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085B1 -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085B1
KR100201085B1 KR1019960058984A KR19960058984A KR100201085B1 KR 100201085 B1 KR100201085 B1 KR 100201085B1 KR 1019960058984 A KR1019960058984 A KR 1019960058984A KR 19960058984 A KR19960058984 A KR 19960058984A KR 100201085 B1 KR100201085 B1 KR 10020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detection unit
window
door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866A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0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어 구동모터(70)에 의해 개폐되는 롤러식 바이저(Visor)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날씨상태를 검출하는 날씨검출부(10)와, 차량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윈도우개폐 검출부(20,30)와, 상기 날씨검출부(10)에서 검출된 외부의 날씨와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70)의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을 연산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40,50)와,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40,50)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므로, 우천시 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루프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식 바이저(Visor)를 자동으로 설치하여 줌에 따라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승하차하는 승객이 우산을 접거나 펴는 동안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준다.

Description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바이저(Visor)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가 오거나 눈이오면 윈도우와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루프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식 바이저를 자동적으로 걔폐하여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차량에 승하차는 경우에 사람들은 실내로 유입된 눈이나 빗물로 인해 시트를 적신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승하차시 우산을 펴고 접는 동안에 비를 그대로 맞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차량에는 윈도우용 선바이저가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눈 이나 비를 피하기 보다는 주행중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해 윈도우를 개방하는 경우 실내로 유입되는 눈이나 빗물을 막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우천시 승객이 승하차하는 경우에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승하차하는 승객이 우산을 펴고 접는 동안 눈이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에 내장되어 있는 롤러식 바이저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의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롤러식 바이저(Visor)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날씨상태를 검출하는 날씨검출부와, 차량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윈도우개폐 검출부와, 상기 날씨검출부에서 검출된 외부의 날씨와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을 연산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 자동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의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롤러식 바이저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날씨검출부 20 : 도어개폐 검출부
30 : 윈도우개폐 검출부 40 : 제1 연산부
50 : 제2 연산부 60 : 제어부
70 : 구동모터 80 : 수납통
81 : 스틸와이어 82 : 방수천
SS1 : 습도센서 SS2 : 도어센서
SS3 : 윈도우센서 COMP1∼COMP3 : 비교기
AND1∼AND7 : 앤드게이트 OR1∼OR3 : 오아게이트
NOT1∼NOT4 : 인버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롤러식 바이저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식 바이저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데, 눈 또는 비를 막을 수 있는 방수천(82)과, 이 방수천(82)의 측면에 고정되어 방수천(82)이 평형을 이루도록 지탱해주는 탄성을 갖는 스틸와이어(81)와, 모터(70)의 구동에 따라 방수천(82)과 스틸와이어(81)를 수납하는 수납통(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러식 바이저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눈이나 비가 오는지 외부의 날씨상태를 검출하는 날씨검출부(10)와,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출부(20) 및 윈도우개폐 검출부(30)와, 상기 날씨검출부(10)에서 검출된 외부의 날씨와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70)의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을 연산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40,50)와,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40,50)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날씨검출부(10)는 외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SS1)와, 상기 습도센서(SS1)의 출력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눈 또는 비가 오는지 판단하는 비교기(COMP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개폐 검출부(20) 및 윈도우개폐 검출부(30)도 도어·윈도우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윈도우센서(SS2,SS3)와, 이 센서(SS2,SS3)의 출력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및 제3 비교기(COMP2,COMP3)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연산부(40)는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와 도어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앤드게이트(AND1)와,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와 윈도우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앤드게이트(AND2)와, 상기 앤드게이트들(AND1,AND2)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는 제1 오아게이트(OR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산부(50)는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와 도어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를 각각 논리곱하는 제3 및 제4 앤드게이트(AND3,AND4)와,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와 윈도우개폐 검출부(3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를 각각 논리곱하는 제5 및 제6 앤드게이트(AND5,AND6)와, 상기 제3 및 제4 앤드게이트(AND3,AND4)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5 및 제6 앤드게이트(AND5,AND6)의 출력신호를 각각 논리합하는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와, 상기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7 앤드게이트(AND7)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이저(Visor) 자동걔폐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부의 날씨가 맑으면 날씨검출부(10)가 제1 비교기(COMP1)의 출력단을 통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제1 연산부(40)의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AND1,AND2)도 출력단을 통해 각각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오아게이트(OR1)도 출력단을 통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제어부(60)는 모터(70)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나 눈이 내리면 날씨검출부(10)는 제1 비교기(COMP1)의 출력단을 통해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개폐 검출부(20)도 제2 비교기(COMP2)의 출력단을 통해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앤드게이트(AND1)의 양입력단에 하이레밸의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1 앤드게이트(AND1)도 출력단을 통해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앤드게이트(AND1)가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면 이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오아게이트(OR1)도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60)에 모터(70)를 구동시킬 것을 명령한다.
한편, 제2 연산부(50)의 제3 내지 제6 앤드게이트(AND3∼AND6)에도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 도어개폐 검출부(20)와 윈도우개폐 검출부(3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이에따라, 제5 앤드게이트(AND5)만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고 나머지 앤드게이트는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5 앤드게이트(AND5)만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면 제2 오아게이트(OR2)는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3 오아게이트(OR3)는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7 앤드게이트(AND7)는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60)에게 모터를 정회전시킬 것을 명령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연산부(40)가 모터(70)를 구동시킬 것을 제어부(60)에 명령하고 제2 연산부(50)가 모터를 정회전시킬 것을 명령하면 제어부(60)는 명령에 따라 모터(70)를 구동하여 바이저(Visor)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바이저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객이 승하차하고 도어를 닫으면 도어개폐 검출부(20)는 제2 비교기(COMP2)의 출력단을 통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연산부(50)의 제3 및 제5 앤드게이트(AND3,AND5)는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4 및 제6 앤드게이트(AND4,AND6)는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3 및 제5 앤드게이트(AND3,AND5)가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입력받는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도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7 앤드게이트(AND7)는 양입력단을 통해 하이레밸의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제어부(60)로 하이레밸의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킬 것을 명령한다.
한편, 도어개폐 검출부(20)가 제2 비교기(COMP2)의 출력단을 통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연산부(40)의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AND1,AND2)도 출력단을 통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AND1,AND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오아게이트(OR1)도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60)로 인가하지만 제어부(60)는 바이저가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로우레밸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 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입력받는다.
따라서, 제1 연산부(40)가 모터(70)를 구동시킬 것을 제어부(60)에 명령하고 제2 연산부(50)가 모터를 역회전시킬 것을 명령함에 따라 제어부(60)는 명령에 따라 모터(70)를 구동하여 바이저(Visor)를 수납통(80)에 수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우천시 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루프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식 바이저(Visor)를 자동으로 설치하여 줌에 따라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승하차하는 승객이 우산을 접거나 펴는 동안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둥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어 구동모터(70)에 의해 개폐되는 롤러식 바이저(Visor)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날씨상태를 검출하는 날씨검출부(10)와, 차량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윈도우개폐 검출부(20,30)와, 상기 날씨검출부(10)에서 검출된 외부의 날씨와 도어 또는 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70)의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을 연산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40,50)와,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40,50)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검출부(10)는 외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SS1)와, 상기 습도센서(SS1)의 출력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눈 또는 비가 오는지 판단하는 비교기(COMP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부(40)는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와 도어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앤드게이트(AND1)와,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와 윈도우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앤드게이트(AND2)와, 상기 앤드게이트들(AND1,AND2)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는 제1 오아게이트(OR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50)는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와 도어개폐 검출부(2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를 각각 논리곱하는 제3 및 제4 앤드게이트(AND3,AND4)와, 상기 날씨검출부(1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와 윈도우개폐 검출부(30)의 출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를 각각 논리곱하는 제5 및 제6 앤드게이트(AND5,AND6)와, 상기 제3 및 제4 앤드게이트(AND3,AND4)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5 및 제6 앤드게이트(AND5,AND6)의 출력신호를 각각 논리합하는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와, 상기 제2 및 제3 오아게이트(OR2,OR3)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제7 앤드게이트(AND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일단 바이저가 설치되면 제1 연산부(40)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KR1019960058984A 1996-11-28 1996-11-28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KR10020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84A KR100201085B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84A KR100201085B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66A KR19980039866A (ko) 1998-08-17
KR100201085B1 true KR100201085B1 (ko) 1999-06-15

Family

ID=1948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84A KR100201085B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02B1 (ko) * 2002-07-16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우산 보관장치
KR100710868B1 (ko) * 2005-11-21 2007-04-25 주식회사 오토전자 차량용 윈도우 포깅검출장치
KR102114671B1 (ko) * 2019-12-12 2020-05-26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66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124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안전장치
US8346467B2 (en) Device for detecting an event in a vehicle or in the surrounds of a vehicle
KR100201085B1 (ko)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KR100500821B1 (ko) 자동차의 창 및 선루프 자동 개폐방법
KR100536389B1 (ko)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KR200143866Y1 (ko) 자동차의 선루프 자동개폐장치
KR0166540B1 (ko) 차량의 빗물차단 장치
KR200433217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제어장치
KR19980013361U (ko) 차량용 선 루프의 구동장치
KR19990019130A (ko) 자동차의 선루프
KR20050023740A (ko) 기상예측에 의한 선루프 및 컨버터블 탑 닫힘장치
JPH022730B2 (ko)
KR0120508Y1 (ko) 버스의 환기도어 개폐장치
KR19980036999U (ko) 윈도우 글라스 자동 개폐장치
KR19980040481A (ko) 차량의 와이퍼 작동 자동 제어장치
KR0145661B1 (ko) 주차시 자동차 창문의 자동 닫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71242U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の制御回路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KR200140931Y1 (ko) 윈드실드에 설치한 선바이저의 작동장치
KR20220152064A (ko) 차량의 실내 환경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6982Y1 (ko) 자동차 뒷유리의 자동 블라인드 장치
JPH04306389A (ja) パワーウィンドウの制御装置
KR20020003577A (ko) 차양장치 및 그 작동제어방법
KR19990020985U (ko) 자동차의 선루프 자동 폐쇄장치
KR970034909A (ko) 자동차의 빗물받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