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651A -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651A
KR20140029651A KR1020120094760A KR20120094760A KR20140029651A KR 20140029651 A KR20140029651 A KR 20140029651A KR 1020120094760 A KR1020120094760 A KR 1020120094760A KR 20120094760 A KR20120094760 A KR 20120094760A KR 20140029651 A KR20140029651 A KR 2014002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composition
waterproof
waterproofing
polyuretha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김영필
정영도
Original Assignee
한국그레이스(주)
강남화성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그레이스(주), 강남화성 (주) filed Critical 한국그레이스(주)
Priority to KR102012009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651A/ko
Publication of KR2014002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및 폴리머 폴리올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머 폴리올, 쇄연장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를 함께 적용하는 복합 방수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Polyurethane composition for using waterproofing}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화 아스팔트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의 발전 및 토목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건물의 방수 기술도 종래의 시트(sheet) 방수, 구체 방수, 도막 방수, 아스팔트 방수, 금속판 방수,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 등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과 기술이 개발 되었으나 공법에 따라서 각각의 특징과 시방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는 시공 후의 효과의 차이점, 재시공 시의 인건비 문제, 시공 편의성, 자외선에 의한 노화 및 변질 문제, 흡수성 및 발수성 문제, 피착제와의 접착성 문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시공상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건물 보수업계, 방수업계에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방수 공법들 중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 성능을 가지는 재료를 일정두께와 폭을 갖는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시트 방수 공법은 시트의 제조시 다양한 적층 구조를 통해서 필요한 물성을 구현하기가 쉽고, 시공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복잡한 부위의 시공이 어렵고, 부분 보수가 어려우며, 시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이루기 어렵고, 시트간의 이음매의 밀봉 작업이 수작업으로 일일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의 시트와 이를 이용한 공법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도막 방수 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법이 존재하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이다.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은 시공할 바닥 등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폴리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하지 균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곳이나 복잡한 부위에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이음매 없는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비교적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면 등의 하지면에 밀착되는 밀착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균열 발생시 시공된 폴리우레탄 도막이 손상되고, 연속적으로 들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현상에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면의 굴곡으로 인해 도막 두께가 불균일해질 수 있고, 도막의 두께를 충분히 형성하여야 하나 현장 시공상 용이하지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시트 방수 공법과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트 방수 공법과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을 함께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시트 방수 공법에 널리 이용되는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과 함께 적용하여 복합 방수 공법을 시공하는 경우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가 폴리우레탄에 포함된 가소제나 용매 성분에 의해 용해되어 방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사용할 수 있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를 함께 적용하는 복합 방수의 시공이 가능하게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용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조성물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isosyanate)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및 폴리머 폴리올(polymer polyol)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폴리머 폴리올, 쇄연장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경화제는 10 내지 50중량%의 폴리머 폴리올, 0 내지 5중량%의 쇄연장제 및 40 내지80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 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쇄연장제는 지방족 디올(diol) 또는 디아민(diamine)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무정형 이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및 디메틸디옥타데실(dimethyl dioctadecyl) 암모늄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체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무기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및 수분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의하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사용할 수 있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를 함께 적용하는 복합 방수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공법을 시공한 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일 수 있다.
주제는 주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 폴리머 폴리올(polymer polyol)로 이루어진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2,4-톨루엔(tolu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등이 가능하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업성 등을 고려할 때,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순수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트(pure-MDI)뿐만 아니라 개질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트 (modified-MDI)나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트 중합체(polymer-MDI) 등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수성이 좋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분자량 1,000~4,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및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옥사이드(polybutylene oxide) 디올 및 트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에서는 폴리우레탄의 유연성과 탄성을 주기 위하여 가소제(plasticize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dioctyl Phthate),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diisononyl phthalate), 디옥틸아디페이트(DOA: Dioctyl adipate),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TOTM: trioctyl tridecyl trimellitate), 디부틸프탈레이트(DBP: dibutyl phthalate),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diisodecyl phthalate), 디옥틸멜레이트(DOM: dioctyl Malate),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NA: diisononyl adipate)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의 점도 조절을 위한 희석재로서 흔히 BTX라 불리우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소제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희석재는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 사용하는 경우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에는 가소제와 희석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이렇게 가소재와 희석재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종래와 비교하여 종래와 같은 방수 성능 또는 그 이상의 방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와 폴리머 폴리올을 이용하여 각각 주제부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폴리머 폴리올 5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본 발명에서의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주제를 합성한다.
다양한 배합비를 통해 시험한 결과 이러한 배합량을 벗어나는 경우, 방수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제공할 수 없고, 아울러,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서 현장에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제의 배합시 전술한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주제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구성하는 경화제에 대해 살펴본다.
경화제는 폴리머 폴리올에 쇄연장제, 충전제, 안료, 촉매 및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먼저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수성이 좋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분자량 1,000 내지 4,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부타디엔 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 및 트리올, 폴리부틸렌옥사이드 디올 및 트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쇄연장제는 각 성분들의 결합도를 증가시켜 내마모성이나 경도 등 우수한 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분자량이 50 내지 300정도인 지방족 디올 또는 디아민(di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족 디올의 경우 예를 들면, 에틸렌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3-펜탄디올, 1,2-헥산디올, 3-메틸렌펜탄-1,5-디올, 1,9-노난디올(nonanediol), 2-메틸옥탄-1,8-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아민의 경우 이소포론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N-메틸프로필렌-1,3-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 디아민,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이소부틸-3,5-디아미노-4-클로로벤조에인트, 트리메틸렌글리콜-디-P-아미노벤조에이트,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 3,5-디메틸시오-2,4-톨루엔디아민, 3,5-디에틸톨루엔-2,4-디아민 등의 디아민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디아민류 쇄연장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제로는 방수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산칼슘을 충전제(filler)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수직면 시공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흐름 방지 작용을 하는 요변성(thixotropy) 강화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변성 강화 충전제로서는 무정형 이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또는 디메틸디옥타데실 암모늄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체물을 사용하거나 지방산 금속염으로 처리된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직면 시공 부위에 적용되기 위한 흐름 방지 작용을 위해서는 지방산 금속염으로 처리된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료는 제품의 색상을 내기 위하여, 바닥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소비자가 요구에 따라 적합한 색상의 안료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내후성이 뛰어난 무기 안료 중 적합한 색상의 안료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는 폴리우레탄 바닥재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 촉매, 금속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수분흡수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로는 폴리우레탄에 적합한 실리콘계의 소포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Airex931(Tego chemie사), BYK-066N(BYK chemie사), EFKA2020(EFKA사)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경화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은 경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 내지 50중량%의 폴리머 폴리올, 0 내지 5중량%의 쇄연장제, 40 내지 80중량%의 충전제, 1 내지 5중량%의 안료, 0.1 내지 1중량%의 첨가제 및 0.1 내지 2.0중량%의 촉매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주제와 경화제를 1:1 ~ 1:8 범위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혼합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방수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의하면, 종래의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달리 가소재와 희석재를 포함하지 않아 고무아스팔트와 전혀 반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수 시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고무화 아스팔트 외에도 다른 방수 시트와 함께 복합 방수 시공 방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단독으로 즉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이 아닌 폴리우레탄 방수의 시공을 위한 방수재로서도 이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를 시공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공법을 시공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공법을 시공한 구조물의 단면은 크게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방수층과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로 구성된다.
특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와 슬라브가 만나는 코너 부분에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고 수평부에는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한다.
또한, 코너 부분과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가 겹치는 부분에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코너 부분에서는 방수층의 보강을 TPU 필름이나 화이버글라스(fiberglass) 메쉬를 폴리우레탄 방수층 시공 후 먼저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가 일부 중첩되도록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코너 부분과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가 겹치는 부분의 보강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뿐만 아니라 액상 멤브레인이나 별도의 보강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는 코너 부분의 보강을 위해 코너 부분에만 폴리우레탄 방수를 시공하고 수평 부분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만을 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평 부분에도 전부에도 폴리우레탄 방수층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코너 부분이나 수직 부분에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시공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부분에도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먼저 시공한 후 그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층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으로 교차하여 2중으로 겹침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HDPE)에 고무화 아스팔트를 밀착하여 접착시킨 시트로서, KS F4934 규격을 만족시키는 자재로서 아래와 [표 1]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자재일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KS F4910에 따른 건설용 도막 방수제의 규격을 만족하는 조성물로서 아래와 [표 2]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자재일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한편, 도 1에서는 미도시하였으나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그 용도에 따라 토목용의 경우 2개 층의 강한 아스팔트 용지 사이에 개량 비투멘과 특수골재를 결합. 압축하여 3mm 두께에 1.0m x 2.0m의 크기에 7.8 kg 중량을 가지도록 제조된 방수 보호판이나, 35mm 두께 이상의 시멘트 몰탈를 시공하며, 건축용의 경우 20mm 두께 이상의 시멘트 몰탈를 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합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은 벽체와 수평부가 함께 존재하고 코너 부분 등의 방수 성능을 보강하면서 복합 방수 시공을 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것은 먼저 방수층을 형성할 바탕면의 표면 처리를 수행한다(S200).
표면 처리는 표준 시방서 등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은 견고하고 공극 및 돌출부가 없어야 하며, 구리스. 오일.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설치 전에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최소한 7일 이상 적절히 양생되고 건조될 때까지 설치하면 안 되며, 타이 로드(Tie-rod) 구멍은 콘크리트로 메꾸고 그 주위의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13mm 이상의 공극이나 깊이 방향으로 6mm 이상의 공극은 채워지고 다듬어져야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는 겉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조각은 제거하고 견고한 노출층으로 보충하며, 신축 이음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표면은 갈아내고 적절한 표면으로 만든다.
한편, 시공 이음 등의 이음부나 코너부 등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충진하여 선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가 완료되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재를 시공한다(S202).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재 시공은 바람직하게는 벽체와 바닥의 일부분에만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벽체에 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재 시공은 다음과 같은 시방에 따라 시공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2액형이므로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별도의 용기에 정량 혼합하여 2분 정도 골고루 믹싱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별도 용기에 주제를 먼저 부은 뒤, 그 위로 경화제를 부어서 믹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 시공은 도막 두께 형성이 곤란하므로 최소 2회 도포하여 최소한의 도막 두께 2mm 이상을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벽체를 시공하고 벽체에서 바닥면으로 최소 200mm 이상 시공하여 시트와 이음부를 만든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방수 시공이 완료되면 바닥면에 도포한 프라이머가 완전히 건조된 후에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시공한다(S204).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시공은 바람직하게는 바닥 부분에만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바닥에 시공되는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시방에 따라 시공할 수 있다.
바닥의 방수 시공시 다음과 같이 시방에 따라 시공할 수 있다.
수평부위 설치는 낮은 부위에서 높은 부위로 시공해 나가며, 시트의 장변 방향 조인트 부분은 최소 50mm 겹쳐서 설치 시공하고, 겹침 부위는 롤러 등으로 다져준다.
그리고 시트의 단변 방향조인트 부분은 최소 150mm 이상 겹쳐 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나 별도의 시트로 연결 부분 보강을 실시한다.
장마철이나 바탕면의 콘크리트 양생시간이 일주일 미만을 경우 습윤 전용 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시트 설치 끝부분 및 T 이음부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 등으로 보강한다.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설치가 끝난 후 장변 방향으로 100mm 폭의 일체 부착형 테이프를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설치한다.
수직부에서 수평면으로 200mm 이상 시공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방수 층 위에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벽체와 바닥면의 코너부위까지 시공한 후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등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를 한다.
한편, 이러한 방수층의 시공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보호층을 추가로 시공할 수 있다(S206).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달리 가소재와 희석재를 포함하지 않아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폴리우레탄이 전혀 반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수 시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도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발명에 의한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특성이 이용하는 시공 방법으로서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폴리우레탄 방수를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 외에도 다른 방수 시트와 함께 복합 방수 시공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즉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이 아닌 기존의 단독의 폴리우레탄 방수 시공 방법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바탕면 110: 폴리우레탄 방수층
120: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 130: TPU 필름 또는 화이버글라스 메쉬

Claims (8)

  1. 방수용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조성물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isosyanate) 화합물 10 내지 50중량% 및 폴리머 폴리올(polymer polyol)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폴리머 폴리올, 쇄연장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10 내지 50중량%의 폴리머 폴리올, 0 내지 5중량%의 쇄연장제 및 40 내지80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 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연장제는 지방족 디올(diol) 또는 디아민(diamin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무정형 이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및 디메틸디옥타데실(dimethyl dioctadecyl) 암모늄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체물 중 적어도 하나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무기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촉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및 수분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0120094760A 2012-08-29 2012-08-29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KR20140029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60A KR20140029651A (ko) 2012-08-29 2012-08-29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60A KR20140029651A (ko) 2012-08-29 2012-08-29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51A true KR20140029651A (ko) 2014-03-11

Family

ID=5064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60A KR20140029651A (ko) 2012-08-29 2012-08-29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6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31A (ko) * 2014-07-24 2016-02-03 이영재 해양 시설물의 보수, 보강용 소재
KR101989290B1 (ko) * 2019-01-04 2019-06-13 지용우 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088283B1 (ko) * 2019-12-30 2020-03-12 이수근 슁글방수시트용 프라이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6048B1 (ko) * 2020-05-04 2020-09-15 태중씨엔주식회사 주차장 및 콘크리트 바닥의 보강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31A (ko) * 2014-07-24 2016-02-03 이영재 해양 시설물의 보수, 보강용 소재
KR101989290B1 (ko) * 2019-01-04 2019-06-13 지용우 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088283B1 (ko) * 2019-12-30 2020-03-12 이수근 슁글방수시트용 프라이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6048B1 (ko) * 2020-05-04 2020-09-15 태중씨엔주식회사 주차장 및 콘크리트 바닥의 보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620B1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CN102770599B (zh) 复合路面结构
KR101310615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KR101450035B1 (ko) 폴리우레탄실런트를 이용한 아스팔트시트의 방수층 및 방수방법
CN105040551B (zh) 自结纹无颗粒环保型塑胶跑道的铺设方法
KR100949599B1 (ko)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방수공법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6799390B2 (ja) 高抗張積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0862048B1 (ko) 삼성분계 폴리우레탄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의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478307B1 (ko)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993155B1 (ko) 경화 열변색성을 가지는 저점도 및 상온 속경화형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용 2액형 고강도 및 고탄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1926654B1 (ko)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코팅방법
KR101284615B1 (ko)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20140029651A (ko)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CN106183217A (zh) 弹性体改性沥青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1573298B1 (ko) 폴리우레아 바탕조정제 및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525908B1 (ko) 일체화 복합방수층 및 일체화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781992B1 (ko) 자착식 방수시트
KR20140146359A (ko) 타일 접착 공법
KR20210034816A (ko)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504814B1 (ko)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무기질계 분체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CN103045067B (zh) 一种水泥混凝土桥面用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75881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열화부의 단면 보수 및 보강공법
KR102603305B1 (ko)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및 이에 따른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 시스템
KR20180080738A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