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498A -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498A
KR20120131498A KR1020110049703A KR20110049703A KR20120131498A KR 20120131498 A KR20120131498 A KR 20120131498A KR 1020110049703 A KR1020110049703 A KR 1020110049703A KR 20110049703 A KR20110049703 A KR 20110049703A KR 20120131498 A KR20120131498 A KR 2012013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ain body
winding
tray
wind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점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4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498A/ko
Publication of KR2012013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73Constructional details without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rotating the core or form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케이블(10) 수용이 가능하도록 권취트레이(130)를 포함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덮개(120)로 구성되어,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가설작업 후 발생되는 여장의 광케이블을 케이스 내부에서 단정하게 정리함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다수의 광케이블 여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단정하게 정리된 광케이블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등주 혹은 작업용 사다리부착 등으로 인한 밴딩, 물리적 손상, 단선 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도시미관 확보로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Box for receiving optical cable}
본 발명은 전주(telegraph poles) 상에서 코아접속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광케이블의 여장을 정리 보관하는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가설작업 후 발생되는 여장의 부분을 편리하고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헝클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고, 추후 작업자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전기적 신호 혹은 광학적인 신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케이블이 가설될 수 있도록 지면에서 6~7m 정도의 높이로 대략 30~50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전주에 가설되는 통신케이블은 다양한 환경조건이 일치하지 않아 지하에 매설될 수 없는 광케이블이 가설되는 것으로, 전주에는 광케이블 접속단자함이 설치되고, 광케이블은 이격 설치된 전주의 접속단자함 내의 단자에 상호간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접속 연결된다.
이때, 광케이블이 접속단자함 내의 단자에 연결됨에 있어서 차후 광케이블의 재결합이나 연장 등의 유지보수 작업 수행을 이유로 일정길이의 여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광케이블의 여장은 수회 감은 상태로 접속단자함의 하단 또는 케이블 지지선상에 묶어 보관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여장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 상단에는 통신케이블(2)과 함께 광케이블(3)이 가설되는 것으로, 여장의 광케이블(3)이 여러 차례 감겨진 상태로 전주 상단에 보관되는 것고 있지만, 이는 미관상 매우 보기에 좋지 못하였다.
또한, 복잡하게 얽혀진 케이블은 유지보수 작업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각종 추락 등의 사고위험이 노출되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케이블간의 혼촉, 단선, 접촉 불량 등 여러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가설작업 후 발생되는 여장 광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등주 혹은 작업용 사다리부착 등으로 인한 밴딩, 인장, 단선 등의 고장 사건을 사전에 예방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 수용이 가능하도록 권취트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가설작업 후 발생되는 여장의 광케이블을 케이스 내부에서 단정하게 정리함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다수의 광케이블 여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단정하게 정리된 광케이블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등주 혹은 작업용 사다리부착 등으로 인한 밴딩, 물리적 손상, 단선 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도시미관 확보로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여분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권취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권취트레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권취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권취트레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트레이(130)를 포함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져 다수의 광케이블 여분을 본체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은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광케이블을 정리하기 위한 권취트레이(13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광케이블(10) 여분을 수용하는 것으로 일면은 개방되어 덮개(120)로부터 차단된다.
덮개(120)는 본체(1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일측에는 힌지축(111)이 형성되고 덮개(120)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111)에 대응 결합되는 걸림부(121)를 형성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10) 및 덮개(120)의 구성에서 힌지 결합된 일측에 대한 타단부는 상호간 대응 결합되는 체결수단(112, 122)이 형성되어 덮개(120)의 개폐상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며, 이와 같은 체결수단(112, 122)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부터 응용 적용할 수 있는 것이기에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110)의 하부면에는 인입공(113)이 관통 형성되어 광케이블(10)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하며, 본체(110)의 상부면에는 인출공(114)이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서 권취 정리된 광케이블(1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체(110) 내부에서 인입공(113) 및 인출공(114) 일측에는 탄성바(115)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인입공(113) 및 인출공(114)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다수의 광케이블(10)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수용 범위를 한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탄성바(115)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복원력 및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광케이블(10)이 상기 탄성바(115)의 수용범위 안에서 이탈되지 않고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측 후면부에는 다수의 고리부(116)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권취트레이(13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하며며, 상기 본체(110)의 후면부 외측에는 벨트체결공(117)이 형성되어 본체(110)와 전주 상호 간의 벨트 연결을 통해 상기 본체(110)를 전주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트레이(130)는 지지패널(131)로부터 일 방향으로 권취봉(132)이 돌출 형성되고, 권취봉(132)의 단부에는 권취된 광케이블(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33)이 형성되는 것으로, 광케이블(10)은 상기 지지패널(131)과 이탈방지편(133) 사이에 위치한 권취봉(132)의 외주연을 선회하며 권취 보관되는 것이다.
한편, 권취트레이(130)의 지지패널(131)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134)이 관통 형성되어 본체(110)의 고리부(116)에 연결됨으로 상호 회동 가능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인입공(113)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10)은 권취트레이(130)의 권취봉(132) 외주연에 수회 감김으로 여분의 광케이블(10)을 형성하며, 이후 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바(115)에서는 본체(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광케이블(10)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수용 범위를 한정하여 다수의 광케이블(10)이 인입 또는 인출됨에 있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트레이(130)는 본체(110)의 고리부(116)에 연결 설치하되, 다수의 고리부(116)로부터 다수개의 권취트레이(13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권취트레이(130)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광케이블 정리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은 광케이블 수용이 가능하도록 권취트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전주 상단에서 광케이블의 가설작업 후 발생되는 여장의 광케이블을 케이스 내부에서 단정하게 정리함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다수의 광케이블 여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단정하게 정리된 광케이블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등주 혹은 작업용 사다리부착 등으로 인한 밴딩, 물리적 손상, 단선 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도시미관 확보로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광케이블 110 : 본체
111 : 힌지축 112, 122 : 체결수단
113 : 인입공 114 : 인출공
115 : 탄성바 116 : 고리부
117 : 벨트체결공 120 : 덮개
121 : 걸림부 130 : 권취트레이
131 : 지지패널 132 : 권취봉
133 : 이탈방지편 134 : 결합공

Claims (7)

  1. 광케이블 수용이 가능하도록 권취트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인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인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에 고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권취트레이 일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에 권취트레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와 권취트레이는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트레이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상단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은 지지패널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면도 권취봉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인입공 및 인출공 일측에는 탄성바가 추가로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KR1020110049703A 2011-05-25 2011-05-25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KR20120131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03A KR20120131498A (ko) 2011-05-25 2011-05-25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03A KR20120131498A (ko) 2011-05-25 2011-05-25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98A true KR20120131498A (ko) 2012-12-05

Family

ID=4751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703A KR20120131498A (ko) 2011-05-25 2011-05-25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8004A1 (ko) * 2014-09-22 2016-03-31 임채현 적층형 광심선 저장함
KR102334002B1 (ko) * 2021-04-06 2021-12-02 세원전설 주식회사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8004A1 (ko) * 2014-09-22 2016-03-31 임채현 적층형 광심선 저장함
US9995900B2 (en) 2014-09-22 2018-06-12 Chae Hyeon IM Stacked optical fiber storage compartment
KR102334002B1 (ko) * 2021-04-06 2021-12-02 세원전설 주식회사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6101206A (ru) Короб для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монтажа
JP2010283946A (ja) 充電装置
CN204416782U (zh) 一种绕线盒
KR20120131498A (ko)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CN205429789U (zh) 具有车挡功能的充电终端
CN203855243U (zh) 一种绕线器
JP6841636B2 (ja) 車両保護部材及び充電ケーブル接続時における車両保護構造
KR101361006B1 (ko) 콤팩트 광접속함체
JP6305189B2 (ja) 電気自動車充放電装置
KR100779155B1 (ko) 여분의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전신주용 광접속함체
CN201910631U (zh) 一种手机充电座
CN201041891Y (zh) 一种用电装置的收线机构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CN203365759U (zh) 具有分段组合线轴的储纤盒
CN107093871A (zh) 一种电工布线用线缆穿线排线器
CN206741061U (zh) 一种可旋转式余缆盘线架
KR20100052354A (ko) 전선감개가 부착된 멀티탭
KR200477491Y1 (ko) 전선 풀림 장치
KR101078352B1 (ko) 광분배 저장셀프
KR20120129374A (ko) 전선정리 및 보관 기능이 있는 슬라이드 형식의 콘센트
CN215248805U (zh) 一种线材收纳盒
CN103606773B (zh) 一种网线连接盒
KR101174756B1 (ko) 충전기 정리함
CN219259195U (zh) 一种电视机
JP3198215U (ja) 線材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