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172B1 - 휴지걸이 - Google Patents

휴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172B1
KR100755172B1 KR1020060115560A KR20060115560A KR100755172B1 KR 100755172 B1 KR100755172 B1 KR 100755172B1 KR 1020060115560 A KR1020060115560 A KR 1020060115560A KR 20060115560 A KR20060115560 A KR 20060115560A KR 100755172 B1 KR100755172 B1 KR 10075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asing
shaft
toilet paper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은
Original Assignee
김경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은 filed Critical 김경은
Priority to KR102006011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10/3809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 A47K10/382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with a distribution opening which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5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6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rotation br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봉 내부로부터 탄력돌출되는 밀착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휴지 지관과의 공차가 크거나 지관의 변형에 무관하게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축봉이 축봉괘지구에 자력 접속되어 휴지인출이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루어져 휴지가 찢어지거나 과풀림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샤워나 욕실청소시 물이 비산되어도 휴지가 젖을 염려가 없어 휴지손실을 방지하며, 음향재생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물 손실을 방지하며, 예비휴지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휴지가 소진되어 곤란을 겪는 일이 미연에 방지됨과 아울러 예비휴지의 인출 및 투입이 대단히 간편하도록 하는 휴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루마리 휴지의 지관에 끼워지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지지하며 두루마리 휴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이 구비되는 휴지걸이에 있어서, 상기 휴지 지관이 끼워지는 지관삽지부와 지관삽지부 양단부에 직경이 작게 단차 형성되는 지지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관삽지부는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탄력 돌출되어 휴지 지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날개를 포함하는 탄력지지수단이 설치되는 축봉; 전면이 개방되고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축봉의 지지단이 안착 지지되는 축봉괘지구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상기 축봉괘지구에 힌지결합되어 케이싱의 휴지 수용공간 전방을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봉의 지지단과 케이싱의 축봉괘지구에 상호 대응하는 자석 및 철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지걸이{A WASTEPAPER 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휴지투입 직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축봉의 상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하부커버 개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휴지걸이 3: 휴지 3a: 휴지 지관
10: 축봉 11: 지관삽지부 13: 통공
15: 지지단 20: 탄력지지수단 21: 밀착날개
23: 버팀살대 25: 탄력부재 30: 케이싱
31: 측벽 33: 축봉괘지구 35: 칸막이
30a: 예비휴지 수납부 35: 스토퍼받침 37: 잠금고정부
40: 상부커버 43: 절단날개 45: 손잡이
50: 하부커버 51: 힌지 52: 측벽
53: 라운드 받침부 54: 마감단 80: 가이드아암
61: 이탈방지턱 62: 가이드웨이 63: 안착홈
70: 음향재생모듈 71: 스피커 80: 장식부
a: 자석 b: 철편
본 발명은 휴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봉 내부로부터 탄력돌출되는 밀착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휴지 지관과의 공차가 크거나 지관의 변형에 무관하게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축봉이 축봉괘지구에 자력 접속되어 휴지인출이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루어져 휴지가 찢어지거나 과풀림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샤워나 욕실청소시 물이 비산되어도 휴지가 젖을 염려가 없어 휴지손실을 방지하며, 음향재생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물 손실을 방지하며, 예비휴지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휴지가 소진되어 곤란을 겪는 일이 미연에 방지됨과 아울러 예비휴지의 인출 및 투입이 대단히 간편하도록 하는 휴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루마리 휴지걸이는 축봉이 구비되어 두루마리 휴지의 지관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휴지걸이는 두루마리 휴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축봉이 상기 지관에 대단히 헐겁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휴지 인출시 두루마리 휴지가 편심회전하하면서 풀림이 불균일하여 떨림이 발생되는 등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더욱이 두루마리 휴지의 포장 및 운송 중에 휴지가 찌그러지거나 눌려져 타원형태로 변형될 경우 이러한 휴지 풀림 불균일은 회전을 억제하여 휴지가 절단되거나 과회전으로 휴지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인출을 유발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욕실에 설치되는 특성상 샤워나 욕실청소시 물 비산에 의하여 휴지가 젖어서 못쓰게 되는 일이 왕왕 발생되어 휴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루마리 휴지가 모두 소진되어 새것으로 교체시 축봉에 지관을 끼워넣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예비휴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곤란을 겪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용변중 프라이버시 관계상 은폐용으로 변기 물을 내려 낙수음을 발생시키므로 아까운 생활용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봉 내부로부터 탄력돌출되는 밀착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휴지 지관과의 공차가 크거나 지관의 변형에 무관하게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축봉이 축봉괘지구에 자력 접속되어 휴지인출이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루어져 휴지가 찢어지거나 과풀림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구비되어 샤워나 욕실청소시 물이 비산되어 휴지가 젖을 염려가 없어 휴지손실을 방지토록 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향재생모듈을 이용하여 특히 여성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물 손실을 방지토록 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비휴지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휴지가 소진되어 곤란을 겪는 일이 미연에 방지됨과 아울러 하부커버가 두레박형태로 되고 편심 힌지결합됨으로써 예비휴지의 인출 및 투입이 대단히 간편하도록 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걸이는
두루마리 휴지의 지관에 끼워지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지지하며 두루마리 휴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이 구비되는 휴지걸이에 있어서,
상기 휴지 지관이 끼워지는 지관삽지부와 지관삽지부 양단부에 직경이 작게 단차 형성되는 지지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관삽지부는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탄력 돌출되어 휴지 지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날개를 포함하는 탄력지지수단 이 설치되는 축봉;
전면이 개방되고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축봉의 지지단이 안착 지지되는 축봉괘지구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상기 축봉괘지구에 힌지결합되어 케이싱의 휴지 수용공간 전방을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봉의 지지단과 케이싱의 축봉괘지구에 상호 대응하는 자석 및 철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휴지걸이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휴지투입 직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축봉의 상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휴지걸이(1)는 두루마리 휴지(3)의 지관(3a)에 끼워지는 축봉(10)과 상기 축봉을 지지하며 두루마리 휴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30)이 구비되는 휴지걸이에 있어서, 상기 휴지 지관(3a)이 끼워지는 지관삽지부(11)와 상기 지관삽지부(11) 양단부에 직경이 작게 단차 형성되는 지지단(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관삽지부(11)는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탄력 돌출되어 휴지 지관(3a)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날개(21)를 포함하는 탄력지지수단(20)이 설치되는 축봉(10), 전면 이 개방되고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축봉(10)의 지지단(15)이 안착 지지되는 축봉괘지구(33)가 구비되는 케이싱(30) 및 상기 축봉괘지구(33)에 힌지(41)결합되어 케이싱의 휴지 수용공간 전방을 개폐하는 상부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봉의 지지단(15)과 케이싱의 축봉괘지구(33)에 상호 대응하는 자석(a) 및 철편(b)이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봉(10)은 지관삽지부(11)가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주면에 방사상으로 통공(13)이 형성되며, 상기 탄력지지수단(20)은 지관삽지부(11) 중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13)에 삽지되는 밀착날개(21)가 외향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버팀살대(23)와 상기 버팀살대(23)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력부재(2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상기 탄력지지수단(20)은 상기 밀착날개(21)가 축봉(10)의 길이방향 좌우 2개소에 설치되며, 각 일개소는 상기 밀착날개(21)가 형성된 버팀살대(23) 4개가 등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버팀살대(23) 사이에 위치를 달리하여 탄력부재(25)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 2개소의 밀착날개(21) 및 밀착날개가 형성된 좌우 버팀살대(23)는 중앙의 연결부(24)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력부재(25)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30)의 좌우측벽 축봉괘지구(33)는 요홈(33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3a)으로 축봉(10)의 인입 장착을 안내하기 위하여 전방 선단부에 돌출된 이탈방지턱(61) 이후에 가이드웨이(62)가 형성되고 가이드웨이(62) 끝단에 상기 축봉 지지단의 안착홈(6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63)이 상기 축봉괘 지구의 요홈(33a)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아암(60)이 케이싱 전방으로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0) 일측에는 스위칭시 설정시간 동안 음향이 재생되는 음향 회로부와 스위치 및 스피커(71)를 포함하는 음향재생모듈(70)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30)은 하방으로 칸막이(35)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35) 하방으로 하부커버(50)가 구비된 예비휴지 수납부(30a)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50)는 두루마리 휴지가 담기도록 반원형상의 양측벽(52)과 상기 양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 받침부(53)가 일체로 형성되는 두레박형태로 되고, 반원형상 양측벽(52)의 후미가 케이싱 측벽(31) 하단부 중앙에 편심 힌지(51)결합되어 개방시 휴지가 하부커버(50)에 담겨 인출되거나 투입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30)은 예비휴지 수납부(30a)의 좌우측벽(31)이 두루마리 휴지의 측면에 대응하여 라운드 돌출형성되고, 하방으로는 상기 하부커버(5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여 휴지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받침(36)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하부커버(50)를 위한 잠금고정부(3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50)는 라운드 받침부(53) 상부에 평탄형성되는 마감단(54)이 구비되고, 예비휴지 수납부(30a)의 잠금고정부(37)는 상기 마감단(54)의 양측을 잡아주는 돌기(37a)가 형성되거나 상기 마감단(54)의 양측단과 함께 상호 대응하는 자석 및 철편이 취부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는 투명체로 되고 손잡이(45)(5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30)의 후면측으로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2) 또는 걸개부가 형성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상부커버(40)는 하단 내측으로 휴지 절단을 위한 절단날개(4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도 6, 도 7 참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0)의 상부에 미관을 고려한 장식부(80)가 더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축봉의 플랜지, '34'는 예비휴지 수납부의 하부커버용 힌지공, '42'는 상부커버의 힌지공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휴지걸이(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축봉(10)은 지관삽지부(11) 내부에 탄력부재(25)에 의하여 탄지된 밀착날개(21)가 방사상으로 설치됨으로써 휴지 지관(3a)과의 공차가 크거나 지관의 변형에 무관하게 밀착상태를 유지한다.
즉, 휴지 지관(3a)에 축봉을 끼워넣을 때에는 탄력부재(25)의 탄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끼워지고 끼워진 이후에는 탄력부재(25)에 의하여 밀착날개(2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지관(3a)에 밀착되며 지관이 찌그러진 경우에는 원형으로 바로잡아 준다.
이러한 축봉(10)에 휴지(3)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부 커버(40)를 열고 상기 가이드아암(60)에 지지단(15)을 얹어 밀어넣으면 용이하게 축봉괘지구(33)로 이 동 안착된다.
이때, 상기 축봉괘지구(33)의 요홈(33a)에 자석(a)이 설치되고 축봉 지지단(15)의 양단부에 철편(b)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대강 맞추어도 용이하게 유동이 방지되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지 인출은 휴지(3)를 당겨내는 힘에 의하여 휴지 지관(3a)이 축봉(10)과 함께 회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축봉(10)이 휴지 지관(3a)에 밀착날개(21)를 통하여 압착 결합되어 지관(3a)과 축봉(10)이 한 몸체로 회전되고 거기에 더하여 축봉(10)의 양단이 자력을 이용하여 축봉괘지구(33)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휴지풀림 회전동작시 떨림이나 진동발생이 방지되고 부드럽고 정숙하게 동작되며 휴지가 고르게 인출되어 찢어지거나 과풀림 현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사용감을 고급화한다.
휴지를 적당길이 인출 후에는 상부커버(40)를 닫은 상태에서 휴지를 당기면 상부커버의 절단날개(43)가 휴지를 잡아주게 되어 간단하게 휴지가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40)로 인하여 샤워나 물청소시 물이 비산되어도 휴지가 젖을 염려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휴지의 인출은 상부커버(40)가 열린 상태이거나 닫힌 상태이거나 상시 가능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부커버(40)와 칸막이(35) 사이의 공간으로 인출한다.
또한, 상기 음향재생모듈(70)은 예를 들면 물내림 효과음향이 녹음되고 스위치를 누르면 설정시간 동안 녹음된 음향이 재생되어 용변시 배뇨음 등이 외부에서 들리지 않도록 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아울러 단지 은폐음을 발생시키기 위하 여 변기의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케이싱(30) 하방에 예비휴지 수납부(30a)가 구비됨으로써 휴지가 소진되어 곤란을 겪는 일이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하부커버(50)가 두레박형태로 되고 편심 힌지(51) 결합됨으로써 하부커버(50)를 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 내에 휴지가 담겨진 상태로 인출되거나 또는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어 휴지 교체가 대단히 간편하며 젖을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잠금고정부(37)는 하버커버를 고정하여 예비휴지를 안전하게 수납토록 한다.
상기 잠금고정부에 돌기(37a)가 형성될 경우 하부커버를 가볍게 밀어넣으면 클릭감을 느끼게 하며 잠겨지고 손잡이를 당기면 용이하게 열려지며 자석 또는 철편으로 탈착되어도 용이하게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지걸이는
첫째, 축봉 내부로부터 탄력돌출되는 밀착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휴지 지관과의 공차가 크거나 지관의 변형에 무관하게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축봉이 축봉괘지구에 자력 접속되어 휴지인출이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루어져 휴지가 찢어지거나 과풀림 현상 및 휴지손실이 방지되며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구비되어 샤워나 욕실청소시 물이 비산되어 휴지가 젖을 염려가 없어 휴지손실을 방지한다.
셋째, 음향재생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물 손실을 방지한다.
넷째, 예비휴지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휴지가 소진되어 곤란을 겪는 일이 방지됨과 아울러 하부커버가 두레박형태로 되고 편심 힌지결합됨으로써 휴지의 인출 및 투입이 대단히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두루마리 휴지(3)의 지관(3a)에 끼워지는 축봉(10)과 상기 축봉을 지지하며 두루마리 휴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30)이 구비되는 휴지걸이에 있어서,
    상기 휴지 지관(3a)이 끼워지는 지관삽지부(11)와 상기 지관삽지부(11) 양단부에 직경이 작게 단차 형성되는 지지단(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관삽지부(11)는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탄력 돌출되어 휴지 지관(3a)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날개(21)를 포함하는 탄력지지수단(20)이 설치되는 축봉(10);
    전면이 개방되고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축봉(10)의 지지단(15)이 안착 지지되는 축봉괘지구(33)가 구비되는 케이싱(30); 및
    상기 축봉괘지구(33)에 힌지결합되어 케이싱의 휴지 수용공간 전방을 개폐하는 상부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봉의 지지단(15)과 케이싱의 축봉괘지구(33)에 상호 대응하는 자석(a) 및 철편(b)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봉(10)은 지관삽지부(11)가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주면에 방사상으로 통공(13)이 형성되며,
    상기 탄력지지수단(20)은 지관삽지부(11) 중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통 공(13)에 삽지되는 밀착날개(21)가 외향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버팀살대(23)와 상기 버팀살대(23)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력부재(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수단(20)은 상기 밀착날개(21)가 축봉(10)의 길이방향 좌우 2개소에 설치되며, 각 일개소는 상기 밀착날개(21)가 형성된 버팀살대(23) 4개가 등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버팀살대(23) 사이에 위치를 달리하여 탄력부재(25)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 2개소의 밀착날개(21) 및 밀착날개가 형성된 좌우 버팀살대(23)는 중앙의 연결부(24)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의 좌우측벽 축봉괘지구(33)는 요홈(33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3a)으로 축봉(10)의 인입 장착을 안내하기 위하여 전방 선단부에 돌출된 이탈방지턱(61) 이후에 가이드웨이(62)가 형성되고 가이드웨이(62) 끝단에 상기 축봉 지지단의 안착홈(6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63)이 상기 축봉괘지구의 요홈(33a)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아암(60)이 케이싱 전방으로 돌 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 일측에는 스위칭시 설정시간 동안 음향이 재생되는 음향 회로부와 스위치 및 스피커(71)를 포함하는 음향재생모듈(7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은 하방으로 칸막이(35)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35) 하방으로 하부커버(50)가 구비된 예비휴지 수납부(30a)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50)는 두루마리 휴지가 담기도록 반원형상의 양측벽(52)과 상기 양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 받침부(53)가 일체로 형성되는 두레박형태로 되고, 반원형상 양측벽(52)의 후미가 케이싱 측벽(31) 하단부 중앙에 편심 힌지(51)결합되어 개방시 휴지가 하부커버(50)에 담겨 인출되거나 투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예비휴지 수납부(30a)의 좌우측벽(31)이 두루마리 휴지의 측면에 대응하여 라운드 돌출형성되고,
    하방으로는 상기 하부커버(5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여 휴지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받침(36)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하부커버(50)를 위한 잠금고정부(3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50)는 라운드 받침부(53) 상부에 평탄형성되는 마감단(54)이 구비되고,
    예비휴지 수납부(30a)의 잠금고정부(37)는 상기 마감단(54)의 양측을 잡아주는 돌기(37a)가 형성되거나 상기 마감단(54)의 양측단과 함께 상호 대응하는 자석 및 철편이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는 투명체로 되고 손잡이(45)(55)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40)는 하단 내측으로 휴지 절단을 위한 절단날개(4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KR1020060115560A 2006-11-22 2006-11-22 휴지걸이 KR10075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60A KR100755172B1 (ko) 2006-11-22 2006-11-22 휴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60A KR100755172B1 (ko) 2006-11-22 2006-11-22 휴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172B1 true KR100755172B1 (ko) 2007-09-04

Family

ID=3873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60A KR100755172B1 (ko) 2006-11-22 2006-11-22 휴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1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36B1 (ko) 2009-11-16 2012-01-05 임지혜 자동 휴지인출기
KR101258243B1 (ko) * 2011-03-09 2013-04-25 주식회사 코퍼스 휴지걸이 겸용 도어손잡이
WO2014092393A1 (ko) * 2012-12-13 2014-06-19 Choe Moonkyu 다용도 휴지걸이
KR101434615B1 (ko) * 2012-12-18 2014-08-27 백성민 살균기능 및 방향제, 에티켓 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디스펜서
KR101479551B1 (ko) * 2013-12-31 2015-01-07 (주)우진홈센스 휴지걸이 장치
KR101765260B1 (ko) * 2016-01-14 2017-08-04 주식회사 바스텍 매립형 휴지걸이
KR20220107107A (ko) 2021-01-24 2022-08-02 이하윤 휴지 권취대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6735U (ko) 1974-03-08 1975-09-23
JPS51128636U (ko) 1975-04-02 1976-10-18
JPS52157340U (ko) 1976-05-24 1977-11-29
JPH09253000A (ja) * 1996-03-18 1997-09-30 Mugio Furuhat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0137232Y1 (ko) * 1996-01-19 1999-04-01 윤상도 휴지걸이
KR200173754Y1 (ko) 1999-09-22 2000-03-15 김수천 화장실의 다목적 휴지걸이
KR200236422Y1 (ko)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테크노.티 화장지의 회전제어장치
KR200405572Y1 (ko) 2005-10-28 2006-01-11 주식회사 엠아이리빙 욕실용 설치제품 어셈블리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6735U (ko) 1974-03-08 1975-09-23
JPS51128636U (ko) 1975-04-02 1976-10-18
JPS52157340U (ko) 1976-05-24 1977-11-29
KR0137232Y1 (ko) * 1996-01-19 1999-04-01 윤상도 휴지걸이
JPH09253000A (ja) * 1996-03-18 1997-09-30 Mugio Furuhat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200173754Y1 (ko) 1999-09-22 2000-03-15 김수천 화장실의 다목적 휴지걸이
KR200236422Y1 (ko)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테크노.티 화장지의 회전제어장치
KR200405572Y1 (ko) 2005-10-28 2006-01-11 주식회사 엠아이리빙 욕실용 설치제품 어셈블리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36B1 (ko) 2009-11-16 2012-01-05 임지혜 자동 휴지인출기
KR101258243B1 (ko) * 2011-03-09 2013-04-25 주식회사 코퍼스 휴지걸이 겸용 도어손잡이
WO2014092393A1 (ko) * 2012-12-13 2014-06-19 Choe Moonkyu 다용도 휴지걸이
KR101434615B1 (ko) * 2012-12-18 2014-08-27 백성민 살균기능 및 방향제, 에티켓 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디스펜서
KR101479551B1 (ko) * 2013-12-31 2015-01-07 (주)우진홈센스 휴지걸이 장치
KR101765260B1 (ko) * 2016-01-14 2017-08-04 주식회사 바스텍 매립형 휴지걸이
KR20220107107A (ko) 2021-01-24 2022-08-02 이하윤 휴지 권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172B1 (ko) 휴지걸이
US20040206867A1 (en) Device for supporting bathroom accessories and the like
JP2004313558A (ja) 家具調ロールペーパーボックス
KR100707386B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100578252B1 (ko) 휴지걸이대
KR20140006337U (ko) 매립형 휴지걸이
KR101258992B1 (ko) 휴지케이스
KR100364167B1 (ko) 좌변기의 위생지 수납함
KR200433899Y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100434584B1 (ko) 매입형 화장지걸이
JP5368679B2 (ja) 浴室小物取付装置
KR200232543Y1 (ko) 화장지걸이
KR200172549Y1 (ko) 욕실청소용 브러쉬 보관함
CN214180267U (zh) 马桶刷组件
KR101885579B1 (ko) 휴지걸이
KR200273934Y1 (ko) 벽체매입형화장지홀더
KR101868496B1 (ko) 휴지걸이
KR200223913Y1 (ko) 변기 청소용 솔의 수납 은폐장치
KR200360814Y1 (ko) 덮개가 결합된 화장지 걸이
KR200232671Y1 (ko) 휴지 걸이대
JP2007289376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保持具
JPH0451664Y2 (ko)
USD424670S (en) Lid for a toilet flush tank concealing a cleansing device
KR200413100Y1 (ko) 휴지걸이대
JP4519456B2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