결합하여 3층 구조를 갖도록 마련한다. 이에 의해 금속봉(151a)의 수직 수평방향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틀(153)은 벽면(S)에 형성되어 도어(155, 157)가 개폐가능하게 결합한다. 도어틀(153)에는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열기를 단속하는 기밀리브(153a)가 마련된다. 기밀리브(153a)는 용접에 의해 테두리를 따라 소정 두께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단면형상은 후술할 도어(155, 157)의 물림리브(155a)에 대응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55, 157)는 도어틀(153)에 결합되어 로스터(151)에서 발생된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고, 아궁이부(150)로 전달되는 풍량을 조절하여 연료()의 연소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도어(155, 157)는 로스터(151)를 중심으로 상하로 마련된다. 상부도어(155)는 사용자가 로스터(151)에 연료를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고, 하부도어(157)는 연료의 연소후 발생하는 재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각 도어(155, 157)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틀(153)의 기밀리브(153a)에 맞물리게 형성된 물림리브(155a)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도어(155, 157)가 도어틀(153)에 결합된 경우 물림리브(155a)와 기밀리브(153a)가 상호 맞물 려 아궁이부(150)에서 생성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고래층(120)으로 모두 전달되도록 한다.
굴뚝(160)은 아궁이부(150)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고래층(120)을 경유한 연소연기를 외부로 유출한다.
개자리(170)는 고래층(120)과 굴뚝(160) 사이에 함몰 형성되어 고래층(120)으로부터 이송된 열기()까 굴뚝(160)으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고래층(120) 내에 보다 오래 머무르도록 한다. 또한, 개자리(170)는 굴뚝(160)으로부터 역류되어 들어온 이물질 및 나쁜 공기가 고래층(120)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개자리(17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60)과 고래층(120)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100)의 난방과정을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아궁이부(150)의 상부도어(155)를 개방하고 목재를 적재한다. 그리고 불을 피워 목재를 연소시킨다. 상부도어(155)와 하부도어(157)를 도어틀(153)에 결합시킨다. 이 때, 도어(155, 157)의 물림리브(155a)와 도어틀(153)의 기밀리브(153a)가 상호 맞물려 아궁이부(150) 내에서 발생된 열기 및 연소열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고 고래층(120)으로 모두 전달된다.
아궁이부(150)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소열기는 고래(121) 사이로 형성된 유동로(123)를 따라 방 전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아궁이부(150) 상측에 마련된 집열판(131)은 급속도로 가열되고 이웃하는 석고보드(133a, 133b)로 열을 전달한다. 집 열판(131)과 석고보드(133a, 133b) 및 금속판(135)에 전달된 열기는 방바닥층(110)으로 전달되어 축열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유동로(123)를 따라 이동하는 연소열기()는 열차단턱(125)에 이르러 개자리(170)로 떨어지지 못하고 다시금 고래(121) 사이로 이동하여 고래층(120)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고래층(120)에 머물르던 열기는 시간이 흐르면서 개자리(170)로 이동하고 굴뚝(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통상적인 두께의 목재 4개를 로스터(151)에 2시간 연소시켰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100)는 방바닥이 25℃ 내외로 72~80 시간 정도 유지되는 결과를 보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돌장치(100)는 목재와 같은 자연연료를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시골마을에 설치할 경우 연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 유출되는 열기를 단속하여 난방시간을 늘릴 수 있으므로 난방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연료비로 장시간의 난방효과를 제공하는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방바닥층과, 상기 방바닥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방바닥층으로 열을 전달하는 구들층과, 상기 구들층의 하측에 마련된 바닥층과, 상기 구들층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하는 아궁이부와, 상기 구들층을 경유한 열이 배출되는 굴뚝을 포함하는 온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부는,
    연료가 적재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연료적재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구획된 로스터와;
    상기 로스터를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상기 로스터의 연부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열의 누설을 차단하는 열차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층은,
    상기 아궁이부에서 발생된 열이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층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고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래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층은
    상기 고래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아궁이부에서 발생된 열을 집중하는 금속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주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집열판의 열을 전달하는 석고보드판과;
    상기 석고보드에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석고보드판의 열을 전달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과 인접하는 영역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어 상기 굴뚝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개자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자리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고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자리로의 열의 유입을 방지하는 열차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턱은 상기 굴뚝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장치.
KR1020070058392A 2007-06-14 2007-06-14 온돌장치 KR10076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92A KR100763782B1 (ko) 2007-06-14 2007-06-14 온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92A KR100763782B1 (ko) 2007-06-14 2007-06-14 온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782B1 true KR100763782B1 (ko) 2007-10-05

Family

ID=3941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392A KR100763782B1 (ko) 2007-06-14 2007-06-14 온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7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494B1 (ko) 2009-04-29 2012-08-27 김정표 구들 구조물
KR101530596B1 (ko) * 2013-09-02 2015-06-22 정의철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751644B1 (ko) * 2016-07-01 2017-06-28 유종 가마 구들
KR101802155B1 (ko) * 2016-08-10 2017-11-29 이경희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102505786B1 (ko) * 2022-05-10 2023-03-07 (주)계림건축사사무소 온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015A (ko) * 2002-08-02 2002-08-24 정문화 온돌과 폐수열 및 폐열회수기를 결합한 고효율 난방 및온수공급 시스템
KR20030088748A (ko) * 2002-05-15 2003-11-20 구재완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KR20190000890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스 금지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748A (ko) * 2002-05-15 2003-11-20 구재완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KR20020068015A (ko) * 2002-08-02 2002-08-24 정문화 온돌과 폐수열 및 폐열회수기를 결합한 고효율 난방 및온수공급 시스템
KR20190000890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스 금지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494B1 (ko) 2009-04-29 2012-08-27 김정표 구들 구조물
KR101530596B1 (ko) * 2013-09-02 2015-06-22 정의철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751644B1 (ko) * 2016-07-01 2017-06-28 유종 가마 구들
KR101802155B1 (ko) * 2016-08-10 2017-11-29 이경희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102505786B1 (ko) * 2022-05-10 2023-03-07 (주)계림건축사사무소 온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782B1 (ko) 온돌장치
EP2107315A2 (en) Fireplace
KR101000802B1 (ko) 온돌난방구조
KR20170011319A (ko) 전통구들방식을 이용한 복합난방 시스템
KR101257738B1 (ko) 온돌의 축열 구들의 구조
KR20100038804A (ko) 2중구들 황토방 및 보일러 겸용 벽난로
RU2610411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02155B1 (ko)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RU202564U1 (ru) Банная печь
KR20090086889A (ko) 다기능 구들난방 장치
KR20120125415A (ko) 농업용 연탄보일러
KR20100069060A (ko) 아궁이 난방구조용 구들장블럭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CN102705982A (zh) 卧式热风炉
CN106958943A (zh) 电加热固体蓄热锅炉和电加热固体蓄热系统
RU2551183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2973522U (zh) 卧式热风炉
KR102108840B1 (ko)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난로
KR102134556B1 (ko)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CN201003777Y (zh) 不锈钢铜热导管家用采暖炉
RU2543924C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RU2818956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4933U1 (ru) Банная печь
CN203824283U (zh) 炉灶
KR102409544B1 (ko)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