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71B1 -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71B1
KR102114671B1 KR1020190165287A KR20190165287A KR102114671B1 KR 102114671 B1 KR102114671 B1 KR 102114671B1 KR 1020190165287 A KR1020190165287 A KR 1020190165287A KR 20190165287 A KR20190165287 A KR 20190165287A KR 102114671 B1 KR102114671 B1 KR 10211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harging
electric vehicle
outl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은
손영욱
이재석
박소영
이용희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박소영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32Auto pilot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02T90/1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가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접지시키고, 다른 하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센트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치;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와 제어신호의 연결을 변경시키는 크로스 릴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자동차(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수 전기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고,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상기 전기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모빌리티(mobility)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모빌리티 장치는 이동수단 또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기 모빌리티 장치는 전기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전기자동차, 전동 킥보드, 및 전기자전거와 같은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최근 이러한 전기 모빌리티 장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여러 휴대 단말기(예 : 노트북, 스마트폰 등)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의 사용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쉽고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심지에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으며, 따라서 효율성 측면에서 한 가지 전기 장치(예 : 전기자동차)만 충전할 수 있는 전용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여러 전기 장치(예 : 전기 모빌리티, 일반 전기장치 등)를 공용(또는 겸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9529호(2016.09.21.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 충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플러그가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접지시키고, 다른 하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센트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치;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와 제어신호의 연결을 변경시키는 크로스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J1772 규격에 따른 CP(Control Pilot)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와 제어신호의 연결을 변경하여, 다른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 모두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접지단자가 구비된 일반 전기장치용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푸쉬 스위치를 포함하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바닥면에 눌려 들어가고, 상기 플러그가 탈거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나오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가 눌리는 정도를 검출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가 눌려 들어가는 정도에 따라 플러그가 일부 삽입되었는지 아니면 완전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부에 완전 삽입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포함하는 도로 시설물, 건물의 외벽, 및 건물의 기둥 중 적어도 하나에 방수용 수밀구조로 장착되며, 콘센트부의 입구에 부착되는 밀폐용 커버; 및 무선통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결제 및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및 인증부는, 전원 공급 상태 및 결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커버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정된 날씨인 경우, 및 콘센트부에 습기나 물이 검출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버 구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막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클로즈 시키거나 오픈시키며, 모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상기 콘센트부에 습기나 물이 있는지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제와 인증을 위해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커버 구동부의 제어에 이용하며, 상기 센서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주변의 날씨가 지정된 날씨인 경우, 상기 커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커버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폐용 커버가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막을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불가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부가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플러그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콘센트부의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크로스 릴레이부를 구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의 연결을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 또는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형성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통해 플러그 삽입을 감지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푸쉬 스위치를 포함하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바닥면에 눌려 들어가고, 상기 플러그가 탈거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나오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 및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서도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날씨 및 콘센트부 주변의 습기나 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 지정된 날씨이거나 상기 콘센트부 주변에 습기나 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 구동부를 폐쇄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커버에 의해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 지정된 날씨가 아니고 상기 콘센트부 주변에 습기나 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 구동부를 오픈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커버를 오픈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전원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지정된 앱을 통해 충전장치에 대한 전원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를 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장착 위치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전원 공급부(50), 콘센트부(10), 전압감지부(20), 릴레이 스위치(30), 제어부(40) 및 구동전압 변환부(60)를 비롯하여 충전케이블(8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50)는 이동식으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거나 자가 발전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콘센트부(10)는 220VAC 상용 콘센트의 구조를 갖되,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로 전원을 공급하고,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단자(11, 12) 중 제1 접지단자(11)는 접지시키고, 제2 접지단자(12)로 제어신호(예 : 전기자동차 충전을 통한 통신용 C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220VAC 상용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접지단자(11, 12)는 공통으로 연결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11, 12)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제1 접지단자(11)는 접지시키고, 제2 접지단자(12)는 제어신호(예 : 전기자동차 충전을 통한 통신용 C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된다.
상기 충전케이블(80)은 일단이 전기자동차용 충전건(90)과 연결되고 타단이 충전장치의 콘센트부(10)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70)와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와 충전장치 간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전기자동차를 220VAC 상용 콘센트를 통해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부(70)는 한 쌍의 접지단자(71, 72) 중 제3 접지단자(71)는 접지시키고, 제4 접지단자(72)는 충전건(90)의 제어단자와 연결되며, 한 쌍의 플러그핀(73)이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부(10)의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압감지부(20)는 상기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J1772 규격에 따른 CP(Control Pilot) 제어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은 CP 제어신호의 구형파 상위전압을 의미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상기 콘센트부(1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는 NC(Normal Close) 타입으로 구성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제어 시 온오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감지부(20)로부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작동시켜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콘센트부(10)를 통해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부(1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 중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에 상기 콘센트부(10)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 감지수단(도 3의 120 참조)을 더 포함해야 한다.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수단(도 3의 120 참조)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가 J1772 규격에 따라 12V 전압을 갖는 1KHz의 PWM신호인 CP 제어신호를 제2 접지단자로 출력한 후 상기 전압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입력받아 확인하면, 상기 콘센트부(10)에 상기 충전케이블(80)의 플러그부(7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12V인 제1 전압이 감지된다.
한편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에는 한 쌍의 접지단자가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접지단자(12)에서도 접지전압이 감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압감지부(20)로부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전압레벨이 제1 전압이거나 접지전압이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충전케이블(80)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지 않았거나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상기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을 바꿔 삽입할 경우, 상기 플러그부(70)의 접지단자(71, 72)가 접속되는 상기 콘센트부(10)의 접지단자(11, 12)가 바뀌게 되어 상기 전압감지부(20)가 제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삽입될 경우에도 상기 전압감지부(20)가 제어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충전장치(도 2 참조)가 필요한 상황이며, 상기 개선된 충전장치(도 2 참조)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 중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에 상기 콘센트부(10)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 감지수단(도 3의 120 참조)을 더 포함해야 한다.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수단(도 3의 120 참조)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충전케이블(80)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상기 콘센트부(10)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전달되면, 전기자동차에서 충전준비를 위해 내부저항을 변경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제2 전압인 9V로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전압레벨이 9V인 제2 전압으로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30)를 오프 시켜 충전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전기자동차에서 충전준비가 완료된 경우 내부저항을 추가로 변경하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6V인 제3 전압으로 낮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40)에서는 전기자동차가 충전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상기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상기 콘센트부(10)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어 전기자동차에서 내부저항을 변경하여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9V인 제2 전압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제어부(40)에서는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제2 전압으로 올라가게 됨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오프 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콘센트부(10)에서 충전케이블(80)의 상기 플러그부(70)가 탈거되어 전압레벨이 제1 전압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초기화한다.
상기 구동전압 변환부(60)는 상기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상기 제어부(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따르면, 충전장치에 구비된 220VAC 상용 콘센트를 통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거나, 플러그에 접지단자가 구비된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플러그에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전기장치가 콘센트에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충전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에 있어서, 크로스 릴레이부(11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 도 2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수단과 중복되는 구성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는 한 쌍의 입력 측에 콘센트부(10)의 제1 접지단자(11)와 제2 접지단자(12)가 각기 접속되고,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의 한 쌍의 출력 측에 접지와 제어부(40)가 각기 접속된다.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제1 접지단자(11)를 접지시키거나 제어부(40)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접지단자(12)를 접지시키거나 제어부(4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콘센트부(10)에 삽입될 경우, 즉,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함으로써, 제1 접지단자(11)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삽입될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를 제어하여 이를(즉, 플러그부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삽입된 것을) 감지한 후,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함으로써, 제1 접지단자(11)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상기 콘센트부(10)에 삽입된 플러그가 전기자동차용 플러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하더라도, 상기 제어부(40)는 제어신호(예 : CP 신호)를 감지할 수 없다.
다만 상기 삽입된 플러그가 접지단자가 있는 플러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할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접지만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즉, 접지단자가 있는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220VAC 전원을 출력한다.
만약 상기 두 가지 경우(예 : 전기자동차용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 일반 전기장치의 접지단자가 있는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릴레이 스위치(30)를 오프시켜 상기 콘센트부(1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플러그를 사용하는 일반 전기장치가 다수 있으며, 이러한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부(10)에 삽입될 경우 종래에는 전원을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즉,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플러그가 콘센트부에 삽입될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220VAC 전원을 출력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부(10)에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를 더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 도 3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수단과 중복되는 구성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콘센트부(10)의 바닥면에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는 푸쉬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러그부(70)가 콘센트부(1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70)의 바닥면에 눌려 들어가게 된다. 물론 상기 플러그부(70)가 탈거되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는 스프링 수단(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나오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가 눌리는 정도를 검출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가 눌리는 정도에 따라 플러그부(70)가 일부 삽입되었는지 아니면 완전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러그부(70)가 상기 콘센트부(10)에 완전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도 5의 결제 및 인증부 참조)을 통해 안내 메시지(예 :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해주세요)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120)를 통해 플러그 삽입이 감지될 경우(S101의 예),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는지 체크한다(S102).
만약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40)는 안내 메시지(예 :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해주세요)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될 경우(S102의 예), 상기 제어부(40)는 콘센트부(10)의 한 쌍의 접지단자(11, 12)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예 : 제2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한다(S104).
상기 체크(S104) 결과,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예 : 제2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될 경우(S104의 예), 상기 제어부(40)는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S107).
그러나 상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예 : 제2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40)는 크로스 릴레이부(110)를 구동하여(S105)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하고, 지정된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예 : 제1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한다(S106).
상기 체크(S106) 결과, 지정된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예 : 제1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될 경우(S106의 예), 상기 제어부(40)는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S107).
그러나 상기 콘센트부(10)의 제1, 및 제2 접지단자(11, 12)의 연결을 변경한 후에도 제어신호(예 : CP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S106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40)는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즉, 접지단자가 있는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220VAC 상용 전원을 출력한다(S1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기자동차용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접지단자가 있는 일반 전기장치용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또한 접지단자가 없는 일반 전기장치용 플러그가 삽입되는지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각 상황에 따라 해당하는 전원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장착 위치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가로등(또는 신호등)의 기둥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가로등(또는 신호등)에는 220VAC 전원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장착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물의 외벽이나 기둥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시설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로등(또는 신호등)의 기둥 부분에 복수로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심지에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은 실외에 설치된 시설이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누전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이러한 누전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센트부(10)에는 밀폐용 커버(Cover)가 부착되며, 본체는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에 수밀구조로 장착되며, 결제 및 인증부는 무선통신(예 : 블루투스, NFC, WiFi 등)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결제 및 인증부는 전원 공급 상태 및 결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 : LED, LCD 등)이 더 부가된다.
한편 상기 밀폐용 커버(Cover)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정된 날씨(예 : 비, 눈)인 경우, 및 상기 콘센트부(10)에 습기(또는 물)가 검출될 경우,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를 막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킨다(도 6 및 도 7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3에 있어서, 커버 구동부(130)와 센서부(14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 도 6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수단과 중복되는 구성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커버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를 클로즈(Close) 시키거나 오픈(Open)시킨다.
상기 커버 구동부(130)는 모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콘센트부(10)에 습기(또는 물)가 있는지 검출한다.
상기 습기(또는 물)은 날씨(예 : 비, 눈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맑은 날씨라고 하더라도 주변에서 물이 뿌려져 발생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결제와 인증을 위한 통신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구동부(130)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14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주변의 날씨가 지정된 날씨(예 : 비, 눈 등)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커버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를 커버로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날씨(예 : 비, 눈 등) 및 콘센트부(10) 주변의 습기(또는 물)를 감지한다(S201).
상기 감지(S201) 결과, 지정된 날씨(예 : 비, 눈 등)이거나 상기 콘센트부(10) 주변에 습기(또는 물)가 감지될 경우(S202의 예), 상기 제어부(40)는 커버 구동부(130)를 폐쇄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에 밀폐되어 있는 커버의 오픈이 불가하게 한다(S203).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 수단(예 : LED, LCD 등)(도 5의 결제 및 인증부 참조)에 안내 메시지(예 : 안전을 위해서 전원 사용 불가)를 출력한다(S204).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어부(4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전원 사용 불가 상태 정보를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미도시)는 지정된 앱(예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충전장치에 대한 전원 사용 불가 상태를 공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사용 불가 상태에 있는 충전장치는 앱의 지도 정보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감지(S201) 결과, 지정된 날씨(예 : 비, 눈 등)가 아니고 상기 콘센트부(10) 주변에 습기(또는 물)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S2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40)는 커버 구동부(130)를 오픈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에 밀폐되어 있던 커버의 오픈이 가능하게 한다(S205).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 수단(예 : LED, LCD 등)(도 5의 결제 및 인증부 참조)에 안내 메시지(예 : 전원 사용 가능)를 출력하면서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게 한다(S206).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어부(4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전원 사용 가능 상태 정보를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미도시)는 지정된 앱(예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충전장치에 대한 전원 사용 가능 상태를 공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사용 가능 상태에 있는 충전장치는 앱의 지도 정보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시에 설치된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 : 콘센트부 20 : 전압감지부
30 : 릴레이 스위치 40 : 제어부
50 : 전원 공급부 60 : 구동전압 변환부
70 : 플러그부 110 : 크로스 릴레이부
120 : 플러그 삽입 감지부 130 : 커버 구동부
140 : 센서부

Claims (19)

  1. 플러그가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접지시키고, 다른 하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센트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치;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와 제어신호의 연결을 변경시키는 크로스 릴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부는,
    교류(AC)용 상용 콘센트로서,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제1 접지단자는 접지되고, 제2 접지단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통신용 CP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교류(AC)용 상용 콘센트에 삽입 가능하게 대응되는 형태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J1772 규격에 따른 CP(Control Pilot)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크로스 릴레이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와 제어신호의 연결을 변경하여, 다른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 모두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접지단자가 구비된 일반 전기장치용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접지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푸쉬 스위치를 포함하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바닥면에 눌려 들어가고, 상기 플러그가 탈거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나오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가 눌리는 정도를 검출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가 눌려 들어가는 정도에 따라 플러그가 일부 삽입되었는지 아니면 완전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부에 완전 삽입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포함하는 도로 시설물, 건물의 외벽, 및 건물의 기둥 중 적어도 하나에 방수용 수밀구조로 장착되며,
    콘센트부의 입구에 부착되는 밀폐용 커버; 및
    무선통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결제 및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및 인증부는, 전원 공급 상태 및 결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커버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정된 날씨인 경우, 및 콘센트부에 습기나 물이 검출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버 구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막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클로즈 시키거나 오픈시키며,
    모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상기 콘센트부에 습기나 물이 있는지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제와 인증을 위해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커버 구동부의 제어에 이용하며, 상기 센서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주변의 날씨가 지정된 날씨인 경우, 상기 커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커버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폐용 커버가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막을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불가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13.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부가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플러그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콘센트부의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크로스 릴레이부를 구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단자의 연결을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 또는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부는,
    교류(AC)용 상용 콘센트로서,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제1 접지단자는 접지되고, 제2 접지단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통신용 CP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교류(AC)용 상용 콘센트에 삽입 가능하게 대응되는 형태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지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형성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통해 플러그 삽입을 감지하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푸쉬 스위치를 포함하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바닥면에 눌려 들어가고, 상기 플러그가 탈거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나오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 및 다른 하나의 접지단자를 통해서도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부에 일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7.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날씨 및 콘센트부 주변의 습기나 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 지정된 날씨이거나 상기 콘센트부 주변에 습기나 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 구동부를 폐쇄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입구를 커버에 의해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부는,
    교류(AC)용 상용 콘센트로서,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단자 중 제1 접지단자는 접지되고, 제2 접지단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통신용 CP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 지정된 날씨가 아니고 상기 콘센트부 주변에 습기나 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 구동부를 오픈 제어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커버를 오픈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원 사용 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결제 및 인증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전원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지정된 앱을 통해 충전장치에 대한 전원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를 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65287A 2019-12-12 2019-12-12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87A KR102114671B1 (ko) 2019-12-12 2019-12-12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87A KR102114671B1 (ko) 2019-12-12 2019-12-12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71B1 true KR102114671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287A KR102114671B1 (ko) 2019-12-12 2019-12-12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1714A (zh) * 2020-12-17 2021-04-30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电流自动切换模式二智能充电方法
KR102304898B1 (ko) * 2021-03-30 2021-09-24 김상민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설치용 캐노피구조
KR2022007219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45286A (ko) * 2021-09-28 2023-04-04 김남식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
CN117719380A (zh) * 2024-02-08 2024-03-19 山东沃宸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地下车位的新能源汽车充电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66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JP3078430U (ja) * 2000-12-19 2001-07-10 省二 小松 プラグの接続異常警告付きコンセント
JP2010086823A (ja) * 2008-09-30 2010-04-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ンセント装置
KR20170085144A (ko) * 2012-11-19 2017-07-21 인텔 코포레이션 리셉터클 내 방향 지원 제공
KR20190038270A (ko) * 2017-09-29 2019-04-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듀얼 충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66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차량용 롤러식 바이저(Visor) 자동 개폐장치
JP3078430U (ja) * 2000-12-19 2001-07-10 省二 小松 プラグの接続異常警告付きコンセント
JP2010086823A (ja) * 2008-09-30 2010-04-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ンセント装置
KR20170085144A (ko) * 2012-11-19 2017-07-21 인텔 코포레이션 리셉터클 내 방향 지원 제공
KR20190038270A (ko) * 2017-09-29 2019-04-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듀얼 충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9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6130B1 (ko) * 2020-11-25 2022-12-09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721714A (zh) * 2020-12-17 2021-04-30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电流自动切换模式二智能充电方法
KR102304898B1 (ko) * 2021-03-30 2021-09-24 김상민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설치용 캐노피구조
KR20230045286A (ko) * 2021-09-28 2023-04-04 김남식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
KR102611472B1 (ko) 2021-09-28 2023-12-06 김남식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
CN117719380A (zh) * 2024-02-08 2024-03-19 山东沃宸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地下车位的新能源汽车充电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671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08825B2 (en) Electric vehicle docking connector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
CN104816642B (zh) 便携式电气化车辆能量传递装置和方法
US10173537B2 (en)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N103516034B (zh) 与内置电缆式充电控制装置附接的附加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40184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Voltage DC Charging of Battery-Electric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US20130134936A1 (en) Vehicle battery charger
KR20150105651A (ko) 차량
CN111071080B (zh) 车辆及充电系统
CN103227495A (zh) 电动车辆充电系统适配器
CN104104135A (zh) 充电设备、充电方法及装置
WO201318148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robustness features and universal port
KR102205584B1 (ko) 전기차 충전 인렛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562700B (zh) 包括机动车和连接机构的布置结构,机动车和连接机构
JP6865852B2 (ja) コンバータ分離型電気車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柱に設置された電気車充電装置
CN105764738A (zh) 充放电系统以及在其内使用的车辆
CN104078807A (zh) 一种带自动断电功能的数据线及其断电控制方法
CN104283255A (zh) 附接于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装置
KR10237804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
CN106911173B (zh) 一种智能低压辅助电源装置、方法和非车载充电机
CN107757394B (zh) 电池充电方法、装置及车辆
KR20190081224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665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740501A (zh) 用于电动车充电系统的充电装置
CN208820490U (zh) 一种电瓶车共享充电桩保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