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46B1 -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46B1
KR102085546B1 KR1020180134137A KR20180134137A KR102085546B1 KR 102085546 B1 KR102085546 B1 KR 102085546B1 KR 1020180134137 A KR1020180134137 A KR 1020180134137A KR 20180134137 A KR20180134137 A KR 20180134137A KR 102085546 B1 KR102085546 B1 KR 102085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frame
dust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경
Original Assignee
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102018013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타격봉 사이에 여러개의 자동차용 매트를 수직으로 세워서 삽입한 뒤,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타격봉이 여러개의 매트를 한꺼번에 타격하여 먼지를 깔끔하게 털어주고, 동시에 공기 이송부를 통해 털린 먼지를 빠르게 흡입하여 먼지가 다시 매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흡입한 먼지를 공기 이송부 내에서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로 전환시킨 뒤,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에 분사하기에 매트의 건조, 살균 및 스팀세척이 이루어져 자동차용 매트를 청결도가 높아지고,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자동차용 매트의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청소의 효율성이 증가하며, 본체부의 내부에서 매트가 청소되기에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차용 매트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Car mats fo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타격봉 사이에 여러개의 자동차용 매트를 수직으로 세워서 삽입한 뒤,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타격봉이 여러개의 매트를 한꺼번에 타격하여 먼지를 깔끔하게 털어주고, 동시에 공기 이송부를 통해 털린 먼지를 빠르게 흡입하여 먼지가 다시 매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흡입한 먼지를 공기 이송부 내에서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로 전환시킨 뒤,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에 분사하기에 매트의 건조, 살균 및 스팀세척이 이루어져 자동차용 매트를 청결도가 높아지고,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자동차용 매트의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청소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용 매트는 탑승자의 신발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임시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 바닥에 깔아두는 제품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사용하다보면, 각종 이물질들이 계속하여 달라붙어서 많이 더렵혀지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 환경의 청결을 위해서는 그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는 세척작업이 요구된다.
자동차용 매트를 세척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개인 취향에 따라 수돗물로 씻거나 그 외 다양한 방법들이 물론 있지만 보통 자동차 전용 세차장 등에 비치되어 있는 매트 자동화 세척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자동차 전용 세차장 등에 주로 설치되는 통상의 매트(깔판) 자동화 세척기는, 전방 상단에 세척이 요구되는 매트를 투입할 수 있는 매트 삽입구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의 내부에는 투입된 매트를 상, 하부에서 가압 및 롤링하여 매트를 강제로 끌어 당기는 상,하부 이송로울러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 회전로울러의 후방으로는 이송되는 매트에 묻은 대략의 이물질을 긁어 낼 수 있는 브러쉬휠와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휠 또는 물 분사노즐의 후방에는 세척된 매트를 하측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매트 수거통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배출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근자에는 상,하부 이송로울러와 상,하부 배출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트가 세척 중, 잼(강제 이송력이 약하고 슬림이 생기는 원인) 또는 기계동작시간의 오버 등으로 인하여, 롤러 사이를 통과하던 매트가 롤러 사이에 끼인 상태로 동작이 정지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보다 편리하게 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리, 점검 등을 포함하는 유지보수시에도 좀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 이송로울러와 상부 배출로울러가 본체와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젖힘이 가능한, 자동차 매트 자동화 세척기도 특허등록 제0484608(자동차 매트 세척기용 개폐장치)로 이미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선등록을 비롯하여 기존의 매트 세척기는 상,하부 이송로울러와 상,하부 배출로울러 중, 하부 이송로울러와 하부 배출로울러는 매트의 기본적인 이송작업을 위하여 본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하여 강제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지만, 이와 각각 서로 밀착대응하는 상부 이송로울러와 상부 배출로울러의 경우에는 하나의 구동모터로 강제로 구동이 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나머지, 상기 하부 이송로울러와 하부 배출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피동(공회전 상태)으로 움직이는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의 배출시 잼(강제 이송력이 약하고 슬림이 생겨 롤러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현상)과 같은 오류들이 자주 발생하였다.
더군다나 기존의 세척기는 투입된 매트에 물을 먼저 분사한 이후 물 분사가 없는 상태에서 브러쉬로 이물질을 털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의 효율이 그다지 높다고 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세척기를 통해 세척된 매트에 포함된 수분이 과다한 상태 그대로 배출이 되기 때문에 수요자가 그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에 걸쳐 별도로 건조를 해야하고, 에어를 불거나 흡입하여 수분을 어느정도 제거하는 에어압 분사 또는 공기 흡입수단이 갖춰진 세척기의 경우에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건조의 효율 또한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고, 무엇보다 수분 및 그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팬에 과부를 일으키거나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수리 등에 따른 손실은 물론 기기의 수명이 매우 짧았던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4846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47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타격봉 사이에 여러개의 자동차용 매트를 수직으로 세워서 삽입한 뒤,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타격봉이 여러개의 매트를 한꺼번에 타격하여 먼지를 깔끔하게 털어주고, 동시에 공기 이송부를 통해 털린 먼지를 빠르게 흡입하여 먼지가 다시 매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흡입한 먼지를 공기 이송부 내에서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로 전환시킨 뒤,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에 분사하기에 매트의 건조, 살균 및 스팀세척이 이루어져 자동차용 매트를 청결도가 높아지고,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자동차용 매트의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청소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부의 내부에서 매트가 청소되기에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차용 매트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가 형성되고, 중공된 내부는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매트가 투입되며, 상부측에는 매트를 건조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식 통풍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상부에 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고, 상기 걸쳐진 매트를 타격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동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매트에서 먼지를 제거하도록 프레임부를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매트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에 송풍해서 매트를 건조시키는 공기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눠지는데,
상기 매트가 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진 뒤 상기 프레임부의 타격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는 매트타격공간부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의 측면에 격벽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프레임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설치되는 작동부 설치공간부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의 하측부에 격벽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공기 이송부가 설치되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타격공간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제 1 보조프레임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조프레임은 제 1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보조프레임의 상부면에는 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를 타격하는 타격봉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은 제 1 보조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제 1 메인프레임과 대응되어 수평으로 제 2 메인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프레임의 측면에는 제 2 보조프레임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조프레임은 제 2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제 1 보조프레임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조프레임의 상부면에는 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를 타격하는 타격봉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은 제 2 보조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제 2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제 1 보조프레임과 제 2 프레임부의 제 2 보조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부에 의해 수평으로 작동되는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를 상호 반대측으로 작동시키는 방향전환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전환바는 양끝단부가 제 1 보조프레임과 제 2 보조프레임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방향전환바의 중앙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기에 방향전환바의 양끝단부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 설치공간부에 설치되는 작동부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수평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프레임부의 제 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직선운동에 의해 제 1 메인프레임을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수평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에 설치되는 공기 이송부는,
상기 매트타격공간부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구가 형성되는 이송 케이스와;
상기 이송 케이스의 송풍구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장치와;
상기 이송 케이스 내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시키는 흡입필터와;
상기 흡입필터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 및 송풍시키도록 회전되는 회전팬과;
상기 이송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팬의 후면에 연결되어 회전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 케이스의 흡입구에는 다수 방향으로 입구가 분기되는 분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구에 형성된 각각의 입구에 내부 공기 흡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의 끝단부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와 매트타격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에 연통되어 매트타격공간부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이송 케이스의 송풍구는 다수 방향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송풍구에 송풍관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의 끝단부는 매트타격공간부의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열선장치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를 매트에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구와 분기구 사이에는 공기가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전환하는 3-way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3-way 밸브는 흡입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에 분기구가 연결되고, 상기 3-way 밸브의 타측에는 본체부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3-way 밸브는 설정된 상황에 맞게 공기가 흡입구에 흡입되도록 분기구 또는 외부 공기 흡입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는 다수개의 타격봉 사이에 여러개의 자동차용 매트를 수직으로 세워서 삽입한 뒤,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타격봉이 여러개의 매트를 한꺼번에 타격하여 먼지를 깔끔하게 털어주고, 동시에 공기 이송부를 통해 털린 먼지를 빠르게 흡입하여 먼지가 다시 매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흡입한 먼지를 공기 이송부 내에서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로 전환시킨 뒤,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에 분사하기에 매트의 건조, 살균 및 스팀세척이 이루어져 자동차용 매트를 청결도가 높아지고,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자동차용 매트의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청소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의 내부에서 매트가 청소되기에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차용 매트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타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이송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타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이송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는 본체부(10)와, 프레임부(20)와,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11)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덮개(11)를 개방한 후, 본체부(10)의 중공된 내부에 매트(1)가 투입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의 중공된 내부는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는데, 매트(1)가 프레임부(20)에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진 뒤 상기 프레임부(20)의 타격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는 매트타격공간부(13)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측면에 격벽(12)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프레임부(2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30)가 설치되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하측부에 격벽(12)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공기 이송부(40)가 설치되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가 구획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 설치공간부(14)는 작동부(30)의 구성 때문에 매트타격공간부(13)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상부에 개폐덮개(11)가 형성되어 내부에 매트(1)를 투입하고, 다른 작동부 설치공간부(14)와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에도 별도의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각각에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가 투입 후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는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를 작동 및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 상부측에는 매트(1)를 건조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식 통풍구(17)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식 통풍구(17)는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평상시에는 본체부(10)의 내부가 본체부(10)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에서 매트(1)를 건조시에만 개방되어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개폐식 통풍구(17)에는 개폐식 댐퍼(미도시)와, 공기를 이송시키는 통풍팬(미도시)과, 혹시 모를 공기 중에 섞여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식 댐퍼와 통풍팬은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에 형성되어 상부에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고, 상기 걸쳐진 매트(1)를 타격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제 1 프레임부(21)와, 제 2 프레임부(22)와, 방향전환바(27)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부(21)는 도 2와 도 3에서처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인프레임(23)의 측면에 제 1 보조프레임(25)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조프레임(25)은 제 1 메인프레임(2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메인프레임(23)과 제 1 보조프레임(25)은 평면상 "E" 와 같은 포크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조프레임(25)의 상부면에는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1)를 타격하는 타격봉(28)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28)은 제 1 보조프레임(2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봉(28)과 타격봉(28) 사이에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격봉(28)은 다수개의 제 1 보조프레임(25)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부(22)는 도 2와 도 3에서처럼,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메인프레임(23)과 대응되어 수평으로 제 2 메인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프레임(24)의 측면에는 제 2 보조프레임(26)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6)은 제 2 메인프레임(2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보조프레임(25) 사이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메인프레임(24)과 제 2 보조프레임(26)은 평면상 "E" 와 같은 포크 형태로 형성되는데, 제 1 프레임부(21)와 대칭되어 다수개의 제 1 보조프레임(25) 사이에 제 2 보조프레임(26)이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6)의 상부면에는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1)를 타격하는 타격봉(28)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28)은 제 2 보조프레임(26)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봉(28)과 타격봉(28) 사이에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격봉(28)은 다수개의 제 2 보조프레임(26)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바(27)는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보조프레임(25)과 제 2 프레임부(22)의 제 2 보조프레임(2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부(30)에 의해 수평으로 작동되는 제 1 프레임부(21)와 제 2 프레임부(22)를 상호 반대측으로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바(27)는 양끝단부가 제 1 보조프레임(25)과 제 2 보조프레임(26)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제 1 보조프레임(25)과 제 2 보조프레임(26)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전환바(27)의 중앙부는 핀, 볼트, 피스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매트타격공간부(13)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기에 방향전환바(27)의 양끝단부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방향전환바(27)는 중앙부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끝단부에 연결된 제 1 보조프레임(25)의 일측으로 작동하면 상기 방향전환바(27)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제 2 보조프레임(26)은 방향전환바(27)을 중심으로 제 1 보조프레임(25)의 반대측으로 작동하는 구조이다.
그래서, 도 3과 같이 제 1 프레임부(21)와 제 2 프레임부(22)가 작동되면서 매트(1)의 양측을 타격하여 먼지를 털어주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 설치공간부(14)에 설치되어 프레임부(20)의 측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20)를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켜 매트(1)에 먼지를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0)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축을 통해 전달하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운동을 좌,우 수평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크랭크축(33)과, 상기 크랭크축(33)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메인프레임(23)과 연결되어 크랭크축(33)의 직선운동에 의해 제 1 프레임부(21)를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어 구동축(32)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31)와, 크랭크축(33)과, 직선 베어링부(34)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 내에 구비되어 매트(1)에서 털어진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구동축(32)은 크랭크축(33)과 연결된 상태로 작동부 설치공간부(14)와 매트타격공간부(13)를 구획하는 격벽(12)을 관통하여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메인프레임(23)에 연결되기에 일부만 작동부 설치공간부(14) 내에 구비되어 보호된다.
한편, 상기 회전모터(31)와, 크랭크축(33)과, 구동축(32)과, 직선 베어링부(34)은 매트타격공간부(1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에 설치되고,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에도 작동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부(30)는 제 2 프레임부(22)의 제 2 메인프레임(24)과 연결되는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어 구동축(32)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프레임부(22)와 연결되는 작동부(30)는 제 1 프레임부(21)의 작동시 제 2 프레임부(22)가 방향전환바(27)에 의해 반대측으로 작동되는 것을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이송부(4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에 설치되어 매트(1)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1)에 송풍해서 매트(1)를 건조시키는 장치로써, 흡입과 송풍을 겸업하도록 이송 케이스(41)와, 열선장치(42)와, 흡입필터(43)와, 회전팬(44)과, 흡입모터(45)와, 3-way 밸브(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케이스(41)는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일측에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타측에는 이송 케이스(41)의 내부에서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구(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흡입구(46)에는 여러방향으로 입구가 분기되는 분기구(46a)이 설치되고, 상기 분기구(46a)의 각각 입구에는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결되며,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의 끝단부는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 내부 곳곳에 배치되거나, 일부 내부 공기 흡입관(48)은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와 매트타격공간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2)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매트타격공간부(13)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통된 격벽(12)과 프레임부(20)의 사이에는 부피가 큰 먼지를 걸려주는 통풍격판(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3-way 밸브(50)는 흡입구(46)와 분기구(46a)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3-way 밸브(50)는 3방향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따라 전환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3-way 밸브(50)는 흡입구(46)에 연결된 상태에서 두 개의 입구 중 일측의 입구에 상기에서 기술한 분기구(46a)가 연결되고, 상기 3-way 밸브(50)의 타측 입구에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관(51)이 연결된다.
이렇듯, 상기 3-way 밸브(50)는 제어장치에 설정된 상황 즉, 매트(1)에서 떨어진 먼지를 흡입시 또는 매트(1)의 건조시에 맞게 흡입된 공기를 흡입구(46)에 흡입되도록 분기구(46a) 또는 외부 공기 흡입관(51)을 개폐한다. 즉, 상기 3-way 밸브(50)에 의해 분기구(46a)와 흡입구(46)을 연통시키면 매트(1)에서 떨어진 먼지가 충진된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뒤, 다시 송풍구(47)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고, 상기 상기 3-way 밸브(50)에 의해 외부 공기 흡입관(51)과 흡입구(46)을 연통시키면 매트(1)를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본체부(10)의 개폐식 통풍구(17)가 개방되는 동시에 본체부(10) 내의 압력 및 새로운 공기가 외부 공기 흡입관(51)을 통해 유입된다.
그렇기에 상기 외부 공기 흡입관(51)은 격벽(12)을 관통하여 본체부(10)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본체부(10)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는 여러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각각의 송풍구(47)에는 송풍관(49)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49)의 끝단부는 프레임부(20)에 걸쳐진 매트(1) 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열선장치(42)는 송풍구(47)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써,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 측 중 이송 케이스(4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열선장치(42)는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열선으로 이송 케이스(41)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형성되거나 이송 케이스(41)의 외부를 감싸서 내부에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구(47)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열선장치(42)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은 제어장치에 전달되어 설정된 온도 값에 맞춰 열선장치(42)를 제어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흡입필터(43)는 이송 케이스(41) 내의 흡입구(46)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46)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하는데, 큰 먼지는 상기의 통풍격판(16)을 통해 필터링되고, 그 이외의 미세먼지를 흡입필터(43)에 의해 필터링하여 완벽하게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여 다시 외부로 송풍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필터(43)는 이송 케이스(41)의 외부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흡입필터(43) 교체 또는 청소가 용이하다.
상기 회전팬(44)은 흡입필터(43)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입구(46)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흡입필터(4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구(47)를 통해 외부로 송풍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팬(44)은 원심팬, 시로코 팬 등으로 팬의 일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킨 뒤, 타측으로 이송시키기에 흡입과 송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흡입모터(45)는 이송 케이스(41)의 외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팬(44)의 후면에 축이 연결되어 회전팬(44)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모터(45)의 축은 이송 케이스(41)를 관통하여 이송 케이스(41) 내부에 형성된 회전팬(44)과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 케이스(41)와 흡입모터(45)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 내에 구비되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일부의 내부 공기 흡입관(48)과 일부의 송풍관(49)은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의 상부 및 측면의 격벽(12)을 관통하여 돌출되기에 일부만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 내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 내부에 설치되어 매트(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부(미도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부는 본체부(10)의 매트타격공간부(13)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매트(1)의 구석구석을 살균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램프부는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매트(1)에서 먼지를 털고 털린 먼지가 공기 이송부(40)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링된 후, 작동되어 매트(1)를 살균한다.
10 : 본체부 11 : 개폐덮개
12 : 격벽 13 : 매트타격공간부
14 : 작동부 설치공간부 15 :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
16 : 통풍격판 17 : 개폐식 통풍구
20 : 프레임부 21 : 제 1 프레임부
22 : 제 2 프레임부 23 : 제 1 메인프레임
24 : 제 2 메인프레임 25 : 제 1 보조프레임
26 : 제 2 보조프레임 27 : 방향전환바
28 : 타격봉
30 : 작동부 31 : 회전모터
32 : 구동축 33 : 크랭크축
34 : 직선 베어링부
40 : 공기 이송부 41 : 이송 케이스
42 : 열선장치 43 : 흡입필터
44 : 회전팬 45 : 흡입모터
46 : 흡입구 46a : 분기구
47 : 송풍구 48 : 내부 공기 흡입관
49 : 송풍관
50 : 3-way 밸브 51 : 외부 공기 흡입관

Claims (8)

  1. 일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11)가 형성되고, 중공된 내부는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매트(1)가 투입되며, 상부측에는 매트(1)를 건조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식 통풍구(17)가 형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내에 형성되어 상부에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고, 상기 걸쳐진 매트(1)를 타격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동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매트(1)에서 먼지를 제거하도록 프레임부(20)를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키는 작동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매트(1)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매트(1)에 송풍해서 매트(1)를 건조시키는 공기 이송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는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눠지는데,
    상기 매트(1)가 프레임부(20)에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진 뒤 상기 프레임부(20)의 타격에 의해 먼지가 털어지는 매트타격공간부(13)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측면에 격벽(12)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프레임부(2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30)가 설치되는 작동부 설치공간부(14)와;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의 하측부에 격벽(12)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공기 이송부(40)가 설치되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에 설치되는 공기 이송부(40)는,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6)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구(47)가 형성되는 이송 케이스(41)와;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구(47)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장치(42)와;
    상기 이송 케이스(41) 내의 흡입구(46)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46)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시키는 흡입필터(43)와;
    상기 흡입필터(43)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 및 송풍시키도록 회전되는 회전팬(44)과;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팬(44)의 후면에 연결되어 회전팬(44)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4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타격공간부(13)에 설치되는 프레임부(20)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인프레임(23)의 측면에 제 1 보조프레임(25)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조프레임(25)은 제 1 메인프레임(2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보조프레임(25)의 상부면에는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1)를 타격하는 타격봉(28)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28)은 제 1 보조프레임(25)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제 1 프레임부(21)와;
    상기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메인프레임(23)과 대응되어 수평으로 제 2 메인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프레임(24)의 측면에는 제 2 보조프레임(26)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6)은 제 2 메인프레임(2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보조프레임(25)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6)의 상부면에는 매트(1)가 수직으로 세워서 걸쳐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매트(1)를 타격하는 타격봉(28)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격봉(28)은 제 2 보조프레임(26)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제 2 프레임부(22)와;
    상기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보조프레임(25)과 제 2 프레임부(22)의 제 2 보조프레임(2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부(30)에 의해 수평으로 작동되는 제 1 프레임부(21)와 제 2 프레임부(22)를 상호 반대측으로 작동시키는 방향전환바(2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바(27)는 양끝단부가 제 1 보조프레임(25)과 제 2 보조프레임(26)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방향전환바(27)의 중앙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본체부(10)에 고정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기에 방향전환바(27)의 양끝단부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설치공간부(14)에 설치되는 작동부(30)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운동을 수평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크랭크축(33)과;
    상기 크랭크축(33)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프레임부(21)의 제 1 메인프레임(23)과 연결되어 크랭크축(33)의 직선운동에 의해 제 1 프레임부(21)을 수평으로 반복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어 구동축(32)의 수평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흡입구(46)에는 다수 방향으로 입구가 분기되는 분기구(46a)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구(46a)에 형성된 각각의 입구에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의 끝단부는 공기 이송부 설치공간부(15)와 매트타격공간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2)에 연통되어 매트타격공간부(13)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는 다수 방향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송풍구(47)에 송풍관(49)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49)의 끝단부는 매트타격공간부(13)의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열선장치(42)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를 매트(1)에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46)와 분기구(46a) 사이에는 공기가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전환하는 3-way 밸브(50)가 설치되고,
    상기 3-way 밸브(50)는 흡입구(46)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에 분기구(46a)가 연결되고, 상기 3-way 밸브(50)의 타측에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관(51)이 연결되며,
    상기 3-way 밸브(50)는 설정된 상황에 맞게 공기가 흡입구(46)에 흡입되도록 분기구(46a) 또는 외부 공기 흡입관(51)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134137A 2018-11-05 2018-11-05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KR10208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37A KR102085546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37A KR102085546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546B1 true KR102085546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37A KR102085546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7900A (zh) * 2021-06-10 2021-08-24 黄秀莲 一种医用防褥疮坐垫杀菌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608B1 (ko) 2003-07-18 2005-04-20 배상철 자동차 매트 세척기용 개폐장치
KR20070074446A (ko) * 2006-09-25 2007-07-12 최종철 차량 매트 소제장치
KR20080076659A (ko) * 2007-02-16 2008-08-20 주식회사 쌍마기계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KR20150007123A (ko) * 2013-07-10 2015-01-20 이동효 자동차용 매트 세척장치
KR20160109470A (ko) 2015-03-11 2016-09-21 윤문해 자동차용 매트 자동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608B1 (ko) 2003-07-18 2005-04-20 배상철 자동차 매트 세척기용 개폐장치
KR20070074446A (ko) * 2006-09-25 2007-07-12 최종철 차량 매트 소제장치
KR20080076659A (ko) * 2007-02-16 2008-08-20 주식회사 쌍마기계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KR20150007123A (ko) * 2013-07-10 2015-01-20 이동효 자동차용 매트 세척장치
KR20160109470A (ko) 2015-03-11 2016-09-21 윤문해 자동차용 매트 자동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7900A (zh) * 2021-06-10 2021-08-24 黄秀莲 一种医用防褥疮坐垫杀菌处理装置
CN113287900B (zh) * 2021-06-10 2024-01-12 黄秀莲 一种医用防褥疮坐垫杀菌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03B1 (ko) 이동식 매트리스 클리닝장치
KR100634668B1 (ko) 착색단고추 열수세척장치
US20020184730A1 (en)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KR101172463B1 (ko) 컵 세척장치
KR102085546B1 (ko)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KR100773458B1 (ko) 차량 매트 소제장치
WO2008019686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779820B1 (ko) 매트 진공 세척건조기
KR200277669Y1 (ko) 식기세척기용 공기배출장치
KR100857380B1 (ko)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KR101515701B1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CN110327697A (zh) 一种列车空调滤网竖向传送清洗设备
JP2001046990A (ja) マット洗浄機
SE518860C2 (sv) Presenningtvättmaskin med flera valsar
JPH07328564A (ja) 溶剤による組立完了品の外側部洗浄装置
JP2003047920A (ja) 洗浄乾燥機
KR20030067607A (ko) 집진시스템을 구비하는 과일 소제장치 및 이를 이용한과일 소제공정
US3063874A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textile traveling suction cleaner
KR102084998B1 (ko) 침구류 청소장치
KR200412900Y1 (ko) 차량 매트 소제장치
KR100554095B1 (ko) 침구류 위생청소용 탑차
KR101268517B1 (ko) 터널형 차량 소독기
JP3213764B2 (ja) 靴乾燥機
JPH09119797A (ja) エアコンの室内機の清掃方法および清掃排出物の捕捉器
CN214714178U (zh) 一种球类全自动清洗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