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062A -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062A
KR20110091062A KR1020100010697A KR20100010697A KR20110091062A KR 20110091062 A KR20110091062 A KR 20110091062A KR 1020100010697 A KR1020100010697 A KR 1020100010697A KR 20100010697 A KR20100010697 A KR 20100010697A KR 20110091062 A KR20110091062 A KR 20110091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vehicle
slide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제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062A/ko
Publication of KR2011009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으로서, 비 감지 센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를 구동하는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와 상기 비 감지 센서로부터 의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 차단 슬라이드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비 차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AIN BLOCK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수를 차단하는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시간은 평상시에는 길어지더라도 별 문제가 없지만 비가 내릴 경우에는 소요되는 시간만큼 비를 맞게 되고, 탑승시 털지 않고 차안으로 반입된 우산에 묻은 빗물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가 빗물로 젖는 등 많은 불편함을 일으킨다. 또한 소나기와 같이 비가 강하게 내릴 경우 우산이 없을 때에는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 고스란히 비를 맞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은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몸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또는 노인의 경우에 더하다. 또한, 무거운 짐을 자동차에 실으려할 때에는 짐을 먼저 싣고 사람이 탑승하거나 사람이 먼저 차에 탑승한 후에 짐을 싣기 때문에 사람은 물론 짐이 비에 젖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가 올 때 비를 차단하여 사람의 탑승을 좀 더 편하게 하기 위한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 장치는 차량의 도어 상부에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가 열리면 차량의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고 도어가 닫히면 하우징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차단부와,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부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와,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를 동작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면 구동부에 의해 차단부가 차량의 측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고, 도어가 닫히면 구동부에 의해 차단부가 내부로 인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비 차단 장치는 작동 스위치만 누르면 슬라이드가 작동되는 기계식이므로, 작동 스위치를 오조작하여 눌러지는 경우에도 작동이 된다. 이에 따라 비가 오지 않을 때 작동되는 경우 외관상으로 좋지 않으며 오작동된 슬라이드를 접기 위해 다시 작동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그리고 주행 중에 슬라이드가 오작동되는 경우 옆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고와 같은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 차단 슬라이드를 안전하게 동작시키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으로서, 비 감지 센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를 구동하는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와 상기 비 감지 센서로부터 의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것은 ECU로부터의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비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 차단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와 상기 비 감지 센서로부터의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를 동작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방법으로서, 도어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비를 감지하는 단계;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비가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 차단 슬라이드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비 차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 차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비 센서를 설치하고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슬라이드식 비 차단 장치를 제어하여, 비 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비 차단 장치를 제어하므로 비가 오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며, 또한 차속 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비 차단 장치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비 차단 시스템은 도어 개폐 감지부(1), 비 차단 스위치(2), 비 감지 센서(3), ECU(4), 전원공급부(6), 스위치(7),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 제어부(9)를 포함한다.
비 차단 슬라이드(미도시)는 차량의 출입구 상부에 설치되며,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 개폐 감지부(1)는 차량 도어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차량 도어 개폐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 개폐 감지부(1)는 도어와 차량의 차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개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폐 감지부(1)는 차량의 잠금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RKE(Remote Keyless Entry), 스마트 키(SMART KEY)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을 동작시키는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비 차단 스위치(2)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비 차단 슬라이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 감지 센서(3)는 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6)는 차량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에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7)는 전원 공급부(6)와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의 전원 연결 라인에 마련되며, 제어부(9)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된다. 비 차단 스위치(7)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치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는 비 차단 슬라이드를 자동차의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내측으로 인입하여 우천시에 빗물의 낙수를 차단한다.
제어부(9)는 도어 개폐 감지부(1)로부터의 도어 개폐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개폐를 인식하고, 비 차단 스위치(2)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부(9)는 비 감지 센서(3)로부터 비 센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의 차량 속도를 ABS(Anti-lock Brake System)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4)로부터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ABS는 보통 브레이크와 같은 시스템의 부스터와 마스터 실린더에 전자제어장치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 유압조정장치인 HCU(Hydraulic Control Unit),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센서(wheel sensors),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를 감지하는 PTS(Pedal Travel Switch)로 이루어진다.
제어부(9)는 도어 닫힘 신호와 비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치(7)를 온 제어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9)는 비 차단 스위치(2)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 닫힘 신호와 비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비 차단 슬라이드가 동작하도록 스위치(7)를 온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9)로서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 내의 각종 부속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9)는 도어 개폐 감지부(1)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차량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1), 비 차단 스위치(2)의 상태를 체크한다(S2). 체크결과 비 차단 스위치(2)가 온되어 있으면, 비 감지 센서(3)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다(S3). 제어부(9)는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어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되면(S4), ECU(4)와 통신하여 현재 차량 속도를 수신하여 인식한다(S5). 제어부(9)는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6).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면 제어부(9)는 스위치(7)를 온 동작시켜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비 차단 슬라이드를 구동시키고(S7), 차량이 주행 중이면 스위치(7)를 오프시켜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8)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비 차단 슬라이드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8).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 운전자 및 옆차량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도어 개폐 감지부 2 : 비 차단 스위치
3 : 비 감지 센서 4 : ECU
6 : 전원공급부 7 : 스위치
8 : 비 차단 슬라이드 구동부 9 : 제어부

Claims (4)

  1.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으로서,
    비 감지 센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를 구동하는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와 상기 비 감지 센서로부터 의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것은 ECU로부터의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인,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비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 차단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와 상기 비 감지 센서로부터의 비 감지 신호가 입력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를 동작시키는 것인,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4. 비 차단 슬라이드를 갖는 차량의 비 차단 방법으로서,
    도어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비를 감지하는 단계;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비가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비 차단 슬라이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비 차단 방법.
KR1020100010697A 2010-02-05 2010-02-05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1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97A KR20110091062A (ko) 2010-02-05 2010-02-05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97A KR20110091062A (ko) 2010-02-05 2010-02-05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62A true KR20110091062A (ko) 2011-08-11

Family

ID=4492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697A KR20110091062A (ko) 2010-02-05 2010-02-05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0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5513A (zh) * 2018-06-06 2018-12-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载雨棚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KR102026403B1 (ko) * 2019-03-11 2019-09-27 이은성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2022003629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CN115162890A (zh) * 2022-05-10 2022-10-11 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剪刀门的智能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5513A (zh) * 2018-06-06 2018-12-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载雨棚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KR102026403B1 (ko) * 2019-03-11 2019-09-27 이은성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2022003629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CN115162890A (zh) * 2022-05-10 2022-10-11 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剪刀门的智能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5444B2 (ja) 車両前部ドアの動力開放システム
CN108116366B (zh) 用于提供至少一个车门的无需用手操作的系统和方法
KR101507068B1 (ko)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US201302496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or a tailgate of a vehicle
JP2005133529A (ja)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CN203920641U (zh) 一种汽车后备箱自动开启控制系统及汽车
KR20110091062A (ko) 차량의 비 차단 시스템 및 방법
CN105730371A (zh) 一种汽车车身组件控制方法和系统
CN101443207A (zh) 用于检测车辆中或车辆环境中的事件的设备
US9764714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JP7104043B2 (ja) 電動自転車
GB2512313A (en) A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by speech
KR10145707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KR20130053354A (ko) 자동차오토 윈도우
CN104191945A (zh) 一种汽车天窗控制机构
KR20160063938A (ko) 차량용 도어 열림제어방법
CN201261498Y (zh) 一种可调节容积的车厢
CN104149840B (zh) 一种防止汽车方向盘自行偏转的自动锁止装置
KR102232187B1 (ko) 모션 인식 기반 차량 비상 탈출 장치
CN205185809U (zh) 一种车速跟踪天窗控制系统
CA2894297A1 (en) Swipe and tap verification for entry system
US11578526B2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and/or automatically closing panel
KR100806082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3880815B2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機構制御システム
CN203126638U (zh) 一种汽车天窗未关闭提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