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646B1 -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646B1
KR101200646B1 KR1020110086426A KR20110086426A KR101200646B1 KR 101200646 B1 KR101200646 B1 KR 101200646B1 KR 1020110086426 A KR1020110086426 A KR 1020110086426A KR 20110086426 A KR20110086426 A KR 20110086426A KR 101200646 B1 KR101200646 B1 KR 10120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layer
organic
lacquer lay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수
Original Assignee
조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수 filed Critical 조현수
Priority to KR102011008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8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crystalline structures, pearl effects, or mother-of-pearl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은 디자인의 색상 및 모양에 따라 유기의 표면에 옻칠 및 색 옻칠을 하면서 장식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유기 특유의 항균성, 내구성, 보온성, 미네랄 생성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유기의 변색이 방지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유기에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LACQUERED BRONZEWARE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鍮器)는 놋쇠로 만든 그릇으로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조선 시대에 특히 성황을 누려왔던 우리나라 고유의 금속 식기(食器)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는 크게 주물유기(鑄物鍮器), 방짜유기(方子鍮器), 반방짜유기(半方子鍮器)로 분류된다. 주물유기는 구리 일정량에 주석을 합금하거나 기타 비철금속을 미량 첨가하여 합금한 후 용융된 쇳물을 일정한 사형틀(모래틀)에 부어서 만든 제품으로서, 유기의 표면이 거칠어 추가의 표면 가공 공정이 필요하며, 두께가 3 mm 이하인 유기 제품을 만들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짜유기는 78 %의 구리와 22 %의 주석의 합금을 메질(망치질) 또는 기타 단조법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휘어지거나 잘 깨지지 않고, 다른 유기에 비해 금속 광택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방짜유기는 주물유기에 방짜유기 제작방법을 절충한 제작 기법으로 만들어진 유기로서, 방짜재료를 주물 유기법으로 완제품 형태에 가까운 상태로 만든 후 방짜기법의 열단 단조가공을 첨가하여 완성시킨 제품이다.
이러한 유기는 뛰어난 보온, 보냉 효과를 갖고 있어 음식의 맛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살균 기능과 미네랄 생성 기능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생명의 그릇으로 인식되어 현대의 웰빙(welbing) 사회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현대 식생활은 생활수준과 문화 의식의 발달로 인해 양적 충족이나 영양적 가치를 넘어서 미적 감각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고,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기 위해 식기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생산되고 있는 유기의 경우, 형태 성형 이후 제품 표면의 디자인이 결여되어 있고, 색상 또한 유기 자체의 색상으로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심미성을 추구하는 오늘의 수요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유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색되어 관리 및 유지가 어려우며, 또한 변색으로 인해 음식 연출에 제한이 생겨 실생활에 사용하는 데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디자인의 색상 및 모양에 따라 유기의 표면에 옻칠 및 색 옻칠을 하면서 장식 부재를 부착할 경우, 유기 특유의 항균성, 내구성, 보온성 등의 기능성과 옻 자체의 방부성, 살균성, 약리 작용 등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옻칠로 인해 유기의 변색이 방지되어 심미성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鍮器)의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된 유기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유기의 표면에 제1 정제 옻을 칠한 다음, 90 ~ 110 ℃의 온도에서 170 ~ 190 분 동안 상기 제1 정제 옻을 경화시킨 후 냉각시켜 제1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옻칠층을 연마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상기 연마된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색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상기 색 옻을 6 ~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색채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색채 무늬층을 연마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상기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제2 정제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하에서 상기 제2 정제 옻을 30 ~ 50분 동안 건조시켜 제2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옻칠층의 표면에 장식 부재를 부착시킨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식층의 둘레부에 제3 정제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시간 동안 상기 제3 정제 옻을 건조시켜 제3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광택이 부여된 유기를 온도가 90 ~ 100 ℃인 물 속에 넣어 열탕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 위에 형성된 제1 옻칠층;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상기 제1 옻칠층 위에 형성된 색채 무늬층;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상기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 위에 형성된 제2 옻칠층; 상기 제2 옻칠층 위에 장식 부재로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장식층의 둘레부에 형성된 제3 옻칠층을 포함하는 옻칠한 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은 디자인의 색상 및 모양에 따라 유기의 표면에 옻칠 및 색 옻칠을 하면서 장식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유기 특유의 항균성, 내구성, 보온성, 미네랄 생성 효과와 옻 자체의 방부성, 살균성, 항균성, 혈액 순환 등의 약리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유기의 변색이 방지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현된 유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옻칠한 유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제조된 옻칠한 유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라 제조된 옻칠한 유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옻칠한 유기의 사진이다.
도 5는 제1 옻칠 형성단계에 의한 유기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옻칠하지 않은 유기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鍮器)란,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식기로서, 그릇뿐만 아니라, 수저, 냄비, 주전자 등의 주방 용품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옻은 옻나무(학명; Rhus vernicaflua Stokes)의 수피에 상처를 내면 흘러나오는 액체이다. 옻은 예로부터 가구나 나무 제품의 윤을 내기 위한 천연 도료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옻칠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습기를 흡수 방출하여 항상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 줄 수 있고, 방부 효과도 높아 살균력이 좋고, 장시간이 지나도 곰팡이가 생기지 않으며, 내구성,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내산성, 불연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게다가, 옻칠은 광택 및 촉감이 매우 우수하고 그 도막의 촉감이 우수하며 깊고 차분한 광택을 나타내 우수한 심미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옻은 사람의 원기를 돋우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뭉친 피를 풀어주는 어혈 작용을 하며, 소화를 돕고 간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도 있다. 또한, 몸을 따뜻하게 보하여 주므로 여성의 생리불순이나 냉대화 치료에도 도움이 되며, 신경통이나 관절염 치료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방충, 항균기능도 가진다.
옻을 유기의 표면에 칠할 경우, 유기 특유의 기능성이 유지됨은 물론, 유기 표면의 변색이 방지되면서 유기에 다양한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본 발명은 디자인의 색상 및 모양에 따라 유기의 표면에 정제 옻칠 및 색 옻칠을 하면서 장식 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최종 옻칠한 유기는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와 달리, 유기 특유의 항균성, 내구성, 보온성, 미네랄 생성 등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 자체의 습도 조절 기능, 방부성, 항균성 등의 효과도 발휘될 수 있고, 또한 옻칠로 인해서 유기의 변색이 방지될 수 있고, 나아가 색 옻칠과 장식 부재의 부착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옻칠한 유기의 제조시 수행되는 각 단계에 대해 도 1 ~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 형성 단계( S100 )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유기(鍮器)는 구리 및 주석을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은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바람직하게는 78 중량%의 구리와 22 중량%의 주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물 유기법, 방짜 유기법, 반방짜 유기법 등이 있다. 주물 유기법은 쇳물을 일정한 틀에 부어 그릇을 만드는 방법이고, 방짜 유기법은 구리와 주석이 78 중량%와 22 중량%의 비율로 합금된 놋쇠를 불에 달구어 메질(망치질)을 되풀이해서 얇게 늘여가며 형태를 잡아가는 방법이며, 반방짜 유기법은 주물 유기에 방짜 유기법을 절충한 방법이다.
이와 같이 얻은 유기는 표면이 매끄럽다. 따라서, 유기의 표면에 직접 옻칠을 할 경우, 추후 유기의 사용시 옻칠이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옻칠을 하기 전에 샌드페이퍼(sandpaper) 등을 이용하여 유기(10)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요철(미도시됨)을 형성함으로써, 유기와 옻칠이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유기 표면과 옻칠 사이의 밀착성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추후 옻칠한 유기의 사용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유기 표면에서 옻칠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샌드페이퍼의 종류는 연마 물질의 입도(굵기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연마 물질의 입도가 커서 샌드페이퍼의 표면이 거칠고, 숫자가 높을수록 연마 물질의 입도가 작아 샌드페이퍼의 표면이 곱다. 본 발명에서 유기의 표면을 처리할 경우, 입도가 # 100 ~ # 240인 샌드페이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유기 표면의 세척 단계( S110 )
이후, 상기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된 유기(10)의 표면을 세척한다. 세척 단계를 통하여 유기 표면에 점착되어 있던 유분이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분으로 인해 정제 옻이 잘 경화되지 않아 도막(제1 옻칠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를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세척 물질의 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주방용 중성세제와 같은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상기 유기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S110) 전(前) 또는 후(後)에, 상기 유기(10) 표면, 혹은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된 유기(10)의 표면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장식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음각 형태의 장식부재 삽입부(11)를 형성하는 단계(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 삽입부(11)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기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유기 표면을 프레스(press) 가공, 선반기계에 의한 절삭가공, 레이져 조각 등을 하면, 유기 표면에 음각의 장식부재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의 폭 및 깊이는 삽입되는 장식 부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감에 의한 장식부재 부착의 경우, 사용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장식 부재가 유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식부재 삽입부의 하면측 폭이 표면측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3. 제1 옻칠층 형성 단계( S120 )
상기와 같이 세척된 유기의 표면에 제1 정제 옻을 칠한 후, 약 90 ~ 110 ℃의 온도에서 약 170 ~ 190 분 동안 상기 제1 정제 옻을 경화시킨 다음 냉각시키면, 유기 표면(10)에 제1 옻칠층(20)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옻칠층은 디자인의 의도에 따라 유기의 안쪽 표면 및/또는 바깥쪽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옻칠층이 유기의 바깥쪽 표면에만 형성될 경우, 유기 자체가 갖고 있는 본래의 미려한 황금색을 최대한 살리면서 옻칠층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유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10) 표면에 제1 옻칠층(20)이 형성됨으로써, 유기의 변색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외부 습기가 흡수 또는 방출되어 항상 적절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고, 방부 효과도 높아 살균력이 좋아지며, 장시간이 경과해도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나아가 내구성,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내산성, 불연성, 내약품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정제 옻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 수액에서 불순물만이 제거된 생 옻을 용도에 맞게 가공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켜 기능을 보완한 옻으로서, 약 90 ~ 110 ℃의 온도로 약 170 ~ 190 분 동안 가열되어 경화될 수 있는 정제 옻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한국 또는 일본에서 채취된 생 옻을 정제한 옻이 미얀마 등의 동남아시아에서 산출되는 옻보다 경화 후 유연성이 강하면서 경도가 높아 적절하다.
이러한 제1 정제 옻은 약 270 ℃의 온도로 가열해야 도막이 형성되는 생 옻보다 더 낮은 온도로 가열해도 용이하게 도막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가열로 인한 유기의 표면이 변색되는 것과 옻의 색깔이 검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제 옻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너무 두껍게 옻칠을 하면 옻칠층이 경화되면서 두껍게 칠해진 부분에 주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약 0.03 ~ 0.05 ㎜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제1 정제 옻의 경화 온도는 약 90 ~ 11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정제 옻의 경화 온도가 너무 낮으면 경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도막(제1 옻칠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도막이 형성되더라도 추후 사용시 도막이 벗겨질 수 있다. 한편, 제1 정제 옻의 경화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기의 안쪽 표면이 산화(변색)될 수 있고, 아울러 제1 옻칠층이 탁한색으로 변색되거나 변질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정제 옻의 경화 시간은 약 170 ~ 190 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경화 시간은 경화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유기의 경우 제1 정제 옻을 약 100 ℃의 온도에서 180 분 동안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정제 옻을 상기 범위로 고온 경화할 경우, 고온 열로 인한 유기 표면의 산화(변색)가 방지될 수 있어 산화의 흔적을 없애기 위한 유기 표면의 연마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제1 정제 옻을 경화한 후 냉각시키는데, 이때 냉각 온도는 약 8 ~ 12 ℃ 범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옻칠층(20)이 형성된 후, 약 90 ~ 110 ℃의 온도에서 약 170 ~ 190 분 동안 상기 제1 정제 옻을 경화한 다음 고온 경화시키는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유기(10) 표면과 제1 옻칠층(20)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추후 유기의 사용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제1 옻칠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옻칠층(20)에 제1 정제 옻을 덧칠한 후, 약 90 ~ 110 ℃의 온도에서 약 170 ~ 190분 동안 고온 경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2회 반복하여 복수의 제1 옻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1층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3층의 제1 옻칠층이 형성됨으로써, 주름 없이 두꺼운 제1 옻칠층을 형성할 수 있다
4. 제1 옻칠층의 연마 단계( S130 )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옻칠층(20)은, 입도가 # 1000 ~ # 2000인 샌드페이퍼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숯, 크리스탈 등의 연마석에 의하여 연마될 수 있다. 제1 옻칠층이 연마됨으로써, 색채 무늬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옻칠층의 연마율 및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색채 무늬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더 높이기 위해 제1 옻칠층의 연마율이 제1 옻칠층 두께의 10 ~ 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색채 무늬층 형성 단계( S140 )
이후, 상기 연마된 제1 옻칠층(20)의 표면을, 원하는 색상에 따라 색 옻으로 칠한 후, 약 15 ~ 25 ℃의 온도 및 약 60 ~ 70 %의 습도하에서 상기 색 옻을 약 6 ~ 12시간 건조시키면, 색 옻이 경화되어 제1 옻칠층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 색채 무늬층(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색 옻은 정제 옻에 혼합하는 안료의 종류에 따라 주(珠), 황(黃), 백(白), 청(靑), 록(綠), 군청(群靑) 등 다양한 색상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의 의도에 따라 이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정제 옻과 안료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40 ~ 60 : 60 ~ 40 중량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 옻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너무 두껍게 색 옻을 칠하면 색채 무늬층이 경화되면서 두껍게 칠해진 부분에 주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약 0.03 ~ 0.05 ㎜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색 옻의 건조시, 색 옻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온도 및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 옻의 건조 온도는 약 15 ~ 25 ℃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8 ~ 22 ℃ 범위일 수 있다. 만약, 색 옻의 건조 온도가 너무 낮으면 색 옻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도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옻칠층과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아 추후 사용시 색채 무늬층이 쉽게 박리될 수 있다. 한편, 색 옻의 건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색채 무늬층이 변색되거나, 형성되는 도막으로부터 수분 등이 증발되어 도막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시 색채 무늬층이 쉽게 벗겨질 수 있으며, 아울러 디자인 측면에 심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색 옻의 건조시 습도는 약 60 ~ 7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색 옻의 경화시 습도가 너무 낮으면, 형성되는 도막의 수분 부족으로 인해 경화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또한 도막에 균열이 발생하여 추후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색 옻의 경화 시간이 너무 짧으면 도막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제1 옻칠층이 끈적끈적하여 추후 사용시 사용자의 손 등에 묻을 수 있고 유기 표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색 옻을 자연 건조시켜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색 옻의 건조 시간은 약 6 시간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6 ~ 12 시간 범위일 수 있다.
6. 색채 무늬층의 연마 단계( S150 )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색채 무늬층(30)은, 이후 입도가 # 1000 ~ # 2000인 샌드페이퍼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숯, 크리스탈 등의 연마석에 의하여 연마될 수 있다. 색채 무늬층이 연마됨으로써, 제2 옻칠층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색채 무늬층의 연마율 및 연마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밀착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색채 무늬층의 연마율이 색채 무늬층 두께의 약 10 ~ 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7. 제2 옻칠층의 형성 단계( S160 )
이후, 상기 색채 무늬층(30) 또는 제1 옻칠층(20)의 표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제2 정제 옻으로 칠한 후, 약 18 ~ 25 ℃의 온도하에서 상기 제2 정제 옻을 약 30 ~ 50 분 동안 건조시키면, 색채 무늬층(30) 또는 제1 옻칠층(20)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 제2 옻칠층(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옻칠층은 약 60 ~ 80 % 경화된 상태로, 자개 등의 장식 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추후 장식층의 형성시 장식 부재를 유기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 없다.
상기 제2 정제 옻의 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한국 또는 일본에서 채취된 생 옻을 정제한 옻이 미얀마 등의 동남아시아에서 산출되는 옻보다 경화 후 유연성이 강하면서 경도가 높아 적절하다.
상기 제2 정제 옻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너무 두껍게 정제 옻을 칠하면 옻칠층이 경화되면서 두껍게 칠해진 부분에 주름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옻칠층의 경화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기의 사용시 장식 부재가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에 잘 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2 정제 옻을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에 약 0.03 ~ 0.05 ㎜의 두께로 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정제 옻의 건조 온도는 제2 옻칠층이 약 60 ~ 80 % 경화되어 가장 적절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약 15 ~ 25 ℃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8 ~ 22 ℃ 범위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정제 옻의 건조 시간은 약 30 ~ 50 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 정제 옻칠을 한 후 이 위에 바로 장식 부재를 부착하면, 완전 건조되는 데에 상당한 시간(예컨대, 1 주일 ~ 한 달 정도)이 소요될 수 있고, 한편 건조 시간이 너무 길면, 제2 정제 옻의 표면이 완전 건조되어 접착력이 없어질 수 있다.
8. 장식층의 형성 단계( S170 )
상기와 같이 접착력을 갖고 있는 제2 옻칠층(40)의 표면에 장식 부재를 부착시킨 후 약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6 ~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면,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장식층(5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장식 부재의 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서 도자기류, 가구류 등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개, 난각, 금판 (금선, 금분, 금박 등), 은판 (은선, 은분, 은박 등), 동판(동선, 동분, 동박 등)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식 부재의 두께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예컨대 약 0.3 ~ 0.5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건조시 장식 부재가 변색되지 않고 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를 약 15~ 25 ℃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약 18 ~ 22 ℃ 범위로 조절하면서, 습도를 60 ~ 70 %로 조절하고, 나아가 건조 시간을 6 ~ 12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제3 옻칠층의 형성 단계( S180 )
이후, 상기 장식층(50)의 둘레부에 제3 정제 옻을 칠한 후 약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제3 정제 옻을 6 ~ 12 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켜, 제3 옻칠층(60)을 형성한다. 상기 제3 옻칠층(60)이 장식층의 둘레부에 형성됨으로써, 최종 유기의 사용시 장식층이 유기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장식층의 두께에 따라 제3 옻칠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옻칠층에 제3 정제 옻을 덧칠한 후, 약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시간 동안 제3 정제 옻을 건조시키는 단계(미도시됨)를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3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옻칠층을 제3-1 옻칠층(60), 제3-2 옻칠층(70)과 같이 복수층, 바람직하게는 1 ~ 4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3 정제 옻의 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한국 또는 일본에서 채취된 생 옻을 정제한 옻이 미얀마 등의 동남아시아에서 산출되는 옻보다 경화 후 유연성이 강하면서 경도가 높아 적절하다.
이러한 제3 정제 옻칠의 두께는 장식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며, 예를 들어 약 0.03 ~ 0.05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3 정체 옻의 건조 온도가 약 15~ 25 ℃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8 ~ 22 ℃이며, 습도는 약 60 ~ 70 % 범위일 경우, 제3 정제 옻의 완전 경화가 이루어져 사용시 장식 부재를 유기 표면에 보다 단단히 부착시킬 수 있다.
10. 유기 표면에 광택 부여 단계( S190 )
이후, 상기와 같이 제3 옻칠층(60)이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표면을 연마 부재를 이용하여 연마한 후 광택제로 유기 표면을 문지르면, 유기 표면의 각 옻칠층이 매끄러워질 뿐만 아니라, 유기 표면에 존재하는 각 옻칠층의 고유 광택과 색상이 살아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연마 부재의 예로는 입도가 #600 ~ #2000인 샌드페이퍼, 입도가 #400 ~ #1000인 수세미, 연마석(예컨대, 숯, 크리스탈 등), 컴파운드 등이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상기 광택제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의 예로는 PIKAL, AMOR, GLANOL 등이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광택부여 순서로는 #600 ~ #2000의 샌더페이퍼나 연마석으로 가볍게 연마한 후 컴파운드로 곱게 닦아준다. 이후 광택제를 고운 면(천)에 적당하 묻혀 표면을 문질러 광을 살려낸다.
11. 열탕처리 단계( S200 )
이후, 광택이 부여된 유기를 온도가 약 90 ~ 100 ℃ 정도의 물 속에 넣어 일정 시간 동안 열탕처리를 한다. 이로써, 유기 속에 내포된 옻 독이나 광택제와 같은 유해 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열탕처리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 표면의 각 옻칠층이나 장식층이 손상없이 유기 사용시 인체에 유해한 옻 독이나 연마제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약 30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 50 분 정도인 것이 적절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칠한 유기를 제공한다. 상기 옻칠한 유기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10); 상기 유기(10)의 표면 위에 형성된 제1 옻칠층(20);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상기 제1 옻칠층(20) 위에 형성된 색채 무늬층(30);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상기 색채 무늬층(30) 또는 제1 옻칠층(20) 위에 형성된 제2 옻칠층(40); 상기 제2 옻칠층(20) 위에 장식 부재로 형성된 장식층(50); 및 상기 장식층(50)의 둘레부에 형성된 제3 옻칠층(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옻칠한 유기는 종래의 유기와 달리 유기 특유의 항균성, 내구성, 보온성, 미네랄 생성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유기의 변색이 방지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부여되어 우수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세 요철이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장식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음각 형태의 장식부재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때 장식층(50)은 상기 장식부재 삽입부(11)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먼저 선반 가공에 의해서 장식부재 삽입부를 형성하여 은선이 상감되어 있고, 자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를 준비하였다. 상기 유기 제품의 표면에, 샌드페이퍼(#100~#240)를 이용하여 스크래치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한 후, 세척하여 표면에 점착된 유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세척된 유기 표면에 제1 정제 옻을 약 0.04 ㎜의 두께로 칠한 후 100 ℃의 온도에서 약 180 분 동안 고온 경화시킨 후 약 10 ℃ 전?후의 온도에서 서서히 자연 냉각시켜 제1 옻칠층을 형성한 다음, 제1 정제 옻을 약 0.04 ㎜의 두께로 한번 더 칠한 후 100 ℃의 온도에서 약 180 분 동안 다시 고온 경화시킨 후 냉각시켰다. 이후, 제1 옻칠층의 표면을 샌드페이퍼(#1000~#2000) 또는 연마석으로 연마하였다. 이어서, 디자인의 의도에 맞게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색 옻칠을 한 후 약 20 ℃ 전?후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약 6 시간 이상 자연건조시켜 색채 무늬층을 형성한 다음, 색채 무늬층을 샌드페이퍼(#1000~#2000) 또는 연마석으로 연마하였다. 이후, 색채 무늬층 및/또는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제2 정제 옻을 칠한 후 약 15 ~ 25 ℃의 온도에서 40 분 건조시켜 약 70 ~ 80 % 경화된 제2 옻칠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제2 옻칠층에 장식 부재(자개, 난각, 금판, 은판, 동판 등)를 부착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약 6 ~ 12시간 자연건조시켜 장식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장식층의 둘레에 제3 정제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약 6 ~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3 옻칠층을 형성한 다음, 제3 옻칠층에 제3 정체 옷을 덫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에서 약 6 ~ 1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1회 이상 반복하였다. 이후, 유기 표면을 샌드페이퍼(#1000~#2000), 연마석, 컴파운드 또는 수세미(#400~#1000) 등으로 연마한 후 광택제로 문질려 광택을 부여하였다. 이후, 유기를 온도가 약 90 ~ 100 ℃인 물 속에 약 30 분간 넣고 열탕처리하여 옻독이나 연마재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옻칠한 유기를 얻었다(도 4 참조).
도 5는 도 4의 옻칠한 유기의 표면 부분을 확대한 사진으로서, 유기 표면에 산화(변색)없이 제1 옻칠층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정제 옻칠, 색옻칠 및 장식 부재 부착을 하지 않은 유기를 사용하였다(도 6 참조).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옻칠한 유기의 제조시, 옻칠의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옻칠의 밀착 정도와 유기 표면의 산화막 형성(변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1) 밀착성
JIS A 5422에 따라 하기 각각의 Sample의 표면에 JIS Z 1522에 의해 규정된 셀로판 테이프(폭: 24 ㎜)를 부착시킨 다음, 1 ~ 2분 후에 놋쇠판으로부터 셀로판 테이프를 일순간 박리시켜 옻칠의 벗겨짐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밀착성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는 밀착성이 불량함을 나타낸다.
2) 유기 표면의 산화(변색) 여부
육안으로 하기 각 Sample 표면의 산화 여부를 관찰하였고,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유기 표면의 산화가 없음을 나타내고, ○는 유기 표면의 산화가 있음을 나타낸다.
- Sample 1: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실온(약 20 ℃) 및 60 ~ 70%의 습도에서 약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음
- Sample 2 ~ 6: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100 ℃의 온도하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동안 건조하여 얻음
- Sample 7 ~ 11: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120 ℃의 온도하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 및 180분 동안 건조하여 얻음
- Sample 12 ~ 16: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140 ℃의 온도하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 및 180분 동안 건조하여 얻음
- Sample 17 ~ 21: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160 ℃의 온도하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및 120, 및 180분 동안 건조하여 얻음
- Sample 22 ~ 26: 깨끗이 세척된 놋쇠판(50 ㎜×50㎜×10㎜)의 표면에 정제 옻을 칠한 후 180 ℃의 온도하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동안 건조하여 얻음
Figure 112011067099928-pat00001
실험결과,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24 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켜 얻은 옻칠층은 쉽게 벗겨졌다. 반면, 약 100 ℃의 온도에서 약 180분 동안 고온 경화시켜 얻은 옻칠층은 완전 건조되어 옻칠층이 벗겨지지 않았고, 나아가 고온에 의한 산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S100: 유기 표면에 미세 요철 형성 단계, S110: 유기 세척 단계,
S120: 제1 옻칠층 형성 단계, S130: 제1 옻칠층 연마 단계,
S140: 색채 무늬층 형성 단계, S150: 색채 무늬층 연마 단계,
S160: 제2 옻칠층 형성 단계, S170: 장식층 형성 단계,
S180: 제3 옻칠층 형성 단계, S190: 유기 폴리싱 단계,
S200: 유기 열탕처리 단계,
10: 유기, 11: 장식부재 삽입부,
20: 제1 옻칠층, 30: 색채 무늬층,
40: 제2 옻칠층, 50: 장식층,
60: 제3 옻칠층, 제3-1 옻칠층, 70: 제3-2 옻칠층

Claims (6)

  1. 유기(鍮器)의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된 유기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유기의 표면에 제1 정제 옻을 칠한 다음, 90 ~ 110 ℃의 온도에서 170 ~ 190 분 상기 제1 정제 옻을 경화시킨 후 냉각시켜 제1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옻칠층을 연마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상기 연마된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정제 옻 및 안료를 포함하는 색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상기 색 옻을 6 ~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색채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색채 무늬층을 연마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상기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의 표면에 제2 정제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하에서 상기 제2 정제 옻을 30 ~ 50분 동안 건조시켜 제2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옻칠층의 표면에 장식 부재를 부착시킨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식층의 둘레부에 제3 정제 옻을 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시간 동안 상기 제3 정제 옻을 건조시켜 제3 옻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광택이 부여된 유기를 온도가 90 ~ 100 ℃인 물 속에 넣어 열탕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의 표면 세척 단계 전(前) 또는 후(後)에,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장식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음각 형태의 장식부재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옻칠층 형성 단계 후,
    90 ~ 110 ℃의 온도하에서 170 ~ 190 분 동안 제1 옻칠층을 경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는,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옻칠층 형성 후,
    상기 제3 옻칠층 상에 제3 정제 옻을 덧칠한 후, 15 ~ 25 ℃의 온도 및 60 ~ 70 %의 습도하에서 6 ~ 1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는, 옻칠한 유기의 제조방법.
  5.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되,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장식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음각 형태의 장식부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 위에 형성된 제1 옻칠층;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상기 제1 옻칠층 위에 형성된 색채 무늬층;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모양에 따라 상기 색채 무늬층 또는 제1 옻칠층 위에 형성된 제2 옻칠층;
    장식 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옻칠층 위에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장식층의 둘레부에 형성된 제3 옻칠층
    을 포함하는 옻칠한 유기.
  6. 삭제
KR1020110086426A 2011-08-29 2011-08-29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26A KR101200646B1 (ko) 2011-08-29 2011-08-29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26A KR101200646B1 (ko) 2011-08-29 2011-08-29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646B1 true KR101200646B1 (ko) 2012-11-12

Family

ID=4756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26A KR101200646B1 (ko) 2011-08-29 2011-08-29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6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461B1 (ko) 2013-09-11 2013-11-26 문채훈 유기의 옻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
KR101816478B1 (ko) 2017-04-11 2018-01-09 임헌자 생옻칠과 황토를 이용한 파손된 도자기의 수리방법
KR20180104390A (ko) * 2017-03-13 2018-09-21 강진영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KR101935521B1 (ko) 2017-11-21 2019-01-04 저집(주) 금속 커틀러리의 옻칠 코팅 방법
KR101971401B1 (ko) * 2018-06-20 2019-04-22 옥승호 전통 유기/유리 류 옻칠 방법 및 전통 유기/유리 류 옻칠 시스템
KR20190136667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단조패턴 옻칠을 통한 색상구현 방법
JP2022146856A (ja) * 2021-03-22 2022-10-05 仲吉商事株式会社 竹製食器及び竹製食器の作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50B1 (ko) 2006-08-18 2008-02-14 김우식 옻칠을 이용한 표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50B1 (ko) 2006-08-18 2008-02-14 김우식 옻칠을 이용한 표면 처리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461B1 (ko) 2013-09-11 2013-11-26 문채훈 유기의 옻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
KR20180104390A (ko) * 2017-03-13 2018-09-21 강진영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KR101939314B1 (ko) * 2017-03-13 2019-01-16 김영철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KR101816478B1 (ko) 2017-04-11 2018-01-09 임헌자 생옻칠과 황토를 이용한 파손된 도자기의 수리방법
KR101935521B1 (ko) 2017-11-21 2019-01-04 저집(주) 금속 커틀러리의 옻칠 코팅 방법
KR20190136667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단조패턴 옻칠을 통한 색상구현 방법
KR102496955B1 (ko) * 2018-05-31 2023-0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단조패턴 옻칠을 통한 색상구현 방법
KR101971401B1 (ko) * 2018-06-20 2019-04-22 옥승호 전통 유기/유리 류 옻칠 방법 및 전통 유기/유리 류 옻칠 시스템
JP2022146856A (ja) * 2021-03-22 2022-10-05 仲吉商事株式会社 竹製食器及び竹製食器の作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646B1 (ko)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8610B1 (ko) 옻을 이용한 유기제품의 칼라문양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한 칼라문양을 형성한 유기제품
JP2005015334A (ja) 遠赤外線照射作用のナノ特性釉薬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1754453B1 (ko)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CN108866532B (zh) 一种使铜器具有包浆效果的表面处理方法
CN100497004C (zh) 一种灯具漆艺制品的加工方法
KR101627230B1 (ko)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CN109703260A (zh) 一种茶壶陶瓷漆器的制备方法
KR101418169B1 (ko) 구리합금에 칠보를 형성하는 방법
KR20100133234A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KR101274973B1 (ko) 결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나전용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07149B (zh) 陶瓷器表面植物镶嵌的生产方法
KR20060040783A (ko) 금속제 주방용품에 옻칠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금속제 주방용품
JP5336716B2 (ja) 緑葉の還元方法
CN201338506Y (zh) 一种景泰蓝环保艺术瓶
KR101628137B1 (ko)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JP2007229694A (ja) 宝殿石製石器の表面処理方法
KR200431098Y1 (ko) 장식용 기능성 건강메탈피스
CN1046496A (zh) 金属丝壁饰画及其制造方法
JP3108706U (ja) 漆器
JPS58201968A (ja) 海苔の製造方法
KR102049503B1 (ko)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장식이 구비되는 도자기
KR100336623B1 (ko) 건강수저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729B1 (ko) 건칠 액세서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