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36Y1 - 식사용구 - Google Patents

식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36Y1
KR200351236Y1 KR20-2004-0002718U KR20040002718U KR200351236Y1 KR 200351236 Y1 KR200351236 Y1 KR 200351236Y1 KR 20040002718 U KR20040002718 U KR 20040002718U KR 200351236 Y1 KR200351236 Y1 KR 200351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andle portion
protrusion
presen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라명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라명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라명품
Priority to KR20-2004-0002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가 중공으로 주물 제작되어 중량이 가볍게 되고, 손잡이부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다양한 문양이 조각 형성된 홀더가 결합됨으로써, 수려한 외관미에 의해 상품성이 높아질 수 있는 식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먹거나 집는 기능을 가진 음식 접촉부와, 음식 접촉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부에 돌출부를 가진 손잡이부 및,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홈을 가지며, 외면에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숫가락과 젓가락 등의 식사용구가 중공으로 주물 제작됨으로써, 재료비용이 절약되고, 본체의 중량이 가벼워진다.
또한, 손잡이부 단부의 돌출부 외면으로 결합된 홀더의 외면에 다양한 문양이 조각형성되어 기존의 일률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게 됨으로써 디자인의 차별화를 갖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사용구 {Equipment for a meal}
본 고안은 식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가 중공으로 주물 제작됨으로써, 재료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중량이 가볍게 되며, 손잡이부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외면으로 다양한 문양이 조각형성된 홀더가 결합되어, 외관미가 향상되고, 제품 디자인의 차별화를 갖게 되는 식사용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점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숫가락 또는 젓가락과 같은 식사용구는 손잡이부와 음식접촉부가 일체형 또는 분해조립형으로 제작된다. 특히,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켜 상품의 차별화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손잡이부에 칠보자기층이 형성되거나, 상감기법을 이용한 문자나 도형과 같은 문양이 새겨진 제품이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다.
도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숫가락과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a)(100b)와 음식접촉부(120a)(120b)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상의 식사용구는 단조와 프레스작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손잡이부(100a)(100b)의 외면에는 칠보자기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외관미가 향상된다. 이때, 손잡이부(100a)(100b)와 음식접촉부(120a)(120b)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및 기타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사용구는 내부가 꽉 채워지게 제작되어 중량이 무겁고,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은과 같은 고가의 재질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생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가 중공으로 주물 제작되어 중량이 가볍게 되고, 재료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식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다양한 문양이 조각 형성된 홀더가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일률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게되는 식사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홀더만 은과 같은 고가의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식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식사용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사용구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젓가락의 분해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사용구의 단면도.
도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사용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240a, 240b : 손잡이부
120a, 120b, 200a, 200b : 음식접촉부
210, 210a, 210b : 홀더
220a : 결합홈
230a : 돌출부
250 : 식사용구의 중공부
260 : 홀더의 중공부
280 : 문양표시부 (양각)
290 : 문양표시부 (음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식사용구는,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먹거나 집는 기능을 가진 음식 접촉부와,
상기 음식 접촉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부에 돌출부를 가진 손잡이부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홈을 가지며, 외면에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 및 홀더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 및 홀더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홀더의 외면은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조각 형성되고, 금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숫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젓가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사용구는 중공의 형태로 주물 제작되어, 손잡이부(240a)(240b) 단부에 돌출부(230a)가 형성되고, 돌출부(230a)는 다양한 문양이 조각 형성된 홀더(210a)(210b)의 결합홈(220a)에 결합된다.
이때, 식사용구는 홀더와 본체로 분리되어, 상이한 재질 또는 동일 재질로 주물 성형된 후에 프레스 작업에 의해 견고하게 압착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식사용구의 홀더(210) 외면에 양각(280)기법으로 도형이나 문자들과 같은 다양한 문양이 조각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는 도4a에 도시되어 있고, 도4b는 홀더(210)의 외면에 조각 형성되는 도형이나 문자들이 음각(290)기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식사용구에 따르면,
숫가락과 젓가락 등의 식사용구가 중공으로 주물 제작됨으로써, 재료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본체의 중량이 가벼워진다.
또한, 홀더의 외면에 문자나 도형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조각 형성하여 기존의 일률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게 됨으로써, 제품디자인의 차별화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식사용구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떠먹거나 집는 기능을 가진 음식 접촉부와,
    상기 음식 접촉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부에 돌출부를 가진 손잡이부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홈을 가지며, 외면에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홀더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홀더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측면은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조각 형성되고, 금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용구.
KR20-2004-0002718U 2004-02-05 2004-02-05 식사용구 KR200351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18U KR200351236Y1 (ko) 2004-02-05 2004-02-05 식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18U KR200351236Y1 (ko) 2004-02-05 2004-02-05 식사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36Y1 true KR200351236Y1 (ko) 2004-06-01

Family

ID=4943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718U KR200351236Y1 (ko) 2004-02-05 2004-02-05 식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0504S1 (en) Handgrip for food utensil
USD558534S1 (en) Utensil surface pattern
USD535857S1 (en) Combination spoon and fork utensil
CA124515S (en) Set of eating utensils
USD563735S1 (en) Cutlery set
USD544313S1 (en) Fork spoon utensil head
USD530987S1 (en) Fork
USD489567S1 (en) Rectangular utility baking pan
USD531860S1 (en) Spoon
CA122712S (en) Set of cutlery
KR200351236Y1 (ko) 식사용구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USD53145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8293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63221S1 (en) Eating utensil with toothpick incorporated therein
USD530978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7943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77504S1 (en) Utensil with diamond pattern handle
USD447389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spiral design
USD495555S1 (en) Flatware utensil
KR200385690Y1 (ko) 음식용구 손잡이의 상면 전사장치
USD446426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hatched design
USD580716S1 (en) Molded food utensils with advertising indicia thereon
USD458003S1 (en) Surface pattern applied to a doughnut pastry
USD45915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