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90A -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 Google Patents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90A
KR20180104390A KR1020170031060A KR20170031060A KR20180104390A KR 20180104390 A KR20180104390 A KR 20180104390A KR 1020170031060 A KR1020170031060 A KR 1020170031060A KR 20170031060 A KR20170031060 A KR 20170031060A KR 20180104390 A KR20180104390 A KR 2018010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acquer
brassware
color composition
organ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314B1 (ko
Inventor
김영철
강진영
Original Assignee
강진영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영, 김영철 filed Critical 강진영
Priority to KR102017003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1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5/00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변색되지 않으면서도 심미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무늬층 및 색깔층을 포함하는 옻칠 유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ED BRONZEWARE WITH ENHANCED AESTHETICS AND LACQUERED BRONZEWARE THEREOF}
본 발명은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의 표면에 시패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킴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킨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옻칠은 옻나무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도막 형성물질로, 목재 소재의 장롱, 서랍장, 상 등 가구류의 표면에 도막 형성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옻칠을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할 경우에는, 일반 도료와 달리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도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유기는 구리에 주석을 합금한 청동, 아연을 합금한 황동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놋그릇으로 불리며, 재료의 성분과 비율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넓은 의미로는 구리를 기본으로 하는 비철금속계의 합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기는 구리의 성질에 의해 외부의 공기와 오래 접촉할 경우에는 외면이 누렇게 변색되는 문제가 있어, 유기와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면서도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에 옻칠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상기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3461호에서는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1차 도포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을 습도 60 ~80%, 15 ~ 25℃에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결과물을 고온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요철을 만드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옻칠, 지노코 및 글루텐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을 2차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생옻칠을 2차 도포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을 고온 경화시키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유기의 표면에 옻칠을 형성함으로써 유기의 변색을 방지하면서도 유기의 사용성, 내구성, 보온성, 살균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의 옻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유기의 표면에 옻칠을 이용한 도막을 형성하여 유기의 변색을 방지하는 것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 유기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유기는 우수한 내구성, 보온성, 살균력에도 불구하고 제수용품으로만 활용될 뿐, 생활용기로서는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610호에서는 유기제품형성공정, 문양형성부분연마공정, 담금질공정, 벼름질공정, 문양형성공정, 표면연마처리공정, 바탕옻칠공정, 칼라문양연출공정, 열처리공정, 옻칠경화공정, 마무리공정 등을 포함하는 유기제품의 칼라문양을 형성하여 유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기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 레이저 등 별도의 기계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유기 표면에 형성할 수 있는 문양의 형태가 제한되어 유기의 심미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34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610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변색되지 않으면서도 심미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무늬층, 및 상기 유기의 표면 또는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색 조성물로 이루어진 색깔층을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변색되지 않으면서도 심미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옻칠 유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h) 단계는 (h-1)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습도가 30 % 이하이며, 온도가 25 ~ 30 ℃인 건칠장에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h-2) 상기 (h-1)에서 1차 건조된 유기를 습도가 70 ~ 80 %이며, 온도가 25 ~ 30 ℃인 습칠장에서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물은 안료, 금분, 자개 및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목분인 경우에는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에는 (k) 상기 (h)에서 건조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및 (l) 상기 (g), (h) 및 (k)를 순서대로 2 ~ 4회 반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색 조성물은 상기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주합칠 60 ~ 80 중량% 및 안료 20 ~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주합칠은 수분함량이 10% 미만인 옻칠일 수 있다.
상기 두 번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무늬층 및 상기 유기의 표면 또는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색 조성물로 이루어진 색깔층을 포함하는 옻칠 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변색되지 않아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도 심미성이 향상되어 생활용기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옻칠 유기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유기 표면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 내지 장비의 사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간단한 공정으로 단 시간 내에 옻칠 유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 단계가 (h-1)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습도가 10 % 이하이며, 온도가 25 ~ 30 ℃인 건칠장에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h-2) 상기 (h-1)에서 1차 건조된 유기를 습도가 70 ~ 80 %이며, 온도가 25 ~ 30 ℃인 습칠장에서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색 조성물의 갈변으로 인한 색변화를 줄일 수 있어 심미성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옻칠 유기는 유기와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무늬층, 및 상기 유기의 표면 또는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색 조성물로 이루어진 색깔층을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변색되지 않아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도 심미성이 향상되어 생활용기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목분 및 시패를 이용하여 제조된 옻칠 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패를 이용하여 제조된 옻칠 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개를 이용하여 제조된 옻칠 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옻칠 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은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는 장시간 변색되지 않아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도 심미성이 향상되어 생활용기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유기 표면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 내지 장비의 사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간단한 공정으로 단 시간 내에 옻칠 유기를 제조할 수 있다.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a) 단계에서는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유기의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b) 단계에서 도포되는 생옻칠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a) 단계에서는 사포로 상기 유기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함으로써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붓, 룰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생옻칠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옻칠은 휘발성 유기용제와 혼합되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휘발성 유기용제 50 ~ 1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약,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휘발성 유기용제를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생옻칠이 충분히 건조 내지 경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휘발성 유기용제를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생옻칠이 경화되면서 형성된 도막의 경도가 낮고,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이 유기 표면에 쉽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옻칠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휘발성 유기용제는 테라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함으로써, 유기의 표면에 도포된 생옻칠을 140 ~ 180℃에서 경화시켜 상기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c) 단계에서 경화 온도는 140 ~ 180℃, 바람직하게는 150 ~ 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 170 ℃일 수 있다. 만약, (c) 단계의 경화가 140 ℃ 미만에서 실시될 경우에는 상기 생옻칠이 충분히 경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c) 단계의 경화가 180 ℃를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상기 생옻칠이 균일하게 경화되지 못하여 도막의 표면이 불균일하거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이 유기 표면에 쉽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옻칠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d) 단계에서는 상기 (a) ~ (c)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함으로써 (e) 단계에서 도포되는 생옻칠의 접착력을 높여 (f) 단계에서 부착되는 부착물의 첩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본 실시예의 (a)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e) 단계에서는 상기 (a) ~ (d)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에 롤러, 붓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생옻칠을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e) 단계에서 도포되는 생옻칠은 (f) 단계의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이 유기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e) 단계에서는 생옻칠과 휘발성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도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휘발성 유기용제를 50 ~ 1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휘발성 유기용제를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생옻칠이 충분히 건조 내지 경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휘발성 유기용제를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생옻칠이 경화되면서 형성된 도막의 경도가 낮고,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이 유기 표면에 쉽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e) 단계에서 휘발성 유기용제는 바람직하게는 테라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e) 단계에서는 유기 표면에 대한 부착물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검로진이 추가로 더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검로진 1 ~ 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e) 단계에서 검로진을 더 혼합할 경우에는,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휘발성 유기용제 50 ~ 100 중량부 및 상기 검로진 1 ~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검로진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유기 표면에 대한 (f) 단계의 부착물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생옻칠 100 중량부에 대해 검로진을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사용성이 저하되고 도막의 두께가 불균일할 수 있다.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본 실시예의 (f) 단계에서는 상기 (e) 단계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킴으로써, 유기의 표면에 무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은 (e) 단계를 거친 유기 표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부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내지 형상을 갖도록 부착될 수 있다.
목분(Wood flour)은 목재를 잘게 분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40 ~ 100 메시(Mesh)를 통과한 고운 입자를 말한다. 본 실시예의 (f) 단계에서는 상기 (e) 단계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을 부착시킴으로써, 목분과 생옻칠이 혼합된 도막 형태의 무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시패는 금조개 껍데기를 썰어낸 조각 형태의 자개를 잘게 분쇄한 것을 말하며, 본 실시예의 (f) 단계에서는 상기 (e) 단계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시패를 부착시킴으로써, 시패와 생옻칠이 혼합된 도막 형태의 무늬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f) 단계에서는 부착물로서 목분과 시패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f) 단계의 부착물은 안료, 금분, 자개 및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g) 단계에서는 상기 (f) 단계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롤러, 붓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색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f)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에 의한 도막인 색깔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색 조성물은 (f) 단계를 거친 유기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도포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 내지 형상을 갖도록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색 조성물은 생옻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수분함유량이 약 10 % 미만인 주합칠과 공지된 안료를 혼합한 것으로,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주합칠 60 ~ 80 중량% 및 안료 20 ~ 40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이러한 색 조성물을 상기 (f)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유기에 색을 부여하고 무늬 내지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유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활용기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색 조성물은 생옻칠이 아닌 수분함유량이 10 % 미만인 주합칠을 사용함으로써, 안료의 뭉침을 방지하고 발색력을 높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의 심미성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색 조성물은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주합칠은 60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65 ~ 7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7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주합칠이 6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f)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에 의한 도막인 색깔층의 두께가 얇아 발색력이 낮을 뿐 아니라 안료가 뭉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주합칠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이 선명하지 않고, 색 조성물에 의한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색 조성물에 의한 도막인 색깔층의 두께가 얇아질 경우에는 심미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색 조성물은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안료를 20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7 ~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3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안료를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색깔층의 색이 선명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안료를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주합칠 내에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어 색이 균일하지 못하여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료의 색은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검은색, 은색, 금색, 흰색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료는 벵갈라, 울트라마린, 코발트 블루, 티탄 옐로우, 감청, 황화 아연, 바륨 황색, 코발트 녹색,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폴리아조 옐로우, 안트라퀴논 레드, 안트라퀴논 옐로우, 폴리아조 레드, 아조레이크 옐로우, 베릴렌,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왓칭 레드, 퍼머넌트 레드, 파라 레드, 톨루이딘 마룬, 벤지딘 옐로우, 패스트 스카이블루, 브릴리언트 카민 6B 등의 유기 안료, 착색 섬유, 광택을 갖는 금속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본 실시예의 (h) 단계에서는 상기 (g) 단계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f) 단계의 무늬층과 상기 (g) 단계의 색깔층을 완전 경화시킬 수 있다.
특히, (f) 단계에서 생옻칠과 부착물에 의해 형성된 무늬층을 형성하고, 별도의 건조 없이 (g) 단계에서 주합칠과 안료를 포함하는 색 조성물로 색깔층을 형성한 다음, (h) 단계에서 동시에 경화시킴으로써 무늬층과 색깔층은 경계 없이 밀착될 수 있어,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늬층과 상기 색깔층이 유기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산화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면서도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h) 단계는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습도가 30 % 이하이며, 온도가 25 ~ 30 ℃인 건칠장에서 1차 건조시키는 (h-1) 단계 및 상기 (h-1)에서 1차 건조된 유기를 습도가 70 ~ 80 %이며, 온도가 25 ~ 30 ℃인 습칠장에서 2차 건조시키는 (h-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h-1) 단계는 상기 (g) 단계에서 표면에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습도가 30 % 이하이며, 온도가 25 ~ 30 ℃로 유지되는 건칠장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로, 습도 30 % 이하 및 25 ~ 30 ℃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건칠장에 상기 (a) ~ (g) 단계를 거친 유기를 투입하고, 15 ~ 30 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h-2) 단계는 상기 (h-1) 단계를 거쳐 1차 건조된 유기를 습도가 70 ~ 80 %인 습칠장에서 2차 건조시키는 단계로,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 상기 (h-1) 단계를 거친 유기를 투입하고, 상기 습칠장에서 15 ~ 30 시간 동안 1차 건조된 유기를 2차 건조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h-1) 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h-2) 단계를 실시할 경우에는 상기 (g) 단계에서 유기 표면에 도포된 색 조성물 내의 안료가 습칠장 내의 수분과 반응하여, 산화되거나 색변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기 표면에 형성된 색깔층의 채도가 낮아지고 발색력이 저하되어 옻칠 유기의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g) 단계에서 사용된 안료가 산화철 등을 포함하여 검은색을 나타내는 것일 경우에는, (h-1) 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바로 (h-2)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h) 단계 이후에,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목분인 경우에는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i) 단계 및 상기 (i)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실시 될 수 있고,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에는 (k) 상기 (h)에서 건조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및 (l) 상기 (g), (h) 및 (k)를 순서대로 2 ~ 4회 반복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실시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목분인 경우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i) 단계에서는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목분인 경우,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여 유기 표면에 색깔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g) ~ (h)를 2회 미만으로 반복할 경우에는 색깔층의 두께가 얇아 발색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g) ~ (h)를 4회를 초과하여 반복할 경우에는 색깔층의 두께가 두꺼워 유기 표면과 색깔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무늬층에 의한 심미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다.
(j) 상기 (i)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 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j) 단계에서는 상기 (i)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로, 부착물이 목분일 경우에는 P600 ~ P800의 사포로 사포질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
(k) 상기 (h)에서 건조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k) 단계는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에는 상기 (h) 단계에서 건조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에는 P800 ~ P1000의 사포로 사포질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시패는 목분과 달리 입자가 거칠고 형태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목분 보다 더 높은 단위의 사포로 사포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l) 단계에서 (g), (h) 및 (k)를 나열순으로 반복하는 과정에서 유기의 표면이 매끄러울 경우 (g) 단계의 색 조성물이 유기의 표면에 충분히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목분 보다 높은 단위의 P800 ~ P1000의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유기 표면에 대한 색 조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l) 상기 (g), (h) 및 (k)를 순서대로 2 ~ 4회 반복하는 단계;
본 실시예의 (l) 단계에서는 상기 (g), (h) 및 (k) 단계를 나열순으로 2 ~ 4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색깔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도 유기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g), (h) 및 (k) 단계를 나열순으로 2회 미만으로 반복할 경우에는 색깔층의 두께가 얇아 발색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광택감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g), (h) 및 (k) 단계를 나열순으로 4회를 초과하여 반복할 경우에는 색깔층의 두께가 두꺼워 유기 표면과 색깔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무늬층에 의한 심미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다.
(m) 상기(a) ~ (h) 단계와 (i) ~ (j) 단계 또는 (k) ~ (l) 단계를 거친 유기에 광택을 부여하는 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물의 종류에 따라 (i) ~ (j) 단계 또는 (k) ~ (l) 단계를 실시한 뒤, 상기(a) ~ (h) 단계와 (i) ~ (j) 단계 또는 (k) ~ (l) 단계를 거친 유기를 광택용 사포 또는 연마기로 연마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단계를 실시함으로써, 옻칠 유기를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m) 단계에서 유기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광택용 사포 또는 연마기로 연마함으로써 광택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옻칠 유기는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무늬층 및 상기 유기의 표면 또는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색 조성물로 이루어진 색깔층을 포함함에 따라, 유기의 표면과 외부 공기의 접촉이 차단되어 장시간 변색되지 않아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도 심미성이 우수하여 생활용기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 유기는 상기 (a) ~ (h) 단계와 (i) ~ (j) 단계 또는 (k) ~ (l) 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 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옻칠 유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한 뒤,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이를 160 ~ 165 ℃에서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한 뒤 3 ~ 5 분 이내에 목분을 부착시켰다.
이 후, 목분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주합칠 70 g 및 안료 30g를 혼합한 색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습도 30 % 이하 및 25 ~ 30 ℃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건칠장에서 20 시간 건조시킨 뒤,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 24 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색 조성물 도포와 건조를 3회 반복한 다음, 유기의 표면을 P600 사포로 사포질한 다음 광택을 내어, 옻칠 유기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색 조성물은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블루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폴리아조 레드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녹색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산화철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티탄 옐로우 30 g을 혼합한 것을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한 뒤,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이를 160 ~ 165 ℃에서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테라핀유 160 g 및 검로진 9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한 뒤 3 ~ 5 분 이내에 목분을 부착시켰다.
이 후, 목분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주합칠 70 g 및 안료 30g를 혼합한 색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습도 30 % 이하 및 25 ~ 30 ℃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건칠장에서 20 시간 건조시킨 뒤,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 24 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색 조성물 도포와 건조를 3회 반복한 다음, 유기의 표면을 P600 사포로 사포질한 다음 광택을 내어, 옻칠 유기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색 조성물은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블루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폴리아조 레드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녹색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산화철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티탄 옐로우 30 g을 혼합한 것을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한 뒤,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이를 160 ~ 165 ℃에서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한 뒤 3 ~ 5 분 이내에 시패를 부착시켰다.
이 후, 시패가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주합칠 70 g 및 안료 30g를 혼합한 색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습도 30 % 이하 및 25 ~ 30 ℃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건칠장에서 20 시간 건조시키고,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 24 시간 건조시킨 다음, 유기의 표면을 P900 사포로 사포질하였으며, 상기 색 조성물 도포, 건조, 사포질을 총 3회 반복한 다음 광택을 내어 옻칠 유기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색 조성물은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블루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폴리아조 레드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녹색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산화철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티탄 옐로우 30 g을 혼합한 것을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한 뒤,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및 테라핀유 160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이를 160 ~ 165 ℃에서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 300 g, 테라핀유 160 g 및 검로진 9 g을 혼합한 것을 도포한 뒤 3 ~ 5 분 이내에 시패를 부착시켰다.
이 후, 시패가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주합칠 70 g 및 안료 30g를 혼합한 색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습도 30 % 이하 및 25 ~ 30 ℃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건칠장에서 20 시간 건조시키고,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 24 시간 건조시킨 다음, 유기의 표면을 P900 사포로 사포질하였으며, 상기 색 조성물 도포, 건조, 사포질을 총 3회 반복한 다음 광택을 내어 옻칠 유기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색 조성물은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블루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폴리아조 레드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코발트 녹색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산화철 30 g을 혼합한 것, 주합칠 70 g과 티탄 옐로우 30 g을 혼합한 것을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시패와 자개를 함께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옻칠 유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종래의 옻칠 유기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건조를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만 30 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건조를 습도 70 ~ 80 % 및 온도 25 ~ 30 ℃ 조건을 만족하는 습칠장에서만 30 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실시예 1, 2 및 3에 따라 옻칠 유기를 제조하고 이를 도 4, 5 및 6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에 따라 유기를 제조하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 ~ 7을 보면, 종래의 옻칠 유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옻칠 유기의 심미성, 광택감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옻칠 유기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 내지 형상의 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색을 부여할 수 있어 심미성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용기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실험예 2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의 변색, 유기 표면에 대한 무늬층 및 색깔층의 접착성(밀착성)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변색은 옻칠 유기를 습도 80 ~ 90 % 및 온도 20 ~ 25 ℃인 조건에서 10일, 20일, 30일 및 40일 방치한 뒤에 유기 표면의 변색(산화) 여부를 관찰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변색이 있는 경우에는 ○, 변색이 없는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상기 접착성은 JIS A 5422에 따라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의 표면에 JIS Z 1522에 의해 규정된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시킨 다음 2분 후에 상기 유기 표면으로부터 셀로판 테이프를 박리시킨 뒤, 셀로판 테이프에 묻은 옻칠(옻칠, 색 조성물, 부착물을 포함)의 양을 확인함으로써, 접착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셀로판 테이프에 옻칠이 묻어 나온 경우에는 ○, 옻칠이 묻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변색 10일 × × × × × × ×
20일 × × × × × ×
30일 × × × ×
40일 × × × ×
접착성 × × × ×
상기 표 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우 변색이 방지되며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유기 표면이 옻칠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의미하는바, 유기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의 외측에 부착된 부착물의 부착성 확인을 위해,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를 3m 높이에서 낙하시킨 뒤 부착물의 떨어짐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부착물이 떨어져 나온 경우에는 ○, 부착물이 떨어져 나오지 않은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2 3
10회 × × × × × ×
30회 × × × × × ×
50회 × × × ×
100회 × × × ×
130회 × × × ×
150회 × ×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옻칠 유기가 비교예 2 ~ 3에 비해 부착물의 부착성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로진을 사용한 실시예 2 및 4의 경우 부착성이 현저히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a)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를 140 ~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경화된 유기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에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유기의 표면에 생옻칠을 도포하는 단계;
    (f) 상기 (e)에서 생옻칠이 도포된 유기의 표면에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단계;
    (g) 상기 (f)에서 부착물이 부착된 유기의 표면에 색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h)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h-1) 상기 (g)에서 색 조성물이 도포된 유기를 습도가 30 % 이하이며, 온도가 25 ~ 30 ℃인 건칠장에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h-2) 상기 (h-1)에서 1차 건조된 유기를 습도가 70 ~ 80 %이며, 온도가 25 ~ 30 ℃인 습칠장에서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안료, 금분, 자개 및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목분인 경우에는
    (i) 상기 (g) ~ (h)를 2 ~ 4회 반복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를 거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선택된 부착물이 시패인 경우에는
    (k) 상기 (h)에서 건조된 유기의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및
    (l) 상기 (g), (h) 및 (k)를 순서대로 2 ~ 4회 반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색 조성물은 상기 색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주합칠 60 ~ 80 중량% 및 안료 20 ~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주합칠은 수분함량이 10% 미만인 옻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7. 유기;
    상기 유기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분 및 시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무늬층; 및
    상기 유기의 표면 또는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색 조성물로 이루어진 색깔층;을 포함하는 옻칠 유기.
KR1020170031060A 2017-03-13 2017-03-13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KR10193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0A KR101939314B1 (ko) 2017-03-13 2017-03-13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0A KR101939314B1 (ko) 2017-03-13 2017-03-13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90A true KR20180104390A (ko) 2018-09-21
KR101939314B1 KR101939314B1 (ko) 2019-01-16

Family

ID=6372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060A KR101939314B1 (ko) 2017-03-13 2017-03-13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3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10B1 (ko) 2010-05-20 2012-03-13 이경동 옻을 이용한 유기제품의 칼라문양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한 칼라문양을 형성한 유기제품
KR101200646B1 (ko) * 2011-08-29 2012-11-12 조현수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3461B1 (ko) 2013-09-11 2013-11-26 문채훈 유기의 옻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
KR20160014323A (ko) * 2014-07-29 2016-02-11 배명직 자개가 포함된 금태칠기와 그 제작방법
KR20160056224A (ko) * 2014-11-11 2016-05-19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KR101679154B1 (ko) * 2015-11-26 2016-11-23 옥승호 자개 엘이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10B1 (ko) 2010-05-20 2012-03-13 이경동 옻을 이용한 유기제품의 칼라문양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한 칼라문양을 형성한 유기제품
KR101200646B1 (ko) * 2011-08-29 2012-11-12 조현수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3461B1 (ko) 2013-09-11 2013-11-26 문채훈 유기의 옻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
KR20160014323A (ko) * 2014-07-29 2016-02-11 배명직 자개가 포함된 금태칠기와 그 제작방법
KR20160056224A (ko) * 2014-11-11 2016-05-19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KR101679154B1 (ko) * 2015-11-26 2016-11-23 옥승호 자개 엘이디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314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3533B (zh) 一种夜光地板加工工艺
KR101689634B1 (ko) 입체무늬 질감을 나타내는 표면코팅방법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KR101939314B1 (ko) 심미성이 향상된 옻칠 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옻칠 유기
CN104088427A (zh) 砂岩贴面石及其制作方法
WO2013097188A1 (zh) 一种竹地板表面涂饰方法
CN113578722A (zh) 一种朱砂建材手工犀皮鎏金工艺及其在建筑材料上的应用
RU23703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CN114102782A (zh) 一种金属漆质实木复合地板生产工艺及其地板
JP2007138697A (ja) 木質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96578A (zh) 具有立体图案装饰板
KR100479193B1 (ko)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KR102028402B1 (ko) 커피원두 찌꺼기 분말을 이용한 자개의 옻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옻칠자개 제품의 제조방법
KR200390130Y1 (ko) 칼라코팅화분
CN111451114A (zh) 一种木饰面uv辊涂全开放哑光面涂装施工工艺
CN109057217A (zh) 一种仿石材装饰板及生产工艺
CN214864989U (zh) 木皮的涂装结构
CN108587465A (zh) 水性涂料及制备方法
KR200365688Y1 (ko) 채화칠층이 형성된 목재 바닥재
RU245971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имитирующего природный камень, на деревян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CN111267537B (zh) 一种在非金属表面实现绒沙金效果的工艺
CN107899914A (zh) 彩色树脂地板制备方法
CN115722429B (zh) 一种可控裂纹涂层及其制备方法
KR101980874B1 (ko) 오동나무의 옻칠방법과 이를 이용한 생활용품
CN110450576B (zh) 一种精钢软瓷木纹及其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