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403B1 -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 Google Patents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403B1
KR102026403B1 KR1020190027340A KR20190027340A KR102026403B1 KR 102026403 B1 KR102026403 B1 KR 102026403B1 KR 1020190027340 A KR1020190027340 A KR 1020190027340A KR 20190027340 A KR20190027340 A KR 20190027340A KR 102026403 B1 KR102026403 B1 KR 10202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of
base
film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성
이강인
Original Assignee
이은성
이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성, 이강인 filed Critical 이은성
Priority to KR102019002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우천시 가림막을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가림막을 삽입 보관하도록 하여, 자동차 탑승자가 우천시 자동차에서 하차할 때 빗물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RAINWATER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우천시 가림막을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가림막을 삽입 보관하도록 하여, 자동차 탑승자가 우천시 자동차에서 하차할 때 빗물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는 쓰고 있던 우산을 접거나, 활짝펴고 승, 하차하는 순간 빗물에 온몸에 젖게 된다. 특히,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침투된 빗물로 인해 옷 또는 소지품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차량 내부로 들어온 빗물로 인해 위생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지붕에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막 내지 우산 등의 구성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01404호에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동차의 출입구의 상단부 지붕에 설치되며, 베어링부(3b)가 구비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베어링부(3b)에 장착되며, 외측원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에 수직힌지(9a)가 형성된 개폐넛트(9), 상기 개폐넛트(9)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정역모터(M), 상기 정역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넛트(9)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권취축(8)에 감겨있는 비가림막(30)이 풀려나감에 따라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에 장착된 비가림막(30)이 펼처지므로 승,하차시 비맞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881호에는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탑승자에게 걸리지 않게 승강되는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가림막의 일단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여 탑승자가 승하차 할 때에는 단부가 들려 탑승자의 머리나 신체에 부딪히지 않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지붕에 비가림막을 힌지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비가림막의 상부에 고인 물이 차량의 후방으로 배출되게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한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가림막과 구성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882호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단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등륵특허공보 제10-1125841호에는 자동차의 빗물가리개가 기재되어 있다.
상술된 기술들은, 자동차의 지붕과 도어 일측을 연결하여 도어 개방시 가림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기술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우천시 빗물의 세기가 셀수록 빗물의 차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1404호(2015.03.12.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881호(2015.12.01.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882호(2015.01.13. 공고) 등륵특허공보 제10-1125841호(2012.03.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우천시 가림막을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가림막을 삽입 보관하도록 하여, 자동차 탑승자가 우천시 자동차에서 하차할 때 빗물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인출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제1 막(20)을 포함하는 빗물 가림막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측벽에 측홈(10a)이 형성되고,
설치부재(11)가 상기 측홈(10a)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측홈(10a)은,
일측이 다층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일측과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설치부재(1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며, 수평면이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고, 수직면 상측에는 측홈(10a)에 결합되되 그 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2단의 형태를 갖는 측홈 결합돌기(11a)가 형성되며,
상기 측홈(10a)의 다층으로 구성된 일측의 직경은, 상기 측홈 결합돌기(11a)의 직경이 작은 영역의 직경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10)의 내부 측면에 홈부(12)가 구성되되, 상기 홈부(12)에는 가이드기어(13)가 모터와 함께 구성되고,
상기 제1 막(20)의 일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21)가 상기 가이드기어(13)와 맞물려 상기 제1 막(20)이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노출 또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1)의 수평면과 자동차의 지붕 사이에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1)의 측홈 결합돌기(11a)가 위치된 측홈(10a)의 다층 위치에 따라, 베이스(10)와 자동차 지붕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 또는 자동차 중 어느 하나에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자동차 내부 일측에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수신부를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주행 후 주행정지를 인식하는 주행정지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센서값수신부를 통해 우천을 인식하고, 상기 주행정지감지부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정지가 감지되면,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해제를 인식하는 도어잠금해제인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우천이 인식되고, 도어의 잠금해제가 인식되면 모터제어부를 제어하여 제1 막(20)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막(20)의 노출과 삽입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막(20)의 하측에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막(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막(30)은 일측에 메쉬망(3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와 일진선 상에 위치되도록 수평을 유지하거나, 상기 베이스(10)의 단부에서 회전되어 자동차의 도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의하면,
첫째, 자동차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탑승 또는 하차시 빗물에 옷이나 신체가 젖지 않도록 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어도 가림막 베이스와 지붕 간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지붕 윗면을 세척할 수 있어서 차량의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설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이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제2 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우천시 가림막을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가림막을 삽입 보관하도록 하여, 자동차 탑승자가 우천시 자동차에서 하차할 때 빗물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설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은 자동차(1)의 지붕 외측으로 베이스(10)가 설치되도록 하고, 도 1의 (나)에서 볼 수 있듯이, 가림막 기능을 하는 제1 막(20)이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천시 제1 막(20)이 도 1의 (나)와 같이 베이스(10)로부터 노출되어 탑승자가 자동차(1)를 하차할 때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이하, '빗물 가림막'으로 지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이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가림막의 베이스(10)가 자동차(1)의 지붕에 설치되기 위하여 베이스(10)에는 측홈(10a)이 구성되고, 측홈(10a)은 설치부재(11)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치부재(11)가 자동차(1)의 지붕에 설치되어, 베이스(10)가 자동차(1)의 지붕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며, 수직면 상측에는 측홈(10a)에 결합되는 측홈 결합돌기(11a)가 형성된다.
또한, 설치부재(11)의 수평면은 볼트 또는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자동차(1)의 지붕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1)의 지붕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자동차(1) 지붕 위에 종래 자전거, 트렁크박스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래의 지지대, 혹은 택시와 같이 상부등을 지붕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지지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1)를 훼손하지 않고 설치부재(11)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설치부재(11)에 형성된 측홈 결합돌기(11a)는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설치부재(11)의 수직면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되, 그 단부는 직경이 커지도록 2단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측홈(10a)은,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일측이 다층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측이 연통된 구성을 갖음으로써, 각 층마다 측홈 결합돌기(11a)를 삽입하여 고정하되, 다른 일측의 연통된 영역을 통해 측홈 결합돌기(11a)가 각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측홈(10a)의 다층으로 구성된 영역은 상기 측홈 결합돌기(11a)의 직경이 작은 영역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된 측홈 결합돌기(11a)가 측홈(10a)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측홈 결합돌기(11a)가 측홈(10a)의 다수 층을 이동하여 고정됨에 따라, 베이스(10)가 자동차(1)의 지붕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 즉 베이스(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가림막을 자동차(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자동차(1)의 지붕을 세척할 수 있게 되고, 탑승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한 높이 조절 사용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설치부재(11)의 수평면과 자동차(1)의 지붕 사이에 실린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는 후술되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으로 높이 조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제어부를 설명하면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내부 측면에 홈부(12)를 구성하되, 상기 홈부(12)에는 가이드기어(13)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기어(13)는 제1 막(20)의 외측면에 나사산을 포함하여 형성된 가이드부재(21)의 나사산에 맞물려 상기 제1 막(20)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홈부(12)를 도면에 비해 확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기어(13)를 제어하는 모터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됨으로써 상기 제1 막(20)의 인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10) 또는 자동차(1) 내부 일측에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값수신부 및 주행정지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값수신부는, 베이스(10) 또는 자동차(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레인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여 우천을 인식하는 기능을 하고, 주행정지감지부는 자동차(1)의 주행이 정지하여 0km/h 상태인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센서갑수신부에 의해 우천이 인식되고, 상기 주행정지감지부를 통해 자동차(1)가 주행하였다가 주행이 정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신호를 모터로 전송하여 제1 막(20)이 베이스(10)로부터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수동버튼을 더 포함함으로써, 노출된 제1 막(20)이 베이스(10)로 다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온/오프 조작을 통해 제1 막(20)이 수동으로 베이스(10)로부터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해제를 인식하는 도어잠금해제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해제인식부는 종래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를 파지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혹은 도어의 잠금해제 버튼을 스마트키에서 조작하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의 모터제어부는, 우천이 인식되고, 도어의 잠금해제가 인식되면, 제1 막(20)이 베이스(20)로부터 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처음 자동차(1)에 탑승할 때 우천시 빗물에 젖지 않고도 탑승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자동차(1)가 건물 내부 주차장 등에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가 오더라도 우천 인식이 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제1 막(20)의 제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상술된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에 높이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린더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가림막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면과 다르게 베이스(10)의 중심부를 나누어 2개의 베이스로 구성하되, 2개의 베이스의 각 단부를 반원의 형태로 구성하여 2개의 베이스를 힌지 결합으로 결합시켜, 2개의 베이스 각각의 설치부재(11)와 측홈(10a)을 통해 개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양한 조작 및 쓰임이 가능한 빗물 가림막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가림막은 제2 막(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막(30)은 제1 막(20)의 하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막(20)과 같이 베이스(1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막(30)의 내측에 메쉬망(31)을 구성하여 방충망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막(30)은 후술되는 구조에 의해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자동차(1)의 도어 측면을 막을 수 있어서, 도어의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자동차(1) 내부로 외부 공기가 순환됨과 동시에 벌레 또는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가림막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의 제2 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빗물 가림막은, 제1 막(20)의 하측으로 제2 막(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측벽 내부에는 가이드홈(14)이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14)은 상기 홈부(12)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홈(14)은 그 형태가 내측으로 직경이 더 큰 다단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제2 막(30)의 샤프트(33)의 단부가 고정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홈(14)은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단부가 폐쇄됨으로써 제2 막(30)을 연결하는 샤프트(33)가 가이드홈(14)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막(30)은 상기 샤프트(33)가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32)이 제2 막(3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32)은, 원 형상의 홀(32a)과, 상기 홀(32a)의 후방(삽입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함)으로 막대모양으로 연장된 연장홀(3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샤프트(33)는 상술된 가이드홈(14)에 삽입되기 위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2단의 형상으로 구성된 2개의 삽입단부(33a)와, 2개의 삽입단부(33a) 사이를 연결하되 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봉부(3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봉부(33b)는 상기 관통홀(32)의 연장홀(32b)의 크기에 대응되어, 동일한 크기 또는 조금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14) 역시, 베이스(10)의 마주하는 2개의 내부 측벽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막(30)은, 관통홀(32)을 통해 샤프트(33)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33)가 베이스(10)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막(3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32)과 샤프트(33)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2 막(30)을 후방으로 미는 경우, 상기 샤프트(33)의 봉부(33b)가 관통홀(32)의 연장홀(32b)에서 홀(32a)로 이동되어 샤프트(33)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막(30)이 베이스(10)와 일직성인 상태에서 회전되어 자동차(1)의 도어 측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막(30)의 상면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막(30)의 돌기에 대응되는 제2 막(20)의 하면 일측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홈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막(20)과 제2 막(30)은 결합되어 일체로 인출될 수도 있으며, 인력(人力)으로 돌기를 홈으로부터 분리시켜 제1 막(20) 또는 제2 막(30)이 따로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우천시 빗물을 막는 가림막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제1 막(20)은 베이스(10)에 삽입하고 제2 막(30)만 노출된 상태로 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제2 막(30)을 회전시켜 자동차(1)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방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막(30)의 상면 중, 메쉬망(31) 영역 부근의 양측 영역에 '└┘'의 단면형태를 갖는 레일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은 전방 단면에 2개의 막대를 길이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함으로써, '
Figure 112019024451099-pat00001
'의 최종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막(20)의 하면 중 상기 레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전방 단부에 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막(20)의 하면에 '└┘' 형태를 갖는 축을 구성하고, 상기 축에 롤러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
Figure 112019024451099-pat00002
'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한다.
즉, 위의 형태를 갖는 롤러가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막(20)과 제2 막(3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막(20)을 베이스(10)로 삽입시키고, 상기 제2 막(30)만 베이스(10)로부터 노출시키는 경우,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을 벗어나게 되어, 제2 막(30)의 상술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막(30)을 다시 원위치시켜 제1 막(20)과 결합하려는 경우에는, 샤프트(33)의 봉부(33b)와 관통홀(32)의 연장홀(32b)의 맞춰짐에 따라, 상기 제2 막(30)이 정위치되어, 제1 막(20)의 롤러와 제2 막(30)의 레일이 결합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자동차
10 : 베이스
10a : 측홈
11 : 설치부재
11a : 측홈 결합돌기
12 : 홈부
13 : 가이드기어
14 : 가이드홈
20 : 제1 막
21 : 가이드부재
30 : 제2 막
31 : 메쉬망
32 : 관통홀
32a : 홀
32b : 연장홀
33 : 샤프트
33a : 삽입단부
33b : 봉부

Claims (10)

  1.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측벽에 측홈(10a)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인출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제1 막(20)과,
    상기 제1 막(20)의 하측에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막(30)을 포함하는 빗물 가림막에 있어서,
    (a)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10)의 내부 측면에 홈부(12)가 구성되되, 상기 홈부(12)에는 가이드기어(13)가 모터와 함께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측벽 내부 중, 상기 홈부(12)의 하부측에서 상기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단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그의 내측으로 직경이 더 큰 다단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막(20)의 일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21)가 상기 가이드기어(13)와 맞물려 상기 제1 막(20)이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노출 또는 삽입되며,
    설치부재(11)가 상기 측홈(10a)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측홈(10a)은,
    일측이 다층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일측과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설치부재(1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며, 수평면이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고, 수직면 상측에는 측홈(10a)에 결합되되 그 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2단의 형태를 갖는 측홈 결합돌기(11a)가 형성되며,
    상기 측홈(10a)의 다층으로 구성된 일측의 직경은, 상기 측홈 결합돌기(11a)의 직경이 작은 영역의 직경에 대응되게 구성되고,
    (b) 상기 제2 막(30)은,
    일측에 메쉬망(3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와 일진선 상에 위치되도록 수평을 유지하거나, 상기 베이스(10)의 단부에서 회전되어 자동차의 도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제2 막(30)의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32)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32)은 원 형상의 홀(32a)과, 상기 홀(32a)의 후방으로 사각형태로 연장되며 홀(3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홀(32b)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홈(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삽입단부(33a)와 2개의 삽입단부(33a) 사이를 연결하여 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 막(30)에 형성된 관통홀(32)에 삽입된 봉부(33b)로 이루어진 샤프트(3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막(30)은,
    상기 샤프트(33)가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막(20)의 인출시 함께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막(30)을 미는 조작을 통해, 상기 샤프트(33)의 봉부(33b)가 관통홀(32)의 연장홀(32b)에서 홀(32a)로 이동되어 샤프트(33)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막(30)이 회동되어 자동차(1)의 도어 측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11)의 수평면과 자동차의 지붕 사이에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11)의 측홈 결합돌기(11a)가 위치된 측홈(10a)의 다층 위치에 따라, 베이스(10)와 자동차 지붕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10) 또는 자동차 중 어느 하나에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자동차 내부 일측에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수신부를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주행 후 주행정지를 인식하는 주행정지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값수신부를 통해 우천을 인식하고, 상기 주행정지감지부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정지가 감지되면,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해제를 인식하는 도어잠금해제인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우천이 인식되고, 도어의 잠금해제가 인식되면 모터제어부를 제어하여 제1 막(20)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9. 청구항 5 내지 8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막(20)의 노출과 삽입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10. 삭제
KR1020190027340A 2019-03-11 2019-03-11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10202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40A KR102026403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40A KR102026403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403B1 true KR102026403B1 (ko) 2019-09-27

Family

ID=6809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340A KR102026403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75A (ko) 2022-06-20 2023-12-27 조형준 차량용 자동 빗물 차단 장치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368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승용차 도어의 비막이장치
KR970034909A (ko) * 1995-12-19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빗물받이 장치
KR970029416U (ko) * 1995-12-19 1997-07-24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빗물방지장치
KR970030318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의 접개식 차양
JPH11129762A (ja) * 1997-11-04 1999-05-18 Happiness:Kk 車両用雨よけ
KR200268500Y1 (ko) * 2001-12-26 2002-03-16 판 기 윤 차량용 차양
KR200409405Y1 (ko) * 2005-11-24 2006-02-22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차단막장치
JP2008247395A (ja) * 2008-07-22 2008-10-16 Car Mate Mfg Co Ltd 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20110091062A (ko) * 2010-02-05 2011-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125841B1 (ko) 2009-06-18 2012-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200475882Y1 (ko) 2014-07-23 2015-01-13 김형귀 차량에 설치되는 차단장치
KR101501404B1 (ko) 2014-01-23 2015-03-12 근 식 윤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KR200478881Y1 (ko) 2014-08-25 2015-12-01 이재현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
US9850680B1 (en) * 2017-02-21 2017-12-26 Hyon Sam Yi Retractable umbrella
KR20180069387A (ko) * 2016-12-15 2018-06-25 김홍운 차량용 우산
KR101924823B1 (ko) * 2017-06-07 2018-12-04 (주)엠케이산업 차량 지붕용 우수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909A (ko) * 1995-12-19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빗물받이 장치
KR970029416U (ko) * 1995-12-19 1997-07-24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빗물방지장치
KR970035368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승용차 도어의 비막이장치
KR970030318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의 접개식 차양
JPH11129762A (ja) * 1997-11-04 1999-05-18 Happiness:Kk 車両用雨よけ
KR200268500Y1 (ko) * 2001-12-26 2002-03-16 판 기 윤 차량용 차양
KR200409405Y1 (ko) * 2005-11-24 2006-02-22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차단막장치
JP2008247395A (ja) * 2008-07-22 2008-10-16 Car Mate Mfg Co Ltd 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101125841B1 (ko) 2009-06-18 2012-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20110091062A (ko) * 2010-02-05 2011-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501404B1 (ko) 2014-01-23 2015-03-12 근 식 윤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KR200475882Y1 (ko) 2014-07-23 2015-01-13 김형귀 차량에 설치되는 차단장치
KR200478881Y1 (ko) 2014-08-25 2015-12-01 이재현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
KR20180069387A (ko) * 2016-12-15 2018-06-25 김홍운 차량용 우산
US9850680B1 (en) * 2017-02-21 2017-12-26 Hyon Sam Yi Retractable umbrella
KR101924823B1 (ko) * 2017-06-07 2018-12-04 (주)엠케이산업 차량 지붕용 우수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75A (ko) 2022-06-20 2023-12-27 조형준 차량용 자동 빗물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0345A1 (en) Rain guard
US5476302A (en) Rain cover for car door
KR101347246B1 (ko) 자동차 빗물 차단 장치
KR101125841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102026403B1 (ko)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US10814705B2 (en) Deployable canopies for vehicles
CN103448517B (zh) 一种轿车进出车门时的遮雨装置
KR102528023B1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US7219949B1 (en) Motor vehicle door having a closure extending from a bottom thereof
KR102249110B1 (ko) 차량용 빗물 가림막 구조
KR101924823B1 (ko) 차량 지붕용 우수 차단장치
US9688312B2 (en) Slidable pillar for adjusting an opening size into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70136216A (ko) 전동식 루프 비 막이 장치
KR10230445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KR200217970Y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200409289Y1 (ko) 주차장용 차고 구조물
US11970051B1 (en) Retractable Jeep™ top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61529B1 (ko) 분리가능한 상부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CN116923278A (zh) 一种车辆顶棚装置、系统及控制方法
KR200452163Y1 (ko) 도어스커프 구조
JP2010023635A (ja) サンシェード駆動制御装置、及びサンシェード駆動制御方法
KR200384700Y1 (ko) 자동차 천정에 장착된 차단막
KR20110004371U (ko) 차량도어 빗물막이대
TWM522872U (zh) 車用遮雨裝置及具有遮雨裝置的車
JPH1162293A (ja) 半地下式車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