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840U -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 Google Patents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840U
KR20190000840U KR2020170005054U KR20170005054U KR20190000840U KR 20190000840 U KR20190000840 U KR 20190000840U KR 2020170005054 U KR2020170005054 U KR 2020170005054U KR 20170005054 U KR20170005054 U KR 20170005054U KR 20190000840 U KR20190000840 U KR 20190000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portion
linear unit
cable
protru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쳉 리우
Original Assignee
웬-쳉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쳉 리우 filed Critical 웬-쳉 리우
Priority to KR2020170005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840U/ko
Publication of KR20190000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거나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리니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니어 유닛은 바 형상의 중앙돌출체, 바 형상의 좌측 돌출부 및 바 형상의 우측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와 상기 우측 돌출부는 중앙돌출체의 좌측과 우측에 분리 설치되고, 상기 좌측 돌출부와 상기 우측 돌출부는 상기 중앙돌출체의 하단에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데, 리니어 유닛의 어느 한쪽 중앙돌출체가 자신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자체적인 권선에 의한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고, 리니어 유닛의 어느 한쪽 중앙돌출체가 다른 리니어 유닛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Self winding type linear unit}
본 고안은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사하게는 자체적인 권선 또는 배열 형상의 적층이 가능한 케이블 트리밍 구조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제품이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 상당한 편리성을 가져다 주고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상당히 의존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초래하고 있다. 사람들은 외출 시 이러한 전자제품들을 수시로 사용하기 위해 자주 휴대하고 다니고 있으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충전하기 위해 이러한 전자제품들은 USB 연결 케이블이나 이어폰 케이블 등과 같은 수많은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수납하는 방식은 모두 케이블을 직접 구부린 다음 다시 백에 넣거나 고무줄 등과 같은 밴드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묶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중화민국 특허 제M505489호에는 케이블 수납 장치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 케이블 수납 장치는 사용자가 케이블을 독립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같은 케이블이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 수납 지역, 로킹 슬롯 및 로킹 블럭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의 바깥쪽으로는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체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수용 지역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수용 지역의 테두리에는 관통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오목홈과 상기 수용 지역을 연결하고, 상기 로킹 슬롯은 상기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킹 블럭은 상기 본체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케이블의 한쪽이 상기 수용 지역 안에 놓이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오목홈으로 들어가면 상기 오목홈을 따라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고안을 통해 케이블을 수납하면 각종 케이블이 다른 물품들과 엉키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휴대와 수납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화민국 특허 제M505116호에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와 USB 케이블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는 한쪽 각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된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 및 USB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USB 케이블의 앞단에는 USB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고, USB 플러그의 후단에는 연결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장치의 후단에는 케이블체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체 구조는 신축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장치의 크기는 전술한 연결부에 비해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케이블체 구조를 끌어당기지 않을 경우, 상기 연결 장치는 그 자체의 크기로 인해 연결부에 대항하며, 상기 케이블체 구조는 철줄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여,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휴대가 편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은 모두 케이블의 수납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케이블을 사용할 때 케이블이 엉켜 케이블 정리에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수납 장치나 신축 수단을 이용하여 수납 목적을 달성하는 등의 기술은 모두 사용자가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케이블 수납에 따른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으나 사용자가 수납 장치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바, 실질적으로는 개량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과 결함을 해결할 것인가는 바로 이 고안의 고안자와 이 업종에 종사하는 관련 업체가 연구를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방향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고안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다각적인 평가와 사고를 거침과 아울러 이 업종에 종사하면서 누적된 경험을 토대로 끊임없는 시제작 및 수정을 거쳐 드디어 이 고안을 창출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특수한 조합 구조를 이용하여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거나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케이블 정리 모형으로 적층할 수 있는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이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바 형성의 중앙돌출체, 바 형상의 좌측 돌출부 및 바 형성의 우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와 상기 우측 돌출부는 상기 중앙돌출체의 좌측 및 우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상기 중앙돌출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을 제시한다.
본 고안은, 리니어 유닛의 어느 한쪽의 중앙돌출체가 자신의 수용공간이나 다른 리니어 유닛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거나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니어 유닛은 신호 케이블, 전원 케이블, 인터넷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니어 유닛의 내부는 용도에 따라 결정되는 금속도체(예컨대 동선을 피복하여 신호 케이블이나 전원 케이블로 사용함) 또는 비금속도체(예컨대 유리섬유를 피복하여 광섬유로 사용함)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니어 유닛은 절연되고 신축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입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조합도로서, 이는 복수 개의 리니어 유닛이 일체로 적층된 것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조합도로서, 이는 리니어 유닛이 오목 무늬와 돌출 무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단면 조합도로서, 이는 리니어 유닛이 오목 무늬와 돌출 무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케이블 정리 방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이는 리니어 유닛의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다른 케이블 정리 방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복수 개의 리니어 유닛이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술적 수단 및 구조는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 및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입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조합도로서, 이는 복수 개의 리니어 유닛이 일체로 적층된 것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케이블 정리 방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이는 리니어 유닛의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다른 케이블 정리 방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복수 개의 리니어 유닛이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유닛(1)의 외부는 절연되고 신축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바 형상의 조합 유닛(1)은 일반 신호 케이블, 전원 케이블, 인터넷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 용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리니어 유닛(1)은 상황 및 그 용도에 따라 금속으로 피복된 도체(예컨대 동선) 또는 비금속도체(예컨대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먼저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 유닛(1)은 바 형상의 중앙돌출체(2), 바 형상의 좌측 돌출부(3) 및 바 형상의 우측 돌출부(4)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3)와 상기 우측 돌출부(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돌출체(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측 돌출부(3) 및 상기 우측 돌출부(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상기 중앙둘출체(2)의 하단부(24)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대응하고, 상기 수용공간(12)의 넓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상기 중앙돌출체(2)의 넓이 맞추어야 상기 리니어 유닛(1)의 중앙돌출체(2)가 자신의 수용공간(12)과 서로 결합(도5 참조)함으로써 자체적인 권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니어 유닛(1)의 중앙돌출체(2)가 다른 조합 유닛(1')의 수용공간(12)과 일체형으로 결합함으로써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게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모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외관 조합도로서, 이는 리니어 유닛이 오목 무늬와 돌출 무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체권성형 리니어 유닛의 단면 조합도로서, 이는 리니어 유닛이 오목 무늬와 돌출 무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유닛(1)의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모형은 물론 다른 리니어 유닛(1')과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모형은 모두 중앙돌출체(2)와 이에 대응하는 수용공간(12)이 서로 표면에 생성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연결되고 분리될 우려가 없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만일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 유닛(1) 자체의 무게가 과도하게 무겁거나 그 길이가 과도하게 길 경우, 상기 중앙돌출체(2)와 이에 대응하는 수용공간(12)의 표면에 생성되는 마찰력이 부족한 것을 피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황에 따라 중앙돌출체(2)와 이에 대응하는 수용공간(12)의 표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돌출 무늬(51) 및 이에 대응하는 오목 무늬(52)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서로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돌출 무늬(51) 및 이에 대응하는 오목 무늬(52)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서로 대응하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구조, 구성 및 설계로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시에 도5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바 형상의 조합 유닛(1)은 자체적인 권선으로 수납을 진행하고, 상기 바 형상의 조합 유닛(1)에서의 한쪽을 나선형으로 사용하여 중심으로부터 권선이 이루어지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좌측 돌출부(3)와 상기 우측 돌불추(4)는 모두 상기 하단면(21)에 돌출되고, 이 둘의 간격은 수용공간(12)이 있음을 정의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이 설치되는 것을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권선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중앙돌출부(2)의 상단면(23)은 순서대로 수용공간(12) 안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블 정리의 목적을 달성한다.
동시에 도6을 참조하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바 형상의 조합 유닛(1)이 적층 방식으로 케이블 정리를 진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좌측 돌출부(3) 및 상기 우측 돌출부(4)는 모두 상기 하단면(24)에 돌출되고, 이 둘의 간격은 수용공간(12)이 있음을 정의하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이 설치되는 것을 이용하여 하층의 바 형상의 조합 유닛(1)의 중앙돌출체(2)의 상단면(23)이 상층 조합 유닛(1')의 수용공간(12)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적층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는다.
그러므로, 첨부된 전체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사용 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해 볼 때,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 유닛(1)은 자체적인 권선에 의해 수납이 이루어지거나 적층 방식으로 다양한 모형으로 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실질적으로 존재한다.
단,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니어 유닛
1': 리니어 유닛
12: 수용공간
2: 중앙돌출체
23: 상단면
24: 하단면
3: 좌측 돌출부
4: 우측 돌출부
51: 돌출 무늬
52: 오목 무늬

Claims (2)

  1. 적어도 하나의 바 형상의 중앙돌출체(2), 바 형상의 좌측 돌출부(3) 및 바 형상의 우측 돌출부(4)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3)와 상기 우측 돌출부(4)는 상기 중앙돌출체(2)의 좌측 및 우측에 분리 설치되고, 상기 좌측 돌출부(3) 및 상기 우측 돌출부(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상기 중앙돌출체(2)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대응하고,
    한쪽의 상기 중앙돌출체(2)가 굴곡되면서 자신의 상기 수용공간(12)에 삽입되거나, 다른 리니어 유닛(1')의 상기 수용공간(12)에 삽입됨으로써 자체적인 권선이나 배열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케이블 정리 모형이 구형되고,
    상기 중앙돌출체(2)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공간(12)의 표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돌출 무늬(51) 및 이에 대응하는 오목 무늬(52)가 각각 마련되고,
    그 내부는 금속으로 피복된 도체나 비금속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유닛(1)은 절연되고 신축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KR2020170005054U 2017-09-26 2017-09-26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KR201900008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54U KR20190000840U (ko) 2017-09-26 2017-09-26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54U KR20190000840U (ko) 2017-09-26 2017-09-26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40U true KR20190000840U (ko) 2019-04-03

Family

ID=6610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54U KR20190000840U (ko) 2017-09-26 2017-09-26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840U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48B1 (ko) * 2005-10-26 2007-04-13 (주)뉴스틸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벽체의 구조및 시공방법
KR100694016B1 (ko) * 2005-11-28 2007-04-16 백원안 연탄보일러
KR100710719B1 (ko) * 2006-06-19 2007-04-24 주식회사 백산상사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KR100712932B1 (ko) * 2005-05-17 2007-05-02 김옥수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KR100718722B1 (ko) * 2006-03-22 2007-05-16 주식회사 한경 비탈면 배수시설
KR100721758B1 (ko) * 2006-07-07 2007-05-25 유성열 축분 교반장치
KR100722864B1 (ko) * 2007-02-01 2007-05-31 골드레일로드(주)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 레일 체결부 보호 및 발판용 덮개
KR100723926B1 (ko) * 2007-02-09 2007-05-31 이재천 굴렁쇠놀이의 원리를 쉽게 익히기 위한 굴렁쇠 밀채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0724295B1 (ko) * 2005-12-12 2007-06-04 김종인 단추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9591B1 (ko) * 2000-03-31 2007-06-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다중 구조의 수해성 닦아내기 시트
KR100732901B1 (ko) * 2004-06-03 2007-06-27 가스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수기
KR100733484B1 (ko) * 2006-10-02 2007-06-28 강명수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100748588B1 (ko) * 2004-01-19 2007-08-13 한국농기계(주) 과실 보호용 포장 봉지
KR100748949B1 (ko) * 2007-04-09 2007-08-13 정용식 보도블럭자동연마장치용 회전 전환기.
KR100755172B1 (ko) * 2006-11-22 2007-09-04 김경은 휴지걸이
KR100755781B1 (ko) * 2005-09-02 2007-09-05 이상철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756063B1 (ko) * 2006-05-25 2007-09-07 김경환 항아리형 숙성 냉온장고
KR100759478B1 (ko) * 2006-08-31 2007-10-04 강태진 실크 커버링 복합사
KR100763782B1 (ko) * 2007-06-14 2007-10-05 이윤모 온돌장치
KR100766517B1 (ko) * 2006-11-13 2007-10-15 주식회사 중원 도로용 저류 시스템
KR100767415B1 (ko) * 2005-12-26 2007-10-18 조연섭 스테인레스 타일의 구조 및 이의 성형방법
KR100770001B1 (ko) * 2006-05-18 2007-10-25 주식회사 백산상사 주방용품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770005B1 (ko) * 2006-09-29 2007-10-25 주식회사 백산상사 주방용품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766465B1 (ko) * 2006-05-03 2007-10-26 최리나 조리용기의 뚜껑 구조
KR100774807B1 (ko) * 2006-05-09 2007-11-07 대림요업 주식회사 점토를 이용한 반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139B1 (ko) * 2006-11-22 2007-11-21 김규식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0776746B1 (ko) * 2006-10-30 2007-11-29 홍태양 전자동 토관 성형장치
KR100780875B1 (ko) * 2007-08-24 2007-11-30 김종현 폐유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0788585B1 (ko) * 2005-05-14 2007-12-26 조항민 어피(魚皮)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피원단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91B1 (ko) * 2000-03-31 2007-06-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다중 구조의 수해성 닦아내기 시트
KR100748588B1 (ko) * 2004-01-19 2007-08-13 한국농기계(주) 과실 보호용 포장 봉지
KR100732901B1 (ko) * 2004-06-03 2007-06-27 가스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수기
KR100788585B1 (ko) * 2005-05-14 2007-12-26 조항민 어피(魚皮)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피원단
KR100712932B1 (ko) * 2005-05-17 2007-05-02 김옥수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KR100755781B1 (ko) * 2005-09-02 2007-09-05 이상철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707948B1 (ko) * 2005-10-26 2007-04-13 (주)뉴스틸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벽체의 구조및 시공방법
KR100694016B1 (ko) * 2005-11-28 2007-04-16 백원안 연탄보일러
KR100724295B1 (ko) * 2005-12-12 2007-06-04 김종인 단추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7415B1 (ko) * 2005-12-26 2007-10-18 조연섭 스테인레스 타일의 구조 및 이의 성형방법
KR100718722B1 (ko) * 2006-03-22 2007-05-16 주식회사 한경 비탈면 배수시설
KR100766465B1 (ko) * 2006-05-03 2007-10-26 최리나 조리용기의 뚜껑 구조
KR100774807B1 (ko) * 2006-05-09 2007-11-07 대림요업 주식회사 점토를 이용한 반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0001B1 (ko) * 2006-05-18 2007-10-25 주식회사 백산상사 주방용품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756063B1 (ko) * 2006-05-25 2007-09-07 김경환 항아리형 숙성 냉온장고
KR100710719B1 (ko) * 2006-06-19 2007-04-24 주식회사 백산상사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KR100721758B1 (ko) * 2006-07-07 2007-05-25 유성열 축분 교반장치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0759478B1 (ko) * 2006-08-31 2007-10-04 강태진 실크 커버링 복합사
KR100770005B1 (ko) * 2006-09-29 2007-10-25 주식회사 백산상사 주방용품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733484B1 (ko) * 2006-10-02 2007-06-28 강명수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100776746B1 (ko) * 2006-10-30 2007-11-29 홍태양 전자동 토관 성형장치
KR100766517B1 (ko) * 2006-11-13 2007-10-15 주식회사 중원 도로용 저류 시스템
KR100755172B1 (ko) * 2006-11-22 2007-09-04 김경은 휴지걸이
KR100778139B1 (ko) * 2006-11-22 2007-11-21 김규식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0722864B1 (ko) * 2007-02-01 2007-05-31 골드레일로드(주)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 레일 체결부 보호 및 발판용 덮개
KR100723926B1 (ko) * 2007-02-09 2007-05-31 이재천 굴렁쇠놀이의 원리를 쉽게 익히기 위한 굴렁쇠 밀채
KR100748949B1 (ko) * 2007-04-09 2007-08-13 정용식 보도블럭자동연마장치용 회전 전환기.
KR100763782B1 (ko) * 2007-06-14 2007-10-05 이윤모 온돌장치
KR100780875B1 (ko) * 2007-08-24 2007-11-30 김종현 폐유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40U (ko)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US9472909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cable
US20080227380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box
US9559535B2 (en) Portable electronic storage and charging apparatus
US20170149230A1 (en) Self winding linear unit
KR200457847Y1 (ko) 케이블 정리밴드
EP3148043A1 (en) Cable winding device of mobile phone charger
US20170148543A1 (en) Self-winding modular linear unit
US20050178871A1 (en) Assembled windlass structure
CN202633695U (zh) 六棱柱插板及数据线收线器
CN205159690U (zh) 一种使用方便的集线器
CN206388937U (zh) 电源线收纳盒
CN207251246U (zh) 一种便携式充电器
KR20100033504A (ko) 케이블 정리기
CN106602345A (zh) 电源线收纳盒
CN207519779U (zh) 理线收纳装置
KR200475275Y1 (ko) 휴대폰 충전기
JP3240038U (ja) コードリール
CN220874247U (zh) 充电器
CN212893262U (zh) 一种方便携带的数据线收纳器
CN204289945U (zh) 易充电的排插
CN204332490U (zh) 一种线材和数据线
CN211984902U (zh) 一种软件开发用计算机线束收纳盒
KR20120131498A (ko)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CN211017635U (zh) 便携式自动收缩插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