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998B1 - 침구류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침구류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998B1
KR102084998B1 KR1020180129540A KR20180129540A KR102084998B1 KR 102084998 B1 KR102084998 B1 KR 102084998B1 KR 1020180129540 A KR1020180129540 A KR 1020180129540A KR 20180129540 A KR20180129540 A KR 20180129540A KR 102084998 B1 KR102084998 B1 KR 10208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air
frame
rot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경
Original Assignee
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102018012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6Machines for beating upholst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5Machines using UV-lamps, IR-lamps, ultrasound or plasma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6Carpet-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에서 관리가 어려운 이불, 담뇨, 카페트 및 메트리스 커버 등의 침구류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쉽게 떨어내고, 침구류의 타격 수단 이외에 침구류가 상대적 위치 변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오존이나 자외선을 통해 침구류를 살균할 수 있으며, 고온의 공기를 통해 살균 및 세척이 용이하여 침구류의 간편한 청소와 청결도가 높아지고,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침구류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침구류 청소장치{Bedclot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에서 관리가 어려운 이불, 담뇨, 카페트 및 메트리스 커버 등의 침구류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쉽게 떨어내고, 침구류의 타격 수단 이외에 침구류가 상대적 위치 변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오존이나 자외선을 통해 침구류를 살균할 수 있으며, 고온의 공기를 통해 살균 및 세척이 용이하여 침구류의 간편한 청소와 청결도가 높아지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불은 테라스의 이불건조대나 난간 또는 복도의 난간에 거치하여 태양광에 의해 일광소독 및 건조하여 관리되고 있으나, 하절기를 제외한 계절에는 이불을 살균 소독할 정도의 태양광이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에도 이불의 살균 소독이 가장 필요한 우기에는 실시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이불은 겉감과 겉감 내부로 수용되는 솜과 같은 수용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 크기가 커서 일반 가정에서 세탁기를 이용해 세척하기가 어려웠으며, 세척후의 건조와 살균에도 날씨와 장소의 제약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68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에서 관리가 어려운 이불, 담뇨, 카페트 및 메트리스 커버 등의 침구류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쉽게 떨어내고, 침구류의 타격 수단 이외에 침구류가 상대적 위치 변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오존이나 자외선을 통해 침구류를 살균할 수 있으며, 고온의 공기를 통해 살균 및 세척이 용이하여 침구류의 간편한 청소와 청결도가 높아지는 침구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침구류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침구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가 형성되고, 중공된 내부에 침구류가 투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상부에 침구류가 걸쳐지고, 상기 걸쳐진 침구류에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동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어 침구류에 먼지를 제거하도록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침구류에 송풍해서 침구류를 건조시키는 공기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은, 상기 침구류가 상부에 걸쳐지는 링 형태의 상부 프레임과;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은 하단 중심부가 상호 크로스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직선운동에 의해 프레임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크랭크축과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상,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와;
상기 구동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하측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하 작동시,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프레임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고,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제 1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프레임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모터의 제 1 회전축과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회전모터의 제 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에 캠플로워로 연결되어 회전캠에서 전달된 직선운동에 의해 침구류의 일측을 타격하는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격대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이송부는, 일측에는 본체부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구가 형성되는 이송 케이스와;
상기 이송 케이스 내의 송풍구 측에 설치되어 송풍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장치와;
상기 이송 케이스 내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시키는 흡입필터와;
상기 흡입필터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 및 송풍시키도록 회전되는 회전팬과;
상기 이송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팬의 후면에 연결되어 회전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 케이스의 흡입구는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흡입구에 내부 공기 흡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의 끝단부는 본체부의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 케이스의 송풍구는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송풍구에 송풍관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의 끝단부에는 열선장치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침구류에 분사하는 분사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는 일반 가정에서 관리가 어려운 이불, 담뇨, 카페트 및 메트리스 커버 등의 침구류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쉽게 떨어내고, 침구류의 타격 수단 이외에 침구류가 상대적 위치 변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오존이나 자외선을 통해 침구류를 살균할 수 있으며, 고온의 공기를 통해 살균 및 세척이 용이하여 침구류의 간편한 청소와 청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침구류를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캠의 설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이송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캠의 설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이송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는 이불, 담뇨, 카페트 및 메트리스 커버 등의 침구류(1)를 청소하는 장치로써, 본체부(10)와, 프레임(20)과,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와, 자외선 램프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11)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덮개(11)를 개방한 후, 본체부(10)의 중공된 내부에 침구류(1)가 투입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는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와, 자외선 램프부(50)를 작동 및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작동부(30)와, 공기 이송부(40)와, 자외선 램프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 바닥면에는 보호 케이스(12)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2)의 내부에 일부 작동부(30)와, 일부 공기 이송부(40)가 설치되어 침구류(1)에서 떨어진 먼지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보호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 상부측에는 침구류(1)를 건조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식 통풍구(14)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식 통풍구(14)는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평상시에는 본체부(10)의 내부가 본체부(10)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에서 침구류(1)를 건조시에만 개방되어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개폐식 통풍구(14)에는 개폐식 댐퍼(미도시)와, 공기를 이송시키는 통풍팬(미도시)과, 혹시 모를 공기 중에 섞여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식 댐퍼와 통풍팬은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보호 케이스(1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작동부(30)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침구류(1)가 걸쳐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작동에 의해 걸쳐진 침구류(1)에서 먼지를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도 4에서처럼, 침구류(1)가 상부에 걸쳐지도록 링 형태의 상부 프레임(21)과,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되는 "U"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21)에는 상부에 걸쳐지는 침구류(1)를 고정시키는 클램프(24)가 더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4)는 침구류(1)의 외측을 통해 상부 프레임(21)에 결착되어 침구류(1)를 상부 프레임(21)에 일부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22)은 "U"의 하단 중심부가 상호 크로스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하부 프레임(22) 사이에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를 통해 공기 이송부(40)의 가열 공기가 관통되어 침구류(1)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에 걸쳐지는 침구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대략 "M" 형태로 걸쳐지기에 길이가 긴 침구류(1)도 손쉽게 클리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의 작동은 작동부(30)의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도 1에서처럼, 상기 프레임(20)은 상,하로 작동되어 걸쳐진 침구류(1)를 직접 타격하여 털어주기도 하고,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상기 프레임(20)의 정/역회전을 통해 걸쳐진 침구류(1)의 먼지를 털어준다.
상기 작동부(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침구류(1)에 먼지를 제거하도록 프레임(20)을 작동시키는데,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축을 통해 전달하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크랭크축(34)과, 상기 크랭크축(34)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크랭크축(34)의 직선운동에 의해 프레임(2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크랭크축(34)과 구동축(32)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축(32)의 상,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31)와, 크랭크축(34)과, 직선 베어링부(35)는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되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구동축(32)은 크랭크축(34)과 연결된 상태로 보호 케이스(12)의 상부를 관통하여 프레임(20)에 연결되기에 일부만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32)의 외주연에는 프레임(20)의 하측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보호 케이스(12)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상,하 작동시,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스프링부(32a)가 더 형성된다.
(제 2 실시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해 프레임(20)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축과 구동축(32)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33)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감속기(33)는 상황에 따라 회전모터(31)의 토크를 증가시키고,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31)와, 감속기(33)는 보호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구동축(32)은 회전모터(31)의 회전축 또는 감속기(33)와 연결된 상태로 보호 케이스(12)의 상부를 관통하여 프레임(20)에 연결되기에 일부만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된다.
(제 3 실시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데 일단면에 제 1 회전축(38)과 제 2 회전축(39)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축(38)과 제 2 회전축(39)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1 회전축(38)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해 프레임(20)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1 회전축(38)과 구동축(32)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33)와,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2 회전축(39)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회전캠(36)과, 상기 회전캠(36)에 캠플로워(36a)로 연결되어 회전캠(36)에서 전달된 직선운동에 의해 침구류(1)의 일측을 타격하는 타격대(37)와, 상기 타격대(37)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격대(37)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5)로 구성된다. 이때, 즉, 상기 감속기(33)는 상황에 따라 회전모터(31)의 토크를 증가시키고,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31)에는 두개의 회전축(38,39)이 형성되어 상기 두개의 회전축(38,39)을 한번에 회전시키는데, 작동 원리나 구조는 일반적인 더블 축 모터와 유사하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회전모터(31)에서 일측에 제 1 회전축(38)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회전축(38)과 직각으로 제 2 회전축(39)이 형성되어 회전캠(36)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캠(36)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타원형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에 타격대(37)와 연결되는 캠플로워(36a)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캠(36)이 회전모터(31)의 제 2 회전축(39)에 의해 타원형으로 회전되면 캠플로워(36a)는 타원형 홀에 의해 좌,우로 반복 이동되면서 타격대(37)를 직선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캠플로워(36a)의 작동 원리 및 구조는 통상적인 캠플로워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타격대(37)는 "ㅏ"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돌출부위가 회전캠(36)의 캠플로워(36a)와 연결되고, 상기 타격대(37)의 수직부위는 프레임(20)에 걸쳐진 침구류(1)의 수직부분에 위치되어 프레임(20)을 통해 먼지를 털지 못하는 부분을 타격대(37)가 직접 타격하여 털어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31), 감속기(33), 직선 베어링부(35)는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되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구동축(32) 및 타격대(37)는 보호 케이스(12)의 상부 및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기에 일부만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된다.
상기 공기 이송부(4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1)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침구류(1)에 송풍해서 침구류(1)를 건조시키는 장치로써, 흡입과 송풍을 겸업하도록 이송 케이스(41)와, 열선장치(42)와, 흡입필터(43)와, 회전팬(44)과, 흡입모터(45)와, 3-way 밸브(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케이스(41)는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일측에 본체부(10)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타측에는 이송 케이스(41)의 내부에서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구(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흡입구(46)에는 여러방향으로 입구가 분기되는 분기구(46a)이 설치되고, 상기 분기구(46a)의 입구에는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결되며,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의 끝단부는 본체부(10)의 내부 곳곳에 배치되거나, 일부 내부 공기 흡입관(48)은 보호 케이스(12)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내부 공기 흡입관(48) 중 하나의 내부 공기 흡입관(48)은 보호 케이스(12)를 관통하여 프레임(2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침구류(1)의 상부측을 흡입하고, 다른 내부 공기 흡입관(48)은 보호 케이스(12)의 하측에 연결되어 본체부(10)의 바닥면 측으로 떨어지는 먼지를 흡입한다. 이때,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통된 보호 케이스(12)의 하측 외부면에는 부피가 큰 먼지를 걸려주는 통풍격판(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3-way 밸브(60)는 흡입구(46)와 분기구(46a)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3-way 밸브(60)는 3방향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따라 전환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3-way 밸브(60)는 흡입구(46)에 연결된 상태에서 두 개의 입구 중 일측의 입구에 상기에서 기술한 분기구(46a)가 연결되고, 상기 3-way 밸브(60)의 타측 입구에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관(61)이 연결된다.
이렇듯, 상기 3-way 밸브(60)는 제어장치에 설정된 상황 즉, 침구류(1)에서 떨어진 먼지를 흡입시 또는 침구류(1)의 건조시에 맞게 흡입된 공기를 흡입구(46)에 흡입되도록 분기구(46a) 또는 외부 공기 흡입관(61)을 개폐한다. 즉, 상기 3-way 밸브(60)에 의해 분기구(46a)와 흡입구(46)을 연통시키면 침구류(1)에서 떨어진 먼지가 충진된 본체부(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뒤, 다시 송풍구(47)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고, 상기 상기 3-way 밸브(60)에 의해 외부 공기 흡입관(61)과 흡입구(46)을 연통시키면 침구류(1)를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본체부(10)의 개폐식 통풍구(14)가 개방되는 동시에 본체부(10) 내의 압력 및 새로운 공기가 외부 공기 흡입관(61)을 통해 유입된다.
그렇기에 상기 외부 공기 흡입관(61)은 보호 케이스(12)를 관통하여 본체부(10)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본체부(10)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는 여러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각각의 송풍구(47)에는 송풍관(49)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49)의 끝단부는 프레임(20)에 걸쳐진 침구류(1) 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관(49)의 끝단부에는 열선장치(42)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침구류(1)에 분사하는 분사구(49a)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49a)는 넓은 범위에 가열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절곡되거나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49a)의 일단면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9b)이 형성되어 넓은 면적에 가열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선장치(42)는 송풍구(47)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써,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 측 중 이송 케이스(4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열선장치(42)는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열선으로 이송 케이스(41)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형성되거나 이송 케이스(41)의 외부를 감싸서 내부에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구(47)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열선장치(42)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은 제어장치에 전달되어 설정된 온도 값에 맞춰 열선장치(42)를 제어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상기 흡입필터(43)는 이송 케이스(41) 내의 흡입구(46)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46)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하는데, 큰 먼지는 상기의 통풍격판(13)을 통해 필터링되고, 그 이외의 미세먼지를 흡입필터(43)에 의해 필터링하여 완벽하게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여 다시 외부로 송풍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필터(43)는 이송 케이스(41)의 외부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흡입필터(43) 교체 또는 청소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회전팬(44)은 흡입필터(43)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입구(46)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흡입필터(4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구(47)를 통해 외부로 송풍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팬(44)은 원심팬, 시로코 팬 등으로 팬의 일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킨 뒤, 타측으로 이송시키기에 흡입과 송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모터(45)는 이송 케이스(41)의 외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팬(44)의 후면에 축이 연결되어 회전팬(44)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모터(45)의 축은 이송 케이스(41)를 관통하여 이송 케이스(41) 내부에 형성된 회전팬(44)과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 케이스(41)와 흡입모터(45)는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되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일부의 내부 공기 흡입관(48)과 일부의 송풍관(49)은 보호 케이스(12)의 상부 및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기에 일부만 보호 케이스(12) 내에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1)를 살균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침구류(1)의 구석구석을 살균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부(50)는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침구류(1)에서 먼지를 털고 털린 먼지가 공기 이송부(40)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링된 후, 작동되어 침구류(1)를 살균한다.
10 : 본체부 11 : 개폐덮개
12 : 보호 케이스 13 : 통풍격판
14 : 개폐식 통풍구
20 : 프레임 21 : 상부 프레임
22 : 하부 프레임 23 : 공간부
24 : 클램프
30 : 작동부 31 : 회전모터
32 : 구동축 32a : 스프링부
33 : 감속기 34 : 크랭크축
35 : 직선 베어링부 36 : 회전캠
36a : 캠플로워 37 : 타격대
38 : 제 1 회전축 39 : 제 2 회전축
40 : 공기 이송부 41 : 이송 케이스
42 : 열선장치 43 : 흡입필터
44 : 회전팬 45 : 흡입모터
46 : 흡입구 46a : 분기구
47 : 송풍구 48 : 내부 공기 흡입관
49 : 송풍관 49a : 분사구
49b : 분사노즐
50 : 자외선 램프부
60 : 3-way 밸브 61 : 외부 공기 흡입관

Claims (8)

  1. 일측에 중공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11)가 형성되고, 중공된 내부에 침구류(1)가 투입되며, 상부측에 침구류(1)를 건조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식 통풍구(14)가 형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내에 형성되어 상부에 침구류(1)가 걸쳐지고, 상기 걸쳐진 침구류(1)에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동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침구류(1)에 먼지를 제거하도록 프레임(20)을 작동시키는 작동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1)에서 이탈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여 침구류(1)에 송풍해서 침구류(1)를 건조시키는 공기 이송부(4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구류(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고, 일단면과 타측면에 제 1 회전축(38)과 제 2 회전축(39)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축(38)과 제 2 회전축(39)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와;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1 회전축(38)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해 프레임(20)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축(32)과;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1 회전축(38)과 구동축(32) 사이에 연결되는 감속기(33)와;
    상기 회전모터(31)의 제 2 회전축(39)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회전캠(36)과;
    상기 회전캠(36)에 캠플로워(36a)로 연결되어 회전캠(36)에서 전달된 직선운동에 의해 침구류(1)의 일측을 타격하는 타격대(37)와;
    상기 타격대(37)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격대(37)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직선 베어링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침구류(1)가 상부에 걸쳐지는 링 형태의 상부 프레임(21)과;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 프레임(22)은 하단 중심부가 상호 크로스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40)는,
    일측에는 본체부(10) 내에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구(47)가 형성되는 이송 케이스(41)와;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 측에 설치되어 송풍구(47)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장치(42)와;
    상기 이송 케이스(41) 내의 흡입구(46) 측에 설치되어 흡입구(46)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필터링시키는 흡입필터(43)와;
    상기 흡입필터(43)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 및 송풍시키도록 회전되는 회전팬(44)과;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팬(44)의 후면에 연결되어 회전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4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흡입구(46)에는 다수 방향으로 입구가 분기되는 분기구(46a)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구(46a)에 형성된 각각의 입구에 내부 공기 흡입관(48)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기 흡입관(48)의 끝단부는 본체부(10)의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46)와 분기구(46a) 사이에는 공기가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전환하는 3-way 밸브(60)가 설치되고, 상기 3-way 밸브(60)는 흡입구(46)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에 분기구(46a)가 연결되고, 상기 3-way 밸브(60)의 타측에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관(61)이 연결되며, 상기 3-way 밸브(60)는 설정된 상황에 맞는 공기가 흡입구(46)에 흡입되도록 분기구(46a) 또는 외부 공기 흡입관(61)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케이스(41)의 송풍구(47)는 다수 방향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송풍구(47)에 송풍관(49)이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49)의 끝단부에는 열선장치(42)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침구류(1)에 분사하는 분사구(49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129540A 2018-10-29 2018-10-29 침구류 청소장치 KR10208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0A KR102084998B1 (ko) 2018-10-29 2018-10-29 침구류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0A KR102084998B1 (ko) 2018-10-29 2018-10-29 침구류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998B1 true KR102084998B1 (ko) 2020-03-05

Family

ID=6980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40A KR102084998B1 (ko) 2018-10-29 2018-10-29 침구류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692A (zh) * 2020-09-29 2021-01-22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厕所内用智能清扫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260Y1 (ko) * 2003-07-01 2003-09-26 신기종 이부자리 청소장치
KR200408684Y1 (ko) 2005-12-02 2006-02-13 김종범 이불살균 세척장치
JP2006042857A (ja) * 2004-07-30 2006-02-16 Eco Up:Kk 洗濯物の乾燥装置
KR20110022820A (ko) * 2009-08-28 2011-03-08 정성현 이불을 뒤집어서 크리닝할 수 있는 이불 크리닝 장치
KR20110067864A (ko) * 2009-12-15 2011-06-22 박래연 의류세척장치
KR20150014171A (ko) * 2013-07-29 2015-02-06 노희연 이불 소독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260Y1 (ko) * 2003-07-01 2003-09-26 신기종 이부자리 청소장치
JP2006042857A (ja) * 2004-07-30 2006-02-16 Eco Up:Kk 洗濯物の乾燥装置
KR200408684Y1 (ko) 2005-12-02 2006-02-13 김종범 이불살균 세척장치
KR20110022820A (ko) * 2009-08-28 2011-03-08 정성현 이불을 뒤집어서 크리닝할 수 있는 이불 크리닝 장치
KR20110067864A (ko) * 2009-12-15 2011-06-22 박래연 의류세척장치
KR20150014171A (ko) * 2013-07-29 2015-02-06 노희연 이불 소독 및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692A (zh) * 2020-09-29 2021-01-22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厕所内用智能清扫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9097A (ko) 이불 세정기
KR20160089669A (ko) 만능 옷장
KR102084998B1 (ko) 침구류 청소장치
KR20150012960A (ko) 대형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CN109819907A (zh) 一种宠物自动吹水烘干装置
CN109853202B (zh) 一种智能家居衣物快速环保干燥装置
KR20050096037A (ko)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CN108378576A (zh) 一种多功能衣柜
JP7182683B2 (ja) ドアの内側の水滴付着防止のための多機能収納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てドアの内側を乾燥させる方法
KR101246952B1 (ko) 의류 청결 장치
KR200408684Y1 (ko) 이불살균 세척장치
KR20170033657A (ko) 침구류 및 의류 다기능 살균장치
KR20080107076A (ko) 이불클리닝장치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KR100430480B1 (ko)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CN107675455A (zh) 一种基于气流循环系统的智能消毒设备及其工作方法
KR20130006533U (ko) 이불 살균 및 세척장치
KR102645225B1 (ko) 가정용 공기청정기
KR100479125B1 (ko) 가습 청정기 겸용 의류 건조기
KR20140070909A (ko) 이불 클리너
CN109106081A (zh) 一种通风灭菌衣柜
KR200418256Y1 (ko) 차량용 매트 건조 및 살균기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08775801A (zh) 一种用于纺织品的烘干装置
JP2020137592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