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544B1 -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544B1
KR102409544B1 KR1020200115499A KR20200115499A KR102409544B1 KR 102409544 B1 KR102409544 B1 KR 102409544B1 KR 1020200115499 A KR1020200115499 A KR 1020200115499A KR 20200115499 A KR20200115499 A KR 20200115499A KR 102409544 B1 KR102409544 B1 KR 10240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eat
gudeuljang
hollow tub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288A (ko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훈 filed Critical 한창훈
Priority to KR102020011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5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6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air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7Sol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06Parts of a building integrally forming part of heating systems, e.g. a wall as a heat storing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궁이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가 내측을 통과하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방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들장본체; 상기 구들장본체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들장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며,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는 축열중공튜브;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축열공간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유입제한부재; 상기 축열중공튜브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구들장본체 상에 상기 축열중공튜브와 상기 유입제한부재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하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 상에 적층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는,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중공튜브 내의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여, 축적된 열이 장시간 바닥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온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축열공간을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기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하여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의 단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Floor heating system with heat storage function using hollow structure}
본 발명은 바닥 난방에서의 축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중공튜브 내의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여, 축적된 열이 장시간 바닥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온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으로서, 예로부터 바닥 난방의 주류로서 자리하고 있고, 현재에도 주된 난방 방식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 특유의 복사열에 의한 쾌적한 난방 효과가 새로이 평가됨으로써,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 내지 발전되면서, 우리 건축 양식과 주거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통상의 온돌 구조는 구들장, 아궁이 및 굴뚝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통상의 온돌 구조에서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열기가 구들장 내부에서 오랫동안 체류하지 못하고, 외부로 배기되면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난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 에너지 손실을 줄이도록 하는 구들장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2842호의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룬 한지황토구들장 및 한지황토구들장을 이용한 보온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난방이 필요한 시설물에 온열구조를 이루기 위해 바닥부와 중간부 및 상층부가 연계되는 구조로 황토구들장을 이루어 실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온방법에 있어서, 황토구들장의 바닥부는 가열매체를 갖고 중간부의 상전이물질을 가온시켜 상전이를 유도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가열매체의 상부로는 상전이물질(PCM)이 직육면체 외통이나 액셀파이프나 합성수지재 팩 중에서 선택되는 축열중공튜브에 내장되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부로는 황토판재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가열매체가 상전이물질을 가온시키고 상전이 물질의 전달열이 황토판재를 가온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어려움이 따름과 동시에 비경제적인 시공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축열에 의한 보온 효과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보온의 효율 증대에 한계를 가지고, 구들장에 대한 단점으로 지적되는 전체 면적에 대한 균일한 온도 유지에 대해서 미처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온수바닥 구조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중공튜브 내의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여, 축적된 열이 장시간 바닥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온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축열공간을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기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하여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의 단점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아궁이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가 내측을 통과하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방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들장본체; 상기 구들장본체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들장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며,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는 축열중공튜브;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축열공간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유입제한부재; 상기 축열중공튜브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구들장본체 상에 상기 축열중공튜브와 상기 유입제한부재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하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 상에 적층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는,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보일러로부터 온수가 순환 공급되는 온수파이프가 매립되는 온수바닥층; 상기 구들장본체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들장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며,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는 축열중공튜브;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축열공간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유입제한부재; 상기 축열중공튜브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온수바닥층 상에 상기 축열중공튜브와 상기 유입제한부재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하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 상에 적층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는,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축열중공튜브는,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황토반죽을 파이프 형태로 인발하여 커팅후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입제한부재는,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단에 안착되는 메쉬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모르타르층이 메쉬를 통해서 상기 축열중공튜브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모르타르층이 시공시 상기 메쉬 각각을 통해서 상기 축열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르타르층이 상기 축열공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채움재는, 황토, 숯 및 겔라이트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에 의하면,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중공튜브 내의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여, 축적된 열이 장시간 바닥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온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축열공간을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기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하여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의 단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의 요부(도 1의 A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의 축열중공튜브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의 축열중공튜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의 축열중공튜브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의 요부(도 1의 A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100)은 구들장본체(110), 축열중공튜브(120), 유입제한부재(150), 채움재(130) 및 모르타르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들장본체(110)는 아궁이(10)로부터 유입구(112)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가 내측을 통과하면서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방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들장본체(110)는 측벽(111)에 마련되는 유입구(112) 측에 아궁이(10)가 설치됨으로써, 아궁이(10)로부터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이 유입구(112)를 통해서 구들장본체(110)의 내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열을 공급받도록 한다. 구들장본체(110)에서 배출구(113) 측에는 연소열의 이동매체인 배가스의 배출을 위한 굴뚝(20)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데, 굴뚝(20)에는 배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송풍팬(30)이 설치될 수 있다.
축열중공튜브(120)는 구들장본체(110)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121)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들장본체(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축열공간(121)에 축적되도록 하며, 축열공간(121)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도록 한다. 축열중공튜브(120)는 구들장본체(110)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급격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열을 비교적 서서히 상방의 채움재(130) 및 모르타르층(140)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여기서 2차원적의 의미는 축열중공튜브(120)가 구들장본체(110)의 상면에 전후 및 좌우 규칙적으로 배열됨은 물론, 구들장본체(110)의 상면을 따라 비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도 포함된다.
축열중공튜브(120)는 일례로 구들장본체(110)에 단순하게 안착됨으로써, 채움재(130)에 고정 내지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고온에 견디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구들장본체(11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구들장본체(110) 상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에 끼워지거나,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입제한부재(150)는 축열중공튜브(1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축열공간(121)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한은 물질 유입의 완전한 차단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완전한 차단을 포함함은 물론 모르타르층(140)이 그 상측에 시공될 수 있을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제한부재(150)는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유입제한부재(150)는 축열중공튜브(120)의 상측에 설치시, 축열중공튜브(120) 각각에 대응하도록 축열중공튜브(12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축열중공튜브(120)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축열중공튜브(120) 상측을 한꺼번에 커버할 수도 있다.
유입제한부재(150)는 축열공간(121) 내에 축적된 열을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축열중공튜브(150)의 상단에 안착되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짐으로써, 모르타르층(140)이 메쉬를 통해서 축열중공튜브(120)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고, 모르타르층(140)이 시공시 메쉬 각각을 통해서 축열공간(121) 측으로 돌출되어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층(140)이 축열공간(121)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축열공간(121) 내에 축적된 열이 모르타르층(140)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입제한부재(150)는 모르타르층(140) 등의 바닥체에 대한 강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채움재(130)는 축열중공튜브(120) 사이에 채워져서 구들장본체(110) 상에 축열중공튜브(120)와 유입제한부재(150)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매립의 의미는 축열중공튜브(120)가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는 물론 축열중공튜브(120)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움재(130)는 축열중공튜브(120) 사이를 채워서 축열중공튜브(120)의 매립층을 이루게 되도록 하여, 축열중공튜브(120)를 사이에 두고, 구들장본체(110)와 모르타르층(140) 사이의 빈공간을 없애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르타르층(140)의 안정적이면서 균일한 지지를 가능하도록 한다면, 그 재질이나 성상에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황토, 숯 및 겔라이트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채움재(130)로서 이러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일례로 이들 혼합물이 입상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축열중공튜브(120)가 매립된 상태로 다짐에 의해 모르타르층(140)의 안정적인 형성 및 지지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이들 혼합물의 입상물에 바인더를 추가로 혼합하여 채워짐으로써, 건조후 고형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인더는 건축자재용 입상물에서 입자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채움재(130)에 포함되는 황토, 숯, 겔라이트는 그 중량 비율이 예컨대 1 : 0.01 ~ 10 : 0.1 ~ 10일 수 있다. 따라서, 채움재(130)가 황토, 숯 및 겔라이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방출, 전자파 방지 및 악취 제거 등을 비롯하여 인체 환경에 유익한 요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모르타르층(140)은 채움재(130) 상에 적층되어 바닥면을 제공하는데, 시멘트를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축열중공튜브(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축열중공튜브(160)의 횡단면이 사각형이나, 도 6에서와 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축열중공튜브(170)의 횡단면이 육각형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축열중공튜브(120,160,170)는 일례로, 반죽의 투입에 의해 파이프 형태로 인발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황토반죽을 파이프 형태로 인발하여 커팅후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황토로 성형되고, 적어도 한 번 이상 구이 과정을 거침으로써 도자기로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 축열중공튜브(120,160,170)에 가해지는 압축력 등의 하중을 분산 내지 부담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가 축열중공튜브(120,160,170)에 해당하는 층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축열중공튜브(120,160,170)는 일례로 황토의 반죽 및 성형에 의해 원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다음, 건조 과정을 거치고, 800~900도씨의 초벌구이를 수행한 다음, 생략 가능한 시유 및 건조 과정을 거친 후, 1,250도씨까지 가마에서 구워냄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200)은 보일러(40)로부터 온수가 순환 공급되는 온수파이프(211)가 매립되는 온수바닥층(210)과, 온수바닥층(210)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221)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온수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축열공간(221)에 축적되도록 하며, 축열공간(221)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는 축열중공튜브(220)와, 축열중공튜브(2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축열공간(221)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유입제한부재(250)와, 축열중공튜브(220) 사이에 채워져서 온수바닥층(210) 상에 축열중공튜브(220)와 유입제한부재(250)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하는 채움재(230)와, 채움재(230) 상에 적층되는 모르타르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황토반죽을 파이프 형태로 인발하여 커팅후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조되는 축열중공튜브(220)에 대한 구성과, 황토, 숯 및 겔라이트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채움재(230)에 대한 구성, 그리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유입제한부재(250)에 대한 구성 등을 비롯하여, 동일한 명칭으로 이전의 실시례에서 설명한 구성들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온수바닥층(210)은 이전 실시례의 구들장본체(110)를 대신하는 구성으로서, 온수파이프(211), 예컨대 엑셀파이프가 내측에 지그재그 또는 그 밖에 온수에 의한 균일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온수파이프(211)의 양단은 보일러(40)의 난방수 인입구 및 배출구 측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보일러(40)로부터 온수가 순환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에 따르면,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중공튜브 내의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여, 축적된 열이 장시간 바닥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온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축열공간을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기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하여 구들장이나 온수바닥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아궁이 20 : 굴뚝
30 : 송풍팬 40 : 보일러
110 : 구들장본체 111 : 측벽
112 : 유입구 113 : 배출구
114 : 격벽 120,160,170,220 : 축열중공튜브
121,161,171,221 : 축열공간 130,230 : 채움재
140,240 : 모르타르층 150,250 : 유입제한부재
210 : 온수바닥층 211 : 온수파이프

Claims (5)

  1. 아궁이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가 내측을 통과하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방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들장본체;
    상기 구들장본체의 상면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설치되고, 내측에 중공의 축열공간이 상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들장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되도록 하며, 상기 축열공간에 축적된 열을 전도시키는 축열중공튜브;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축열공간의 내측으로 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유입제한부재;
    상기 축열중공튜브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구들장본체 상에 상기 축열중공튜브와 상기 유입제한부재가 매립되는 층을 이루도록 하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 상에 적층되는 모르타르층;
    을 포함하고,
    상기 축열중공튜브는,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황토반죽을 파이프 형태로 인발하여 커팅후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유입제한부재는,
    상기 축열중공튜브의 상단에 안착되는 메쉬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모르타르층이 메쉬를 통해서 상기 축열중공튜브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모르타르층이 시공시 상기 메쉬 각각을 통해서 상기 축열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르타르층이 상기 축열공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고,
    상기 채움재는,
    황토, 숯 및 겔라이트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5499A 2020-09-09 2020-09-09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KR10240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99A KR102409544B1 (ko) 2020-09-09 2020-09-09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99A KR102409544B1 (ko) 2020-09-09 2020-09-09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88A KR20220033288A (ko) 2022-03-16
KR102409544B1 true KR102409544B1 (ko) 2022-06-15

Family

ID=8093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499A KR102409544B1 (ko) 2020-09-09 2020-09-09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5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37Y1 (ko) * 2006-05-18 2006-08-10 김봉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892020B1 (ko) * 2018-01-31 2018-08-27 (주)교하엔텍 건축물 층간소음 방지 겸용 난방 슬라브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00B1 (ko) * 2011-06-29 2013-12-13 차화신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룬 한지황토구들장 및 한지황토구들장을 이용한 보온방법
KR101759978B1 (ko) * 2015-12-10 2017-07-20 배영환 황토축열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37Y1 (ko) * 2006-05-18 2006-08-10 김봉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892020B1 (ko) * 2018-01-31 2018-08-27 (주)교하엔텍 건축물 층간소음 방지 겸용 난방 슬라브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88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921B1 (ko) 조립식 난방패널
KR102409544B1 (ko)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KR20110094943A (ko) 온수 온돌 패널 및 온수 온돌 패널의 모르타르 미장 높이를 구하는 방법
CN209540986U (zh) 一种架空地板对流辐射供暖末端
KR200415669Y1 (ko) 조립식 온돌 패널
KR101251985B1 (ko)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KR100763782B1 (ko) 온돌장치
CN205560931U (zh) 一种楼面地暖
KR20220033292A (ko) 용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GB2109026A (en) Storage heater and bricks therefor
KR20220033300A (ko) 축열 보드
KR101168836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 난방바닥
CN206669844U (zh) 一种干式地暖模组
KR20100069060A (ko) 아궁이 난방구조용 구들장블럭
KR101530596B1 (ko)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369505B1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950013659B1 (ko)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KR100703039B1 (ko) 축열식 온수 난방시스템
JP3589452B2 (ja) 建物及びソーラーハウス
KR102182146B1 (ko) 온기순환이 가능한 온돌용 패널
KR200317943Y1 (ko) 축열식 온수 난방시스템
KR102589575B1 (ko) 바닥 난방 시스템용 축열 장치
CN215523495U (zh) 电热地暖系统
JPH065524Y2 (ja) 熱放射用耐火物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