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572B1 -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572B1
KR102079572B1 KR1020190095699A KR20190095699A KR102079572B1 KR 102079572 B1 KR102079572 B1 KR 102079572B1 KR 1020190095699 A KR1020190095699 A KR 1020190095699A KR 20190095699 A KR20190095699 A KR 20190095699A KR 102079572 B1 KR102079572 B1 KR 10207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weight
coating materi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9009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과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수층은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는 부직포층, 폴리우레아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며, 방수층에 사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이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의 특성을 가져, 방수 시트의 강도, 경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가사시간을 연장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Dual complex 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중 복합 방수 시트에 사용되는 방수층으로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방수 시트의 강도, 경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가사시간을 연장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의 경우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어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 발생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방수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피막식 방수공법으로 나누어는데, 상기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피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에 대처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수공법이다.
이 중, 피막식 방수공법은,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시공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우레탄 방수, 우레아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막재와 시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복합방수시공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아스팔트 방수는,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으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여 도장 방식의 방수 공법에도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방수 시트의 방수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는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함량이 높아 대기 공기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냄새로 인해 주민들에게 불쾌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도에 비해 탄성과 유동성이 낮아 저온 환경이나 구조물이 수축, 이완, 진동하는 경우에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이 크랙을 따라 아스팔트 매스틱이 흘러 내리는 누유 문제 및 빗물 등이 흘러 내리는 누수 문제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기 우레탄 방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법으로, 우레탄 방수제는 탄성이 우수하여 구조물의 거동에 저항력이 뛰어나고, 내수성, 내약품성, 마모특성 및 광택특성이 우수하므로 건물 옥상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수 방법이다.
우레아 방수는, 특수 우레탄으로 분류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이용한 방수 방법으로, 우레아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우레탄 방수에 비해 접착력, 내열성, 방식성, 방청성, 내산성, 내한성, 내후성, 내구성, 내마모성 및 강도가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의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가사시간, 즉 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직후부터 폴리우레아 조성물이 겔화되거나 경화될 때까지의 시간이 20분 내외로 매우 짧아 작업성이 떨어지며, 능숙한 숙련자가 작업하지 않는 이상 쉽게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의 환경오염, 크랙 발생 문제, 우레아 방수제의 작업성 저하 및 높은 하자 발생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수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269518호(2013.05.24 등록)
본 발명에서는 방수 시트에 사용되는 방수층으로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방수 시트의 강도, 경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가사시간을 연장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방수층(110)과 보호시트(120)가 적층된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수층(110)은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120)는, 부직포층(121), 폴리우레아층(122) 및 보호층(1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고, 상기 부직포층(121)이 방수층(110)과 마주보도록 적층된다.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경화부;가 각각 개별 포장되고, 사용시 주제부와 경화부가 1:1.1~1.7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됨으로써, 가사시간이 조절되는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아민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2급 아민의 혼합물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70~300인 저분자량 2급 아민 70~87 중량%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3,000인 고분자량 2급 아민 13~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부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Butyl glycidyl ether)의 반응으로 얻어진 1급 아민 어덕트를 1~7 중량%의 범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부는, 충전제, 가소제, 희석제, 침강방지제, 소포제, 분산제, 점도 조절제, 접착개선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부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NCO%가 1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구조물 표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P)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110) 상부에 보호시트(120)를 설치하는 보호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방수제로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방수 시트의 강도, 경도 및 신축성이 향상되므로, 방수 시트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방수 시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의 가사시간이 연장되어, 방수 작업시 작업성이 개선되고, 작업 후의 하자 발생률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 방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는, 아스팔트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의 제조나 시공시 발생하는 대기오염, 인체 악역향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 토치 사용에 따른 위험성이 저하되므로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탄성과 유동성이 낮은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의 특성으로 인한 크랙 발생과 크랙으로의 누수 및 누유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 복합 방수 시트에 포함되는 방수층이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강도, 경도 및 신축성이 향상되고, 가사시간 연장에 따른 작업성 개선, 작업 결과물의 하자 발생률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는 방수층(110)과 보호시트(120)가 적층된 것이다. 상기 방수층(110)은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시트(120)는, 부직포층(121), 폴리우레아층(122) 및 보호층(123)이 적층된 것으로, 상기 방수층(110)과 보호시트(120)의 부직포층(121)이 접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110)은,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인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아민, 또는 폴리아민 베이스 화합물과의 반응으로 얻어져, 내수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열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압축강도가 높으며, 자외선에 강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의 빠른 반응 속도로 인해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도막재 표면의 경화는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 도막재가 시공되는 피착면과 도막재 사이의 경화는 느리게 일어나, 결과적으로 도막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경화가 빠르게 시작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며, 숙련되지 않은 기술자가 작업하는 경우 하자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방수층(110)에 사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로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경화부;가 각각 개별 포장되고, 사용시 주제부와 경화부가 1:1.1~1.7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가사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방수층(110)으로 내수성 향상을 위한 아스팔트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을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에 의한 환경 오염, 인체 악영향, 크랙, 누수, 누유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에 있어서, 주제부에 대한 경화부의 중량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부의 함량이 부족하여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도막재의 접착성, 내수성, 내약품성, 안정성, 강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주제부에 대한 경화부의 중량비가 1.7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완전 경화 이후에도 남아있는 경화부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도막재의 신율이 저하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저온에서의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경화부와 주제부가 상술한 중량비를 갖도록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부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nene diisocyanate, T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주제부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로 NCO mol% 가 15~25인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주제부에는 가소제와 점도 조절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도막재에 사용되어 작업성, 도막재의 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가제가 주제부에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주제부에 이소시아네이트 60~90 중량%, 첨가제 10~40 중량%의 중량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작업시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의 유동성을 높이고, 경화 후 방수층(110)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프탈산 에스테르, 프로세스 오일, 팜오일, 고비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탈산 에스테르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스 오일로는 아로마틱계, 나프텐계, 파라핀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비점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탄소수 13~2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주제부의 점도를 조절하여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점도 조절제로 톨루엔, 자일렌 등의 석유계 탄화수소류나 도막재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용제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부는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2급 아민을 사용함으로써 도막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최적의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최적의 가사시간은 30~60분으로, 가사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작업시간의 확보가 불가능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6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 및 경화가 과도하게 지연되어 작업 시간이 배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가사시간의 확보는 도막재 형성 작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폴리우레아 수지의 가사시간은 20분으로, 작업성이 나쁘고, 하자 발생률이 높으며,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므로, 취급 및 작업의 난이도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은 종래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보다 가사시간이 길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도장기구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되지 않고, 하자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일 방법으로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아민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2급 아민의 혼합물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70~300인 저분자량 2급 아민 70~87 중량%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3,000인 고분자량 2급 아민 13~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2,000~3,000인 고분자량 2급 아민은 분자 구조 내에 선형 사슬이 도입되어 분자량이 증가한,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2급 아민으로, 이러한 고분자량 2급 아민을 저분자량 2급 아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선형 사슬 구조에 의해 도막재의 신축성과 인장강도가 향상되므로 도막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저분자량 2급 아민이 7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고분자량 2급 아민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막재의 신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과도한 신축성 증가로 인해 오히려 인장강도와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저분자량 2급 아민이 8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고분자량 2급 아민이 13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분자량 2급 아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신축성 증가 및 인장강도 개선 효과가 미미하므로, 고분자량 2급 아민과 저분자량 2급 아민이 상술한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제부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우레아 수지를 생성하는 아민으로,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가사시간인 30~60분의 가사시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2급 아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사시간뿐만 아니라 경화시간도 연장되어, 도막재 표면과 내부의 경화 속도 차이가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강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상기 경화부에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Butyl glycidyl ether)의 반응으로 얻어진 1급 아민 어덕트를 추가로 더 포함시킴으로써 경화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급 아민 어덕트를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도막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원하는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1급 아민 어덕트는 경화부 내에 1~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경화시간 감소, 강도 향상 및 가사시간 조절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7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사시간 증가 효과가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가사시간 연장에 의한 작업성 및 도막재 물성 개선 효과를 얻기 곤란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급 아민 어덕트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Butyl glycidyl ether)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는데, 이 때 반응에 사용되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Butyl glycidyl ether)는 1:2~4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반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1:2 미만인 경우에는, 가사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고, 1: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재 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부에는 작업성이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경화부에는, 2급 아민 45~61 중량%, 1급 아민 어덕트 1~7 중량% 및 첨가제 37~53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첨가제의 함량이 37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한 작업성 개선, 물성 향상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5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첨가제로 인해 오히려 작업성이 나빠지거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제는 충전제, 가소제, 희석제, 침강방지제, 소포제, 분산제, 점도 조절제, 접착개선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도막재의 강도 향상을 위채 첨가되는 것으로, 충전제로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황산바륨, 유리섬유, 활석, 운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 내에서 75~87 중량%의 중량 범위로 사용될 때 접착력 저하, 탄성 감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도막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도막재의 가공성 및 유연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가소제로 주제용 첨가제에 사용될 수 있는 종류의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 내에서 가소제의 함량은 6~1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가소제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가공성, 유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가소제 이행, 용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희석제는 도막재 조성물의 점도를 낮춰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 디에탄올아민,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 내에서 3~7 중량%로 사용될 때 도막 두께의 제어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강방지제는 충전제와 같은 입자성 물질의 침강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Monoral® 3300과 같은 상용 제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침강방지제의 함량은 첨가제 내에서 0.8~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0.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침강 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된 양에 의한 추가적인 침강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소포제는 도막재 조성물 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거나, 기포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실리콘계 소포제, 폴리에스테르계 소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포제는 첨가제 내에서 0.5~3.3 중량%의 중량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소포제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 기포 억제 및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소포제에 의해 도막재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도막재 조성물 내의 극성 물질과 비극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그 외의 각 성분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인산, 황산 또는 카르복시산과 같은 산성 작용기, 또는 이들의 염을 갖는 음이온성 분산제, 염기성 작용기 또는 이들의 염을 갖는 양이온성 분산제, 비이온성 분산제 또는 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 내에서 분산제의 함량은 0.5~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 효과가 미미하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분산제로 인한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접착개선제는 도막재의 점탄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코폴리머(SBS), 스티렌-이소프렌고무(SIS),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SB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석유수지(C5, C9, C5-C9공중합), 천연 수지(로진, 에스테르), 쿠마론 수지, 폐타이어 분말(30 120매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도 있다. 첨가제 내에서 접착개선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탄성 및 내구성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재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도막재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카본블랙, 흑연, 티탄블랙, 프탈로시아닌계 착화합물, 산화철, 산화아연, 시아닌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페리논계 화합물, 이소인돌리논계 화합물, 치오인디고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가제 내에서 안료의 함량은 0.5~5 중량%일 수 있으며,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안료로 인한 색상 발현이 미미하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안료로 인해 도막재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안료의 분산성 저하로 인해 색상이 불균일하게 발현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화부에는 강도향상제로써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가 포함됨으로써 접착강도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가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화부에 1~3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에 포함되는 보호시트(120)는, 폴리우레아층(122), 상기 폴리우레아층(122)의 일면에 형성된 부직포층(121) 및 상기 폴리우레아층(122)의 타면에 형성된 보호층(123)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아층(122)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방수층(110)에 사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아스팔트 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121)은, 폴리우레아층(122)의 일면에 형성되어 보호시트(120)의 유연성, 접착력 부족, 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물과의 거동 차이에 의한 보호시트(120)의 탈리, 접합부 파단 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배치된다.
부직포층(121)으로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스터 부직포, PET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온 섬유,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합성섬유를 카딩, 열융착법, 니들펀치법, 수류결합법, 스티치법 등의 방법으로 부직포화 함으로써 얻어진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는 함수율이 높아 방수 조성물에 대한 함침력이 우수하고,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내구성, 가공성, 내후성, 인장 및 인열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우레아층(122)과 부직포층(121)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폴리우레아층(122)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g/m2 이상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는 보다 향상된 내구성과 인장력을 갖기 때문에 폴리우레아층(122)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23)은 폴리우레아층(122)의 타면에 형성되어, 보호시트(120)의 충격 완화, 수분에 대한 저항, 폴리우레아층(122)의 파단 방지, 열변형에 대한 저항 및 방음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써모플라스틱올레핀(TP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 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를 이용하여 구조물(F)의 표면에 방수 시공을 하는 방법으로, 구조물(F)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F)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P) 상부에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110) 상부에 보호시트(120)를 설치하는 보호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방수 시공될 구조물(F)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때 프라이머층(P)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치핑 공정이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는, 방수 시공될 구조물(F)과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수분이 구조물(F)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크릴계 프라이머, 에폭시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를 구조물(F)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방수층 형성 단계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때 사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시트 설치 단계는, 방수층(110) 상부에 보호시트(120)를 설치하는 단계로, 방수층(110)과 보호시트(120)의 부직포층(12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됨에 따라 부직포층(121)의 빈 공간을 통해 방수층(110)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이 침투하여 보다 견고한 부착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저분자량(Mw=270~300) 2급 아민 300 g, 고분자량(Mw=3000) 2급 아민 50 g과 첨가제 1001 g을 혼합하고, 질소분위기하에 80 ℃로 승온하여 1,5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 혼합한 뒤, 상온에서 방치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여 경화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저분자량(Mw=270~300) 2급 아민으로 프탈이미드(Phthalimide)를 사용하였고, 고분자량(Mw=3000) 2급 아민으로 프탈이미드와 쇄연장제인 1, 4-부탄디올(1, 4 butandiol) 를 120 ℃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첨가제로는 충전제 807 g, 가소제 122 g, 희석제 40 g, 침강방지제 11 g, 소포제 7 g, 분산제 7 g 및 안료 7 g이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때, 충전제로는 탄산칼슘과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을 사용하였고, 가소제로는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를, 희석제로는 자일렌을, 침강방지제로는 Monoral®-3300을, 소포제로는 실리콘계 소포제인 BYK®-A535를, 분산제로는 Disperbyk®-106을, 안료로는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경화부 540 g과 주제부인 NCO%가 15~25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60 g을 혼합하여 800 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실시예 1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보호층(123)인 폴리에틸렌필름의 일면에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폴리우레아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약 100 g/m2 밀도를 갖는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를 부착하여 보호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내투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름 10 cm, 높이 3 cm의 콘크리트판을 준비하고, 콘크리트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우레탄계 프라이머와 실시예 1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제조예에서 제조된 보호시트를 부착한 뒤 약 2주간 양생하였다.
이후, 방수처리 된 콘크리트판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에폭시 수지로 밀봉하고, 시험체를 투수시험 장치에 고정시켜 1시간 동안 0.3N/mm2의 수압을 가한 뒤, 시험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시험체 중앙부를 분할하여 방수처리 된 콘크리트판의 일면에 물이 침투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방수처리 된 영역이 투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가 내투수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되, 저분자량 2급 아민과 고분자량 2급 아민의 함량 및 추가로 첨가되는 1급 아민 어덕트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가며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2는 경화부와 주제부의 함량을 각각 590 g과 410 g으로 변화시켜 제조하였으며, 1급 아민 어덕트는 60 ℃에서 디에틸렌트리아민 200 g에 부틸 글리시딜 에터 800 g을 3시간 동안 적하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단위: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2급아민
(Mw=270~300)
300 300 250 250 250 250 250
2급 아민
(Mw=3,000)
50 50 100 100 100 100 100
1급 아민 어덕트
(중량%)
- - 9
(1.3)
25
(3.4)
52
(6.8)
6
(0.8)
55
(7.2)
첨가제 360 360 360 360 360 360 360
합계 710 710 719 735 762 716 765
이후 제조된 각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25 ℃ 환경에서의 점도, ASTM D3163에 의거한 전단접착강도, ASTM D412에 의거한 파단시 신율, KS F 4938에 의거한 방근 성능, 바콜(barcol) 경도 시험기를 이용한 바콜 경도, 25 ℃, 상대습도 85 %의 환경에서 Shyodu 겔 타이머를 이용한 가사 시간을 측정하고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손가락을 폴리우레아 도막재 표면에 가볍게 대었을 때 점착성은 있으나 조성물이 손 끝에 묻어나지 않는 때인 지촉건조시간과 점착성이 완전히 사라진 때인 완전건조시간을 측정하여 실험 결과를 표 2에 작성하였으며, 건조도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랙이나 요철 없이 평탄한 표면이 형성되는 경우를 양호, 크랙이나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점도(cps) 2,000 2,550 2,900 2,750 2,700 2,900 2,700
가사시간(분) 40 45 45 47 52 40 70
전단접착강도
(kgf/cm2)
8 8 17 16 15 9 9
지촉건조시간(hr) 3 3 1 2 2 3 5
완전건조시간(hr) 24 24 15 17 18 23 33
파단시 신율(%) 200 210 510 390 400 280 250
경도(barcol) 90 85 96 95 90 90 90
건조도막의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방근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2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2급 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의 가사시간은 대부분 약 45분 내외로, 방수방근 도막재의 최적 가사시간인 30~60분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와 같이 경화부에 상기 2급 아민과 함께 1급 아민 어덕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가사시간은 길어지나 건조시간, 특히 완전건조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여, 도막재 조성물의 유동성을 장시간 유지하면서, 시공 후 도막의 경화가 빠르게 일어나므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비교예 1의 경우에는 1급 아민 어덕트를 첨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양이 너무 적어 1급 아민 어덕트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과 거의 유사한 가사시간 및 건조시간을 나타내 실질적으로 1급 아민 어덕트로 인한 가사시간 연장 및 건조시간 단축 효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비교예 2의 경우에는 1급 아민 어덕트가 과량 포함되어 오히려 가사시간이 최적의 가사시간보다 더 길어졌고, 이에 따라 건조시간 또한 길어졌을 뿐만 아니라, 전단접착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으로부터 최적의 가사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건조시간을 감소시키고, 강도와 신율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1급 아민 어덕트는 1~7 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되, 1급 아민 어덕트를 제조할 때 디에틸렌트리아민 300 g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 700 g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각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화부는 표 3의 배합비를 따라 제조되었으며, 이후, 실험예 2와 동일한 물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3 비교예 4
경화부
(g)
2급 아민
(Mw=270~300)
300 250 250 250 250 250
2급 아민
(Mw=3000)
50 100 100 100 100 100
1급 아민 어덕트
(중량%)
- 8
(1.1)
30
(4.1)
52
(6.8)
6
(0.8)
54
(7.1)
첨가제 360 360 360 360 360 360
합계 710 716 718 740 762 764
실험
결과
점도(cps) 2,000 3,100 3,000 2,950 2,900 2,750
가사시간(분) 40 38 37 35 40 24
전단접착강도
(kgf/cm2)
8 18 18 20 8 10
지촉건조시간(hr) 3 1 1 1 3 1
완전건조시간(hr) 24 12 12 12 22 10
파단시 신율(%) 200 420 500 460 220 450
경도(barcol) 90 96 95 95 95 95
건조도막의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방근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 중, 실시예 1과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을 살펴보면,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를 약 1:2.3의 중량비로 반응시켜 얻어진 1급 아민 어덕트를 사용하였을 때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의 가사시간은 다소 짧아지나, 접착강도, 완전건조시간 및 파단시 신율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첨가되는 1급 아민 어덕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7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사시간 및 완전건조시간이 과도하게 짧아져 건조도막 외관에 크랙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방근 성능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도 실험예 1과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1급 아민 어덕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의 함량비에 따라 가사시간과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되, 경화부와 주제부를 각각 540 g, 460 g의 함량으로 혼합하고, 경화부에 강도향상제인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배합비에 따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g) 실시예 4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2급 아민(Mw=270~300) 250 250 250 250 250 250
2급 아민(Mw=3000) 100 100 100 100 100 100
1급 아민 어덕트 25 25 25 25 25 25
첨가제 360 360 360 360 360 360
강도향상제
(중량%)
- 6
(0.8)
8
(1.1)
15
(2.0)
23
(3.0)
24
(3.2)
합계 735 741 743 750 758 759
이후, 상기 표 4의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에 대하여, 앞서 실험예 2, 3에서 수행하였던 전단접착강도, 파단시 신율, 방근 성능, 가사 시간, 지촉건조시간 및 완전건조시간을 측정하고, 건조도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으며, KS F 3211에 의거한 인장강도 측정 결과를 함께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가사시간(분) 47 45 43 40 38 37
전단접착강도(kgf/cm2) 16 18 25 28 31 32
인장강도(kgf/cm2) 47 49 77 78 81 82
지촉건조시간(hr) 2 2 2 2 2 1
완전건조시간(hr) 17 17 17 18 20 22
파단시 신율(%) 390 360 330 320 320 270
건조도막의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방근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5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3과 같이 강도향상제를 첨가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9의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강도향상제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강도 향상의 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과 같이 강도향상제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건조도막의 외관에 크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방근성능이 불량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에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를 첨가하여 전단접착강도 및 인장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나,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향상이 미미하고,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하고 방근성능이 불량해지므로, 강도향상제로써 피리딘-2-카르복시아미드를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경우에는 경화부 내에 1~3 중량%의 중량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중 복합 방수 시트
110: 방수층
120: 보호시트
121: 부직포층
122: 폴리우레아층
123: 보호층

Claims (7)

  1. 방수층(110)과 보호시트(120)가 적층된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110)은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120)는, 부직포층(121), 폴리우레아층(122) 및 보호층(1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고,
    상기 부직포층(121)이 방수층(110)과 마주보도록 적층되며,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하나의 수소기와 두 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경화부;가 각각 개별 포장되고, 사용시 주제부와 경화부가 1:1.1~1.7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됨으로써, 가사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아민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2급 아민의 혼합물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70~300인 저분자량 2급 아민 70~87 중량%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3,000인 고분자량 2급 아민 13~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과 부틸 글리시딜 에터(Butyl glycidyl ether)의 반응으로 얻어진 1급 아민 어덕트를 1~7 중량%의 범위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충전제, 가소제, 희석제, 침강방지제, 소포제, 분산제, 점도 조절제, 접착개선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부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NCO%가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7. 구조물 표면에, 청구항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P)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110) 상부에 보호시트(120)를 설치하는 보호시트 설치 단계;를 통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1020190095699A 2019-08-06 2019-08-06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99A KR102079572B1 (ko) 2019-08-06 2019-08-06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99A KR102079572B1 (ko) 2019-08-06 2019-08-06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72B1 true KR102079572B1 (ko) 2020-02-20

Family

ID=6964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699A KR102079572B1 (ko) 2019-08-06 2019-08-06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03B1 (ko) * 2020-07-22 2020-12-10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우레아 기반의 수용성 방수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290324B1 (ko) 2020-12-29 2021-08-19 (주)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01211B1 (ko) 2021-01-25 2021-09-13 (주) 페트로산업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113513091A (zh) * 2021-05-21 2021-10-19 甘肃省凯潢防水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耐磨的防水材料
KR102321506B1 (ko) 2021-02-22 2021-11-04 (주) 페트로산업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KR20220019911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터치그린 관로의 갱생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028A (ko) * 1999-12-28 2001-07-07 김윤철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및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0389256Y1 (ko) * 2005-04-13 2005-07-07 강남화성 (주) 복합 방수층 구조
KR101269518B1 (ko) 2012-08-21 2013-05-31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KR101600072B1 (ko) * 2015-06-26 2016-03-1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KR20170076338A (ko) * 2015-12-24 2017-07-04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028A (ko) * 1999-12-28 2001-07-07 김윤철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및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0389256Y1 (ko) * 2005-04-13 2005-07-07 강남화성 (주) 복합 방수층 구조
KR101269518B1 (ko) 2012-08-21 2013-05-31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KR101600072B1 (ko) * 2015-06-26 2016-03-1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KR20170076338A (ko) * 2015-12-24 2017-07-04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재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03B1 (ko) * 2020-07-22 2020-12-10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우레아 기반의 수용성 방수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220019911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터치그린 관로의 갱생 방법
KR102535589B1 (ko) * 2020-08-11 2023-05-23 주식회사 터치그린 관로의 갱생 방법
KR102290324B1 (ko) 2020-12-29 2021-08-19 (주)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01211B1 (ko) 2021-01-25 2021-09-13 (주) 페트로산업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21506B1 (ko) 2021-02-22 2021-11-04 (주) 페트로산업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CN113513091A (zh) * 2021-05-21 2021-10-19 甘肃省凯潢防水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耐磨的防水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A2805621C (en) Reduction in modulus of polyurethane sealants and adhesives
CN105473643B (zh) 羟基硅烷和含硅烷基团的聚合物
KR102028103B1 (ko)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N102719187A (zh) 一种单组分沥青聚氨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478307B1 (ko)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JP6706887B2 (ja) 高強度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0862048B1 (ko) 삼성분계 폴리우레탄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의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638620B1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0839933B1 (ko)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6799390B2 (ja) 高抗張積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1130828B1 (ko) 방수용 및 방수/방근용 초속경 폴리우레아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및 방수/방근 시공 방법.
WO2018094499A1 (en) Wide temperature range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and roof system using same
KR101888556B1 (ko) 친환경 탄성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KR101525908B1 (ko) 일체화 복합방수층 및 일체화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857384B1 (ko)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978686B1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KR20120094641A (ko)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고무칩 혼합 조성물 및 탄성 바닥재
KR101058777B1 (ko) 폴리머 일액형 수용성 우레탄 방수제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1964590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체 보수 보강용 시공방법
KR100487065B1 (ko) 자기평활성, 환경친화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이성분계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그에 사용되는 경화제
KR20140029651A (ko)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