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01B1 - 제수기 - Google Patents

제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01B1
KR100732901B1 KR1020050033295A KR20050033295A KR100732901B1 KR 100732901 B1 KR100732901 B1 KR 100732901B1 KR 1020050033295 A KR1020050033295 A KR 1020050033295A KR 20050033295 A KR20050033295 A KR 20050033295A KR 100732901 B1 KR100732901 B1 KR 10073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net
main body
ai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361A (ko
Inventor
가츠키 후쿠다
다카시 우에무라
마사히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스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65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90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8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51663A/ja
Application filed by 가스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스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노즐로부터의 에어 분사음 및 분사 후의 난류음이 제수기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방음할 수 있음과 함께, 방음 수단을 강구함에 따른 메인터넌스 상의 불리함 등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네트 컨베이어의 무단(無端) 네트의 이완과 긴장의 전환을 핸들에 의한 하나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또한 조정이 필요없게 실시할 수 있어, 무단 네트의 탈착을 숙련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제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네트 컨베이어 (C) 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상자형의 상부 유닛 커버 (D) 내에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을 지지함과 함께, 그 상부 유닛 커버 (D) 를 덮는 방음 커버 (E) 를 본체 하우징 (A) 상에 개폐가능하게 장착한다. 네트 컨베이어 (C) 는 무단 네트 (51) 를 컨베이어 체인 (53)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동측 회전체와 종동측 회전체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 설치하고,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종동측 회전체의 베어링 (56),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팽팽하게 걸쳐 설치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컨베이어 프레임 (52) 에 장착함과 함께, 핸들 (65) 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크랭크 기구로 연접 로드 (63) 가 슬라이딩하는 긴장 이완 전환구 (60) 를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하여, 그 연접 로드 (63) 를 베어링 (56) 에 연결하고, 핸들 (65) 을 회전 운동시켜 연접 로드 (63) 와 함께 베어링 (16) 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무단 네트 (51) 의 긴장과 이완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수기{DEWATER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수기의 전체 사시도이며, 방음 커버를 개방한 상태이다.
도 2 는 방음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동상 (同上) 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동일 정면도이다.
도 4 는 동일 평면도이다.
도 5 는 동일 측면도이다.
도 6 은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동상의 더욱 상세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제수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핀 노즐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9 는 동상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은 스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1 은 상부 유닛 커버와 이것을 덮는 방음 커버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방음 커버의 밑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수 대상물의 일례가 되는 스탠딩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스탠딩 파우치를 누르는 누름 유닛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도 7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5 는 누름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누름 유닛을 사용하여 이것으로 스탠딩 파우치를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네트 컨베이어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그 측면도이다.
도 19 는 동 네트 컨베이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긴장 이완 전환구의 사시도이며, 핸들을 후측으로 쓰러 뜨린 상태이다.
도 20 은 동일하게 핸들을 도 19 의 상태로부터 도중까지 전측으로 쓰러 뜨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동일하게 핸들을 최대한으로 전측으로 쓰러 뜨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본체 하우징 B: 하부 에어 분사 유닛
C: 네트 컨베이어 D: 상부 유닛 커버
Da: 투시창 E: 방음 커버
Ea: 투시창 F: 상부 에어 분사 유닛
G: 측부 에어 분사 유닛 H: 물받이 접시
J: 누름 유닛 1: 하부 에어 박스
2: 스핀 노즐 3: 가이드 로드
4: 경첩 5: 승강판
5a: 높이 조정 핸들 6: 상부 에어 박스
7: 스핀 노즐 8: 스핀 노즐
9: 바닥이 있는 통체 10: 블로어
11: 파이프 노즐 11a: 기단부
11b: 중간부 11c: 선단부
11d: 분사구 11e: 수나사
12: 베어링 블록 12a: 니플
12b: 단부 12c: 암나사
13ㆍ14: 너트 15: 볼 베어링
16: 수나사 너트 17: 접시 스프링
18ㆍ19: 커튼 20: 통기 구멍
21: 방음 커버의 본체 22: 차음판
23: 리브 24: 흡음재
25: 공극 26: 경첩
25a: 통기 구멍 27: 배기 팬
28ㆍ29: 커튼 30: 롤러 홀더
31: 누름 롤러 32: 브래킷
50: 스탠딩 파우치 50a: 스탠딩 파우치의 저부
51: 무단 네트 52: 컨베이어 프레임
53: 컨베이어 체인 54: 종동측 스프로킷 휠
55: 축 56: 베어링
57: 베어링 기판 57a: 브래킷
58: 안내 구멍 59: 안내 볼트
60: 긴장 이완 전환구 61: 기판
62: 안내 통 63: 연접 로드
63a: 나사 구멍 64: 베어링 돌출부
65: 핸들 65a: 두 갈래부
66: 축핀 67: 크랭크 링크
68: 연결 볼트 69: 너트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949662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50816호
본 발명은, 제수 대상물을 컨베이어로 반송하면서,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 등의 액체를 에어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제수기 (除水機) 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 종류의 제수기로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네트 컨베이어와, 그 네트 컨베이어 상을 통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상부 에어 분사 유닛과,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사하는 하부 에어 분사 유닛과,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노즐로부터 에어를 횡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부 에어 분사 유닛을 구비한 것을 이미 제공하였다.
이러한 제수기에서는, 상, 하, 횡의 세 방향의 다수의 노즐로부터 동시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수 대상물에 부착되어 있는 물을 강제적으로 날려버리기 때문에, 에어 분사음 및 분사 후의 난류음이 높아, 소음원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제수기에서는, 제수 대상물로부터 물과 함께 제거된 부착물이, 네트 컨베이어의 무단 네트의 그물코에 부착되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히 고품위의 위생 관리가 요구되는 제수 대상물 (식품 등) 의 경우에는 무단 네트를 분리하여 세정액 속이나 살균액 속에 침지하여 세정이나 제균이 행해지고, 그 작업을 하루에 수회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제수기에서는, 네트 컨베이어의 종동측 회전체 (컨베이어 체인을 사용한 경우에는 종동측 스프로킷 휠,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종동측 풀리) 의 베어링을 고정하고 있는 설치 볼트를 빼거나 풀어서, 또는 텐션 부여를 위한 텐션용 스프로킷 휠 또는 텐션용 풀리를 별도로 설치한 경우에는 그 축고정을 풀어서, 무단 네트를 이완시켜 이것을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또한 세정 후에는 무단 네트를 다시 팽팽하게 걸어 설치하고 조정하여 원래의 긴장 상태로 복귀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숙련성을 필요로 하여 한정된 작업자밖에 실시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2 에는, 이러한 네트 컨베이어로서, 컨베이어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용 스프로킷 및 이것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나사에 의한 추진에 의해 일체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무단 네트의 장력 (텐션) 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기재된 것에서는 나사에 의해 텐션을 조정할 수 있지만, 구동용 스프로킷과 이것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무단 네트의 탈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다수의 노즐로부터의 에어 분사음 및 분사 후의 난류음이 제수기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방음할 수 있음과 함께, 방음 수단을 강구함에 따른 메인터넌스 상의 불리함 등이 발생되지 않는 제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네트 컨베이어의 무단 네트의 이완과 긴장의 전환을 핸들에 의한 하나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또한 조정이 필요없게 실시할 수 있어, 무단 네트의 탈착을 숙련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제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 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네트 컨베이어와, 본체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네트 컨베이어 상을 통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상부 에어 분사 유닛과, 네트 컨베이어의 하측에서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사하는 하부 에어 분사 유닛을 구비한 제수기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상측에서 덮는 상자형의 상부 유닛 커버 내에 상부 에어 분사 유닛을 지지함과 함께, 그 상부 유닛 커버를 덮는 방음 커버를 본체 하우징 상에 개폐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노즐로부터 에어를 횡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부 에어 분사 유닛을 상부 유닛 커버 내에 지지해도 된다.
방음 커버는, 그 상자형의 본체와 그 본체의 내면을 내측으로부터 덮는 차음판 사이에, 흡음재를 개재시킨 것이다. 또한, 방음 커버 본체의 내면과 흡음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함께, 이 간극에 연통하는 복수의 공기 구멍을 차음판 및 흡음재에 형성하고, 이들 통기 구멍 및 간극을 통하여 배기하는 배기 팬을 방음 커버 본체에 설치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부 에어 분사 유닛과 측부 에어 분사 유닛을 내부에 지지한 상부 유닛 커버는 본체 하우징 상에 개폐가능하게 또한 그 개폐의 지점을 방음 커버의 개폐의 지점에 대하여 네트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장착하는 것이 좋다.
제 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네트 컨베이어는 무단 네트를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동측 회전체와 종동측 회전체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 설치 (張架) 하고,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종동측 회전체의 베어링을,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팽팽하게 걸어 설치 한 방향 (張架方向) 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컨베이어 프레임에 장착함과 함께, 핸들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크랭크 기구로 연접 로드가 전후 슬라이딩하는 긴장 이완 전환구를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하여, 그 연접 로드를 베어링에 연결하고, 핸들을 회전 운동시켜 연접 로드와 함께 베어링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무단 네트의 긴장과 이완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긴장 이완 전환구는, 기판 상에 고정된 안내 통에 연접 로드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관통시킴과 함께, 핸들을 기판 상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피벗 지지하여, 이 핸들과 연접 로드를 크랭크 링크에 의해 연결한 것이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수기는, 도 1 및 도 2 에 그 전체의 외관 사시도, 도 3 에 정면도, 도 4 에 평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 (A) 내의 상부에, 하부 에어 분사 유닛 (B) 과 네트 컨베이어 (C) 를 설치함과 함께, 이 네트 컨베이어 (C) 의 상측에 있어서 상부 유닛 커버 (D) 를 본체 하우징 (A) 상에 상하로 개폐 자유롭게 장착하고, 또한 상부 유닛 커버 (D) 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방음 커버 (E) 를 본체 하우징 (A) 상에 상하로 개폐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에어 분사 유닛 (B) 은, 편평 직사각형의 하부 에어 박스 (1) 의 상면에, 다수의 스핀 노즐 (2) 을 상방향으로 하여 개개로 선회 자유롭게 장착한 것으로, 네트 컨베이어 (C) 의 상부 (Ca) 와 하부 (Cb) 사이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A) 내의 상부에 발출삽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유닛 커버 (D) 는, 네트 컨베이어 (C) 에 대향하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형이며, 경첩 (4) 에 의해 본체 하우징 (A) 의 상면 후부에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부 유닛 커버 (D) 내에 있어서, 그 천장부에 늘어뜨려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로드 (3) 에 의해 승강판 (5) 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판 (5) 은 상부 유닛 커버 (D) 의 천장 외부에 설치된 높이 조정 핸들 (5a) 에 의해 높이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승강판 (5) 의 하측에는 편평 직사각형의 상부 에어 박스 (6) 의 하면에 다수의 스핀 노즐 (7) 을 하방향으로 하여 개개로 선회 자유롭게 장착된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이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에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이 늘어뜨러져 설치되어 있다.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은 스핀 노즐 (8) 을 횡방향으로 하여 선회 자유롭게 장착된 복수의 바닥이 있는 통체 (9) 를,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고, 또한 상부 에어 박스 (6) 와 내부를 연통시켜 그 하면에 늘어뜨려 설치한 것이다.
하부 에어 박스 (1) 및 상부 에어 박스 (6)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 (A) 내에 설치된 각각에 대응하는 2대의 블로어 (10) 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고, 하부 에어 분사 유닛 (B) 의 다수의 스핀 노즐 (2) 은 컨베이어 (C) 상을 통해 반송되어 상부 유닛 커버 (D) 내에 들어간 제수 대상물에, 선회하면서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고,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의 다수의 스핀 노즐 (7) 은 컨베이어 (C) 상을 통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선회하면서 상방에서 하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고,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의 복수의 스핀 노즐 (8) 은 컨베이어 (C) 상을 통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선회하면서 옆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한다.
하부 에어 분사 유닛 (B) 의 스핀 노즐 (2),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의 스핀 노즐 (7) 및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의 스핀 노즐 (8) 은 에어 분사하는 방향이 다르지만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 한 개에 대해서 도 8∼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스핀 노즐은 파이프 노즐 (11) 과 이것을 선회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캡 형상 베어링 블록 (12) 으로 이루어진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 노즐 (11) 은 그 기단부 (11a) 에 대하여 중간부 (11b) 가, 축선과 직교하는 X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는 데 비하여, 선단부 (11c) 는 중간부 (11b) 에 대하여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으로 완만히 만곡하고, 선단의 분사구 (11d) 가 비스듬히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분사구 (11e) 로부터의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베어링 블록 (12) 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선회한다. 베어링 블록 (12) 은 수나사가 부착된 니플 (12a) 을 갖는다.
파이프 노즐 (11) 의 기단부 (11a) 의 바깥 둘레에는 수나사 (11e) 가 설치되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나사 (11e) 에 나사결합시킨 2개의 제 1 너트 (13; 1개는 로크용) 와 1개의 제 2 너트 (14) 로 볼 베어링 (15) 을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볼 베어링 (15) 이 파이프 노즐 (11) 의 기단부 (11a)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블록 (12) 의 내 주면에 형성된 단부 (12b) 와 그 내주면의 암나사 (12c) 에 나사결합시킨 수나사 너트 (16) 로 볼 베어링 (15) 을 협지함으로써, 볼 베어링 (15) 은 베어링 블록 (12) 내에 고정되어 있다. 그 고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볼 베어링 (15) 과 수나사 너트 (16) 사이에 접시 스프링 (17) 을 개재시켜 수나사 너트 (16) 로 견고히 조였고, 접시 스프링 (17) 은 제 2 너트 (14) 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고, 그 너트 (14) 와 베어링 블록 (12) 의 둘레벽과 볼 베어링 (15) 과 수나사 너트 (16) 로 포위되어 있다.
볼 베어링 (15) 자체로부터의 발진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볼을 개재시킨 내외의 궤도륜의 궤도면에 불소 수지 등에 의한 고체 윤활막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볼과 함께 그리스를 봉입 상태로 함으로써, 통상의 볼 베어링에 비하여 발진량이 현격히 낮은 저발진성의 볼 베어링으로 할 수 있다. 볼 베어링 (15) 은 베어링 블록 (12) 및 파이프 노즐 (11) 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나사 너트 (16) 를 풀어 베어링 블록 (12) 으로부터 빼면, 볼 베어링 (15) 을 파이프 노즐 (11) 과 함께 베어링 블록 (12) 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또한 너트 (13) 및 너트 (14) 를 풀어 파이프 노즐 (11) 로부터 빼면, 볼 베어링 (15) 을 파이프 노즐 (11) 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스핀 노즐은 베어링 블록 (12) 의 니플 (12a) 을 에어 박스 (1, 2) 또는 바닥이 있는 통체 (9) 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시켜 이들에 장착된다.
상부 유닛 커버 (D) 의 양 측벽, 요컨대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의 측벽과 상류측의 측벽에, 다수장의 판편을 요동 자유롭게 나란히 늘어뜨려 설치한 커튼 (18ㆍ19) 이 설치되고 있고, 제수 대상물은 하류측의 커튼 (18) 을 빠져 나와 상부 유닛 커버 (D) 내로 들어가 상기와 같이 제수된 다음, 상류측의 커튼 (19) 을 빠져 나와 상부 유닛 커버 (D) 밖으로 나간다. 상부 유닛 커버 (D) 의 천장부의 복수 개소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 (2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 (A) 에는 물받이 접시 (H) 가, 컨베이어 (C) 보다 하측에서 정면으로부터 발출삽입이 자유로워지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 하, 횡의 세 방향으로부터의 에어 분사로 제수 대상물로부터 불어 날린 물은 이 물받이 접시 (H) 상에 떨어져 회수된다.
본체 하우징 (A) 내는 그 안에 설치된 블로어 (10) 에 의한 에어 흡인에 의해 부압으로 되기 때문에, 본체 하우징 (A) 내에서 발생된 먼지 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된다.
방음 커버 (E) 는 그 스테인리스제 본체 (21) 가,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유닛 커버 (D) 를 충분한 여유를 갖고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하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서, 이 본체 (21) 의 내면 (천장면 및 둘레면) 에, 차음판 (22) 을 복수 개소의 리브 (23) 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부설함과 함께, 이 차음판 (22) 의 외면에 흡음재 (24) 를 부착하여, 흡음재 (24) 와 본체 (21) 의 내면 사이에 공극 (25) 을 형성한 것이다. 이 방음 커버 (E) 는 본체 하우징 (A) 의 상면의 후단에 있어서 경첩 (26) 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 경첩 (26) 에 의한 개폐의 지점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유닛 커버 (D) 의 경첩 (4) 에 의한 개폐의 지점보다 후방에 있고,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상부 유닛 커버 (D) 와 방음 커버 (E) 는 컨베이어 (C) 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음 커버 (E) 의 차음판 (22) 과 흡음재 (24) 에는 본체 (21) 의 천장부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공극 (25) 에 통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 (25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음 커버 (E) 의 본체 (21) 의 천장부의 1개소에 배기 팬 (27) 이 설치되고, 방음 커버 (E) 에 의해 덮여지는 공간을 방음하면서 통기 구멍 (25a) 을 통하여 배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 커버 (D) 의 천장부에도 통기 구멍 (20)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유닛 커버 (D) 에 의해 덮여지는 공간 내부도 배기할 수 있다.
방음 커버 (E) 의 양 측벽, 요컨대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측벽과 상류측의 측벽에도, 상부 유닛 커버 (D) 의 커튼 (18ㆍ19) 과 동일한 커튼 (28ㆍ29) 이 설치되어 있고, 네트 컨베이어 (C) 에 의해서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은 이들 커튼 (28ㆍ29) 도 빠져 나간다.
방음 커버 (E) 및 상부 유닛 커버 (D) 의 정면 벽에는 네트 컨베이어 (C) 에 의해서 반송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 분사에 의해 제수되는 제수 대상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창 (EaㆍDa) 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나 가루체 등의 유동 물질을 수용한 포장 용기인 스탠딩 파우치 (50) 는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는 저부 (50a) 를 넓힌 상태에서 자립하지만, 이것을 제수하기 위해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 컨베이어 (C) 상에 그대로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실어 반송하면, 수용된 내용물의 유동성에 의해 절첩 상태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의 스핀 노즐 (8) 로부터의 에어를 스탠딩 파우치 (50) 의 저부 (50a) 에 분사할 수 없어, 스탠딩 파우치 (50) 의 몸통부의 표리 양면 (상하면) 에 대해서는 상부 에어 분사 유닛 (F) 의 다수의 스핀 노즐 (7) 과 하부 에어 분사 유닛 (B) 의 다수의 스핀 노즐 (2) 로 충분히 제수할 수 있지만, 저부 (50a) 는 제수할 수 없거나, 또는 제수가 불충분해진다.
그래서, 이 제수기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 컨베이어 (C) 를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반송되는 스탠딩 파우치 (50) 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누름 유닛 (J) 이, 상부 에어 박스 (6) 에 착탈가능하게 늘어뜨러져 설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 에 누름 유닛 (J) 을 나타낸다.
누름 유닛 (J) 은 네트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으로 긴 장판인 롤러 홀더 (30) 에, 복수개 (도면에서는 3개) 의 누름 롤러 (31) 를, 네트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으로 이격시켜 볼트ㆍ너트로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이 롤러 홀더 (30) 를, 상부 에어 박스 (6) 의 하면에 수직하게 부착된 한 쌍의 L 형 브래킷 (32) 에 높이 조정가능하게 가설 (架設)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름 유닛 (J) 은,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에 대하여 네트 컨베이어 (C) 의 중심 부근에서 이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7 및 그 부분 확대도인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 컨베이어 (C) 상을 통해,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반송되는 스탠딩 파우치 (50) 의 몸통부를, 복수개의 누름 롤러 (31) 가 회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스탠딩 파우치 (50) 내의 내용물은 유동 물질이기 때문에, 스탠딩 파우치 (50) 의 저부 (50a) 가, 측부 에어 분사 유닛 (G) 의 스핀 노즐 (8) 과 대향하는 곳에서 유동 물질의 압력에 의해 넓혀지고, 스핀 노즐 (8) 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저부 전면에 받으므로, 저부 (50a) 의 제수도 충분히 행해진다.
또한, 누름 롤러 (31) 대신에, 네트 컨베이어 (C) 의 반송 방향으로 긴 썰매 형상 또는 막대상의 누름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 에 네트 컨베이어의 요부, 도 19∼도 21 에 이 네트 컨베이어에서 사용하는 긴장 이완 전환구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 에 있어서, 네트 컨베이어 (C) 의 전체는 컨베이어 프레임 (52) 에 장착되고, 무단 네트 (51) 의 양측 가장자리의 컨베이어 체인 (53) 은 종동측 스프로킷 휠 (54) 과 도시하지 않은 구동측 스프로킷 휠 사이에 둘러쳐 걸어 팽팽하게 설치되고, 구동측 스프로킷 휠이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무단 네트 (51) 가 컨베이어 체인 (53) 과 함께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종동측 스프로킷 휠 (54) 의 축 (55) 을 축지지하고 있는 베어링 (56) 은 그 베어링 기판 (57) 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 (52) 의 측면에 다음과 같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베어링 기판 (57) 은 직사각형이며, 그 대각 위치의 2개소에 약간 가로 길이의 안내 구멍 (58) 이 형성되고, 이들 안내 구멍 (58) 을 통하여 안내 볼트 (59) 가 컨베이어 프레임 (52) 에 박혀 고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베어링 (56) 은 베어링 기판 (57) 과 함께 컨베이어 프레임 (52) 의 측면을 따라 안내 구멍 (58) 의 길이 범위 내에서, 컨베이어 체인 (53) 의 팽팽하게 걸어 설치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전후 이동을 핸들 조작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 (52) 의 측면에 다음과 같은 긴장 이완 전환구 (60) 가 부착되어 있다.
긴장 이완 전환구 (60) 는 도 19∼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61) 상의 일방측에 짧은 안내 통 (62) 을 고착하여 이것에 연접 로드 (63) 를 전후 슬라이딩 자유롭게 관통시키고, 또한 기판 (61) 상의 타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베어링 돌출부 (64) 에, 핸들 (65) 의 두 갈래부 (65a) 를 축핀 (66) 으로 회전 운동 자유롭게 피벗 지지하고, 이들 연접 로드 (63) 와 핸들 (65) 의 두 갈래부 (65a) 를 크랭크 링크 (67) 로 연결하여, 도 9∼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핸들 (64) 의 회전 운동을, 연접 로드 (63) 의 전후의 직선 왕복 슬라이딩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접 로드 (63) 의 선단면에는 나사 구멍 (63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긴장 이완 전환구 (60) 의 연접 로드 (63) 와 베어링 기판 (57) 은 후자의 일단의 브래킷 (57a) 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 볼트 (68) 를, 전자의 나사 구멍 (63a) 에 틀어박아 너트 (69) 로 체결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긴장 이완 전환구 (60) 의 핸들 (65) 을, 도 17 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동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 으로 회전 운동시켰을 때에는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으로 쓰러 뜨렸을 때), 연접 로드 (63) 에 의해 베어링 기판 (57) 이 베어링 (56) 과 함께 후측 (도 17 에 있어서 우측) 으로 압동되기 때문에, 무단 네트 (51) 가 컨베이어 체인 (53) 과 함께 긴장된다.
한편, 도 17 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동 도면에 있어서 좌측) 으로 회전 운동시켰을 때에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으로 쓰러 뜨렸을 때), 연접 로드 (63) 에 의해 베어링 기판 (57) 이 베어링 (56) 과 함께 전측 (도 17 에 있어서 좌측) 으로 다가가기 때문에, 무단 네트 (51) 가 컨베이어 체인 (53) 과 함께 이완된다.
이와 같이 핸들 (65) 이 쓰러지는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무단 네트 (51) 및 컨베이어 체인 (53) 의 긴장과 이완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단 네트 (51) 를 컨베이어 체인 (53) 을 사용하여 종동측 스프로킷 휠 (54) 과 구동측 스프로킷 휠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 설치하였지만,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여 종동측 풀리와 구동측 풀리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기구로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부 에어 분사 유닛 (추가로 측부 에어 분사 유닛) 을 내부에 지지한 상부 유닛 커버를 방음 커버로 덮으므로, 다수의 노즐로부터의 에어 분사음 및 분사 후의 난류음이 제수기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방음할 수 있다. 또한, 방음 커버는 본체 하우징 상에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방음 커버를 열어 메인터넌스 등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관한 발명과 같이, 방음 커버의 구조로서, 박스 본체와 그 내면 을 내측으로부터 덮는 차음판 사이에 흡음재를 개재시킨 구조로 하면 방음 효과가 좋다.
청구항 4 에 관한 발명과 같이, 차음판 및 흡음재에 형성된 통기 구멍과, 흡음재와 박스 본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배기 팬에 의해 배기하면, 제수시에 발생되는 수증기 등을 방음 커버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제수기 밖으로 배기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방음 커버와 상부 유닛 커버를 컨베이어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상을 개방하여 메인터넌스 등을 행할 때에 작업성이 좋다.
청구항 6 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네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종동측 회전체의 베어링을 이동가능하게 해두고, 이 베어링과 긴장 이완 전환구의 핸들을 연접 로드를 통해 연결하고, 핸들을 회전 운동시켜 그 연접 로드와 함께 베어링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무단 네트의 긴장과 이완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무단 네트의 긴장과 이완의 전환을 핸들에 의한 하나의 조작으로 용이하고 또한 조정이 필요없게 실시할 수 있어, 무단 네트의 탈착을 숙련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서 특정한 바와 같은 긴장 이완 전환구를 사용하면, 그 기판을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하고, 연접 로드를 베어링과 연결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ㆍ효과를 나타내는 네트 컨베이어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네트 컨베이어와, 본체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네트 컨베이어 상을 통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상부 에어 분사 유닛과, 상기 네트 컨베이어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다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사하는 하부 에어 분사 유닛을 구비한 제수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 컨베이어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상자형의 상부 유닛 커버 내에 상기 상부 에어 분사 유닛을 지지함과 함께, 그 상부 유닛 커버를 덮는 방음 커버를 본체 하우징 상에 개폐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제수 대상물에 노즐로부터 에어를 횡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부 에어 분사 유닛을 상부 유닛 커버 내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방음 커버는, 그 상자형의 본체와 그 본체의 내면을 내측으로부터 덮는 차음판 사이에, 흡음재를 개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방음 커버 본체의 내면과 흡음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함께, 이 간극에 연통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을 차음판 및 흡음재에 형성하고, 이들 통기 구멍 및 간극을 통하여 배기하는 배기 팬을 방음 커버 본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 컨베이어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상자형의 상부 유닛 커버 내에 상부 에어 분사 유닛과 측부 에어 분사 유닛을 지지하고, 그 상부 유닛 커버를, 본체 하우징 상에 개폐가능하게 또한 그 개폐의 지점 (支点) 을 방음 커버의 개폐의 지점 (支点) 에 대하여 네트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 컨베이어는, 무단(無端) 네트를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동측 회전체와 종동측 회전체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 설치 (張架) 하여,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종동측 회전체의 베어링을, 상기 컨베이어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팽팽하게 걸어 설치한 방향 (張架方向) 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컨베이어 프레임에 장착함과 함께, 핸들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크랭크 기구로 연접 로드가 전후 슬라이딩하는 긴장 이완 전환구를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하여, 그 연접 로드를 상기 베어링에 연결하고, 핸들을 회전 운동시켜 연접 로드와 함께 상기 베어링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무단 네트의 긴장과 이완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이완 전환구는, 기판 상에 고정된 안내 통에 연접 로드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관통시킴과 함께, 핸들을 기판 상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피벗 지지하여, 이 핸들과 연접 로드를 크랭크 링크에 의해 연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기.
KR1020050033295A 2004-06-03 2005-04-21 제수기 KR100732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5947A JP3879086B2 (ja) 2004-06-03 2004-06-03 除水機
JPJP-P-2004-00165947 2004-06-03
JPJP-P-2004-00348199 2004-12-01
JP2004348199A JP2006151663A (ja) 2004-12-01 2004-12-01 ネットコンベ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361A KR20060047361A (ko) 2006-05-18
KR100732901B1 true KR100732901B1 (ko) 2007-06-27

Family

ID=3714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95A KR100732901B1 (ko) 2004-06-03 2005-04-21 제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32901B1 (ko)
HK (1) HK1086877A1 (ko)
TW (1) TWI275761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07Y1 (ko) * 1982-10-19 1984-07-30 이정남 휴대용 조명등
KR20040050712A (ko) * 2002-12-03 2004-06-16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셀형 구조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07Y1 (ko) * 1982-10-19 1984-07-30 이정남 휴대용 조명등
KR20040050712A (ko) * 2002-12-03 2004-06-16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셀형 구조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361A (ko) 2006-05-18
TW200540383A (en) 2005-12-16
HK1086877A1 (en) 2006-09-29
TWI275761B (en) 200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174A (ko) 음료용기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US9993855B2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US6041834A (en) Liquid filling device
CN207204450U (zh) 水帘喷涂机集成
KR100732901B1 (ko) 제수기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CN209635299U (zh) 一种食品加工传输装置
CN111020943A (zh) 一种能保证悬挂稳定性的服装加工用快速干燥设备
JP2002336749A (ja) 自動車用の循環式塗装ブース装置
JP3639040B2 (ja) 自動計量コンベヤ装置
JP2005345018A (ja) 除水機
US9091479B2 (en) Dryer apparatus
KR102085546B1 (ko)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CN113414186A (zh) 一种清洁系统和滤清器清洁方法
CN214383533U (zh) 一种输送系统
JP2964336B1 (ja) 除水機のスピンノズル
JPH1189785A (ja) 容器水切り装置
US10302358B2 (en) Food heating device
CN213230357U (zh) 一种卤制品自动生产设备
CN214918992U (zh) 用于自动洗吹机的吹瓶机构
CN109625427A (zh) 食品包装机底膜张紧装置
CN213719854U (zh) 一种白玉菇清洗消毒机
CN213620605U (zh) 一种预包装食品袋面在线除尘设备
CN210450192U (zh) 一种墨瓶清洗及烘干装置
KR102552721B1 (ko) 기판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