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404B1 -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404B1
KR101501404B1 KR20140008122A KR20140008122A KR101501404B1 KR 101501404 B1 KR101501404 B1 KR 101501404B1 KR 20140008122 A KR20140008122 A KR 20140008122A KR 20140008122 A KR20140008122 A KR 20140008122A KR 101501404 B1 KR101501404 B1 KR 10150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ped
horizontal
hi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식 윤
Original Assignee
근 식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 식 윤 filed Critical 근 식 윤
Priority to KR2014000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출입구의 상단부 지붕에 설치되며 , 베어링부(3b)가 구비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베어링부(3b)에 장착되며, 외측원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에 수직힌지(9a)가 형성된 개폐넛트(9), 상기 개폐넛트(9)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정역모터(M), 상기 정역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넛트(9)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권취축(8)에 감겨있는 비가림막(30)이 풀려나감에 따라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에 장착된 비가림막(30)이 펼처지므로 승,하차시 비맞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M)의 회전에 따라 구동하는 상기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5), 상기 구동기어(5)에 맞물린 피동기어(6)가 구동되므로 회전하는 권취축(8), 상기 권취축(8)의 정역회전에 따라 비가림막(30)이 풀리고, 감기게되며,
상기 정역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축(7)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가 수축됨과 동시에 비가림막(30)이 권취축(8)에 감기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Umbreller For Amoumted Loop of Car}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손에 들고 있던 우산을 접거나, 펼칠 때 비를 맞지 않기 위하여, 자동차 지붕의 외측에 형성되는 우산을 원격제어 장치에 의거 펼친 상태에서 자동차 출입문을 개폐하므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시에도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동차 지붕의 외측에 형성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는 쓰고 있던 우산을 접거나, 활짝펴고 승,하차하는 순간 빗물에 온몸에 젖게 된다.
특히,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침투된 빗물로 인해 옷 또는 소지품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차량 내부로 들어온 빗물로 인해 위생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KR-A-10-2013-0018389에서는 자동차지붕과 출입문의 상부에 연결된 자동차우산이 개시되어 있으나, 승용차의 출입문의 높이 내에서 우산을 펼치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키가 큰 성인이 아니어도, 우산의 펼친상태의 우산의 직경이 출입문의 개방부 보다 크므로 자동차 출입문의 개방부의 내에서는 우산을 완전하게 펼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KR-B1-10-1074680호는 미닫이식 출입문이 장착된 자동차에 한정하여 설치된 우산이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에 형성되는 승,하차용 출입문에는 미닫이식이 아니라, 힌지식이므로 출입문이 개폐되는 관계로, 승용자동차에서는 이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KR-B1-10-1074680 KR-A-10-2013-0018389
본 출원은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손에 들고 있던 우산을 접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자동차의 출입문을 열고 승, 하차하는 순간 빗물이 온몸에 젖지않토록 자동차우산을 자동차의 출입문의 상방향 지붕에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하는 과정에서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출입문의 상방향 지붕의 상부측부에 자동차우산을 설치하여 원격제어 장치에 의거 자동차우산에 형성된 비가림막(30)을 활짝펼처 있는 상테에서, 자동차에 접근하여 손에 들고 있는 우산을 접고, 출입문을 열고 승차하여도, 빗물을 피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 출입문의 바로 상부측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펴짐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출입문쪽으로 우산의 비가림막(30)을 펼처진 상태에서 , 손에 들고있는 우산을 활짝펴거나, 접을 수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승,하차하는데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출입구의 상단부 지붕에 설치되며 , 베어링부(3b)가 구비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베어링부(3b)에 장착되며, 외측원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에 수직힌지(9a)가 형성된 개폐넛트(9), 상기 개폐넛트(9)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정역모터(M), 상기 정역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넛트(9)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권취축(8)에 감겨있는 비가림막(30)이 풀려나감과 동시에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가 펼처짐에 따라 상기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를 덥고어서 장착되는 비가림막(30)이 펼처지므로 승,하차시 비맞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M)의 회전에 따라 구동하는 상기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5), 상기 구동기어(5)에 맞물린 피동기어(6)가 구동되므로 회전하는 권취축(8), 상기 권취축(8)의 회전에 따라 비가림막(30)이 풀리고, 감기게된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축(7)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가 수축됨과 동시에 비가림막(30)이 권취축(8)에 감기게 된다.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손에 들고 있던 우산을 접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자동차의 출입문을 열고, 닫아 승, 하차하는 순간 빗물이 온몸에 젖지않토록 자동차우산을 자동차의 출입문의 상방향 지붕에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시 자동차에 승차하는 과정에서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출입문의 상방향 지붕의 상부측부에 자동차우산을 설치하여 원격제어 방식에 의거 자동차우산에 형성된 비가림막(30)을 활짝펼처 있는 상테에서, 자동차에 접근하여 손에 들고 있는 우산을 접고, 출입문을 열고 승차하여도, 빗물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출입문의 바로 상부측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펴짐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출입문쪽으로 비가림막(30)을 펼처진 상태에서 , 손에 들고있는 우산을 활짝펴고 하차하는데 빗물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우산의 펼침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우산의 펼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우산의 보강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의 양측면에 형성된 출입구의 상단부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면에 이루어지는 힌지(3a, 3c)가 형성되고, 스크류축(7)과 권취축(8)이 장착되는 베어링부(3b)가 구비된 후면브라켓(3)과 전면브라켓(4),
상기 후면브라켓(3)과 전면브라켓(4)에 구비된 베어링부(3b)에 장착되는 스크류축(7)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기 위하여 내측에 암나사부가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상향힌지(9a)가 형성된 개폐넛트(9), 상기 개폐넛트(9)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스크류축(7)의 전면 끝단부에 장착되는 정역모터(M), 상기 정역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를 수직으로 펼처지고,
X형 수직링크를 형성하는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힌지(10a)로 결합하며,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의 하측 끝단부가 개폐넛트(9)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직힌지(9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후면 끝단부에 구비된 하향힌지(16a)에 결합되며,
제2 X형 수직링크(11)의 하측 끝단부가 후면부라켓(3)의 상부면에 이루어진 제1 수직힌지(3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X형 수직링크(11)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15a)의 하향힌지(15b)에 결합되고,
수직 가이드바(12)의 일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직가이드힌지(12a)에 의거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바(12), 상기 수직 가이드바(12)의 하단 끝단부는 전면브라켓(4)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향가이드힌지(3c)에 결합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바(12)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전면끝단부에 형성되는 전면가이드소켓(14)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하향가이드힌지(14a)에 결합되고
또한, 중앙부에 구비되는 수평힌지(17a)에 의거 장착하므로 X형수평링크를 형성하는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수평 링크(18), 상기 제1 X형 수평링크(17)의 시작부가 제1슬라이더(15a)의 수평힌지(15c)에 결합되고, 상기 제1 X형 수평링크(17)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펼침소켓(23)의 전면부에 형성된 후면펼침소켓힌지(23a)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X형 링크(18)의 시작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후면 끝단부에 구비된 후면가이드소켓(16)의 후면부에 형성된 후면수평힌부(16b)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X형 링크(18)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에서 좌 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스라이더(22)에 형성된 제2스라이더힌지(22a)에 결합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바(19)의 일측 끝단부를 수평가이드바힌지(19a)로 결합되는 수평 가이드바(19), 상기 수평 가이드바(19)의 시작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전면에 형성된 수평가이드소켓(14)에 형성된 수평힌지(14b)에 결합되고,
수평가이드바(19)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의 전면 끝단부에 형성된 전면펼침소켓(2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펼침힌지(21a)에 결합된다.
또한 비가림막(30)을 펼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2 슬리이더 축(20)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펼침소켓(23)의 후면부와 전면펼침소켓(21)의 후면부에 형성된 장착부(25)에 비가림막(30)의 끝단부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2 슬리이더 축(20)의 후면부에 형성된 상기 장착부(25)에 비가림막(30)의 끝단부가 장착되므로,
정,역회전시키는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정,역으로 구동되는 스크류축(7)과 권취축(8)은 기어구동부의 구동기어(5)와 피동기어(6)에 의거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스크류축(7)과 권취축(8)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를 감싸면서 장착된 비가림막(30)이 펼처지고, 수축됨에 따라 상기 권취축(8)에서 비가림막(30)이 풀려지거나, 감겨지게 된다.
또한, 비가림막(30)이 펼처진 상태에서 빗물에 의거 하측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끝단부의 일측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다른측에는 왼나사부가 형성된 인장봉(35)이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자동차 지붕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전,후면가이드소켓(14,16)의 측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4c,16c)에 상기 인장봉(35)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M)의 회전에 따라 구동하는 상기 스크류축(7), 상기 스크류축(7)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5), 상기 구동기어(5)와 피동기어(6)가 치차결합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된 권취축(8), 상기 권취축(8)의 회전에 따라 비가림막(30)이 풀려지고, 감겨지게되며,
원격제어 장치에 의거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정역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정역모터(M)와 연결된 상기 스크류축(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에 장착된 비가림막(30)이 펼처짐과 동시에 권취축(8)으로 부터 풀려 나가게 되어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이 펼처지게되고,
또한 상기 정역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정역모터(M)와 연결된 상기 스크류축(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에서 전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가 수축됨과 동시에 비가림막(30)이 권취축(8)에 감겨지게 되므로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이 접어지게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자동차 3;후면브라켓 4;전면브라켓 5; 구동기어 6; 피동기어
7; 스크류축 8; 권취축 9; 개폐넛트 10; 제1 X 형 수직링크
11; 제2 X 형 수직링크 12; 수직가이드바 14; 전면가이드소켓
15;제1슬라이더축 16; 후면가이드소켓 17; 제1 X형 수평링크
18; 제2 X형 수평링크 19; 수평가이드바 20; 제2 슬라이더 축
21; 전면펼침소켓 23: 후면펼침소켓 M; 정역모터

Claims (3)

  1. 자동차의 양측면에 형성된 출입구의 상단부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면에 이루어지는 힌지(3a, 3c)가 형성되고, 스크류축(7)과 권취축(8)이 장착되는 베어링부(3b)가 구비된 후면브라켓(3)과 전면브라켓(4),
    상기 후면브라켓(3)과 전면브라켓(4)에 구비된 베어링부(3b)에 장착되는 스크류축(7)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기 위하여 내측에 암나사부가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상향힌지(9a)가 형성된 개폐넛트(9), 상기 개폐넛트(9)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스크류축(7)의 전면 끝단부에 장착되는 정역모터(M), 상기 정역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를 수직으로 펼처지고,
    X형 수직링크를 형성하는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힌지(10a)로 결합하며,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의 하측 끝단부가 개폐넛트(9)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직힌지(9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후면 끝단부에 구비된 하향힌지(16a)에 결합되며,
    제2 X형 수직링크(11)의 하측 끝단부가 후면부라켓(3)의 상부면에 이루어진 제1 수직힌지(3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X형 수직링크(11)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15a)의 하향힌지(15b)에 결합되고,
    수직 가이드바(12)의 일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직가이드힌지(12a)에 의거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바(12), 상기 수직 가이드바(12)의 하단 끝단부는 전면브라켓(4)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향가이드힌지(3c)에 결합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바(12)의 상측 끝단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전면끝단부에 형성되는 전면가이드소켓(14)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하향가이드힌지(14a)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구비되는 수평힌지(17a)에 의거 장착하므로 X형수평링크를 형성하는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수평 링크(18), 상기 제1 X형 수평링크(17)의 시작부가 제1슬라이더(15a)의 수평힌지(15c)에 결합되고, 상기 제1 X형 수평링크(17)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펼침소켓(23)의 전면부에 형성된 후면펼침소켓힌지(23a)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X형 링크(18)의 시작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후면 끝단부에 구비된 후면가이드소켓(16)의 후면부에 형성된 후면수평힌부(16b)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X형 링크(18)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에서 좌 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스라이더(22)에 형성된 제2스라이더힌지(22a)에 결합되고,
    수평 가이드바(19)의 일측 끝단부를 수평가이드바힌지(19a)로 결합되는 수평 가이드바(19), 상기 수평 가이드바(19)의 시작부는 제1슬라이더축(15)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가이드소켓(14)에 형성된 수평힌지(14b)에 결합되고,
    수평가이드바(19)의 끝단부는 제2 슬리이더 축(20)의 전면 끝단부에 형성된 전면펼침소켓(2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펼침힌지(21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 장치에 의거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정역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정역모터(M)와 연결된 상기 스크류축(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의 외측부에 장착된 비가림막(30)이 펼처짐과 동시에 권취축(8)으로 부터 풀려 나가게 되어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이 펼처지게되고,
    상기 정역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정역모터(M)와 연결된 상기 스크류축(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넛트(9)가 후면방향에서 전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X형 수직링크(10)와 제2 X형 수직링크(11) 및 제1 X형 수평링크(17)와 제2 X형 수평링크(18)가 수축됨과 동시에 비가림막(30)이 권취축(8)에 감겨지게 되므로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이 접어지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가림막(30)이 펼처진 상태에서 빗물에 의거 하측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끝단부의 일측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다른측에는 왼나사부가 형성된 인장봉(35)이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자동차 지붕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전,후면가이드소켓(14,16)의 측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4c,16c)에 상기 인장봉(35)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KR20140008122A 2014-01-23 2014-01-23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KR10150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122A KR101501404B1 (ko) 2014-01-23 2014-01-23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122A KR101501404B1 (ko) 2014-01-23 2014-01-23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404B1 true KR101501404B1 (ko) 2015-03-12

Family

ID=5302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122A KR101501404B1 (ko) 2014-01-23 2014-01-23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4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0985A (zh) * 2017-05-24 2017-09-15 苏州晓炎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天窗用遮阳装置
KR102026403B1 (ko) 2019-03-11 2019-09-27 이은성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20210033727A (ko) 2019-09-19 2021-03-29 이은성 차량용 빗물 가림막 구조
CN112572111A (zh) * 2020-12-10 2021-03-3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遮雨装置
CN112781669A (zh) * 2021-01-12 2021-05-11 山东三川水表有限公司 一种高精度防冻智能水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092A (ko) * 1997-09-10 1997-12-10 김효태 건물 출입구와 차량간의 빗물 막음 장치 겸 야외 햇빛 가리개
JP2007176213A (ja) * 2005-12-27 2007-07-12 Asmo Co Ltd 車両用雨除け装置
KR101347246B1 (ko) * 2012-11-22 2014-01-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빗물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092A (ko) * 1997-09-10 1997-12-10 김효태 건물 출입구와 차량간의 빗물 막음 장치 겸 야외 햇빛 가리개
JP2007176213A (ja) * 2005-12-27 2007-07-12 Asmo Co Ltd 車両用雨除け装置
KR101347246B1 (ko) * 2012-11-22 2014-01-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빗물 차단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0985A (zh) * 2017-05-24 2017-09-15 苏州晓炎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天窗用遮阳装置
KR102026403B1 (ko) 2019-03-11 2019-09-27 이은성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KR20210033727A (ko) 2019-09-19 2021-03-29 이은성 차량용 빗물 가림막 구조
CN112572111A (zh) * 2020-12-10 2021-03-3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遮雨装置
CN112572111B (zh) * 2020-12-10 2024-05-1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遮雨装置
CN112781669A (zh) * 2021-01-12 2021-05-11 山东三川水表有限公司 一种高精度防冻智能水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04B1 (ko)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우산
KR101125841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US9783033B2 (en) Car awning
CN103434375A (zh) 汽车遮阳篷
KR101725027B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CN107254942B (zh) 一种遮雨装置
KR20100137028A (ko) 버스 승하차시 비를 막아주는 자동어닝
KR101182357B1 (ko) 차량용 빗물 차단막
US10323456B2 (en) Awning adjustment device with variable speed and direction control
JP3196329U (ja) 洗濯物用雨よけ装置
KR101896337B1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CN203611702U (zh) 一种车门挡雨装置及汽车
JP2009234554A (ja) 自動車乗り降り時の雨濡れを防止する拡縮式雨除け傘
KR102004942B1 (ko) 가변형 구조의 주차천막 장치
KR200477307Y1 (ko) 상향 접이식 수평도어
KR20170136216A (ko) 전동식 루프 비 막이 장치
CN207583264U (zh) 用于中空百叶窗的翻转装置及中空百叶窗
CN203472494U (zh) 汽车遮阳篷
KR200476699Y1 (ko) 적재함 가변 덮개
CN206086317U (zh) 简易便携式汽车遮阳棚
KR20150083504A (ko) 자동차용 우산
KR102249110B1 (ko) 차량용 빗물 가림막 구조
KR102544613B1 (ko) 차량용 비 가림 차양
KR101511570B1 (ko) 상단가림 구조를 가진 리어 선쉐이드
KR0157788B1 (ko) 차량의 선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