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279B1 - 방짜 제품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방짜 제품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79B1
KR101160279B1 KR1020090088377A KR20090088377A KR101160279B1 KR 101160279 B1 KR101160279 B1 KR 101160279B1 KR 1020090088377 A KR1020090088377 A KR 1020090088377A KR 20090088377 A KR20090088377 A KR 20090088377A KR 101160279 B1 KR101160279 B1 KR 10116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ransfer
polishing
washing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786A (ko
Inventor
장도훈
Original Assignee
장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도훈 filed Critical 장도훈
Priority to KR102009008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2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DENAMELLING OF, OR APPLYING A VITREOUS LAYER TO, METALS
    • C23D5/00Coating with enamels or vitreous layers
    • C23D5/06Coating with enamels or vitreous layers producing designs or le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DENAMELLING OF, OR APPLYING A VITREOUS LAYER TO, METALS
    • C23D7/00Treating the coatings, e.g. drying before bur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10Other heavy metals
    • C23G1/103Other heavy metals copper or alloys of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품질이 좋은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두드려서 만든 수저, 접시 등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짜 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는 1차 연마단계와, 연마 후의 방짜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 후의 방짜 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 후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세라믹가루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 및 전사 후의 방짜 제품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짜, 전사, 세라믹, 장식, 놋쇠, 유기

Description

방짜 제품 전사방법 {Method of decal comania for high quality brass tableware}
본 발명은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품질이 좋은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두드려서 만든 수저, 접시 등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짜라 함은 품질이 좋은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두드려서 제품을 만드는 단조방법을 뜻하는 것으로, 수저, 그릇과 같은 식기류나 징, 꽹과리와 같은 타악기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방짜는 스스로 살균 소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류에 가장 적합하며, 방짜로 만든 식기류를 '방짜유기' 또는 '놋그릇'이라 한다.
예로부터, 방짜유기는 보온 및 보냉효과가 우수하고, 살균효과 및 영양분 배양효과가 뛰어나 노약자, 어린이 및 임산부들에게 탁월한 효능이 있어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류로 사용되었다.
방짜 제품은 보통 구리와 주석을 약 22:78의 비율로 1300℃의 고온에서 혼합하는 용해과정과, 용해과정에 의해 생성된 놋쇠덩이(바둑)를 불에 달구면서 여러 명이 망치질하여 늘이면서 형태를 잡아가는 우김질 과정, 여러 장 합쳐서 우김질 한 것을 한 장씩 분리해 내는 싸개질 작업, 싸개질 후의 놋쇠의 바닥면을 평편하게 만드는 닥침작업, 놋쇠의 측면의 각도를 약 75도 정도로 잡아주는 부질작업, 뜨거운 불에 반복적으로 담금으로써 놋쇠의 강도를 높여주는 담금질 작업, 망치와 같은 연장으로 계속 두드리며 돌아간 원형을 잡아주는 티집작업 및 울음작업과 같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하지만, 방짜유기는 제조 및 재질 상의 특성으로 인해 그 표면을 장식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장식을 하더라도 무늬만 음각에 의해 새길 뿐 방짜유기의 표면에 색상을 넣어 장식하는 방법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짜에 의해 제조되는 그릇이나 수저 등의 식기류의 표면을 다양한 색상의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 가루를 이용하여 단순한 방법에 의해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사 후에도 채색이 벗겨지거나 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짜 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는 1차 연마단계와, 연마 후의 방짜 제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 후의 방짜 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 후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세라믹가루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 및 전사 후의 방짜 제품을 가열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척단계는 연마 후의 방짜 제품으로부터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염산 세척단계와, 염산 세척 후의 방짜 제품을 온수와 냉수로 각각 세척하는 온수 및 냉수 세척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사단계는 종이에 풀을 먹여 전사지를 준비하는 전사지 준비단계와, 상기 전사지에 전사하고자 하는 문양대로 세라믹 가루를 도포한 후 건조시키 는 세라믹 가루 도포단계와, 상기 세라믹 가루가 도포된 전사지에 물을 묻힌 후 방짜 제품의 전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붙이는 전사지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단계에서는 40℃로 가열을 시작한 후 680 ~ 720℃까지 가열하였다가 다시 40℃로 온도를 내려 가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단계는 90 ~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단계 이후에 방짜 제품의 표면을 다시 연마하는 2차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의하면, 방짜에 의해 제조되는 그릇이나 수저 등의 식기류의 표면을 다양한 색상의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미려한 방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의해 전사가 완료된 방짜 수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의해 전사가 완료된 방 짜 그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품질이 좋은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두드려서 만든 수저(10), 그릇(20) 등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1차 연마단계(S10), 세척단계(S20), 건조단계(S30), 전사단계(S40) 및 열처리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1차 연마단계(S10)는 제조가 완료된 수저(10), 그릇(20) 등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메자국(울퉁불퉁한 부분)을 없앰으로써 제품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여 후술할 전사단계(S40)에서 전사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세척단계(S20)는 1차 연마단계(S10)에서 생성되어 연마 후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있는 놋쇠(구리와 주석의 합금)가루 및 방짜 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염산 세척단계(S22)와, 염산 세척 후의 방짜 제품을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와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로 각각 세척하는 온수 및 냉수 세척단계(S24)(S2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염산 세척단계(S22)는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놋쇠가루를 제거함과 동시에 방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분을 제거함으로써 방짜 제품의 표면에 전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온수 세척단계(S24)는 염산 세척단계 이후에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염산과 잔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이며, 냉수 세척단계(S26)는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놋쇠가루와 염산 및 유분을 최종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다음, 상기 건조단계(S30)는 세척단계(S20) 후의 방짜 제품을 건조시켜서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 및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전사단계(S40)는 건조단계(S30)에서 완전히 건조된 방짜 제품의 표면에 세라믹 가루가 도포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단계로, 세부적으로는 전사지 준비단계(S42)와 세라믹 가루 도포단계(S44) 및 전사지 부착단계(S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사지 준비단계(S42)는 전사에 사용될 종이에 풀을 먹여 전사지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세라믹 가루 도포단계(S44)는 전사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된 세라믹 가루를 준비된 전사지에 전사하고자 하는 문양대로 도포한 후 일정 시간동안 건조시켜 세라믹 가루가 전사지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사지 부착단계(S46)는 세라믹 가루가 도포된 전사지에 충분히 물을 묻힌 후, 전사하고자 하는 방짜 제품의 외측 표면에 전사지를 부착시켜 세라믹 가루가 방짜 제품의 표면에 옮겨 붙도록 하는 것으로, 약 5 ~ 10분 정도 부착시킨 후 떼어 내면 방짜 제품의 표면에 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열처리단계(S50)는 방짜 제품을 가열함으로써 방짜 제품의 표면에 전사된 세라믹 가루가 완전히 제품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처리단계(S50)에서는 4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기 시작하여 약 680 ~ 720℃ 까지 온도가 변화하도록 하여 약 90분 ~ 120분 동안 가열하게 되는 데, 이는 방짜 제품의 표면에 전사된 세라믹 가루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방짜 제품의 표면에 완전히 고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열처리단계(S50)에서는 40℃ 이하의 온도로 굽기 시작함으로써 방짜 제품의 표면에 전사된 세라믹 가루가 갑작스런 온도 변화에 의해 방짜 제품의 표면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온도가 약 680 ~ 720℃에 이를때 까지 서서히 온도를 올리면서 가열하게 되는데, 가열온도가 상기 온도를 넘어서 상승하게 되면 고온에 의해 방짜 제품이 변형되어 표면에 전사된 실리콘 가루의 접착력이 오히려 약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온도가 약 680 ~ 720℃ 에 이르게 되면, 다시 서서히 온도를 낮추어 4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가열을 종료하게 되는데, 이 또한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방짜 제품의 표면이 변형되어 전사된 세라믹 가루가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전체 열처리 시간은 90분 ~ 120분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열처리 시간이 90분 미만이면 전사에 사용된 세라믹 가루와 방짜 제품 사이의 접착력이 충분치 못하게 되고, 열처리 시간이 120분을 초과하게 되면 고온에서의 열처리 시간이 증가되므로 방짜 제품에 변형이 생겨 세라믹 가루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이 열처리단계(S50)까지 마무리가 되면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깔을 갖는 문양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데, 마지막으로 2차 연마단계(S60)를 통하여 방짜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의 전사방법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짜에 의해 제조되는 수저나 그릇 등의 식기류의 표면을 다양한 색상의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미려한 방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짜 제품의 표면에 부착되는 세라믹 가루가 열처리에 의해 장기간 사용에도 벗겨지지 않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짜에 의해 제조된 식기류 이외의 징이나 꽹과리 등의 악기류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사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품질이 좋은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두드려서 만든 수저, 접시 등의 방짜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양들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의해 전사가 완료된 방짜 수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짜 제품 전사방법에 의해 전사가 완료된 방짜 그릇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저 20 : 그릇
S10 : 1차 연마단계 S20 : 세척단계
S22 : 염산세척단계 S24 : 온수세척단계
S26 : 냉수세척단계 S30 : 건조단계
S40 : 전사단계 S42 : 전사지 준비단계
S44 : 세라믹가루 도포단계 S46 : 전사지 부착단계
S50 : 열처리단계 S60 : 2차 연마단계

Claims (6)

  1. 방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메자국(울퉁불퉁한 부분)을 없애기 위하여 제품의 표면을 평평하게 연마하는 1차 연마단계와,
    연마 후의 방짜 제품으로부터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염산 세척단계와, 염산 세척 후의 방짜 제품을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와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로 각각 세척하는 온수 및 냉수 세척단계로 이루어진 세척단계와,
    방짜 제품을 건조시켜서 방짜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종이에 풀을 먹여 전사지를 준비하는 전사지 준비단계와, 상기 전사지에 전사하고자 하는 문양대로 세라믹 가루를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세라믹 가루 도포단계와, 상기 세라믹 가루가 도포된 전사지에 물을 묻힌 후 방짜 제품의 전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붙이는 전사지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사단계 및
    전사 후의 방짜 제품을 가열하되, 40℃로 가열을 시작한 후 680 ~ 720℃까지 가열하였다가 다시 40℃로 온도를 내려 가열을 종료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90 ~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 이후에 방짜 제품의 표면을 다시 연마하는 2차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짜 제품 전사방법.
KR1020090088377A 2009-09-18 2009-09-18 방짜 제품 전사방법 KR10116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77A KR101160279B1 (ko) 2009-09-18 2009-09-18 방짜 제품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77A KR101160279B1 (ko) 2009-09-18 2009-09-18 방짜 제품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86A KR20110030786A (ko) 2011-03-24
KR101160279B1 true KR101160279B1 (ko) 2012-06-28

Family

ID=4393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77A KR101160279B1 (ko) 2009-09-18 2009-09-18 방짜 제품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2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125A (ko) * 2004-03-10 2004-04-14 김기옥 총천연색 특수내열페인트도장/전사방식·그림디자인스텐레스/내열강화유리/산화강자기(도자기)/맥반석/게르마늄/참숯플라스틱/플라스틱 사각형태양쪽볼록공기차단고무패킹/내부공기차단/일반형공기차단전체볼록형/각사각볼록형/각원형볼록형·내열강화유리/산화강자기/맥반석/게르마늄·뚜껑손잡이·뚜껑개인량셀프서빙형/먹을량만큼덜어서먹는밥·국/찌개·반찬·과일·다과·양념·수저받침·그릇/용기·하나로집합/하나로통합식기손잡이경사각위생식기/손잡이경사각위생반찬용기.
KR20040064365A (ko) * 2003-01-11 2004-07-19 손영석 복합특수재질로 된 수저
KR20070025966A (ko) * 2006-06-19 2007-03-08 주식회사 백산상사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65A (ko) * 2003-01-11 2004-07-19 손영석 복합특수재질로 된 수저
KR20040032125A (ko) * 2004-03-10 2004-04-14 김기옥 총천연색 특수내열페인트도장/전사방식·그림디자인스텐레스/내열강화유리/산화강자기(도자기)/맥반석/게르마늄/참숯플라스틱/플라스틱 사각형태양쪽볼록공기차단고무패킹/내부공기차단/일반형공기차단전체볼록형/각사각볼록형/각원형볼록형·내열강화유리/산화강자기/맥반석/게르마늄·뚜껑손잡이·뚜껑개인량셀프서빙형/먹을량만큼덜어서먹는밥·국/찌개·반찬·과일·다과·양념·수저받침·그릇/용기·하나로집합/하나로통합식기손잡이경사각위생식기/손잡이경사각위생반찬용기.
KR20070025966A (ko) * 2006-06-19 2007-03-08 주식회사 백산상사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가지는 수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86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49912B (zh) 一种带凹凸花纹的异型不粘锅制作工艺
KR101391166B1 (ko) 법랑 코팅층을 구비한 주방용품의 제조방법
US20150104576A1 (en) Speckled kitchen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114565A1 (zh) 一种具有凹凸花纹不粘锅的不粘涂料喷涂工艺
KR101200646B1 (ko)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6749081B2 (en) Method of surface treating a cookware article and an article so treated
KR101452417B1 (ko) 유기제작방법과 유기 표면의 샌딩 처리 및 옻칠방법
BR112012015546B1 (pt) Artigo culinário compreendendo um revestimento antiaderente externo que compreende uma decoração na parte inferior externa e processo de fabricação
US1133092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oup pot with partial concave-convex patterns on outer surface thereof
KR101160279B1 (ko) 방짜 제품 전사방법
KR100789694B1 (ko) 옻칠한 금속제 주방 용기의 제조방법
KR20120129518A (ko) 구리 주석 합금에 칠보를 형성 방법
CN108866532B (zh) 一种使铜器具有包浆效果的表面处理方法
KR100322409B1 (ko) 스텐레스금속제주방용품의세라믹코팅방법
CN104325801B (zh) 一种铝陶瓷炊具表面丝印的方法
CN107536450A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烹饪器具和制造内锅的方法
KR101054167B1 (ko) 주방용품의 도금방법
JPH07313934A (ja) 台所用品に装飾を形成する方法
CN111206246A (zh) 一种锅具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07666429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和烹饪器具
CN101502378A (zh) 一种抗油品氧化炊具及其制备方法
KR100475558B1 (ko) 금속제 용기의 표면 코팅 방법
KR102049503B1 (ko)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EP2286016A1 (en) Device comprising a co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CN201480867U (zh) 紫砂烤釉镶锡镀金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