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32B1 -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32B1
KR950013632B1 KR1019930008397A KR930008397A KR950013632B1 KR 950013632 B1 KR950013632 B1 KR 950013632B1 KR 1019930008397 A KR1019930008397 A KR 1019930008397A KR 930008397 A KR930008397 A KR 930008397A KR 950013632 B1 KR950013632 B1 KR 95001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uide post
cabinet
co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성
Original Assignee
황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성 filed Critical 황종성
Priority to KR101993000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32B1/ko
Priority to PCT/KR1994/000047 priority patent/WO199402654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용차 차체 커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커버장치가 설치된 승용차를 나타낸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커버장치가 덮여진 상태의 승용차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 3 도의 (a), (b)는 본 발명의 커버장치가 펼쳐진 상태의 승용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제 4 도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장치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장치의 콘트롤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캐비넷
13 : 가이드 포스트 17 : 나사축
21 : 모터 23 : 탑커버
30 : 슬라이더 34 : 가이드 바(Guide bar)
40 : 너클 바(Knuckle bar) 50 : 커버
51 : 파스너(Fastener) 52 : 콘트롤 박스
본 발명은 차체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자동적으로 덮여지거나 걷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승용차의 차체는 지붕을 고정한 고정형 차체와, 고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지붕을 씌우거나 벗길 수 있는 개폐형(Open type) 차체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차체는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Painting)처리되어 부식 등으로부터 그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용차를 장시간 특히, 노상에 주차시킬 경우에는 차체에 커버를 덮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가 먼지 및 햇빛 등을 차단하여 승용차의 광택을 유지시키고, 겨울철의 혹한시에는 전후면 유리창이나 미러(Mirror) 등에 성에가 끼거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강하에 따른 냉각수의 결빙 등을 방지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체의 커버는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덮어 주는 방식이므로 이는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는 승용차의 차체에 커버를 덮어두지 않고 승용차를 그대로 주차하게 되므로 먼지 및 오물 등으로 차체가 쉽게 오염되며, 차체의 세차 및 광택작업을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여름철에는 승용차의 내부온도가 외부온도보다 크게 상승됨에 따라 주차후 운전자가 승용차에 탑승할 경우에는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노상에 주차된 승용차를 혹한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승용차의 출발전에 차체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상승시켜야 하는 등 불필요한 시간 및 연료가 낭비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구동에 따라 너클 바(Knuckle bar)가 작동되어 커버가 차체에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걷힐 수 있도록 한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수단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구동력전달수단과, 차체의 중앙부에 설치된 캐비넷과, 이 캐비넷에 고정적으로 내장되는 중공의 가이드 포스트(13)와, 이 가이드 포스트와 결합되어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 일단이 고정되며 이동수단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차체에 커버를 덮거나 걷을 수 있도록 신축동작을 수행하는 다관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발명에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체(10)의 중앙부에는 캐비넷(11)이 설치되며, 상기 캐비넷(11)의 상측에는 그 내면 양측에 구멍(12)이 형성된다. 이 캐비넷(11)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넷(11)의 중앙부에는 한쪽이 트인 공간부(14)를 갖는 가이드포스트(13)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13)의 한쪽 끝부분의 테두리에 스톱퍼(15)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 포스트(13)의 바깥둘레에는 양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3a)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4)의 윗쪽에는 암나사(16)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암나사에는 나사축(17)이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17)은 그 뒤쪽 방향의 받침판(20)에 설치되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21)는 받침판(20)에 고정된 상태이나 가이드 포스트(13)의 바닥면 등 그 설치위치는 변경은 가능하다. 또한 모터(21)는 승용차의 메인밧데리(도시하지 않음)나 승용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서브밧데리(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21)의 윗쪽에는 탑커버(23)가 장착되고, 상기 탑커버(23)의 소정위치에는 원격조정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3)의 가이드홈(13a)에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더부(30a)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30)의 소정부위에는 구멍(31)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30)에는 양측에 솔레노이드(Solenoid)의 원리에 의해 작동되는 2개의 홀더(32)가 내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홀더(32)가 슬라이더(30)에 내장되어 있으나 홀더(32)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홀더(32)에는 그 양측으로 내측 스톱퍼(33a)와 외측 스톱퍼(33b)가 각각 장착된다. 가이드 바(Guide bar)(34)는 상기 슬라이더(30)의 구멍(31)에는 한 쪽 끝이 끼워져 안내되며 다른 쪽 끝은 받침판(2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바(34)의 하단부에는 구멍(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0)와 받침판(20)사이에는 너클 바(40)가 힌지(41)의 결합에 의해 다수의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너클 바(40)가 펼쳐질 경우 그 방향은 팔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클 바(40)는 한 쪽 방향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슬라이더(30)의 윗쪽 및 받침판(20)에 핀(42a), (42b)으로 각각 결합되고, 이 너클 바(40)의 신축작용(즉,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곳 이상으로 교차되는 지점에 핀(43)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너클 바(40)에는 차체(10)를 덮을 수 있는 커버(50)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커버(50)는 신축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주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50)가 차체(10)를 덮었을 경우 운전자의 탑승위치에는 파스너(Fastener)(51)가 형성된다.
승용차의 계기판넬 또는 콘솔박스(Console box)(도시하지 않음)에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트롤 박스(52)가 장착되며, 상기 콘트롤박스(52)에는 모터(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능선택 스위치(53),(54)가 각각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는,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차체(10)에 커버(50)를 덮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 박스(52)의 기능선택 스위치(53)를 업(up)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회로적으로 연결된 홀더(32)가 작동된다. 상기 홀더(32)의 작동에 의해 내측 스톱퍼(33a)가 가이드 바(34)의 구멍(35)에 끼워진다.
계속해서 메인밧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서 모터(21)가 구동된다. 상기 모터(21)가 구동됨에 따라 나사축(17)이 암나사(16)와의 작용으로 회전되면서 1차 상승동작이 수행된다. 이로 인하여 모터(21) 및 스톱퍼(15)에 의해 가이드 바(34)와 결합된 상태의 슬라이더(30)가 캐비넷(11)의 윗쪽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0)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30a)가 가이드 포스트(13)의 가이드 홈(13a)에 끼워져 안내되므로 직선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의 윗쪽면이 가이드 포스트(13)의 스톱퍼(15)에 접촉하게 되면, 제 4 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상승 동작은 완료된다.
다음에 콘트롤 박스(52)의 기능선택스위치(54)를 다운(Down)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홀더(32)의 내측 스톱퍼(33a)는 가이드 바(34)의 구멍(35)으로부터 해제되며, 외측 스톱퍼(33b)는 캐비넷(11)의 구멍(12)에 끼워진다. 따라서, 슬라이더(30)는 캐비넷(11)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모터(21)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서 1차 하강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슬라이더(30)와 받침판(20)에 각각 핀(42a), (42b)으로 결합된 상태의 너클 바(40)는 힌지(41) 및 핀(43)의 작용에 의하여 펼쳐진다.
즉, 상기 슬라이더(30)가 캐비넷(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판(20)이 하강되면서 너클 바(40)를 일정하게 누름에 따라 상기 너클 바(40)가 접혀진 상태에서 팔방으로 펼쳐지며, 이로 인하여 커버(50)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0)에 용이하게 덮어지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는 커버(50)에 부착된 파스너(51)를 열고 승용차의 바깥으로 나올 수 있다.
운전자가 커버(50)를 걷고자 할 경우에는 승용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시동을 건 다음에, 기능선택스위치(54)를 업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모터(21)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17)이 회전되면서 2차 상승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커버(40)는 너클 바(40)가 접히면서 걷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기능선택스위치(54)를 다운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홀더(32)의 외측 스톱퍼(33b)가 캐비넷(11)의 구멍(12)으로부터 해제되고, 내측 스톱퍼(33a)는 가이드 바(34)의 구멍(35)에 끼워진다.
또한 모터(21)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서 2차 하강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모터(21) 및 슬라이더(30)가 캐비넷(11)으 안쪽으로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되며, 탑커버(23)에 의해 캐비넷(11)의 안쪽으로 빗물, 눈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된다.
한편, 운전자가 승용차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50)를 차체(10)에 덮거나 걷을 경우에는, 원격조정기의 기능선택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탑커버(24)에 신호가 감지되며, 상기 감지부(24)의 작동에 의해 서브 밧데리(22)로부터 전원이 모터(21)에 공급되며, 상기 모터(21)의 구동에 따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50)를 용이하게 덮거나 걷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커버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너클 바가 다수의 방향으로 작동되어 차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덮혀지거나 걷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구동수단(21)과 ; 이 구동수단(21)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수단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구동력 전달수단과 ; 차체(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캐비넷(11)과 ; 이 캐비넷(10)에 고정적으로 내장되는 공중의 가이드 포스트(13)와 ; 이 가이드 포스트(13)와 결합되어 가이드 포스트(13)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는 이동수단과 ; 이동수단에 일단이 고정되며 이동수단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차체에 커버를 덮거나 걷을 수 있도록 신축동작을 수행하는 다관절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21)에 고정된 나사축(17)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13)의 상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나사축(17)과 나사맞춤되는 암나사(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수단은 복수개의 홀더(32)가 내장되고 복수의 안내구멍(31)에 형성된 슬라이더(30)와 일단은 상기 구동수단(21)이 설치된 받침판(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구멍(31)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바(34)로 이루어진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2)의 각각은 양측에 내측 스톱퍼(33a)와 외측 스톱퍼(33b)가 장착되며 내측 스톱퍼(33a)는 가이드 바(34)의 구멍(35)에 끼워넣어지고 외측 스톱퍼(33b)는 캐비넷(11)의 구멍(12)에 끼워넣어지는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수단은 핀(41)의 결합에 의하여 다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너클 바(40)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너클 바는 핀(43)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 교차되어 있는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KR1019930008397A 1993-05-17 1993-05-17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KR95001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397A KR950013632B1 (ko) 1993-05-17 1993-05-17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PCT/KR1994/000047 WO1994026546A1 (en) 1993-05-17 1994-05-17 Apparatus for covering ca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397A KR950013632B1 (ko) 1993-05-17 1993-05-17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32B1 true KR950013632B1 (ko) 1995-11-13

Family

ID=1935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397A KR950013632B1 (ko) 1993-05-17 1993-05-17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50013632B1 (ko)
WO (1) WO1994026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5012A (en) * 1996-05-20 1998-08-18 Liou; Nick Collapsible car shield structure
GB2337737B (en) * 1999-08-28 2000-05-17 Malcolm Frank Hunt Electrically deployed and retractable complete car-cover
PL338839A1 (en) * 2000-03-07 2001-06-04 Stanislaw Stanaszek Partitioning screen for use in cars
US6568737B1 (en) * 2002-07-15 2003-05-27 Yu Jin Li Foldable vehicle window shading device
WO2008062284A2 (en) * 2006-11-21 2008-05-29 Manuel Correia Pita Vehicle cov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4820A (en) * 1965-10-11 1968-03-26 Stockli Johann Means for facilitating the viewing of open-air spectacles from a motorcar
US4216989A (en) * 1978-10-10 1980-08-12 Tackett Melvin G Pop-up cover for motor vehicle
US4805654A (en) * 1988-05-18 1989-02-21 Wang Kuo Hsin Sun shield for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26546A1 (en) 199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545A (en) Convenient awning assembly for parked cars
US8162376B1 (en) Automated sun visor for vehicles
US6276742B1 (en) Roof and body mounted apparatus for covering automobile windshields
KR950013632B1 (ko) 승용차용 차체 커버장치
US4758038A (en) Upper body structure of vehicle
US7806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inted windows
US5751488A (en) Motorized sunscreen for motor vehicles
WO2019083131A1 (ko) 차량용 빗물받이 센서판넬 장치
US6168225B1 (en) Apparatus for covering automobile windshields
CN210554112U (zh) 一种无人驾驶观光车用遮阳装置
US4848383A (en) Multi car garage adapted vehicle washing apparatus
KR20080097704A (ko) 보조 신호 표시부를 구비하는 교통 신호 지시기
KR19980060573U (ko) 자동차 선바이저 장치
KR100329554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KR0159333B1 (ko) 백미러용 빗물 차단기
KR0139708Y1 (ko) 자동차의 유리보호용 덮개
KR20230111876A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KR200233213Y1 (ko) 자동차용 서리방지 및 차광장치
KR860002331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343151Y1 (ko) 자동차용 천막장치
KR19990023172U (ko) 자동차 루프에 장착시킨 레인 바이저구조
JP2000016093A (ja) フロントデフレクタ
JPS62155124A (ja) スライド式サンル−フの制御装置
KR20000018958U (ko) 버스용 레인 비져
JPH06197859A (ja) 出入口マット自動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