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719B1 -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 Google Patents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719B1
KR100710719B1 KR1020060054761A KR20060054761A KR100710719B1 KR 100710719 B1 KR100710719 B1 KR 100710719B1 KR 1020060054761 A KR1020060054761 A KR 1020060054761A KR 20060054761 A KR20060054761 A KR 20060054761A KR 100710719 B1 KR100710719 B1 KR 10071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ace portion
transfer paper
swaging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966A (ko
Inventor
이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산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to KR102006005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7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손잡이 장식구조에 관한 것으로서,공간부에 형성된 공기로 인해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전사지를 소성시 금속재 손잡이 외주면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와 삽부를 용접 일체로 결합 지지되는 스텐레스재의 관체로된 음식용구 손잡이부를 스웨이징(Swaging)하여 상, 하단 한쪽 으로는 통공을 형성하므로서 외주면으로 사전에 소정의 문양과 색상이 다양하게 인쇄되어진 전사지를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소성시 공기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외주면의 변형을 방지 장식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 외주면으로 다양한 문양과 색상이 인쇄된 전사지를 선택적으로 융착하여 줌으로서 장식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종래에 비하여 한층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장식미를 발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음식용구,손잡이 장식구조,전사지

Description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Spoon for Handle Containing Vacant Part}
도 1 은 본 발명의 손잡이 장식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손잡이 장식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 손잡이 장식구조의 평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삽부
10 :음식용구의 손잡이
11 :공간부 20 :전사지
본 발명은 스푼,포크 또는 나이프와 같은 음식용구에 있어서,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용구 본체와 별도로 분리 형성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의 장식을 간편하게 다양화하여 고급제품으로도 전혀 손색이 없는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식용구의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에 장식을 함에 있어서,특히 손잡이가 금속인 경우에는 음식용구의 제조 과정에서 소정의 문양을 직접 프레스 하거나,또는 용구삽부와는 별도로 제작 조립되는 손잡이의 경우에는 손잡이의 외주면으로 소정의 문양을 직접 인쇄하여 장식을 하였다.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손잡이의 문양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가공의 특성상 문양 작업이 곤란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식을 제공하기 어려웠고,또한 후자의 경우 역시 손잡이 표면에 문양을 직접 인쇄하였기 때문에 실크 인쇄작업에 따른 공정의 어려움과 지연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인쇄의 특성상 그 단면이 둥근 경우에는 인쇄가 어려워 다양한 형태의 장식을 표현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에도 스웨이징(swaging) 처리하여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공개실용신안 공개공보 제84-4698호)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와같은 수저에 세라믹을 전사처리하는 경우에는 금속 및 세라믹이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상이하여 생기는 균열현상이 발생되고,
고온의 열처리시 공간부에 형성된 공기의 수축팽창으로 금속재 손잡이 외주면이 변형되어 세라믹 및 전사지에 생기는 균열 등의 문제점과, 최종 마무리과정에서 연마시 금속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불량율이 높아 보다 정밀한 제조공정을 요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부에 형성된 공기로 인해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전사지를 소성시 금속재 손잡이 외주면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와 삽부를 용접 일체로 결합 지지되는 스텐레스재의 관체로된 음식용구 손잡이부를 스웨이징(Swaging)하여 상, 하단 어느 한쪽으로 통공을 형성하므로서 외주면으로 사전에 소정의 문양과 색상이 다양하게 인쇄되어진 전사지를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소성시 공기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외주면의 변형을 방지 장식되도록 구성하여 손잡이의 장식을 간편하게 다양화하여 고급제품으로도 전혀 손색이 없는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부(11)가 형성된 공지의 음식용구 손잡이(10)를 장식함에 있어서,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와 삽부를 용접 일체로 결합 지지되는 스텐레스재의 관체로된 음식용구 손잡이부를 스웨이징(Swaging)하여 상, 하단 어느 한쪽으로 통공을 형성하므로서 외주면으로 사전에 소정의 문양과 색상이 다양하게 인쇄되어진 전사지(20)를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소성시 공기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외주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스웨이징 처리(회전 단조)시 손잡이부가 둥글게 말아지고, 손잡이 상부도 스웨이징 처리하여 원형을 유지하기 전에 그대로 정지하여 손잡이 상부의 정점부에 통공이 형성된채 유지되게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전시처리를 하고서 마무리 공정시 재차 스웨이징 처리를 계속하여 상기 통공이 메워지게 하고 있다.
도1 ,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용구의 분리사시도 ,단면예시도 및 그 평단면도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이나 포크 또는 나이프와 같은 형태의 공간부가(11) 형성된 음식용구 손잡이(10)의 외주면에 소정의 문양과 색상이 인쇄되어진 전사지(20)를 500~800도의 열 융착시킨 후 음식용구(10)와 삽부(1)를 용접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손잡이(10)를 장식함에 있어서,사전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으로 인쇄되어진 소정의 전사지(20)를 선택하여 손잡이(10) 외주면에 융착하여 주기 때문에 해당 음식용구(10)의 색상 등 여러 가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다양한 장식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장식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여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레스재의 관체로된 음식용구 손잡이부를 스웨이징(Swaging)하여 상, 하단 한쪽 으로는 통공을 형성하므로서 외주면으로 전사지를 고온으로 소성시 공기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외주면의 변형을 방지 장식되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문양과 색상이 인쇄된 전사지를 선택적으로 융착하여 줌으로서 장식구조가 간단하며 종래에 비하여 한층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장식미를 발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상 음식용구는 스푼 형태이나 포크,나이프 및 조리용구손잡이 형태의 것도 본 발명의 수저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1)

  1. 공간부(11)가 형성된 파이프를 스웨이징 공법으로 처리하여 경사지게 형성시킨 공지의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1)가 형성된 음식용구에 삽부(1)를 용접으로 일체로 결합 지지시키며,
    상기 손잡이(10)의 타측을 스웨이징(Swaging)시 상부 일측을 일정한 통공이 형성되게 하고,
    외주면으로 사전에 소정의 문양과 색상이 다양하게 인쇄되어진 전자지(20)을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시켜 소성되면서 부착시킨 후,
    다시 스웨이징으로 상기 통공이 메워지도록 하여 통공에 의하여 공기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외주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KR1020060054761A 2006-06-19 2006-06-19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KR10071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61A KR100710719B1 (ko) 2006-06-19 2006-06-19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61A KR100710719B1 (ko) 2006-06-19 2006-06-19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423U Division KR200402080Y1 (ko) 2005-09-02 2005-09-02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손잡이 장식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66A KR20070025966A (ko) 2007-03-08
KR100710719B1 true KR100710719B1 (ko) 2007-04-24

Family

ID=3810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761A KR100710719B1 (ko) 2006-06-19 2006-06-19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79B1 (ko) * 2009-09-18 2012-06-28 장도훈 방짜 제품 전사방법
GB201718611D0 (en) 2017-11-10 2017-12-27 Petrella Filomena Table utensil having a decorative attach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66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719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EP0930806B1 (fr) Plaque vitrocéramique comportant un relief de repérage tactile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KR101028419B1 (ko)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0896990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 손잡이 부재의 성형방법
KR200402080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손잡이 장식구조
KR200181212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장식구조
KR100322409B1 (ko) 스텐레스금속제주방용품의세라믹코팅방법
KR101418169B1 (ko) 구리합금에 칠보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72410B1 (ko) 은 상감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419497A (zh) 复底夹层不锈钢工艺锅及其制作方法
KR200385690Y1 (ko) 음식용구 손잡이의 상면 전사장치
JP3212197U (ja) 装飾を施したハマ
JP4947896B2 (ja) 陶磁器の製造方法
FR3017614A1 (fr) Procede pour fabriquer une piece de vaisselle et elements de decoration, equipements de fabric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vaisselle et elements de decorations ainsi produits
KR200418130Y1 (ko) 장식 파이프
CN104909828B (zh) 一种内墙抛晶镜面瓷片及其制造方法
KR20100026034A (ko) 주방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1990U (ko) 은수저.
KR200351236Y1 (ko) 식사용구
KR100871450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적합한 프레스 기기
KR200225793Y1 (ko) 키친툴의 합성수지제 손잡이
KR200405054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102049503B1 (ko)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KR200410172Y1 (ko) 음식용구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